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527B1 - 전선 정리용 박스 - Google Patents
전선 정리용 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9527B1 KR102179527B1 KR1020190081442A KR20190081442A KR102179527B1 KR 102179527 B1 KR102179527 B1 KR 102179527B1 KR 1020190081442 A KR1020190081442 A KR 1020190081442A KR 20190081442 A KR20190081442 A KR 20190081442A KR 102179527 B1 KR102179527 B1 KR 102179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fastening
- winding
- housing member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 B65H2402/5152—
-
- B65H2402/515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정리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하부 베이스판과,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모서리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어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출입구와,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홈과, 상기 하부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홀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부 베이스판과,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모서리면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의 저면에 하방 돌출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권취기둥과, 상기 권취기둥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선이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가이드와, 상기 권취가이드의 표면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돌기와, 상기 권취기둥의 하단부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권취플랜지를 포함하는 권취부재와,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저면에 상방 돌출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선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권취부재에 전선을 권취하여 하우징부재에 수납함으로써, 전선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는 전선 정리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이나 컴퓨터 등의 전기기기는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기기는 작동형태에 따라 전기기기마다 복수 개의 전선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기기가 복잡하게 배치되어 전원에 전선이 연결될 경우, 복수 개의 전선이 엉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개개 전자기기마다 각각의 전선을 찾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전선의 엉킴으로 인해 미관을 해칠 수 있으며, 더욱이 합선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이렇게 전기기기에 연결된 전선들은 사용용도 등이 유사한 전기기기의 전선들끼 케이블 타이나 고무줄 등으로 묶어서 정리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전선을 정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케이블 타이나 고무줄 등을 상시 따로 마련해야 하며, 묶여서 정리된 전선들도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이렇게 전선을 묶어서 정리할 경우, 전선을 다시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케이블 타이 등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묶어서 전선을 정리하는 방식은 일회성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멀티탭에 연결된 전선이나 충전 중인 휴대폰의 케이블 등은 케이블 타이 등으로 묶여서 정리할 경우, 전선이나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선에 연결된 멀티탭이나 휴대폰 등이 공중에 뜨게 될 수 있어, 멀티탭이나 휴대폰 등을 안착시킬 공간을 따로 마련해 하는 어려움도 있다.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부재에 결합된 권취부재에 전선을 권취시키고, 하부 하우징부재에 결합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부 하우징부재와 하부 하우징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전선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전선 정리용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부재와 하부 하우징부재가 공차 결합 방식, 푸쉬앤래치 방식, 푸쉬앤푸쉬 방식 등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어, 상부 하우징부재와 하부 하우징부재를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전선 정리용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가 절곡되어 거치대상물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재를 구비하여, 거치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전선 정리용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착몸체, 부착체 등이 형성된 부착부재를 하부 하우징부재에 결합시켜, 전선 정리용 박스를 피부착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전선 정리용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베이스판과,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모서리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어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출입구와,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홈과, 상기 하부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홀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부 베이스판과,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모서리면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의 저면에 하방 돌출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권취기둥과, 상기 권취기둥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선이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가이드와, 상기 권취가이드의 표면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돌기와, 상기 권취기둥의 하단부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권취플랜지를 포함하는 권취부재와,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저면에 상방 돌출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몸체와, 상기 제 1 결합홀에 인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에 결합되게 상기 부착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로드와, 상기 부착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몸체가 피부착체에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부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판에 하방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체결기둥 내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인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가 체결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저면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고 말단부에 걸림팁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고리와, 상기 슬라이드 고리가 관통되고 상기 체결기둥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출몰되게 구비되는 푸쉬체와, 상기 체결기둥 내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걸림요철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체결기둥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푸취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직용수철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단부의 측면이 천공된 상기 체결기둥과, 상기 권취기둥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과, 상기 체결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버튼과, 상기 체결기둥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에 결합되는 제 2 수직용수철과, 상기 체결기둥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쉬버튼이 하강할 경우 상기 체결기둥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푸쉬걸림체와, 상기 푸쉬걸림체에 결합되는 수평용수철과, 상기 체결기둥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안착 가능하게 상기 체결기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반발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베이스판은 중심부가 천공되어 상기 푸쉬버튼이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판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하부 베이스판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기둥 내측에 구비되는 래치용수철과, 상기 래치용수철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래치걸림턱을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권취기둥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와, 상기 이동가이드에 이격되어 상기 권취기둥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가이드와, 상기 권취기둥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3 수직용수철과,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저면에 상방으로 구비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의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가이드편과, 상기 고정로드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기둥의 상단에 구비되는 자성체와, 상기 권취기둥의 내측으로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하면에 구비되는 금속체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를 체결시키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거치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몸체와,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거치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돌기와, 상기 제 1 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상기 거치몸체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홀을 포함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3 결합돌기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결합홈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전선 정리용 박스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베이스판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기둥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돌기와, 상기 권취기둥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홈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홈에서 상기 회전돌기가 이탈되어 상기 권취부재가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홈에 상기 회전돌기가 인입되어 상기 권취부재가 정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부 하우징부재와 전선이 권취되는 권취부재가 결합된 상부 하우징부재가 공차결합, 푸쉬앤래치결합, 푸쉬앤푸쉬결합 등으로 체결되도록 체결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부 하우징부재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전선 정리용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재의 하단부를 멀티탭, 휴대폰 등의 거치대상물이 거치될 수 있도록 절곡됨으로써, 거치대상물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전선 정리용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 클램프, 흡착판 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 부착체가 형성된 부착부재를 하부 하우징부재에 결함됨으로써, 전선 정리용 박스를 벽, 책상 등의 피부착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전선 정리용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용 박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용 박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용 박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용 박스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a 내지 도 7c, 도 8, 도 9a 내지 도 9c, 도 10a 내지 도 10c,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정리용 박스는 하부 하우징부재(100), 상부 하우징부재(200), 권취부재(300), 체결부재(400), 부착부재(500), 거치부재(600), 연결부재(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부재(100)는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결합하여 상부 하우징부재(200), 권취부재(300), 체결부재(400)를 지지하는 부재로, 하부 베이스판(110), 지지대(120), 전선출입구(130), 제 1 결합홈(140), 제 1 결합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판(110)은 하부 하우징부재(100)의 본체로, 측면에 지지대(120), 전선출입구(130)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베이스판(110)은 전선의 입출이 용이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하부 베이스판(110)의 모서리는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하부 베이스판(110)의 모서리면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일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대(120)의 상단부에 지지돌기(121)가 형성되어 상부 베이스판(210)의 지지홈(211)에 인입됨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20)는 하부 베이스판(110)에서 상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됨으로써,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120) 사이로 전선출입구(130)이 형성되어 전선이 전선출입구(130)으로 진입하여 권취되고 전선출입구(130)를 통해 진출될 수 있다.
