KR101688319B1 - 접속 기구부 및 이것을 이용한 단자대 - Google Patents

접속 기구부 및 이것을 이용한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319B1
KR101688319B1 KR1020150083177A KR20150083177A KR101688319B1 KR 101688319 B1 KR101688319 B1 KR 101688319B1 KR 1020150083177 A KR1020150083177 A KR 1020150083177A KR 20150083177 A KR20150083177 A KR 20150083177A KR 101688319 B1 KR101688319 B1 KR 10168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ember
connection mechanism
terminal block
housing
connec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400A (ko
Inventor
나오야 사사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R4/482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3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내부 구성 부품의 재고 관리에 시간 등의 수고가 걸리지 않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접속 기구부를 제공한다.
단면이 문(門) 형상을 가짐과 함께, 대향하는 상하면의 중간에 지지부(64, 65)를 내방으로 돌설한 접속 기구부 본체(61)와, 일단부를 상기 지지부(64, 65)에 각각 지지됨과 함께, 타단부를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61)의 대향하는 상하면의 어느 것에도 압접할 수 있도록 굴곡한 스프링 부재(66, 67)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속 기구부 및 이것을 이용한 단자대{CONNECTION MECHANISM AND USING TERMINAL BLOCK THEREOF}
접속 기구부 예를 들면, 릴레이 부착 단자대에 조립되는 접속 기구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자대에 조립되는 접속 기구부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내에 접속 기구부를 조립한 단자대가 있다.
즉, 상기 접속 기구부는, 굴곡되어진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를 그 타단부에 압접시킴에 의해, 리드선을 끼어지지하여 전기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기구부에서는, 드라이버를 하우징 내에 삽입하여 상기 일단부를 탄성 변형시킴에 의해, 상기 리드선을 빼내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독일 공개공보 DE 10 2005 048 972A1
그러나, 상기 접속 기구부에서는, 하우징에 대해 리드선의 삽입 위치를 변경하려고 하면, 전혀 다른 형상을 갖는 내부 구성 부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내부 구성 부품의 종류가 많고, 내부 구성 부품의 재고 관리에 수고가 들음과 함께,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내부 구성 부품의 재고 관리에 수고가 걸리지 않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접속 기구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속 기구부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면이 문(門) 형상이고, 대향하는 상하면의 중간에 지지부를 내방으로 돌설한 접속 기구부 본체와, 일단부를 상기 지지부에 지지됨과 함께, 타단부를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의 대향하는 상하면의 어느 것에도 압접할 수 있도록 굴곡한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하를 역전하여도 접속 기구부 본체에 조립 가능하다. 이 때문에, 리드선의 삽입 위치를 상하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하를 역전시켜서 부착하면,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에 압접하는 위치가 상하 역전한다. 이 때문에, 내부 구성 부품을 공용할 수가 있어서, 내부 구성 부품의 종류가 적어지기 때문에, 재고 관리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도 용이한 접속 기구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의 대향하는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에 계지 가능한 계지 돌기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계지 돌기로 리드선을 끼어지지함에 의해, 상기 리드선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에, 상기 스프링 부재를 조작 가능한 조작기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기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며 신속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작업, 유지 보수 작업을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로서는, 전술한 접속 기구부를 적어도 하나, 하우징 내에 조립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하를 역전하여도 접속 기구부 본체에 조립 가능하다. 이 때문에, 리드선의 삽입 위치를 상하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하를 역전시켜서 부착하면,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에 압접하는 위치가 상하 역전한다. 이 때문에, 내부 구성 부품을 공용할 수가 있어서, 내부 구성 부품의 종류가 적어지기 때문에, 재고 관리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도 용이한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스프링 부재를 조작 가능한 조작기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기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며 신속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작업, 유지 보수 작업을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릴레이를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내부 구성 부품의 재고 관리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도 용이한 릴레이를 구비한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B는 본 발명에 관한 접속 기구부를 적용한 단자대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조작 전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단자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단자대가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A, B, C은 도 2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평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
도 5A, B, C은 도 2에서 도시한 제1 접속 기구부의 사시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및 그 분해 사시도.
