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171B1 - 전선 정리기 - Google Patents

전선 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171B1
KR101683171B1 KR1020140167164A KR20140167164A KR101683171B1 KR 101683171 B1 KR101683171 B1 KR 101683171B1 KR 1020140167164 A KR1020140167164 A KR 1020140167164A KR 20140167164 A KR20140167164 A KR 20140167164A KR 101683171 B1 KR101683171 B1 KR 10168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ratchet
coil spring
wall portion
ratch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654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비즈
Priority to KR102014016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3Carriage with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기는, 외면에 전선이 권취되는 권취 기둥과, 상기 권취 기둥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 기둥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와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홈은 상기 권취부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상기 덮개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권취 기둥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선이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정리기{Apparatus for arranging wire}
본 발명은 전선 정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은 전기의 이동통로인 전선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전선의 타단에는 전원코드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코드는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전자제품은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멀티탭에는 복수의 전원코드가 삽입되어, 동시에 다양한 전자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자제품에 연결된 전선은 전자제품이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콘센트와의 거리가 멀지 않은 경우, 또는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전선을 묶는 등에 의해 전선을 정리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전선에 꺾임 등이 발생되어 전선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콘센트에 다수의 전원코드가 삽입된 경우는 전선들이 서로 얽혀 전선 간의 단락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쉽게 전선을 정리할 수 있는 전선 정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기는, 외면에 전선이 권취되는 권취 기둥과, 상기 권취 기둥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 기둥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와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홈은 상기 권취부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상기 덮개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권취 기둥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선이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덮개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덮개부와 결합하는 제1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권취 기둥 사이에는 권취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은 상기 제1 벽부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은 상기 제1 벽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권취 기둥으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돌출된 원통형의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중심에는 상기 원통형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원형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에서 결합 핀과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1 벽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2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결합 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랫칫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랫칫기어는 상기 덮개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권취 기둥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랫칫기어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측에 위치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바닥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에는 상기 랫칫기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의 정리가 용이해져 안전사고 및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선 정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권취부의 바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선 정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권취부의 바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기(100)는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권취부(110)와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우징(120)은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부(110)만 회전할 수 있거나, 반대로 권취부(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120)만 회전할 수 있다.
권취부(110)는 외면에 전선이 권취되는 권취 기둥(114)과, 하우징(120)과 결합하고 하우징(120)과 함께 외형을 형성하는 덮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 기둥(114)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덮개부(112)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권취 기둥(114)과 덮개부(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권취부(110)에는 정리하고자 하는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G)은 권취부(110)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덮개부(112)의 외면으로부터 권취 기둥(114)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바닥부(121)와 바닥부(121)로부터 덮개부(112)를 향해 연장된 제1 벽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우징(120)은 상측이 오픈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여,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권취 기둥(114)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은 전선이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권취 기둥(114)은 덮개부(112)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므로, 권취 기둥(114)과 제1 벽부(122) 사이는 권취 기둥(114)의 외면에 감기는 전선이 위치할 수 있는 권취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벽부(122)는 바닥부(121)로부터 덮개부(112)를 향하여 형성되며, 덮개부(112)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벽부(122)와 덮개부(112)는 모두 원형으로 형성되어, 권취부(110)와 하우징(120)이 서로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벽부(122)와 맞닿는 덮개부(112)의 외면에는 