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887B1 - 아이래시 컬러 및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 Google Patents
아이래시 컬러 및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7887B1 KR101687887B1 KR1020147030956A KR20147030956A KR101687887B1 KR 101687887 B1 KR101687887 B1 KR 101687887B1 KR 1020147030956 A KR1020147030956 A KR 1020147030956A KR 20147030956 A KR20147030956 A KR 20147030956A KR 101687887 B1 KR101687887 B1 KR 1016878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
- movable member
- movable
- toothed
- eyela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48—Eyelash curlers; Eyebrow curl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2—Single-piece comb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속눈썹을 뿌리부터 분리시켜 깨끗하게 컬되게 할 수 있는 아이래시 컬러를 제공한다. 아이래시 컬러(1)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12, 12)와, 프레임부(12, 12)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60)와, 가동 부재(60)의 위쪽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50)와, 가동 부재(60) 상에 재치되는 탄성 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아이래시 컬러(1)는, 가동 부재(60)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을 고정 부재(50)에 접촉시키는 암 부재(10, 20)와, 가동 부재(60)에 부착되는 콤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콤 부재(80)는, 가동 부재(60)의 앞면에 부착되는 부착부(81)와, 부착부(81)로부터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 근방까지 신장되는 브릿지부(82)와,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 근방의 브릿지부(82)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신장되는 복수의 톱니 형상부(83)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이래시 컬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속눈썹을 컬 시키기 위한 아이래시 컬러에 부착되는 부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속눈썹을 컬 시키기 위한 아이래시 컬러로서는 여러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아이래시 컬러를 사용하여 속눈썹을 컬 시키면, 속눈썹끼리 달라붙어 컬 되거나 속눈썹이 직립한 상태가 되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속눈썹을 끼울 때에 속눈썹의 사이에 진입하여 속눈썹을 분산시켜 정돈하는 속눈썹 정렬 수단을 구비한 아이래시 컬러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아이래시 컬러는, 속눈썹의 뿌리로부터 정렬시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속눈썹끼리의 달라붙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 제4119942호 명세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분리시켜 깨끗하게 컬 시킬 수 있는 아이래시 컬러 및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의하면,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분리시켜 깨끗하게 컬 시킬 수 있는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가 제공된다. 이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가지는 아이래시 컬러에 부착된다. 이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는, 가동 부재에 부착 가능한 부착부와, 부착부로부터 신장되는 브릿지부와, 브릿지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신장되는 복수의 톱니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에 의하면,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분리시켜 깨끗하게 컬 시킬 수 있는 아이래시 컬러가 제공된다. 이 아이래시 컬러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와, 한 쌍의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와, 가동 부재의 위쪽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상에 재치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부재는, 한 쌍의 프레임부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고, 고정 부재는, 한 쌍의 프레임부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탄성 부재는, 고정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이래시 컬러는, 가동 부재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탄성 부재의 접촉 영역을 고정 부재에 접촉시키는 조작부와, 가동 부재에 부착되는 콤 부재(Comb member)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콤 부재는, 가동 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부착부로부터 탄성 부재의 접촉 영역 근방까지 신장되는 브릿지부와, 탄성 부재의 접촉 영역 근방의 브릿지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신장되는 복수의 톱니 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브릿지부로부터 복수의 톱니 형상부가 위쪽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이들 톱니 형상부가 속눈썹의 뿌리 사이에 강제적으로 들어가므로,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깨끗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속눈썹끼리 달라붙거나 하는 일이 없이,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깨끗하게 컬 시킬 수 있다. 또한, 톱니 형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간격을 가진 깨끗한 선형 부채꼴형상로 속눈썹을 컬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콤 부재의 톱니 형상부의 각각은, 탄성 부재의 접촉 영역을 고정 부재에 접촉시켰을 때에 고정 부재의 앞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콤 부재의 톱니 형상부가, 고정 부재에 접촉면에서 실질적으로 접촉할수록 고정 부재의 가까이에 배치되게 되므로, 고정 부재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속눈썹을 끼웠을 때에, 톱니 형상부의 위치가 속눈썹의 뿌리에 지극히 가까워 진다. 따라서, 상술한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보다 한층 현저하게 발휘된다.