도 6A, B는 도 2에서 도시한 제2 접속 기구부의 사시도 및 그 분해 사시도.
도 7A, B는 도 2에서 도시한 보조접속 기구부의 정면도 및 그 분해사시도.
도 8는 도 2에서 도시한 해제 버튼의 종단면도.
도 9A, B는 내부 구성 부품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0A, B는 도 1에서 도시한 단자대를 다른 위치에서 절단한 조작 전의 종단면도.
도 11A, B는 도 1에서 도시한 단자대를 다른 위치에서 절단한 조작 후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에서 도시한 단자대의 회로도.
도 13은 도 1에서 도시한 단자대의 다른 회로도.
도 14는 도 1에서 도시한 단자대의 다른 회로도.
도 15A, B는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조작 전후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도시한 단자대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서 도시한 단자대가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8A, B는 도 16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9A, B는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20은 도 19A에서 도시한 단자대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도 19B에서 도시한 단자대의 분해 사시도.
도 22A, B는 도 20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
도 23A, B는 도 19에서 도시한 단자대의 조작 전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본 발명에 관한 접속 기구부를 적용한 릴레이 부착 단자대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23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 부착 단자대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하우징(10)과, 제1 접속 기구부(30)와, 제2 접속 기구부(60)와, 제3 접속 기구부(70)와, 보조접속 기구부(80)와, 해제 버튼(90)과, 릴레이(100)와, 온도 퓨즈(105)와, 저면 커버(110)와, 문자 실(12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편측(片側) 반분(半分)에 릴레이(1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칸막이벽(11)으로 구획된 수납 오목개소(凹所)(12)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저면에 단자구멍(12a)을 형성하고 있다(도 4A).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그 나머지 편측 반분의 측면에 제1, 제2, 제3 접속구멍(13a, 13b, 13c)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그 위쪽에 문자 실(120)을 부착하기 위한 테이퍼면(13d)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4A의 평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머지 편측 반분의 개략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4)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14)의 앞쪽측에는 압입구멍(15)을 형성함과 함께, 그 양측에 제1 조작구멍(15a) 및 제2, 제3 조작구멍(15b, 15c)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4B의 배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제3 접속구멍(13b, 13c)에 각각 연통하고, 또한, 배면측부터 개구하는 감합구멍(16a, 16b)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감합구멍(16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조감합구멍(16c)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감합구멍(16a), 보조감합구멍(16c)과 이웃하는 위치에 가이드구멍(17a, 17b)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4C의 저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형대(方形臺)(10a)로 둘러싸여진 상기 관통구멍(14)의 편측에, 절연벽(20a)을 통하여 한 쌍의 감합구멍(21, 22)을 병설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감합구멍(22)과 이웃하는 위치에 수납 오목부(23)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감합구멍(21)은, 상기 제1 조작구멍(15a)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그 저면에 돌설한 절연벽(20b)으로 제1, 2, 3, 4 위치 결정 오목부(24a, 24b, 24c, 24d)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3, 4 위치 결정 오목부(24a, 24b, 24c, 24d)에는, 코킹 돌기(25)가 적절히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그 저면의 개구 연부(緣部)에 위치결정 돌기부(26)를 돌설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의 이웃하는 3변의 개구 연부에 계합 구멍(27)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도 2, 3).
