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396B1 -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396B1
KR101683396B1 KR1020150136940A KR20150136940A KR101683396B1 KR 101683396 B1 KR101683396 B1 KR 101683396B1 KR 1020150136940 A KR1020150136940 A KR 1020150136940A KR 20150136940 A KR20150136940 A KR 20150136940A KR 101683396 B1 KR101683396 B1 KR 10168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link
bush
flange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식
장승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5013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이트링크(30)의 경사면(32)이 부시(60)의 경사부(63)에 접촉되고, 볼트(50) 체결시 경사부(63)가 벤딩되면서 벤딩단부(64)가 형성되며, 하이트링크(30)와 벤딩단부(64)의 사이에 간극(c)이 형성된다. 공차에 의한 조립산포에 의해 부품간 오버랩이나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Height link assembling structure of sea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이트링크를 차량 실내 바닥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레일과 연결해주는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 중 제1열 시트(운전석과 조수석)는 전후 위치 조절은 물론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탑승자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과 시트레일(2)의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하이트링크(3)가 설치되어 있다.
하이트링크(3)는 마운팅브라켓(4)을 매개로 시트레일(2)의 슬라이드레일(2b)에 연결된다.(도번 2a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2a)이다.)
하이트링크(3)는 마운팅브라켓(4)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5)에 의해 마운팅브라켓(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원활한 회동 작동을 위하여 하이트링크(3)의 체결공에는 부시(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시(6)는 도 2와 같이, 하이트링크(3) 체결공의 내주면과 그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조립될 때, 하이트링크 어셈블리(하이트링크(3)와 부시(6)의 조립체) 두께(T1)의 공차와 상기 볼트(5)의 단 높이(T2)의 공차에 따른 조립산포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두 공차의 크기 관계에 따라 오버랩(overlap) 또는 갭(gap)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오버랩은 마운팅브라켓(4)과 부시(6) 및 볼트(5)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작동성을 저하시키고, 갭은 부시(6) 유동에 따른 마운팅브라켓(4)과 볼트(5)와의 충돌을 유발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체결 강도 확보를 위해 볼트(5)를 완전히 조여야만 하므로(볼트(5)의 단이 마운팅브라켓(4)에 밀착되는 상태) 오버랩 발생의 경우에는 조립산포를 흡수할 수 없었고, 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부시(6)와 볼트(5) 플랜지 사이에 웨이브와셔(7)를 설치하여 조립산포를 흡수하였다. 이와 같이 웨이브와셔(7)를 추가로 설치하면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시 부품간 오버랩이나 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작동성이 향상되고 소음 발생이 방지되며, 제조 산포 흡수를 위한 추가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바닥면 측에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트링크와, 상기 하이트링크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마운팅브라켓의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하이트링크의 볼트공에 삽입 설치된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트링크 볼트공의 일측 테두리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부시는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하이트링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플랜지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시의 일측 플랜지가 마운팅브라켓에 접촉되고 볼트 헤드의 플랜지가 부시의 경사부에 닿았을 때, 하이트링크와 볼트 헤드의 플랜지 사이의 거리(L1)는 마운팅브라켓과 볼트 헤드의 링크 장착단부 사이의 거리(L2)와 부시의 경사부 두께(L3)의 합 보다 큰 치수관계를 만족한다.
상기 볼트의 하이트링크 장착단부가 마운팅브라켓에 접촉되고, 상기 부시의 경사부가 볼트 헤드의 플랜지에 의해 벤딩되어 볼트 헤드의 플랜지에 접촉된 벤딩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이트링크와 벤딩단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하이트링크의 볼트공 내주면과 부시의 바디 외주면이 상호 접촉된다.