또한, 콤 부재의 톱니 형상부의 각각은, 전방으로 만곡된 상단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톱니 형상부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만곡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아이래시 컬러의 사용시에 톱니 형상부의 선단부가 사용자의 눈에 들어갈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를 위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톱니 형상부의 상단부의 만곡면에 의해 고정 부재가 안내받게 되므로, 고정 부재가 톱니 형상부의 선단부에 걸려 버리는 일이 없다.
더욱이, 콤 부재를 가동 부재의 외부에 부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콤 부재가 보이므로, 속눈썹을 깨끗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어필 할 수 있다.
인접하는 톱니 형상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릿을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콤 부재의 브릿지부의 일부를 인접하는 톱니 형상부를 따라 절결함으로써, 톱니 형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는 톱니 연장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콤 부재의 부착부에, 슬릿의 연장선상을 따라 아래쪽으로 향하여 신장되는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톱니 연장부나 홈을 콤 부재의 일부에만 형성함으로써, 톱니 형상부의 뿌리 부분의 높이나 콤 부재의 얇음을 부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콤 부재의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시에 탄성 부재와 고정 부재와의 사이(속눈썹의 뿌리)가 보기 쉬워지게 할 수 있다.
콤 부재의 부착부에, 그 부착부의 앞면에서 뒷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가동 부재는, 관통구멍에 삽통 가능하게 마련되고, 콤 부재의 부착부에 계지 가능한 후크부(Hook portion)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콤 부재의 부착부의 관통구멍에 가동 부재의 후크부를 삽통시켜 부착부에 계지시킴으로써, 콤 부재를 가동 부재에 강고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래시 컬러의 사용시에 예를 들어 콤 부재가 흔들려 톱니 형상부 등이 사용자의 눈에 들어가 버린다고 하는 위험성이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릿지부로부터 복수의 톱니 형상부가 위쪽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이들 톱니 형상부가 속눈썹의 뿌리 사이에 강제적으로 들어가므로,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깨끗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속눈썹끼리 달라붙는 일 없이,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깨끗하게 컬 시킬 수 있다. 또한, 톱니 형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간격을 가진 깨끗한 선형 부채꼴형상으로 속눈썹을 컬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이래시 컬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이래시 컬러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아이래시 컬러의 가동 부재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아이래시 컬러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아이래시 컬러의 컬러부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아이래시 컬러의 콤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콤 부재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콤 부재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이래시 컬러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아이래시 컬러의 가동 부재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아이래시 컬러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아이래시 컬러의 컬러부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아이래시 컬러의 콤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콤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콤 부재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콤 부재의 IX-IX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이래시 컬러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 9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원가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이래시 컬러(1)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아이래시 컬러(1)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아이래시 컬러(1)는, 예를 들어 엄지를 삽입하는 핸들부(11)를 가지는 제1의 암 부재(10)와,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을 삽입하는 핸들부(21)를 가지는 제2의 암 부재(20)와, 속눈썹을 컬 시키는 컬러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의 암 부재(10)와 제2의 암 부재(20)는 지축(40)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암 부재(10)는, 지축(40)에서 양갈래로 나누어져 위쪽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12, 1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러부(30)는, 프레임부(12, 12)의 상단부에 부착된 고정 부재(50)와, 고정 부재(50)의 아래쪽에 마련된 가동 부재(60)와, 가동 부재(60)상에 재치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70)와, 가동 부재(60)의 앞면 외부에 부착된 콤 부재(80)(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 부재(50)는, 2개의 프레임부(12, 12)의 사이를 서로 접속하고 있고, 그 하단(50A)은 탄성 부재(70)와의 사이에서 속눈썹을 꽉 눌러 컬 시키는 역할을 가진다.