전선출입구(130)는 지지대(120) 사이에 형성되어 전선이 출입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전선이 출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선출입구(130)의 하부는 하부 베이스판(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권취부재(300)의 권취플랜지(340)이 지지될 수 있고(본 내용은 후술할 권취플랜지(340)에 상술한다), 전선출입구(130)의 모서리면은 만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전선의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동안, 전선출입구(130)의 모서리에 의해 걸려 전선의 진입 또는 진출이 방해되거나, 전선이 전선출입구(130)의 모서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결합홈(140)은 하부 베이스판(1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제 1 결합돌기(230), 제 2 결합돌기(620), 제 3 결합돌기(720)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홈(140)은 제 1 결합돌기(230), 제 2 결합돌기(620), 제 3 결합돌기(720) 등이 삽입되어 전선 정리용 박스를 다른 부재 등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제 1 결합돌기(230)가 삽입됨으로써, 다른 전선 정리용 박스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 2 결합돌기(620)가 삽입됨으로써, 거치부재(600)가 전선 정리용 박스에 거치될 수 있고, 제 3 결합돌기(720)가 삽입됨으로써, 다른 전선 정리용 박스와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홈(140)은 단수개로 구비되어 다른 돌기들에 결합될 수 있지만, 다른 돌기들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복수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다른 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다.
제 1 결합홀(150)은 하부 베이스판(110)에 형성되어 부착로드(520)가 삽입되는 것으로, 부착로드(520)이 삽입됨으로써 하부 하우징부재(100)과 부착부재(5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홀(150)의 형상과 개수는 부착로드(520)와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결합홀(150)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부착로드(520)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경우, 단수개로 구비되어 부착로드(520)가 제 1 결합홀(150)의 나사산을 따라 인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착로드(520)가 제 1 결합홀(150)과 끼움방식으로 결합될 경우, 제 1결합홀(150)의 내부는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부착로드(520)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부착로드(52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부재(200)는 하부 하우징부재(100)와 결합되고 권취부재(300)을 지지하는 부재로, 상부 베이스판(210), 상부 플랜지(220), 제 1 결합돌기(230) 등을 포함할 수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베이스판(210)은 상부 하우징부재(200)의 본체로, 상면에 제 1 결합돌기(230)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부 플랜지(220)가 구비된다. 또한, 상부 베이스판(210)의 저면에 지지홈(211)이 형성되어, 지지돌기(121)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부 플랜지(220)는 상부 베이스판(210)의 모서리면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대(120)에 의한 상부 베이스판(210)의 지지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즉, 지지돌기(121)가 지지홈(211)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베이스판(210)이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지만, 상부 베이스판(210)의 무게 등으로 인해 지지돌기(121)가 지지홈(211)에서 측면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상부 플랜지(220)가 지지대(120)를 감싸도록 하방으로 구비됨으로써 지지돌기(1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결합돌기(230)는 상부 베이스판(2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결합홈(140), 제 2 결합홈(730) 등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결합돌기(230)는 제 1 결합홈(140), 제 2 결합홈(730) 등에 삽입되어 전선 정리용 박스를 다른 부재 등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제 1 결합홈(140)에 삽입됨으로써, 다른 전선 정리용 박스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 2 결합홈(730)에 삽입됨으로써, 다른 전선 정리용 박스와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 결합돌기(230)는 단수개로 구비되어 다른 홈들에 삽입될 수 있지만, 다른 홈들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복수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권취부재(300)는 전선출입구(130)을 통해 진입된 전선이 권취되는 부재로, 권취기둥(310), 권취가이드(320), 슬립방지돌기(330), 권취플랜지(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기둥(310)은 권취부재(300)의 본체로, 상부 하우징부재(200)의 저면에 하방 돌출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권취가이드(320)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하단부에 권취플랜지(34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권취가이드(320)는 권취기둥(31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전선이 권취되는 것으로, 표면에 슬립방지돌기(330)가 결합될 수 있다.
전선 정리용 박스에 저장되는 전선의 종류는 전선이 사용되는 제품의 전압 등에 따라 다양하고, 그에 따라 전선의 굵기 또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굵기의 전선이 권취되기 위해, 권취기둥(310)의 외주면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권취가이드(320)의 간격은 전선의 굵기에 따라 각자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굵기에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권취가이드(320)의 간격이 결정되어 권취가이드(320)가 구비될 수 있다.