제1 접속 기구부(3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단면이 문(門) 형상인 접속 기구부 본체(40, 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50)는, 그 상변부(51)의 선단 연부로부터 단면 개략 L자형상의 연재부(55)를 연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 기구부(30)는, 병설한 제1, 제2, 제3버스바(31, 32, 3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4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상변부(41) 및 하변부(42)의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잘라세워서 지지부(4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43)에는, 굴곡한 스프링 부재(44)의 일단부를 계합할 수 있는 계합 홈(43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40)의 상변부(41)의 내향면(상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44)의 타단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 돌기(41a)를 돌출 가공으로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40)의 상변부(41)의 모서리부에는 노치부(4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40)는, 그 하변부(42)로부터 단자부(42a)를 측방으로 연재하고 있다.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50)는, 대향하는 상변부(51) 및 하변부(52)의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잘라세워서 지지부(5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53)에는, 스프링 부재(54)의 일단부를 계합할 수 있는 계합 홈(53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50)의 하변부(52)의 내향면(하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54)의 타단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 돌기(52a)를 돌출 가공으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재부(55)는, 그 상변부(51)와 이웃하는 위치에, 한단 낮은 협지설편(56a)을 잘라세우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상변부(56)와 상기 협지설편(56a)이, 개략 V자형상으로 굴곡한 보조 스프링 부재(57)의 일변을 끼어지지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스프링 부재(57)의 하단부는 상기 상변부(51)에 돌설한 계지 돌기(51a)에 계지하고 있다.
제2, 제3 접속 기구부(60, 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구성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접속 기구부(60)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부 본체(61)는 대향하는 상변부(62) 및 하변부(63)의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잘라세움에 의해, 한 쌍의 지지부(64, 6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64)에는, 굴곡한 스프링 부재(66)의 일단부를 계합할 수 있는 계합 홈(64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61)의 상변부(62)의 내향면(윗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66)의 타단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 돌기(62a)를 돌출 가공으로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61)의 상변부(62) 중, 상기 계지 돌기(62a) 부근의 모서리부에 노치부(62c)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65)에는, 굴곡한 스프링 부재(67)의 일단부를 계합할 수 있는 계합 홈(65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변부(62)의 내향면(윗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67)의 타단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 돌기(62b)를 돌출 가공으로 마련하고 있는 한편, 상기 하변부(63)의 일단부를 잘라구부림에 의해, 압입 설편(63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 기구부 본체(61)는, 그 편측 연부를 구부려세워서 가이드 설편(61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3 접속 기구부(70)는, 상기 제2 접속 기구부(60)와 동일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상기 제2 접속 기구부(60)에 준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접속 기구부(8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문(門) 형상인 보조접속 기구부 본체(81)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접속 기구부 본체(81)는, 그 상변부(82)와 이웃하는 위치에, 보다 한단계 낮은 협지설편(82a)을 잘라세우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변부(82)와 협지설편(82a)이, 단면 개략 V자형상으로 굴곡한 보조 스프링 부재(84)의 일변을 끼어지지한다. 또한, 상기 보조 스프링 부재(84)의 하단부는 상기 하변부(83)에 마련한 계지 돌기(83a)에 계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접속 기구부 본체(81)는, 그 편측 연부를 구부려 일으킴에 의해, 가이드 설편(81a)을 마련한다.
해제 버튼(90)은, 도 2, 3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단면의 중앙에, 플러스 드라이버 또는 마이너스 드라이버로의 압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조작오목부(9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해제 버튼(90)은, 그 하면부터 한 쌍의 탄성 다리부(92, 92)를 돌출함과 함께, 상기 탄성 다리부(92, 92)를 사이에 두고 제1 조작편(93) 및 제2, 제3 조작편(94, 95)을 돌설하고 있다.
릴레이(100)는,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수납 오목개소(12)에 수납 가능한 입체 형상을 가지며, 그 하면부터 신호 단자(101, 102) 및 전력 단자(103, 104)를 돌출하고 있다.