가동 부재(60)는, 고정 부재(50)와 마찬가지로, 2개의 프레임부(12, 12)의 사이를 상호 접속하고 있는데, 이 가동 부재(60)는 프레임부(12, 12)를 따라 상하로 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 부재(60)의 양단에는 삽통구멍(61, 61)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삽통구멍(61, 61)에는 각각 프레임부(12, 12)가 삽통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부재(60)는 프레임부(12, 12)를 따라 상하로 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60)의 하면에는 V자 형상의 접속 부재(41)가 부착되어 있고, 이 접속 부재(41)는, 제2의 암 부재(20)의 상단부(22)에 형성된 관통구멍(22A)에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지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제2의 암 부재(20)를 움직이면, 제2의 암 부재(20)의 상단부(22)가 상하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가동 부재(60)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거나, 혹은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지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가동 부재(6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동 부재(6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닫힌 상태)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아이래시 컬러(1)의 컬러부(30)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6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폐상태)에서는, 가동 부재(60)상에 재치된 탄성 부재(70)의 상단부(70A)가 고정 부재(50)의 하단(50A)에 접촉한다. 즉, 탄성 부재(70)는, 제2의 암 부재(20)를 조작하여 가동 부재(60)를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부재(50)의 하단(50A)에 접촉 가능한 접촉 영역(70A)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의 암 부재(20)와 지축(40)과 접속 부재(41)에 의하여, 가동 부재(60)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을 고정 부재(50)에 접촉시키는 조작부가 구성된다. 아이래시 컬러(1)의 사용시에는, 이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과 고정 부재(50)와의 사이에서 속눈썹을 끼워 컬 시킨다.
도 6은 콤 부재(80)의 정면도, 도 7은 평면도이다. 콤 부재(80)는, 예를 들어 수지로 성형되고, 도 7의 평면도에 있어서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콤 부재(80)에 의하여 가동 부재(60)의 앞면 및 저면의 일부가 덮인다. 도 5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 부재(80)는, 대략 연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부착부(81)와, 부착부(81)의 상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위쪽으로 신장되는 브릿지부(82)와, 브릿지부(82)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신장되는 복수의 톱니 형상부(83, (83-1, 83-2))를 포함하고 있다. 부착부(81)는, 가동 부재(60)의 앞면에 부착된다. 복수의 톱니 형상부(83)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약 0.5 mm~ 약 1.0 mm)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릿지부(82)는,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의 근방까지 신장되어 있고, 브릿지부(82)의 상단은,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톱니 형상부(83)가 예를 들어 약 15가닥 ~ 약 35가닥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톱니 형상부(83)가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 근방의 브릿지부(82)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이들 톱니 형상부(83)가,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과 고정 부재(50)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속눈썹 뿌리의 사이에 강제적으로 들어가,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깨끗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속눈썹끼리 달라붙는 일 없이,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깨끗하게 컬 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평행하게 신장되는 복수의 톱니 형상부(83)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톱니 형상부(83)가 속눈썹과 속눈썹의 사이에 들어가기 쉽고, 속눈썹을 깨끗한 선형 부채꼴형상으로 컬 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톱니 형상부(83)를 가진 콤 부재(80)가 가동 부재(6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콤 부재(80)가 보여 속눈썹을 깨끗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어필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 부재(80)의 부착부(81)의 앞면(81A)에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의 오목부(84)(도시의 예에서는 3개의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오목부(84)의 상측의 영역에는, 부착부(81)의 뒷면(81B)까지 콤 부재(80)를 관통하는 관통구멍(8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60)에는, 콤 부재(80)의 오목부(84) 및 관통구멍(85)에 대응하여 후크부(6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후크부(62)는 공구를 사용함으로써 절곡될 수 있는 것이고, 도 5에서는, 후크부(62)를 아래쪽으로 절곡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콤 부재(80)를 가동 부재(60)에 부착할 때에는, 우선 후크부(62)를 콤 부재(80)의 관통구멍(85)에 삽통시키고(도 5의 점선 62A로 나타낸 상태), 그 후 아래쪽으로 절곡하여 후크부(62)를 오목부(84) 내에 수용한다. 