슬립방지돌기(330)는 권취가이드(320)의 표면에 형성되어 권취되는 전선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권취가이드(320)의 상면, 하면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전선의 표면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절연성 소재로 피복되어 있는데, 전선이 권취가이드(320)에 권취될 경우, 권취가이드(320)의 표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권취된 전선이 풀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선 정리용 박스 내에서 전선이 엉키는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권취가이드(320)의 상면, 하면 등에 돌기 형태의 슬립방지돌기(330)이 구비될 수 있고, 상부 베이스판(210)의 저면, 권취플랜지(340)의 상면 등에도 슬립방지돌기(330)이 구비될 수 있다.
권취플랜지(340)는 권취가이드(320)의 하단부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에 슬립방지돌기(33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정리용 박스에 권취된 전선의 양측에 장력이 발생할 경우,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이 권취기둥(310) 등에 작용하여, 권취부재(200), 상부 하우징부재(200) 등에도 뒤틀림의 힘이 작용되어 각 구성부재 간의 결합이 약화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권취가이드(320)의 하단부에 하부 하우징부재(100)의 지지대(120) 또는 전선출입구(130)의 내측면까지 폭이 확장된 권취플랜지(340)가 구비될 수 있다. 권취플랜지(340)의 모서리면이 지지대(120) 또는 전선출입구(130)의 내측면까지 확장되어 구비될 경우, 권취된 전선에 장력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회전력이 권취기둥(310) 등에 작용하더라도, 권취기둥(310)에 결합된 권취플랜지(340)가 지지대(120) 등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력에 반작용하는 힘이 발생되므로, 권취기둥(310) 등이 뒤틀릴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하부 하우징부재(100)와 상부 하우징부재(200)를 체결시키는 부재로, 체결기둥(4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기둥(410)은 체결부재(400)의 본체로, 하부 베이스판(110)의 저면에 상방 돌출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기둥(410)이 권취기둥(310)의 중공된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하부 하우징부재(100)와 상부 하우징부재(200)가 결합된다. 또한, 체결기둥(410)이 권취기둥(3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인입되기 위해, 체결기둥(410)의 상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체결부재(400)에 의해 하부 하우징부재(100)와 상부 하우징부재(200)가 체결되는 구성들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체결부재(400)는 체결기둥(410), 끼움편(411), 끼움돌기(412), 끼움홈(4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편(411)은 상부 베이스판(210)에 하방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기둥(4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편(411)의 거리가 체결기둥(4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412)는 끼움편(4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끼움편(411)이 체결기둥(41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끼움돌기(412)가 끼움홈(413)에 인입됨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체결될 수 있다.
끼움홈(412)은 체결기둥(4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끼움편(411)이 체결기둥(4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끼움홈(413)에 끼움돌기(412)가 인입됨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체결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체결부재(400)는 체결기둥(410), 슬라이드 고리(421), 푸쉬체(422), 슬라이드 가이드(423), 제 1 수직용수철(4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고리(421)는 상부 베이스판(210)의 저면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고 말단부에 걸림팁(421a)을 구비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가이드(423)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 하우징부재(100)와 상부 하우징부재(200)를 결합시킨다.
슬라이드 고리(421)는 수직으로 하강하여 푸쉬체(422)의 천공된 부분을 관통한 후, 슬라이드 가이드(423)의 빗면 부분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어야 하므로, 탄성있는 금속 소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고리(421)의 말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팁(421a)이 구비되어, 슬라이드 고리(421)가 슬라이드 가이드(423)를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푸쉬체(422)는 슬라이드 고리(421)가 관통되고 체결기둥(410)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출몰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제 1 수직용수철(42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 고리(421)의 하강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푸쉬체(422)는 슬라이드 고리(421)가 하강하는 궤적에 대응되는 위치가 천공되어 있어, 천공된 부분을 통해 슬라이드 고리(421)가 푸쉬체(422)를 관통하여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423)는 체결기둥(410)의 내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 걸림요철(423a)이 형성된 것으로, 슬라이드 가이드(423)을 따라 슬라이드 고리(421)가 이동하면서 하부 하우징부재(100)와 상부 하우징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423)는 슬라이드 고리(421)가 하강하고 정지하며 상승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가이드(423)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슬라이드 고리(421)는 삼각형 형상의 빗면 부분에서 하강할 수 있고, 밑면 부분에서 정지할 수 있으며, 옆면 부분에서 상승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고리(421)가 슬라이드 가이드(423)의 빗면을 따라 하강하다가 제 1 수직용수철(424)에 결합된 푸쉬체(422)의 제한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슬라이드 가이드(423)의 밑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요철(423a)에 도달될 경우, 제 1 수직용수철(424)의 반발력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받지만 걸림요철(423a)에 걸림으로 인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되면서, 하부 하우징부재(100)와 상부 하우징부재(200)는 체결될 수 있다.
반면에,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가압되어 하방으로 재차 힘이 가해질 경우, 슬라이드 고리(421)는 걸림요철(423a)에서 이탈하여 슬라이드 가이드(423)의 옆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 수직용수철(424)의 반발력에 의해 상승하는 푸쉬체(422)에 의해 상부 베이스판(210)이 밀려 상승하게 됨에 따라, 슬라이드 고리(421)도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 하우징부재(100)와 상부 하우징부재(200)가 분리될 수 있다.