레일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제1 벽부(122)의 내면에는 상기 레일 형상의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제1 벽부(122)의 내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은 권취 기둥(114)에 전선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전선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은 제1 벽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은 제1 벽부(122)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 벽부(122)의 상면으로부터 바닥부(12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권취부(110)는 권취 기둥(114)으로부터 바닥부(121)를 향해 돌출된 원통형의 체결돌기(118)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118)는 권취 기둥(114)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21)의 중심에는 원통형의 체결돌기(118)가 삽입되는 원형의 체결홀(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121)의 외측면에는 체결홀(124)을 관통하여 노출된 체결돌기(118)와 결합하는 결합 핀(15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권취부(110)는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권취부(110)는 체결돌기(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을 할 수 있다. 한편, 결합 핀(15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권취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핀(150)이 바닥부(121)의 외면에 위치함에 따라, 전선 정리기(100)가 바닥에 놓였을 때, 결합 핀(150)에 의해 전선 정리기(100)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핀(15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20)은 바닥부(121)로부터 제1 벽부(122)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2 벽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벽부(126)는 결합 핀(15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전선 정리기(100)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할 수 있다.
권취부(110)는 덮개부(112)와 반대측에서 권취 기둥(114)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랫칫기어(116)를 포함할 수 있다. 랫칫기어(116)는 권취 기둥(11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기둥(114)에 권취된 전선은 덮개부(112)와 랫칫기어(116)에 의해 권취 기둥(1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랫칫기어(116)와 바닥부(121)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30)이 위치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30)의 중심측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130)의 일단(132)은 체결돌기(118)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돌기(118)의 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절개부에 코일 스프링(130)의 일단(132)이 삽입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30)의 외측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의 타단(134)은 바닥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닥부(121)에는 코일 스프링(130)의 타단(134)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21)에는 코일 스프링(1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격벽(미도시)은 코일 스프링(130)이 최대로 이완되었을 때의 코일 스프링(130)의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코일 스프링(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30)은 압축되었을 경우, 복원력을 가지고, 코일 스프링(130)의 복원력은 체결돌기(118)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그 결과 권취부(110)는 회전을 할 수 있다.
한편, 벽부(122)에는 랫칫기어(116)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버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부(14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몸체(142), 몸체(142)로부터 연장되어 랫칫기어(116)와 체결된 래칫(144), 몸체(142)와 결합된 회전축(146) 및 래칫(144)이 랫칫기어(116)와의 체결을 유지시키는 탄성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48)는 일 예로 스프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선 정리기(140)의 동작에 대하여 간락하게 설명한다.
먼저, 코일 스프링(130)의 탄성력 보다 큰 힘에 의해 결합 핀(150)을 회전시켜 코일 스프링(130)을 압축시킨다. 결합 핀(150)은 체결돌기(118)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 핀(150)의 회전에 의해 체결 돌기(118)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체결 돌기(118)와 일단(132)이 결합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어, 코일 스프링(130)에는 복원력이 축적된다.
한편, 체결 돌기(118)와 래칫기어(116)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래칫기어(116)는 버튼부(140)의 래칫(144)과 체결된 상태이므로, 코일 스프링(130)의 압축과정 중에 코일 스프링(130)이 풀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래칫기어(116)와 권취 기둥(114) 및 덮개부(112)도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결합 핀(150)의 회전시 권취부(110)도 함께 회전하며, 코일 스프링(130)의 압축시 권취부(110)의 삽입홈(G)과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은 정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삽입홈(G)과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이 정렬된 상태에서, 정리하고자 하는 전선을 삽입홈(G)을 통해 전선 정리기(100) 내부로 삽입한다. 전선은 전자제품과 연결된 일단과 전원코드가 부착된 타단의 중간영역을 삽입홈(G)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홈(G)을 통해 삽입된 전선이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의 저면과 닿으면, 버튼부(140)를 가압한다. 버튼부(140)의 가압에 의해,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탄성부(138)가 압축되고, 회전축(136)을 중심으로 래칫(134)과 연결된 몸체(132) 부분이 탄성부(138)의 압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래칫(134)과 래칫기어(116)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코일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부(110)가 회전하게 된다. 권취부(110)의 회전에 의해, 전선은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로 유입되며, 권취 기둥(114)과 제1 벽부(122) 사이의 권취 공간에서, 권취 기둥(114)의 외면에 권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정리기(100)는 단순히 삽입홈(G)에 전선을 삽입 한 후 버튼부(140)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전선을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정리된 전선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한 쌍의 가이드 홈(123)들을 통해 양 방향으로 전선을 인출하면 되며, 전선의 인출과정 중에는 상술한 코일 스프링(130)에 복원력이 다시 축적된다. 따라서, 인출한 전선을 다시 정리 하거나, 다른 전선을 정리하는 경우는 버튼부(140)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전선을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선 정리기
110: 권취부
112: 덮개부
114: 권취 기둥
116: 래칫 기어
118: 체결 돌기
120: 하우징
121: 바닥부
122: 제1 벽부
123: 가이드 홈
124: 체결 홀
126: 제2 벽부
130: 코일 스프링
140: 버튼부
150: 결합 핀
G: 삽입 홈