이로써, 가동 부재(60)의 후크부(62)가 오목부(84)의 벽면에 계지되고, 콤 부재(80)가 가동 부재(6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콤 부재(80)의 부착부(81)의 관통구멍(85)에 가동 부재(60)의 후크부(62)를 삽통시켜 부착부(81)에 계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콤 부재(80)를 가동 부재(60)에 강고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래시 컬러(1)의 사용시에 예를 들어 콤 부재(80)가 흔들려 톱니 형상부(83) 등이 사용자의 눈에 들어가 버린다고 하는 위험성이 없다. 그리고 오목부(84), 관통구멍(85), 및 후크부(62)의 수 및 위치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크부(62)나 관통구멍(85)을 사용하는 일 없이 콤 부재(80)를 가동 부재(60)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그러한 방법에 의하여 콤 부재(80)를 가동 부재(60)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콤 부재(80)를 가동 부재(60)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톱니 형상부(83)는, 탄성 부재(70)의 접촉 영역(70A)을 고정 부재(50)에 접촉시켰을 때에 고정 부재(50)의 앞면(50B)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면(83A)을 가지고 있다(예를 들어, 접촉면(83A)과 고정 부재(50)의 앞면(50B)과의 사이에 극간이 없거나, 극간이 있어도 0.3 mm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이, 콤 부재(80)의 톱니 형상부(83)는, 고정 부재(50)에 접촉면(83A)에서 실질적으로 접촉할 수 있을만큼 고정 부재(50)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정 부재(50)와 탄성 부재(70)와의 사이에 속눈썹을 끼웠을 때에, 톱니 형상부(83)의 위치가 속눈썹의 뿌리에 지극히 가까워 진다. 따라서, 상술한 속눈썹을 뿌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보다 한층 현저하게 발휘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톱니 형상부(83)의 상단부(83B)는, 고정 부재(50)의 앞면(50B)으로부터 전방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톱니 형상부(83)의 상단부(83B)를 전방으로 만곡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아이래시 컬러(1)의 사용시에 톱니 형상부(83)의 선단부가 사용자의 눈에 들어갈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60)를 위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이 톱니 형상부(83)의 상단부(83B)의 만곡면에 의해 고정 부재(50)가 안내받게 되므로, 고정 부재(50)가 톱니 형상부(83)의 선단부에 걸려 버리는 일이 없다. 예를 들어, 접촉면(83A)에 대하여 약 15도~ 약 20도의 각도로 톱니 형상부(83)의 상단부(83B)를 전방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또한, 상단부(83B)의 길이를 예를 들어 약 0.5 mm~ 약 1.5 mm로 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콤 부재(80)의 VIII-VIII선 단면도이며, 톱니 형상부(83) 중 오목부(84)에 비교적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톱니 형상부(83-1)(제1의 톱니 형상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도 6의 콤 부재(80)의 IX-IX선 단면도이며, 톱니 형상부(83) 중 오목부(84)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형성되는 톱니 형상부(83-2)(제2의 톱니 형상부)의 근방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4)에 비교적 가까운 부분에서는, 부착부(81)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부착부(81)의 상단으로부터 제1의 톱니 형상부(83-1)의 뿌리 부분에 이를 때까지 전체적으로 브릿지부(82)가 신장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4)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2의 톱니 형상부(83-2)의 뿌리 부분에서는, 인접하는 톱니 형상부(83)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릿(S)(도 6 참조)을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브릿지부(82)의 일부가 제2의 톱니 형상부(83-2)를 따라 절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2의 톱니 형상부(83-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는 톱니 연장부(86)가 형성되고, 이 부분에 있어서, 제2의 톱니 형상부(83-2)와 톱니 연장부(86)에 의해 전체적으로 제1의 톱니 형상부(83-1)보다도 긴 톱니 형상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브릿지부(82)가 톱니 연장부(86)의 양측에서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의 톱니 형상부(83-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제1의 톱니 형상부(83-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비해, 보다 낮은 위치까지 콤 부재(80)의 반대편(도 6의 지면 뒤편, 도 9의 좌측)을 관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의 톱니 형상부(83-2)의 길이는 약 3 mm~5 mm로 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81)의 앞면(81A)에는, 상술한 슬릿(S)의 연장선상을 따라 아래쪽으로 향하여 신장되는 홈(87)이 형성되어 있고, 제2의 톱니 형상부(83-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제1의 톱니 형상부(83-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비해, 콤 부재(80)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게 되어 있다(도 7 참조).