제 1 수직용수철(424)은 체결기둥(410)의 내부에 형성되고 푸쉬체(422)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베이스판(210)이 하강함에 따라, 상부 베이스판(210)에 접하는 푸쉬체(422)가 제 1 수직용수철(424)를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용수철 탄성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되어, 이러한 반발력을 푸쉬체(422)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1 수직용수철(424)은 푸쉬체(422)의 안정적인 출몰을 위해 푸쉬체(422)의 하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체결부재(400)는 체결기둥(410), 걸림턱(431), 푸쉬버튼(432), 제 2 수직용수철(433), 푸쉬걸림체(434), 수평용수철(435), 반발체(4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기둥(410)은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단부의 측면이 천공되도록 형성되어, 체결기둥(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푸쉬걸림체(434)가 체결기둥(410)의 천공된 부분에서 출몰될 수 있다.
상부 베이스판(210)는 푸쉬버튼(432)이 출몰되도록 중심부가 천공되어 형성된다.
걸림턱(431)은 권취기둥(310)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푸쉬걸림체(434)가 인입될 수 있도록 푸쉬걸림체(434)의 형상, 크기, 개수 등에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푸쉬버튼(432)은 체결기둥(4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 하우징부(100)와 상부 하우징부(20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푸쉬버튼(432)의 하단부는 푸쉬버튼(432)이 가압되어 하강할 경우, 푸쉬걸림체(434)에 접하면서 푸쉬걸림체(434)가 체결기둥(4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푸쉬버튼(432)의 저면은 제 2 수직용수철(433)에 결합됨으로써, 푸쉬버튼(432)은 제 2 수직용수철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이 해제될 경우,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제 2 수직용수철(433)은 체결기둥(410)의 내측에 형성되어 푸쉬버튼(432)에 결합되는 것으로, 용수철의 탄성에 의해 푸쉬버튼(432)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푸쉬버튼(432)에 반발력을 제공한다.
푸쉬걸림체(434)는 체결기둥(4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푸쉬버튼(432)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푸쉬버튼(432)이 하강할 경우, 체결기둥(410)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푸쉬걸림체(434)가 걸림턱(431)에 걸림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를 하부 하우징부재(100)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푸쉬걸림체(434)가 푸쉬버튼(432)에 접촉되는 부분은 푸쉬버튼(432)의 하단부가 푸쉬걸림체(434)를 가압하면서 하강할 경우, 푸쉬걸림체(434)가 체결기둥(4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푸쉬버튼(432)의 하단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푸쉬걸림체(434)가 푸쉬버튼(432)에 접촉되는 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푸쉬버튼(432)의 하단부가 푸쉬걸림체(434)를 가압하면서 하강할 경우, 푸쉬걸림체(434)는 체결기둥(4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되는 푸쉬버튼(432)에 의해 푸쉬걸림체(434)가 인입될 경우, 상부 베이스판(210)의 걸림턱(431)은 푸쉬걸림체(434)의 저항을 받지 않고 하강할 수 있다. 또한, 푸쉬버튼(432)의 가압이 해제될 경우, 수평용수철(435)의 반발력에 의해 푸쉬걸림체(434)는 인출되어 걸림턱(431)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쉬버튼(432)을 가압하여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을 체결시킬 수 있고, 상부 베이스판(210)을 가압함으로써, 걸림턱(431)이 푸쉬걸림체(434)를 체결기둥(410)의 내측으로 밀면서 하강하게 되고, 수평용수철(435)의 반발에 의해 푸쉬걸림체(434)가 다시 인출되어 푸쉬걸림체(434)가 걸림턱(431)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체결될 수 있다.
수평용수철(435)는 푸쉬걸림체(434)에 결합되는 것으로, 체결기둥(410)의 내측으로 인입된 푸쉬걸림체(434)에 반발력을 제공함으로써, 푸쉬걸림체(434)를 체결기둥(4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푸쉬걸림체(434)가 단수 개로 구비될 경우, 수평용수철(435)의 일측은 푸쉬걸림체(434)에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은 체결기둥(41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푸시걸림체(434)가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경우, 수평용수철의 일측과 타측은 푸쉬걸림체(43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반발체(436)는 체결기둥(4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걸림턱(431)이 안착 가능하게 체결기둥(4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베이스판(210)이 반발체(436)에 의해 상승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걸림턱(431)에 삽입된 푸쉬걸림체(434)가 체결기둥(410)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푸쉬걸림체(434)가 이탈되는 경우, 반발체(436)가 걸림턱(431)에 반발력을 제공하여 상부 베이스판(210)이 반발에 의해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반발체(436)는 고무, 용수철 등과 같이 탄성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체결기둥(4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체결부재(400)는 체결기둥(410), 래치헤드(441), 래치걸림턱(442), 래치용수철(4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헤드(441)는 상부 베이스판(210)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베이스판(210)의 하강에 의해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래치헤드(441)의 말단부의 측면은 외측을 향해 갈고리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래치걸림턱(44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래치헤드(441)는 래치걸림턱(442)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해야 하므로, 래치헤드(441) 말단부의 중심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걸림턱(442)는 래치용수철(44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인입된 래치헤드(441)를 고정시킴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래치걸림턱(442)은 내측을 향해 갈고리 등과 같은 형상으로 걸림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인입되는 래치헤드(441)의 걸림부분이 래치걸림턱(442)에 걸려 래치헤드(441)가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베이스판(210)을 가압하여 래치헤드(441)를 인출시킬 경우, 래치헤드(441)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래치걸림턱(442)에 형성된 걸림부분은 완만하게 절곡된 갈고리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래치용수철(443)은 하부 베이스판(110)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체결기둥(4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래치걸림턱(442)에 반발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베이스판(210)을 가압하여 래치헤드(441)를 인출시킬 경우, 래치헤드(441)가 래치걸림턱(442)에 