온도 퓨즈(105)는,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리드선(106, 107)을 통하고 상기 릴레이(100)등에 전기 접속되고, 단자대에서의 발열에 의한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저면 커버(110)는,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저면 개구부에 감합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14)을 둘러싸는 방형대(10a)에 감합 가능한 방형의 관통구멍(111)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이웃하는 3변의 외주 연부에 따라 각각 입설한 탄성 테두리부(112)에, 계합 폴부(113)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낮은 위치에 배치한 계합 폴부(113)라도, 탄성 테두리부(112)의 지점 사이 거리가 길고, 탄성 영역이 넓기 때문에, 파손되기 어려운 계합 폴부(113)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접속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접속 기구부 본체(61)에 스프링 부재(66, 67)의 일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한 제2 접속 기구부(60), 접속 기구부 본체(71)에 스프링 부재(76, 77)의 일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한 제3 접속 기구부(70), 및 보조접속 기구부 본체(81)에 보조 스프링 부재(84)를 조립한 보조접속 기구부(80)를 준비하고, 이들을 하우징(10)의 갑합구멍(16a, 16b) 및 보조감합구멍(16c)에 각각 압입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수납 오목개소(12) 내에 릴레이(100)를 위치 결정하고, 그 단자구멍(12a)에 신호 단자(101, 102) 및, 전력 단자(103, 104)를 각각 삽입한다.
한편, 제1 접속 기구부(30)의 접속 기구부 본체(40, 50)에 스프링 부재(44, 54, 57)의 일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각각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 마련한 감합구멍(21, 22)에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40, 50)를 각각 감합한다. 또한, 도 4C에 도시하는 제I, 제2, 제3, 제4위치 결정 오목부(24a, 24b, 24c, 24d)에, 버스바(31), 접속 기구부 본체(40)의 단자부(42a), 버스바(32), 버스바(33)를 각각 위치 결정한다.
계속해서, 릴레이(100)의 신호 단자(101, 102)를 도 9에 도시하는 버스바(31, 33)에 솔더링함과 함께, 전력 단자(103, 104)를 접속 기구부 본체(40, 50)에 각각 솔더링한다. 그리고, 제2 접속 기구부(60)와 보조접속 기구부(80)를 리드선(도시 생략)로 접속한다. 또한, 온도 퓨즈(105)를 하우징(10)의 수납 오목부(23)(도 4C)에 수납함과 함께, 그 리드선(106, 107)을 버스바(32, 33)에 각각 압접한다. 최후에, 외부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리드선(도시 생략)을, 버스바(31, 32), 단자부(42a)에 각각 압접함에 의해, 도 12에 도시하는 회로도와 같이 전기 접속된 단자대가 완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개구부에 저면 커버(110)를 위치 결정하고, 그 방형대(10a)에 저면 커버(110)의 관통구멍(111)을 감합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의 계합 구멍(27)에 상기 저면 커버(110)의 계합 폴부(113)를 계합한다. 또한, 해제 버튼(90)의 탄성 다리부(92, 92)를 하우징(10)의 압입구멍(15)에 압입, 계합하고 빠짐방지한다. 이 때, 제I, 제2, 제3 조작편(93, 94, 95)은 스프링 부재(44, 66, 76)의 상단 연부에 압하 가능하게 당접한다. 최후에, 테이퍼면(13d)에 문자 실(120)을 부착하여 조립, 접속 작업이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제2, 제3 접속 기구부(30, 60, 70) 및 온도 퓨즈(105)를 병설하고 있기 때문에, 폭이 좁은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기 접속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않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도 퓨즈(105)의 리드선(106, 107)을 릴레이(100)에 접속하지 않고, 제2 접속 기구부(60) 및 보조접속 기구부(80)에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온도 퓨즈(105)를 외부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하여도 좋다.
이들의 회로도에 따라 배선하면, 용도에 응하여 전기 회로상의 온도 퓨즈(105)의 배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의 범위가 넓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상기 단자대에 접속선을 접속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접속 전에는, 도 1O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66, 67)의 타단부는 접속 기구부 본체(61)의 상변부(62)에 압접하고 있음과 함께, 보조 스프링 부재(84)의 타단부는 보조접속 기구부 본체(81)의 하변부(83)에 압접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 생략된 접속선을 각각 압입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66, 67) 및 보조 스프링 부재(84)의 타단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끼어지지함에 의해, 빠짐방지한다.