여기서, 아이래시 컬러(1)의 사용시에는, 탄성 부재(70)와 고정 부재(50)와의 사이에 속눈썹이 올바르게 끼워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탄성 부재(70)와 고정 부재(50)와의 사이가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콤 부재(80)의 두께가 두껍거나, 콤 부재(80)의 톱니 형상부(83)의 뿌리 부분의 높이가 높거나 하면, 콤 부재(80)가 시야를 가려 버리는 것도 생각된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콤 부재(80)의 두께는 가능한 한 얇고, 톱니 형상부(83)의 뿌리 부분의 높이는 가능한 한 낮게(즉 톱니 형상부(83)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 콤 부재(80)의 두께가 너무 얇거나 톱니 형상부(83)의 뿌리 부분의 높이가 너무 낮거나 하면, 콤 부재(80)의 강도 및 강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콤 부재(80)의 가동 부재(60)로의 부착 및 고정이 곤란해지거나 곧바로 부셔져 버리거나 하는 등의 폐해가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톱니 형상부(83-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브릿지부(82)를 절결하지 않고, 또 부착부(81)에 홈(87)과 같은 홈을 형성하지 않고, 콤 부재(80)의 강도 및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제2의 톱니 형상부(83-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브릿지부(82)를 절결하여 톱니 연장부(86)를 형성하고, 또 부착부(81)에 홈(87)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시에 탄성 부재(70)와 고정 부재(50)와의 사이(속눈썹의 뿌리)가 보기 쉬워지게 구성하고 있다. 즉, 톱니 연장부(86)나 홈(87)을 콤 부재(80)의 일부에만 형성함으로써, 콤 부재(80)의 높이나 얇음을 부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콤 부재(80)의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시의 보기 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부(62)나 관통구멍(85)을 사용하는 일 없이 콤 부재(80)를 가동 부재(60)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부착부(81)에 관통구멍(85)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든 톱니 형상부(83)를 제2의 톱니 형상부(83-2)와 같이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아이래시 컬러(1)의 사용시에 속눈썹을 더욱 관찰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콤 부재(80)를 가동 부재(60)의 앞면에 부착한 예를 설명하였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콤 부재(80)를 가동 부재(60)의 뒷면 또는 내부에 부착하여도 좋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종류 다른 형태로 실시되어도 된다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속눈썹을 컬 시키기 위한 아이래시 컬러에 아주 적합하게 사용된다.
1: 아이래시 컬러
10: 제1의 암 부재
11: 핸들부
12: 프레임부
20: 제2의 암 부재
21: 핸들부
30: 컬러부(Curler portion)
40: 지축(支軸)
41: 접속 부재
50: 고정 부재
50A: 하단
50B: 앞면
60: 가동 부재
61: 삽통구멍
62: 후크부(Hook portion)
62A: 점선
70: 탄성 부재
70A: 접촉 영역
80: 콤 부재(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81: 부착부
81A: 앞면
81B: 뒷면
82: 브릿지부
83: 톱니 형상부
83A: 접촉면
83B: 상단부
84: 오목부
85: 관통구멍
86: 톱니 연장부
87: 홈
S: 슬릿
10: 제1의 암 부재
11: 핸들부
12: 프레임부
20: 제2의 암 부재
21: 핸들부
30: 컬러부(Curler portion)
40: 지축(支軸)
41: 접속 부재
50: 고정 부재
50A: 하단
50B: 앞면
60: 가동 부재
61: 삽통구멍
62: 후크부(Hook portion)
62A: 점선
70: 탄성 부재
70A: 접촉 영역
80: 콤 부재(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81: 부착부
81A: 앞면
81B: 뒷면
82: 브릿지부
83: 톱니 형상부
83A: 접촉면
83B: 상단부
84: 오목부
85: 관통구멍
86: 톱니 연장부
87: 홈
S: 슬릿
Claims (12)
-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가지는 아이래시 컬러에 부착되는 부가 부재로서,
상기 가동 부재에 부착 가능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히 신장되는 브릿지부와,
상기 브릿지부의 상기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히 신장된 상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신장되는 복수의 톱니 형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톱니 형상부의 각각은, 전방으로 만곡한 상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톱니 형상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릿을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브릿지부의 일부를 상기 인접하는 톱니 형상부를 따라 절결함으로써, 상기 톱니 형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는 톱니 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슬릿의 연장선상을 따라 아래쪽으로 향하여 신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는, 그 부착부의 앞면에서 뒷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의 후크부를 상기 부착부의 관통구멍에 삽통시켜 계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의 사이를 접속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의 사이를 접속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위쪽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상에 재치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고정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 영역을 가지는 탄성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 부재의 접촉 영역을 상기 고정 부재에 접촉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가동 부재에 부착되는 콤 부재로서,