상기 부시의 바디 내주면과 상기 볼트의 링크 장착단부는 상호 접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트링크 어셈블리의 두께 공차와 볼트의 하이트링크 장착단부의 두께 공차에 의해 조립시 발생하는 오버랩 또는 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오버랩에 의한 부품간 마찰 증가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이트링크의 작동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갭에 의한 부품 유동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부품간 충돌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갭에 의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부시와 볼트 헤드의 플랜지 사이에 웨이브와셔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이 보다 간편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이트링크 조립구조가 적용된 시트쿠션의 사시도 및 하이트링크 조립부의 확대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 하이트링크 조립부의 단면도로서, 도 2는 조립 전 상태도, 도 3은 조립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웨이브와셔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트링크 조립구조의 주요 구성인 하이트링크와 부시의 조립 전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이트링크와 부시의 조립 후 상태의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트링크 조립구조가 적용된 하이트링크 조립부의 단면도로서, 도 7은 볼트의 완전 체결전 상태도이고, 도 8은 볼트의 완전 체결후 상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는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 고정되는 시트레일(미도시)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40)과, 마운팅브라켓(4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하이트링크(30)와, 하이트링크(30)의 볼트공(31)을 통해 마운팅브라켓(40)의 체결공(41)에 나사 체결되어 하이트링크(30)를 마운팅브라켓(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볼트(50) 및 하이트링크(30)의 볼트공(31)에 설치되어 하이트링크(3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부시(60)를 포함한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트링크(30)는 볼트공(31)의 일측 테두리 부분이 경사면(3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이트링크(30)의 볼트공(31)에 결합되기 전 상태의 부시(60)는 원통형 바디(61)의 일측에 원판형 플랜지(62)가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그 상태에서 바디(61)가 볼트공(31)으로 삽입된다. 바디(61)는 경사면(32)이 형성된 측면의 반대쪽 측면으로 삽입된다.
바디(61)는 플랜지(62)가 하이트링크(3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상태까지 삽입되고, 이후 바디(61)의 단부가 볼트공(3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벤딩되어 경사부(63)가 형성된다.
상기 부시(60)의 경사부(63)는 하이트링크(30)의 경사면(32)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하이트링크 어셈블리(하이트링크(30)와 부시(60) 조립체)는 도 7과 도 8과 같이 마운팅브라켓(40)에 조립된다.
먼저 도 7과 같이 부시(60)의 내경으로 볼트(50)를 삽입 안착시킨다. 부시(60)의 내경에는 볼트(50) 헤드의 링크 장착단부(볼트의 바디와 헤드의 플랜지(51) 사이의 부분)가 삽입 안착되고, 볼트(50)의 바디는 마운팅브라켓(40)의 체결공(41)에 나사 체결된다.
볼트(50)를 조이는 과정에서 헤드의 플랜지(51)가 부시(60)의 경사부(63)에 먼저 닿고, 볼트(50) 헤드의 링크 장착단부는 마운팅브라켓(40)의 측면에 닿지 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부시(60)의 경사부(63)에 의해, 하이트링크(30)와 볼트(50) 헤드의 플랜지(51) 사이의 거리(L1)는 마운팅브라켓(40)과 볼트(50) 헤드의 링크 장착단부 사이의 거리(L2)와 부시(60)의 경사부(63) 두께(L3)의 합 보다 큰 관계가 성립한다.(L1 > L2 + L3)
즉, 이러한 관계가 만족되도록 하이트링크(30)의 경사면(32) 각도와 부시(60)의 경사부(63) 길이가 형성된다.
상기 상태에서 볼트(50)를 더욱 조여서 도 8과 같이, 볼트 헤드의 링크 장착단부를 마운팅브라켓(40)의 측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부시(60)의 경사부(63)는 볼트(50)의 플랜지(51)에 의해 가압, 벤딩되어 볼트(50)의 플랜지(51)에 밀착되는 벤딩단부(6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치수관계(L1 > L2 + L3)에 의해 도 9와 같이 하이트링크(30)와 벤딩단부(64)의 사이에 간극(c)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 완료 상태에서 부시(60)의 바디(61) 내주면은 볼트(50)의 링크 장착단부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고, 하이트링크(30)의 볼트공(31) 내주면은 부시(60)의 바디(61)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하이트링크(30)는 볼트(5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또한 부시(60)는 일측의 플랜지(62) 외측면이 마운팅브라켓(40)에 접촉되고, 타측의 벤딩단부(64)가 볼트(50) 헤드의 플랜지(51)에 접촉되므로 부시(60)의 축방향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위치 고정된 부시(60)의 일측 플랜지(62)에 하이트링크(30)의 일측면이 접촉되고, 부시(60)의 경사부(63)에 하이트링크(30)의 경사면(32)이 접촉되어 있으므로 하이트링크(30)는 볼트(50)의 축방향으로도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하이트링크(30)는 회전은 가능하나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모두 유동되지 않으므로 작동시 조립산포 중 갭에 의한 덜그럭거리는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조립 완료 상태에서 상기 치수관계(L1 > L2 + L3)와 같이, 하이트링크(30)와 볼트(50) 헤드의 플랜지(51) 사이의 거리(L1)가 마운팅브라켓(40)과 볼트(50) 헤드의 링크 장착단부 사이의 거리(L2)와 부시(60)의 경사부(63) 두께(L3)의 합 보다 크기 때문에 항상 하이트링크(30)의 일측면과 부시(60)의 벤딩단부(64) 사이에 간극(c)이 형성되는데, 이 간극(c)의 존재에 의해 조립산포 중 오버랩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트링크 어셈블리의 두께 공차와 볼트의 하이트링크 장착단부의 두께 공차에 의해 조립시 오버랩 또는 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갭에 의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부시와 볼트 헤드의 플랜지 사이에 웨이브와셔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이 보다 간편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0 : 하이트링크 31 : 볼트공