마찬가지로,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44)의 타단부는 접속 기구부 본체(40)의 상변부(41)에 압접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54)의 타단부는 접속 기구부 본체(50)의 하변부(52)에 압접하고 있음과 함께, 스프링 부재(57)의 타단부도 접속 기구부 본체(50)의 상변부(51)에 압접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접속선을 각각 압입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44, 54) 및 스프링 부재(57)의 타단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끼어지지하고, 빠짐방지한다.
그리고, 전면측부터 상기 접속선을 떼어내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해제 버튼(90)의 조작 오목부(91)에 드라이버(21)의 선단을 꽉눌러, 스프링 부재(44, 66, 76)의 상단부를 제I, 제2, 제3 조작편(93, 94, 95)으로 동시에 각각 압하함에 의해, 상기 접속선을 뽑아낸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원터치 조작으로 3개의 접속선을 뽑아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높고, 유지 보수하기 쉬운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 오목부(91)는 플러스 드라이버 및 일자 드라이버의 어느 것에도 대응할 수 있는 형상이고, 특별한 형상의 조작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보다 한층 작업성이 좋은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배면측부터 상기 접속선을 떼어내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122)를 하우징(10)에 마련한 감합구멍(16a), 보조감합구멍(16c) 및 가이드구멍(17a, 17b)에 각각 밀어넣어, 보조 스프링 부재(84), 스프링 부재(67, 57, 54)의 타단부를 탄성 변형시킴에 의해, 상기 접속선을 뽑아낸다. 특히, 가이드 설편(81a, 61a) 또는 가이드구멍(17a, 17b)으로 드라이버(122)를 가이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하기 쉽고, 작업성이 높은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66, 67, 44, 54)의 상하를 역전시켜도, 그 타단부가 접속 기구부 본체의 상변부 및 하변부에 각각 압접하도록 굴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스프링 부재(66) 등을 상하 역전시켜서 부착함에 의해, 동일 구성 부품으로 접속선의 삽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결과, 내부 구성 부품의 종류가 적어지기 때문에, 내부 구성 부품의 재고 관리가 간단하게 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릴레이보다도 소형의 릴레이(100)에 대응하도록 한 점이다.
이 때문에,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100)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개소(12)의 내주면에는, 상기 릴레이(10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리브(11a, 11b)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릴레이(100)의 신호 단자(101, 102)는 버스바(31, 32)에 각각 전기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전력 단자(103, 104)는 제1 접속 기구부(30)의 접속 기구부 본체(40, 50)의 단자부(42a, 52b)(도 17)에 각각 전기 접속된다.
다른 것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소형의 릴레이(100)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큰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대는,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기본적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릴레이를 외부 부착으로 한 점이다. 이 때문에,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소형화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접속 기구부(30, 60, 70)는, 전부 동일한의 구성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부 구성 부품을 공용할 수가 있어서, 내부 구성 부품의 종류가 더욱 적어지기 때문에, 내부 구성 부품의 재고 관리가 보다 한층 용이해지고, 유지 보수하기 쉬운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접속 기구부(70)의 조작 전에는, 스프링 부재(76, 77)의 타단부는 접속 기구부 본체(71)의 상변부(72)에 압접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접속선을 하우징(10) 내에 압입하면, 상기 스프링 부재(76, 77)의 타단부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접속선을 끼어지지함에 의해, 빠짐방지한다.
그리고,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측의 접속선을 빼내는 경우에는, 해제 버튼(90)을 플러스 드라이버(21)로 압하함에 의해, 스프링 부재(76)의 상단부를 밀어내려, 상기 접속선을 빼낼 수 있다.