상기 가동 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히 상기 탄성 부재의 접촉 영역 근방까지 신장되는 브릿지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접촉 영역 근방의 상기 브릿지부의 상기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히 신장된 상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신장되는 복수의 톱니 형상부를 가지는 콤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콤 부재의 톱니 형상부의 각각은, 전방으로 만곡한 상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콤 부재의 톱니 형상부의 각각은, 상기 탄성 부재의 접촉 영역을 상기 고정 부재에 접촉시켰을 때에 상기 고정 부재의 앞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콤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 - 제 6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톱니 형상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릿을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콤 부재의 브릿지부의 일부를 상기 인접하는 톱니 형상부를 따라 절결함으로써, 상기 톱니 형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는 톱니 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콤 부재의 부착부에는, 상기 슬릿의 연장선상을 따라 아래쪽으로 향하여 신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 - 제 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콤 부재의 부착부에는, 그 부착부의 앞면에서 뒷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통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콤 부재의 부착부에 계지 가능한 후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래시 컬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49596A JP5638587B2 (ja) | 2012-11-13 | 2012-11-13 | アイラッシュカーラー及びアイラッシュカーラー用付加部材 |
JPJP-P-2012-249596 | 2012-11-13 | ||
PCT/JP2013/080003 WO2014077161A1 (ja) | 2012-11-13 | 2013-11-06 | アイラッシュカーラー及びアイラッシュカーラー用付加部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2757A KR20150022757A (ko) | 2015-03-04 |
KR101687887B1 true KR101687887B1 (ko) | 2016-12-19 |
Family
ID=5073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0956A KR101687887B1 (ko) | 2012-11-13 | 2013-11-06 | 아이래시 컬러 및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9717315B2 (ko) |
JP (1) | JP5638587B2 (ko) |
KR (1) | KR101687887B1 (ko) |
CN (1) | CN104302206B (ko) |
HK (1) | HK1200673A1 (ko) |
WO (1) | WO201407716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231351A1 (en) * | 2016-02-11 | 2017-08-17 | Yong Hoon Cho | Eyelash Curler |
USD823538S1 (en) * | 2016-05-12 | 2018-07-17 | Maria Ruggaber | Eyelash applicator |
CA2977920A1 (en) * | 2016-09-01 | 2018-03-01 | Lana Jeanan Laplante |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eyelash extensions |
USD834249S1 (en) * | 2017-01-19 | 2018-11-20 | Therese O'Leary | Eyebrow device |
JP1587544S (ko) * | 2017-03-03 | 2017-10-10 | ||
KR20190042829A (ko) | 2017-10-17 | 2019-04-25 | 한정식 | 평행 아이래시 컬러 |
US11019901B2 (en) * | 2018-01-18 | 2021-06-01 | Good Chance Industries Co., Ltd. | Eyelash curler |
US11064779B2 (en) | 2019-01-28 | 2021-07-20 | Pui Yan Chung | Eyelash shaping implements |
US11758996B2 (en) * | 2019-06-04 | 2023-09-19 | Vance M. Thompson | Method for facilitating pinhole effect and tool to manipulate eyelash spacing for pinhole effec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92494A (en) | 1940-08-06 | 1942-08-11 | Earl S Tupper | Comb |
US3491725A (en) | 1968-06-21 | 1970-01-27 | Joseph A Maniscalco | Currycomb |
JP2009078031A (ja) * | 2007-09-27 | 2009-04-16 | Yoshio Suzuki | ビューラー及びビューラー用取り替えアダプター |
JP2010259539A (ja) * | 2009-04-30 | 2010-11-18 | Yoshio Suzuki | ビューラー用取り替えアダプター及びビューラー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542014A (en) * | 1922-06-05 | 1925-06-16 | Charles W Stickel | Method and device for crimping eyelashes |
US2242349A (en) * | 1941-02-27 | 1941-05-20 | William B Dailey | Comb-curler |