걸려 있지만, 래치용수철(443)의 반발력에 의해 래치걸림턱(442)이 래치헤드(441)를 밀어 낼 수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부재(200)과 하부 하우징부재(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체결부재(400)는 이동가이드(451), 수직가이드(452), 제 3 수직용수철(453), 고정로드(454), 수직가이드편(455), 회전로드(456), 걸림돌기(4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451)는 권취기둥(310)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돌기(457)가 이동가이드(451)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451)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되, 걸림돌기(457)가 상승하는 이동가이드(451) 부분의 길이를 하강하는 이동가이드(451)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고, 상승하는 이동가이드(451) 부분의 각도를 하강하는 이동가이드(451) 부분의 각도보다 완만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를 체결시킬 경우, 걸림돌기(457)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고, 체결된 후 걸림돌기(457)의 이동을 곤란하게 하여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의 체결이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수직가이드(452)는 이동가이드(451)에 이격되어 권취기둥(310)의 내측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돌기(457)가 수직가이드(452)의 상단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수직가이드(452)의 상단면은 이동가이드(451)의 형태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되, 이동가이드(451)의 지그재그면의 배치와 일치되지 않게 배치됨으로써, 걸림돌기(457)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왜냐 하면, 수직가이드(452)의 상단면의 배치가 이동가이드(451)의 지그재그면의 배치와 일치될 경우, 걸림돌기(457)가 상승한 후 하강하더라도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이 체결되는 위치C로 하강하지 않고, 원위치(위치A)로 회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직가이드(452)의 하단면은 중심부가 볼록하거나 돌출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걸림돌기(457)가 수직가이드(452)의 하부에 위치하더라도 수직가이드(452)의 하단면과 측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수직용수철(453)은 권취기둥(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로드(456)에 반발력을 전달하여 걸림돌기(457)이 체결위치(위치C)에 정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부 베이스판(210)이 가압될 경우, 제 3 수직용수철(453)이 압축되면서 위치A에 위치한 압축돌기(457)는 이동가이드(451)를 따라 상승할 수 있고, 상부 베이스판(210)의 가압이 해제될 경우, 제 3 수직용수철(453)은 반발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압축돌기(457)는 체결위치(위치C)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로드(454)는 하부 베이스판(110)의 저면에 상방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측면에 수직가이드편(455)이 형성되고, 회전로드(456)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직가이드편(455)은 고정로드(454)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으로, 걸림돌기(457)이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안 회전로드(456)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회전로드(456)에 결합된 걸림돌기(457)가 수직가이드(452)의 사이를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안, 고정로드(4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로드(456)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걸림돌기(457)를 따라 수직가이드편(455)도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회전로드(456)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돌기(457)는 회전로드(456)의 측면에 복수 개로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돌기(457)가 이동함에 따라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체결되기 위해, 상부 베이스판(210)이 가압될 경우, 걸림돌기(457)는 수직가이드(452)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여 위치A에 도달할 수 있고, 이 후, 걸림돌기(457)가 이동가이드(451)를 따라 상승하며 위치B에 도달할 경우, 걸림돌기(457)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부 베이스판(210)의 가압을 해제할 경우, 제 3 수직용수철(453)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 베이스판(210)이 반발하여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돌기(457)는 이동가이드(451)를 따라 위치C로 이동될 수 있다. 위치C에 걸림돌기(457)가 도달할 경우, 걸림돌기(457)는 제 3 수직용수철(453)의 반발력에 의해 더 이상 이동될 수 없으므로 위치C에 정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베이스부재(200)와 하부 베이스부재(100)은 체결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가 분리되기 위해, 상부 베이스판(210)이 가압될 경우, 걸림돌기(457)는 이동가이드(451)를 따라 상승하며 위치D에 도달할 수 있다, 위치D에서 걸림돌기(457)는 더 이상 상승되지 않으므로, 이 때, 상부 베이스판(21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 3 수직용수철(453)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 베이스판(210)이 반발하여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돌기(457)는 이동가이드(451)를 따라 위치E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는 분리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체결부재(400)는 자성체(461), 금속체(46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461)는 체결기둥(41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금속체(462)에 결합함으로써, 상부 하우징부재(200)와 하부 하우징부재(1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린더 형상의 체결기둥(410) 상단면은 원 형태로 형성되는바, 체결기둥(410)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자성체(461)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금속체(462)는 권취기둥(310) 내측으로 상기 상부 베이스판(210)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자성체(461)에 결합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재(500), 거치부재(600), 연결부재(7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부착부재(500)는 하부 베이스판(110)에 결합되어 전선 정리용 박스를 피부착체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로, 부착몸체(510), 부착로드(520), 부착체(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몸체(510)는 부착부재의 본체로, 부착체(5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부착로드(520), 부착체(53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부착로드(520)는 제 1 결합홀(150)에 인입되어 하부 하우징부재(100)에 결합되도록 부착몸체(51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다.