또한, 배면측부터 접속한 접속선을 빼내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드라이버를 가이드 설편(71a)으로 위치 결정하고 측방으로부터 압입함에 의해, 상기 스프링 부재(77)의 타단부를 탄성 변형시킨후, 상기 접속선을 빼낼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온도 퓨즈의 설치 위치는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않고, 필요에 응하여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는 전술한 릴레이로 한하지 않고, 다른 릴레이를 부착, 또는, 접속하여 사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10 : 하우징 11 : 칸막이벽
12 : 수납 오목개소 13a : 제1 접속구멍
13b : 제2 접속구멍 13c : 제3 접속구멍
13d : 테이퍼면 14 : 관통구멍
15 : 압입구멍 15a : 제1 조작구멍
15b : 제2 조작구멍 15c : 제3 조작구멍
16a : 감합구멍 16b : 감합구멍
16c : 보조감합구멍 16d : 감합구멍
17a : 가이드구멍 17b : 가이드구멍
26 : 위치결정 돌기부 30 : 제1 접속 기구부
31 : 버스바 32 : 버스바
33 : 버스바 40 : 접속 기구부 본체
41 : 상변부 42 : 하변부
43 : 지지부 44 : 스프링 부재
45 : 노치부 50 : 접속 기구부 본체
51 : 상변부 52 : 하변부
53 : 지지부 54 : 스프링 부재
57 : 보조 스프링 부재 60 : 제2 접속 기구부
61 : 접속 기구부 본체 61a : 가이드 설편
61b : 압입 설편 62 : 상변부
63 : 하변부 64 : 지지부
65 : 지지부 66 : 스프링 부재
67 : 스프링 부재 70 : 제3 접속 기구부
71 : 접속 기구부 본체 72 : 상변부
73 : 하변부 74 : 지지부
75 : 지지부 76 : 스프링 부재
77 : 스프링 부재 80 : 보조접속 기구부
81 : 보조접속 기구부 본체 82 : 상변부
83 : 하변부 84 : 보조 스프링 부재
90 : 해제 버튼 91 : 조작 오목부
92 : 탄성 다리부 93 : 제1 조작편
94 : 제2 조작편 95 : 제3 조작편
100 : 릴레이 105 : 온도 퓨즈
110 : 저면 커버 112 : 탄성 테두리부
113 : 계합 폴부 120 : 문자 실
121 : 드라이버 122 : 드라이버

Claims (6)

  1. 단면이 문(門) 형상이고, 대향하는 상하면의 중간에 지지부를 내방으로 돌설한 접속 기구부 본체와,
    일단부를 상기 지지부에 지지함과 함께, 타단부를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의 대향하는 상하면의 어느 것에도 압접할 수 있도록 굴곡한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기구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의 대향하는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에 계지 가능한 계지 돌기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기구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구부 본체에, 상기 스프링 부재를 조작 가능한 조작기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기구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속 기구부를 적어도 하나, 하우징 내에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스프링 부재를 조작 가능한 조작기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6. 제 4항에 있어서,
    릴레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KR1020150083177A 2014-06-20 2015-06-12 접속 기구부 및 이것을 이용한 단자대 KR101688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7571 2014-06-20
JP2014127571A JP6350010B2 (ja) 2014-06-20 2014-06-20 接続機構部およびこれを用いた端子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400A KR20150146400A (ko) 2015-12-31
KR101688319B1 true KR101688319B1 (ko) 2016-12-20

Family

ID=5512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77A KR101688319B1 (ko) 2014-06-20 2015-06-12 접속 기구부 및 이것을 이용한 단자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50010B2 (ko)
KR (1) KR101688319B1 (ko)
CN (1) CN105322309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697A (ja) * 1998-07-28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ブロック一体型電子タイマ
JP3037197B2 (ja) * 1997-05-02 2000-04-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Atm通信制御方法並びに送信及び受信装置
US20030194918A1 (en) * 2002-04-12 2003-10-16 Weidmuller Interface Gmbh & Co. Electrical conductor connecting mean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231Y2 (ko) * 1973-07-04 1978-07-04
JPS52141184U (ko) * 1976-04-21 1977-10-26