32 : 경사면 40 : 마운팅브라켓
41 : 체결공 50 : 볼트
51 : 플랜지 60 : 부시
61 : 플랜지 62 : 바디
63 : 경사부 64 : 벤딩단부

Claims (6)

  1. 차체 바닥면 측에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트링크와,
    상기 하이트링크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마운팅브라켓의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하이트링크의 볼트공에 삽입 설치된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트링크 볼트공의 일측 테두리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부시는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하이트링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플랜지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의 일측 플랜지가 마운팅브라켓에 접촉되고 볼트 헤드의 플랜지가 부시의 경사부에 닿았을 때, 하이트링크와 볼트 헤드의 플랜지 사이의 거리(L1)는 마운팅브라켓과 볼트 헤드의 링크 장착단부 사이의 거리(L2)와 부시의 경사부 두께(L3)의 합 보다 큰 치수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하이트링크 장착단부가 마운팅브라켓에 접촉되고, 상기 부시의 경사부가 볼트 헤드의 플랜지에 의해 벤딩되어 볼트 헤드의 플랜지에 접촉된 벤딩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링크와 벤딩단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링크의 볼트공 내주면과 부시의 바디 외주면이 상호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바디 내주면과 상기 볼트의 링크 장착단부는 상호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KR1020150136940A 2015-09-25 2015-09-25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KR10168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40A KR101683396B1 (ko) 2015-09-25 2015-09-25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40A KR101683396B1 (ko) 2015-09-25 2015-09-25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396B1 true KR101683396B1 (ko) 2016-12-06

Family

ID=5757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40A KR101683396B1 (ko) 2015-09-25 2015-09-25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766A (ja) * 2008-01-18 2009-07-3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リンク構造
JP2011163453A (ja) * 2010-02-10 2011-08-25 Delta Kogyo Co Ltd 回転ブラケットの異音防止構造
KR20120004536U (ko)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높이조절용 회전링크
JP2012202551A (ja) * 2011-03-28 2012-10-22 Nhk Spring Co Ltd 締結部材及び締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766A (ja) * 2008-01-18 2009-07-3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リンク構造
JP2011163453A (ja) * 2010-02-10 2011-08-25 Delta Kogyo Co Ltd 回転ブラケットの異音防止構造
KR20120004536U (ko) *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높이조절용 회전링크
JP2012202551A (ja) * 2011-03-28 2012-10-22 Nhk Spring Co Ltd 締結部材及び締結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491B2 (en) Bumper mounting structure
JP6037092B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EP3118084B1 (en) Steering device
JPWO2002030694A1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WO2015190301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023658B (zh) 具有轴承的一体式防尘罩
RU2767085C1 (ru) Колонка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 сборе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1600191B1 (ko) 차량용 시트 레일
KR101683396B1 (ko)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조립구조
JP2020062900A (ja) 車両の空力カバー
US20170362868A1 (en) Releasable Hinge
JP6063414B2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軸受部構造
CN113232622B (zh) 安全带扣安装结构、座椅及车辆
KR101575465B1 (ko) 마운팅 유닛
JP6939454B2 (ja) エンジン搭載構造
JP6791050B2 (ja) パワーユニットの支持構造
KR101662552B1 (ko) 시트백의 조립구조
JP3753065B2 (ja) 弾性シールリング
KR101905567B1 (ko) 차량의 언더 커버 장착유닛
KR102407683B1 (ko) 바디사이드범퍼의 구조
KR101966943B1 (ko) 엔진마운팅 인슐레이터와 차체멤버의 조립장치
KR101724916B1 (ko) 리어범퍼 봉인구조
KR102389459B1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100330875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센터힌지브라켓
JP6144485B2 (ja) 自動車用吸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