부착로드(520)의 형상과 개수는 제 1 결합홀(150)과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로드(520)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결합홀(150)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경우, 부착로드(520)는 단수 개로 구비됨으로써 부착로드(520)가 제 1 결합홀(150)의 나사산을 따라 인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착로드(520)가 제 1 결합홀(150)과 끼움방식으로 결합될 경우, 부착로드(52)의 외부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제 1 결합홀(150)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 1 결합홀(15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부착체(530)는 부착몸체(510)의 배면에 형성되어 부착몸체(510)가 피부착체에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전선 정리용 박스를 피부착체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착체(530)는 피부착체(예를 들면, 책상, 벽 등)의 종류 또는 피부착체에 부착되는 방식 등에 따라 자석(531), 클램프(532), 흡착판(533), 양면 테이프(도시 생략)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착체가 금속재로 이루어진 책상일 경우, 부착체(530)을 자석(531)로 구비시킴으로써 전선 정리용 박스를 금속재의 피부착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착체가 책상다리 등과 같이 일정폭을 구비할 경우, 클램프(532)를 부착체로 구비하여 피부착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특히, 클램프(532)의 경우, 부착로드(520)가 클램프(532)의 면을 따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어, 부착로드(520)가 형성된 위치에 따라 전선 정리용 박스를 피부착체에 다양한 위치로 결합시킬 수 있다.
피부착체가 비금속성재로 형성될 경우, 부착체(530)는 흡착판 등으로 구비시킴으로써, 전선 정리용 박스를 비금속성재의 피부착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체를 양면 테이프로 구비함으로써, 전선 정리용 박스를 피부착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거치부재(600)는 전선 정리용 박스에 거치대상물이 거치되도록 하부 하우징부재(100)에 결합되는 부재로, 거치몸체(610), 제 2 결합돌기(620), 제 2 결합홀(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몸체(610)는 거치부재의 본체로, 거치대상물이 거치 가능하게 하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결합돌기(620), 제 2 결합홀(63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멀티탭이 결합된 전선, 휴대폰에 결합된 충전용 케이블 등을 책상의 측면 등에 부착된 전선 정리용 박스에 권취시킬 경우, 전선 등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멀티탭, 휴대폰 등이 공중에 뜨게 될 수 있어 멀티탭, 휴대폰 등의 무게로 인해 전선 정리용 박스에 하중이 부가되어 부담이 증가될 수 있다.
하지만, 거치부재(600)가 전선 정리용 박스에 결합되어 구비될 경우, 거치몸체(610)의 하단부의 절곡된 부분에 멀티탭, 휴대폰 등을 거치시킴으로써, 전선 정리용 박스에 가중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결합돌기(620)는 제 1 결합홈(140)에 결합되도록 거치몸체(6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거치부재(600)를 전선 정리용 박스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결합돌기(620)는 단수 개로 구비되어 제 1 결합홈(140)에 삽입될 수 있지만, 제 1 결합홈(140)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복수 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홀(630)은 제 1 결합홀(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거치몸체(610)에 형성되는 것으로, 거치부재(600)가 결합된 전선 정리용 박스에 부착부재(500)가 부가되어 결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착부재(500)의 부착로드(520)가 제 2 결합홀(630)을 관통하여 제 1 결합홀(150)에 결합됨으로써, 거치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부재(600)가 결합된 전선 정리용 박스에 부착부재(500)가 부가된 형태로 전선 정리용 박스를 피부착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700)는 복수개의 전선 정리용 박스를 수평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부재로, 연결플레이트(710), 제 3 결합돌기(720), 제 2 결합홈(730), 연결홈(7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710)는 연결부재(700)의 본체로, 상면에 제 3 결합돌기(720), 하면에 제 2 결합홈(730), 측면에 연결홈(74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710)는 복수 개의 전선 정리용 박스를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하부 베이스판(110), 상부 베이스판(210) 등의 형상하게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3 결합돌기(720)는 연결플레이트(710)의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전선 정리용 박스를 하측에서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3 결합돌기(720)는 제 1 결합홈(140)에 인입될 수 있고, 제 1 결합홈(140)의 개수에 따라 제 3 결합돌기(720)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하부 베이스판(110)의 모서리에 제 1 결합홈(140)이 각각 구비되고 이와 같은 전선 정리용 박스 두 개를 연결시킬 경우, 네 개의 제 3 합돌기(720)가 형성된 연결부재(700)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선 정리용 박스가 접하는 부분의 제 1 결합홈(140)에 제 3 결합돌기(720)를 삽입시킴으로써, 전선 정리용 박스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여덟 개의 제 3 결합돌기(720)를 형성하여 두 개의 전선 정리용 박스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 2 결합홈(730)은 연결플레이트(710)의 저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전선 정리용 박스를 상측에서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결합홈(730)은 제 1 결합돌기(230)가 인입될 수 있고, 제 2 결합홈(730)의 개수는 제 1 결합돌기(230)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3 결합돌기(720)의 개수가 결정되는 예로 대체한다.
연결홈(740)은 연결플레이트(7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으로, 부착로드(520)가 하부 베이스판(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 정리용 박스끼리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부착로드(520)가 결합될 경우 연결플레이트(710)의 측면 모서리에 의해, 부착로드(520)와 연결플레이트(710) 상호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연결홈(740)이 형성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회전부재(800)는 전선이 권취된 권취부재(300)가 회전 가능도록 구비되는 부재로서, 회전실린더(810), 탄성편(820), 회전돌기(830), 회전홈(8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출입구(130)의 외부로 돌출된 전선의 일측과 타측의 길이가 짧아서 사용자가 사용하기 어려울 경우, 권취된 전선을 풀고 전선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전선을 권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권취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전선이 권취된 권취부재(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회전실린더(810)는 회전부재의 본체로, 상부 베이스판(210)에 결합되어 권취기둥(310) 내측으로 삽입되며, 측면의 일부가 천공되어 있어, 천공된 측면에 탄성편(820)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편(820)은 회전실린더(8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권취기둥(310)이 회전할 경우, 탄성편(820)이 회전실린더(810)의 내측으로 밀릴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돌기(830)가 회전홈(840)에 인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홈(840)이 회전돌기(830)에서 이탈되고, 탄성편(820)의 타측에 결합된 회전돌기(830)가 권취기둥(310)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이로 인해, 탄성편(820)의 타측이 회전실린더(810)의 내부로 밀리게 됨으로써, 권취부재(30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실린더(810)의 내부로 밀렸던 탄성편(820)의 타측이 원위치로 복원될 경우, 권취기둥(310)의 내측면에 접촉된 회전돌기(830)가 회전홈(840)에 삽입됨으로써, 권취부재(300)가 정지할 수 있다.