Claims (10)

  1. 외면에 전선이 권취되는 권취 기둥과, 상기 권취 기둥과 연결되어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 홈과, 상기 권취 기둥의 일측에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경사진 톱날이 형성된 랫칫기어와, 상기 권취 기둥으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돌출된 원통형의 체결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권취 기둥, 덮개부, 삽입 홈, 랫칫기어 및 체결돌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권취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심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홀과,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덮개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덮개부와 결합하는 제1 벽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1 벽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 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제2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선이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 기둥이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에서 결합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파지부가 형성된 결합핀;
    상기 랫칫기어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 및
    제1 벽부에는 상기 랫칫기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홈은 상기 권취부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상기 덮개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권취 기둥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측에 위치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바닥부와 결합하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랫칫기어와 채결되되, 상기 랫칫기어의 두 톱니 사이에 막대형으로 형성된 래칫;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래칫이 상기 랫칫기어와의 체결을 유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이 정렬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결합핀을 회전시켜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된 전선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의 저면과 닿으면, 상기 전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며,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가 압축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래칫과 연결된 몸체가 상기 탄성부의 압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칫과 상기 래칫기어간의 결합을 해제시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체결돌기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전선이 상기 가이드 홈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권취 기둥과 상기 제1 벽부 사이의 권취 공간에 상기 권취 기둥의 외면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은 상기 제1 벽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 전선 정리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67164A 2014-11-27 2014-11-27 전선 정리기 KR10168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164A KR101683171B1 (ko) 2014-11-27 2014-11-27 전선 정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164A KR101683171B1 (ko) 2014-11-27 2014-11-27 전선 정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654A KR20160063654A (ko) 2016-06-07
KR101683171B1 true KR101683171B1 (ko) 2016-12-06

Family

ID=5619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164A KR101683171B1 (ko) 2014-11-27 2014-11-27 전선 정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27B1 (ko) 2019-07-05 2020-11-16 공상원 전선 정리용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5303U3 (de) * 2016-08-30 2017-09-15 May Stefan Vorrichtung zur einfachen Aufrollung eines Kabels
CN114180411A (zh) * 2021-10-28 2022-03-15 深圳市勘察研究院有限公司 一种传感器收线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486Y1 (ko) * 2004-10-29 2005-03-11 심형섭 전선 정리기
KR200379368Y1 (ko) * 2004-12-09 2005-03-18 오헌 코드선 정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486Y1 (ko) * 2004-10-29 2005-03-11 심형섭 전선 정리기
KR200379368Y1 (ko) * 2004-12-09 2005-03-18 오헌 코드선 정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27B1 (ko) 2019-07-05 2020-11-16 공상원 전선 정리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654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171B1 (ko) 전선 정리기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US2204939A (en) Combination electrical cord reel and outlet plug
EP2423119B1 (en) Improved cable tie structure
JP2013520954A (ja) 捨てられる部分のない長さ調節ケーブルタイ
JP5491837B2 (ja) 速結端子装置
US8544623B1 (en) Cord organizing system for hair shears
EP3072748A1 (en) Protector, assembly of wire with prot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CA2916270A1 (en) Cable spool
JP2019113134A (ja) 結束バンド
WO2011049242A1 (en) Attaching structure of electrical wire cover
KR101327494B1 (ko) 전선 권취장치 및 이를 적용한 멀티 탭
JP5634489B2 (ja) 携帯機
JP2011514951A (ja) ケーブル結束具
JP2015074553A (ja) テープ切断具
JP4703436B2 (ja) 光ケーブル機器筐体
JP6166993B2 (ja) 合成樹脂製結束バンド
JP6741990B2 (ja) 充電ケーブルホルダ
KR101292638B1 (ko) 결속용 금속 밴드
KR101477982B1 (ko) 전선의 정리가 가능한 전선 연장 장치
JP7367832B2 (ja) 電気接続箱
JP6924573B2 (ja) 巻付具
CN212356052U (zh) 一种线缆收纳装置
JP3174660U (ja) コード式ロータリーカッター
JP2005272104A (ja) コード巻取り装置をそなえた電気機器及び該電気機器のコードを巻き取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