US2444937A (en) * | 1946-01-03 | 1948-07-13 | Marcellus Ada | Eyelash curler and mascara applier |
US2569246A (en) * | 1949-03-02 | 1951-09-25 | Ada C Marcellus | Combined eyelash curler, mascara applicator, and remover |
US2611375A (en) * | 1950-03-09 | 1952-09-23 | Bablon Olive Grim | Combined eyelash brush and comb holder |
US2635611A (en) * | 1951-04-24 | 1953-04-21 | Ada C Marcellus | Eyelash curler and mascara applicator and remover |
GB714134A (en) * | 1951-11-10 | 1954-08-25 | Ernst Kislig | An eyelash curler |
US4212311A (en) * | 1978-08-23 | 1980-07-15 | Leon Del Valle | Battery operated eyelash curler |
JPH04119942A (ja) | 1990-09-11 | 1992-04-21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ライトグリーンの色調を呈する結晶化ガラス |
WO2001005273A1 (fr) * | 1999-07-21 | 2001-01-25 | L'oreal | Dispositif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fibres keratiniques, notamment les cils ou les sourcils |
JP4075356B2 (ja) * | 2001-11-09 | 2008-04-16 | 松下電工株式会社 | 睫毛成形具 |
JP4603582B2 (ja) * | 2004-09-18 | 2010-12-22 | ソヒ リ | マスカラ液除去装置 |
KR200371075Y1 (ko) * | 2004-09-18 | 2004-12-29 | 이소희 | 마스카라액 제거기구 |
US20120160259A1 (en) * | 2010-12-23 | 2012-06-28 | Nguyen Christina L | Eyelash permanent extender |
TWM473734U (zh) | 2013-08-27 | 2014-03-11 | Shung King Entpr Co Ltd | 睫毛夾之改良結構 |
-
2012
- 2012-11-13 JP JP2012249596A patent/JP5638587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11-06 CN CN201380024606.2A patent/CN104302206B/zh active Active
- 2013-11-06 KR KR1020147030956A patent/KR10168788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1-06 US US14/397,857 patent/US9717315B2/en active Active
- 2013-11-06 WO PCT/JP2013/080003 patent/WO201407716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
- 2015-02-05 HK HK15101304.2A patent/HK1200673A1/xx unknown
-
2017
- 2017-05-04 US US15/586,940 patent/US20170231352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92494A (en) | 1940-08-06 | 1942-08-11 | Earl S Tupper | Comb |
US3491725A (en) | 1968-06-21 | 1970-01-27 | Joseph A Maniscalco | Currycomb |
JP2009078031A (ja) * | 2007-09-27 | 2009-04-16 | Yoshio Suzuki | ビューラー及びビューラー用取り替えアダプター |
JP2010259539A (ja) * | 2009-04-30 | 2010-11-18 | Yoshio Suzuki | ビューラー用取り替えアダプター及びビューラ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4097126A (ja) | 2014-05-29 |
WO2014077161A1 (ja) | 2014-05-22 |
CN104302206B (zh) | 2017-07-18 |
US20150122285A1 (en) | 2015-05-07 |
KR20150022757A (ko) | 2015-03-04 |
JP5638587B2 (ja) | 2014-12-10 |
HK1200673A1 (en) | 2015-08-14 |
CN104302206A (zh) | 2015-01-21 |
US20170231352A1 (en) | 2017-08-17 |
US9717315B2 (en) | 2017-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7887B1 (ko) | 아이래시 컬러 및 아이래시 컬러용 부가 부재 | |
CN209036593U (zh) | 毛发切割系统和附件 | |
JP4596542B2 (ja) | 爪切り及び爪切り用刃体と、梃子、そして支持軸 | |
EP2524609A2 (en) | Latching mechanism for retention of face shield lens | |
EP1797783A1 (en) | Device for opening-closing sun visor of helmet | |
EP2433762A1 (en) | Cutter knife | |
JP5137189B2 (ja) | まつ毛整形具 | |
JP6959955B2 (ja) | ブレード離間調節型カミソリカートリッジ | |
JP2014097126A5 (ko) | ||
GB2450427A (en) | Hinge arrangement for spectacles | |
JP5109158B2 (ja) | カッターナイフ | |
JP4075356B2 (ja) | 睫毛成形具 | |
WO2018191544A1 (en) | Nail clipper | |
KR20100135351A (ko) | 안전 손톱깍기 | |
JP3181292U (ja) | 前髪カット用補助器 | |
KR100693398B1 (ko) | 안전 커터칼 | |
JP6817629B2 (ja) |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保持具 | |
CN104883928B (zh) | 梳子 | |
JP6407571B2 (ja) |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 |
JP4559263B2 (ja) | まつ毛カール器 | |
KR101905043B1 (ko) | 날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가위 | |
TWI569748B (zh) | 睫毛夾及睫毛夾用附件 | |
JP3057709U (ja) | 眼鏡および眼鏡用鼻パッド | |
JP2010252979A (ja) | 髪留めクリップ | |
JP6736854B2 (ja) | カッター機能付きハサ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