회전돌기(830)는 탄성편(82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돌기(830)가 회전홈(840)에 인입됨으로써, 권취부재(300)가 정지될 수 있고, 이탈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돌기(830)를 수직상으로 구비함으로써, 권취부재(300)를 정지하여 지지하는 힘을 부가할 수 있다.
회전홈(840)은 권취기둥(310)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홈(840)에 회전돌기(830)가 인입됨으로써, 권취부재가(300)가 정지될 수 있고, 이탈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권취기둥(310)의 내측면에 수직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수직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회전돌기(8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부 하우징부재 110 : 하부 베이스판 120 : 지지대
121 : 지지돌기 130 : 전선출입구 140 : 제 1 결합홈
150 : 제 1 결합홀 200 : 상부 하우징부재 210 : 상부 베이스판
211 : 지지홈 220 : 상부 플랜지 230 : 제 1 결합돌기
300 : 권취부재 310 : 권취기둥 320 : 권취가이드
330 : 슬립방지돌기 340 : 권취플랜지 400 : 체결부재
410 : 체결기둥 411 : 끼움편 412 : 끼움돌기
413 : 끼움홈 421 : 슬라이드 고리 422 : 푸쉬체
423 : 슬라이드 가이드 424 : 제 1 수직용수철 410 : 체결기둥
431 : 걸림턱 432 : 푸쉬버튼 433 : 제 2 수직용수철
434 : 푸쉬걸림체 435 : 수평용수철 436 : 반발체
441 : 래치헤드 442 : 래치걸림턱 443 : 래치용수철
451 : 이동가이드 452 : 수직가이드 453 : 제 3 수직용수철
454 : 고정로드 455 : 수직가이드편 456 : 회전로드
457 : 걸림돌기 461 : 자성체 462 : 금속체
500 : 부착부재 510 : 부착몸체 520 : 부착로드
530 : 부착체 531 : 자석 532 : 클램프
533 : 흡착판
600 : 거치부재 610 : 거치몸체 620 : 제 2 결합돌기
630 : 제 2 결합홀 700 : 연결부재 710 : 연결플레이트
720 : 제 3 결합돌기 730 : 제 2 결합홈 740 : 연결홈
800 : 회전부재 810 : 회전실린더 820 : 탄성편
830 : 회전돌기 840 : 회전홈
121 : 지지돌기 130 : 전선출입구 140 : 제 1 결합홈
150 : 제 1 결합홀 200 : 상부 하우징부재 210 : 상부 베이스판
211 : 지지홈 220 : 상부 플랜지 230 : 제 1 결합돌기
300 : 권취부재 310 : 권취기둥 320 : 권취가이드
330 : 슬립방지돌기 340 : 권취플랜지 400 : 체결부재
410 : 체결기둥 411 : 끼움편 412 : 끼움돌기
413 : 끼움홈 421 : 슬라이드 고리 422 : 푸쉬체
423 : 슬라이드 가이드 424 : 제 1 수직용수철 410 : 체결기둥
431 : 걸림턱 432 : 푸쉬버튼 433 : 제 2 수직용수철
434 : 푸쉬걸림체 435 : 수평용수철 436 : 반발체
441 : 래치헤드 442 : 래치걸림턱 443 : 래치용수철
451 : 이동가이드 452 : 수직가이드 453 : 제 3 수직용수철
454 : 고정로드 455 : 수직가이드편 456 : 회전로드
457 : 걸림돌기 461 : 자성체 462 : 금속체
500 : 부착부재 510 : 부착몸체 520 : 부착로드
530 : 부착체 531 : 자석 532 : 클램프
533 : 흡착판
600 : 거치부재 610 : 거치몸체 620 : 제 2 결합돌기
630 : 제 2 결합홀 700 : 연결부재 710 : 연결플레이트
720 : 제 3 결합돌기 730 : 제 2 결합홈 740 : 연결홈
800 : 회전부재 810 : 회전실린더 820 : 탄성편
830 : 회전돌기 840 : 회전홈
Claims (11)
- 하부 베이스판과,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모서리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어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출입구와,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홈과, 상기 하부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홀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부 베이스판과,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모서리면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의 저면에 하방 돌출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권취기둥과, 상기 권취기둥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선이 권취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가이드와, 상기 권취가이드의 표면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돌기와, 상기 권취기둥의 하단부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권취플랜지를 포함하는 권취부재와,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저면에 상방 돌출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몸체와,
상기 제 1 결합홀에 인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에 결합되게 상기 부착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로드와,
상기 부착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몸체가 피부착체에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부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부착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판에 하방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체결기둥 내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인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가 체결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저면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고 말단부에 걸림팁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고리와,
상기 슬라이드 고리가 관통되고 상기 체결기둥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출몰되게 구비되는 푸쉬체와,
상기 체결기둥 내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걸림요철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체결기둥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푸쉬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직용수철
을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단부의 측면이 천공된 상기 체결기둥과,
상기 권취기둥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과,
상기 체결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버튼과,
상기 체결기둥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에 결합되는 제 2 수직용수철과,
상기 체결기둥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쉬버튼이 하강할 경우 상기 체결기둥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푸쉬걸림체와,
상기 푸쉬걸림체에 결합되는 수평용수철과,
상기 체결기둥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안착 가능하게 상기 체결기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반발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베이스판은 중심부가 천공되어 상기 푸쉬버튼이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판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하부 베이스판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기둥 내측에 구비되는 래치용수철과,