GB1589649A (en) * 1977-05-28 1981-05-20 Weidmueller Kg C Screwless terminals for electrical conductors
DE7911182U1 (de) * 1979-04-17 1979-08-16 C. A. Weidmueller Kg, 4930 Detmold Schraubenlose 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JPS58183773U (ja) * 1982-05-31 1983-12-07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ドの速結端子装置
JPH0337197A (ja) * 1989-06-30 1991-02-18 Kanebo Ltd 炭化珪素ウイスカーの製法
JPH0499676U (ko) * 1991-01-28 1992-08-28
JPH0765895A (ja) * 1993-08-25 199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高電圧用配線部品
JPH0955239A (ja) * 1995-08-09 1997-02-25 Nichifu Co Ltd 電線接続用コネクター
JPH09147931A (ja) * 1995-11-17 1997-06-06 Tec Corp 電線接続装置
US6851967B2 (en) * 2000-08-04 2005-02-08 Omron Corporation Wire connector
DE102004018904B4 (de) * 2004-04-15 2013-11-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chraubenloser Sammelschienenanschluss für elektrische Klemmen
JP4214244B2 (ja) * 2005-07-01 2009-01-28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電線接続用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フロアー用ヒーターパネル
DE102005048972B4 (de) 2005-10-13 2010-08-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derkraftklemme mit Klemmfeder und Strombalken
DE102006053352B3 (de) * 2006-11-10 2008-04-1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ßverteiler
JP2010061840A (ja) * 2008-09-01 2010-03-18 Nichifu Co Ltd 電線接続用薄型コネクタ
CN201289910Y (zh) * 2008-10-24 2009-08-12 苏州快可光伏电子有限公司 太阳能控制系统用接线盒
CN202352851U (zh) * 2011-11-30 2012-07-25 乐清市东南电子科技有限公司 免螺丝接线端子
JP5854939B2 (ja) * 2012-07-05 2016-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線接続装置および換気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197B2 (ja) * 1997-05-02 2000-04-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Atm通信制御方法並びに送信及び受信装置
JP2000048697A (ja) * 1998-07-28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ブロック一体型電子タイマ
US20030194918A1 (en) * 2002-04-12 2003-10-16 Weidmuller Interface Gmbh & Co. Electrical conductor connect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22309A (zh) 2016-02-10
JP2016009519A (ja) 2016-01-18
CN105322309B (zh) 2018-06-22
KR20150146400A (ko) 2015-12-31
JP6350010B2 (ja)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0793B1 (en) Connector
JP2010267548A (ja) 電気コネクタ
JP5947972B2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子部品
JP2005322554A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US9130309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3986014A (zh) Usb插座
JP2014082060A (ja) リレー、該リレーを有するリレーモジュール及び電気接続箱
JP2010157368A (ja) 電気コネクタ
WO2014168068A1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子部品
JP2008118772A (ja) 基板接続体
JP2014207821A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組付構造
JP2014054005A (ja) 電気接続箱
KR101653062B1 (ko) 전기 커넥터
KR101688319B1 (ko) 접속 기구부 및 이것을 이용한 단자대
KR20100121950A (ko)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JP2009183031A (ja) 電気接続箱
KR100976509B1 (ko) 조인트 커넥터
CN115642432A (zh) 电接线盒
JP2015026489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KR102338715B1 (ko) 커넥터
JP2018014166A (ja) コネクタ
JP6190593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6684448B2 (ja) 電気接続箱
JP2002313212A (ja) ヒューズハウジング
JP2005185033A (ja) 電気接続箱とそのバスバー組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