상기 래치용수철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래치걸림턱
을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권취기둥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와,
상기 이동가이드에 이격되어 상기 권취기둥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가이드와,
상기 권취기둥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3 수직용수철과,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저면에 상방으로 구비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의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가이드편과,
상기 고정로드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
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기둥의 상단에 구비되는 자성체와,
상기 권취기둥의 내측으로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하면에 구비되는 금속체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부재와 상기 상부 하우징부재를 체결시키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거치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몸체와,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거치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돌기와,
상기 제 1 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상기 거치몸체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홀을 포함하는 거치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3 결합돌기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결합홈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전선 정리용 박스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판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기둥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돌기와,
상기 권취기둥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홈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홈에서 상기 회전돌기가 이탈되어 상기 권취부재가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홈에 상기 회전돌기가 인입되어 상기 권취부재가 정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 정리용 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442A KR102179527B1 (ko) | 2019-07-05 | 2019-07-05 | 전선 정리용 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442A KR102179527B1 (ko) | 2019-07-05 | 2019-07-05 | 전선 정리용 박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9527B1 true KR102179527B1 (ko) | 2020-11-16 |
Family
ID=7367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1442A KR102179527B1 (ko) | 2019-07-05 | 2019-07-05 | 전선 정리용 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52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7017B1 (ko) | 2023-11-15 | 2024-10-15 | 동주산업(주) | 차량 내부품목 중 감아야 하는 품목 박스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67219B2 (ja) * | 1999-11-12 | 2003-11-1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ワイヤハーネス巻取り装置 |
KR20100033504A (ko) * | 2010-03-10 | 2010-03-30 | 김충성 | 케이블 정리기 |
KR101029008B1 (ko) | 2011-01-28 | 2011-04-14 | 이민석 | 광 케이블용 자동 감김 릴 점퍼코드 |
KR20120005866U (ko) * | 2011-02-11 | 2012-08-21 | 김기준 | 전선 보호관 |
KR20150066795A (ko) * | 2013-12-09 | 2015-06-17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케이블 권취 장치 및 방법 |
KR101683171B1 (ko) | 2014-11-27 | 2016-12-06 | 주식회사 블루비즈 | 전선 정리기 |
JP3210141U (ja) * | 2017-02-15 | 2017-04-27 | 康揚企業股▲ふん▼有限公司 | ケーブル整理器 |
-
2019
- 2019-07-05 KR KR1020190081442A patent/KR1021795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67219B2 (ja) * | 1999-11-12 | 2003-11-1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ワイヤハーネス巻取り装置 |
KR20100033504A (ko) * | 2010-03-10 | 2010-03-30 | 김충성 | 케이블 정리기 |
KR101029008B1 (ko) | 2011-01-28 | 2011-04-14 | 이민석 | 광 케이블용 자동 감김 릴 점퍼코드 |
KR20120005866U (ko) * | 2011-02-11 | 2012-08-21 | 김기준 | 전선 보호관 |
KR20150066795A (ko) * | 2013-12-09 | 2015-06-17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케이블 권취 장치 및 방법 |
KR101683171B1 (ko) | 2014-11-27 | 2016-12-06 | 주식회사 블루비즈 | 전선 정리기 |
JP3210141U (ja) * | 2017-02-15 | 2017-04-27 | 康揚企業股▲ふん▼有限公司 | ケーブル整理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7017B1 (ko) | 2023-11-15 | 2024-10-15 | 동주산업(주) | 차량 내부품목 중 감아야 하는 품목 박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91820B2 (en) | Cable coiling apparatus | |
US6253893B1 (en) | Flat cable type extension wire | |
US2763707A (en) | Electric wire take-up receptacle | |
KR101538300B1 (ko) | 줄의 자동감김 장치 | |
US7888608B2 (en) | Cable organizer | |
US20130327569A1 (en) |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 |
US8746606B1 (en) | Electrical cord organization box | |
US3275969A (en) | Wire shortening and tying device | |
KR102179527B1 (ko) | 전선 정리용 박스 | |
US11999546B2 (en) | Cable tie | |
CN219124314U (zh) | 一种具有组合安装功能的路由器 | |
US8931743B2 (en) | Apparatus for retaining wires and cords | |
WO2013126020A1 (en) | Dual self-winding retractable device for a wire of a headphone | |
KR200462044Y1 (ko) | 이어폰 권취장치 | |
TWM561117U (zh) | 具鍊條收納之圍欄柱 | |
KR20200109586A (ko) | 전선 정리용 홀더 | |
KR20000021141U (ko) | 케이블 고정용 수납구 | |
KR20100033504A (ko) | 케이블 정리기 | |
US20170155996A1 (en) | Earphone device | |
KR101477982B1 (ko) | 전선의 정리가 가능한 전선 연장 장치 | |
CN205408102U (zh) | 一种耳机线收纳装置 | |
KR200367156Y1 (ko) | 배선보호용 덕트 | |
JP3170737U (ja) | コード巻き取り器具 | |
KR101292638B1 (ko) | 결속용 금속 밴드 | |
JPS6339983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