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333B1 - 벽시계 - Google Patents

벽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333B1
KR101682333B1 KR1020160091371A KR20160091371A KR101682333B1 KR 101682333 B1 KR101682333 B1 KR 101682333B1 KR 1020160091371 A KR1020160091371 A KR 1020160091371A KR 20160091371 A KR20160091371 A KR 20160091371A KR 101682333 B1 KR101682333 B1 KR 101682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mber
angle
wall clock
reverse bending
metall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섭
이보라
Original Assignee
이주섭
이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섭, 이보라 filed Critical 이주섭
Priority to KR102016009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06Means for fixing the clockwork pieces on other objects (possibly on wal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DAPPARATUS OR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OR MAINTAINING CLOCKS OR WATCHES
    • G04D3/00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 G04D3/0002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 G04D3/0061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for components for protecting the mechanism against external influences
    • G04D3/0064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for components for protecting the mechanism against external influences for ca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DAPPARATUS OR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OR MAINTAINING CLOCKS OR WATCHES
    • G04D3/00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 G04D3/0002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 G04D3/0061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for components for protecting the mechanism against external influences
    • G04D3/0066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for components for protecting the mechanism against external influences for the fastening means of the case or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DAPPARATUS OR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OR MAINTAINING CLOCKS OR WATCHES
    • G04D3/00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 G04D3/0074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treatment of the material, e.g. surface treatment
    • G04D3/0097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treatment of the material, e.g. surface treatment for components of the means protecting the mechanism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벽시계는 벽시계의 전면을 구성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전면 금속재; 상기 전면 금속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시침 또는 분침의 회전을 위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수단; 및 상기 벽시계의 후면을 구성하고, 상기 전면 금속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후면 결합부와, 상기 후면 결합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상측 경사부와, 상기 상측 경사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역벤딩부와, 상기 역벤딩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으면서 상기 전면 금속재를 향하여 절곡형성되는 하측 경사부와, 상기 전면 금속재의 내측에 접하는 밀착판과, 상기 하측 경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밀착판에 고정되는 후면 본체를 포함하는 후면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벽시계{Wall clock}
본 발명은 벽시계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벽시계를 구성하는 전면 금속재와 후면 금속재의 일부를 한번의 리벳 압착 펀치로 결합시키는 것을 통하여 탄성을 갖는 후면 금속재가 전면 금속재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견고하게 그 위치가 고정되는 벽시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시계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스틸 재질을 이용한 벽시계도 존재하지만, 이러한 스틸 재질을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나사나 볼트사이의 체결구조,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구조 등이 적용되는 수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탄성력이 발생되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 벽시계에 대한 것으로서, 벽시계를 전면 금속재와 후면 금속재로 구성시키고, 후면 금속재의 탄성에 의하여 발생되는 휨(역벤딩)에 의하여 상기 후면 금속재가 전면 금속재에 밀착 고정되는 벽시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벽시계를 금속 재질로 구성시키더라도, 후면 금속재의 역벤딩을 통한 강한 위치 고정이 발생되므로, 금속 재질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나사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 또는 접착수단이 사용되지 않는 벽시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벽시계는 벽시계의 전면을 구성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전면 금속재; 상기 전면 금속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시침 또는 분침의 회전을 위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수단; 및 상기 벽시계의 후면을 구성하고, 상기 전면 금속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후면 결합부와, 상기 후면 결합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상측 경사부와, 상기 상측 경사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역벤딩부와, 상기 역벤딩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으면서 상기 전면 금속재를 향하여 절곡형성되는 하측 경사부와, 상기 전면 금속재의 내측에 접하는 밀착판과, 상기 하측 경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밀착판에 고정되는 후면 본체를 포함하는 후면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벽시계에 의해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서 더욱 고급스러운 벽시계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이 갖는 물질 특성을 이용하여 벽시계 일측에 위치하는 결합부들 사이의 커링 단조에 의하여 전면 부재와 후면 부재 사이의 견고한 밀착이 이루어지므로, 그 제조가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시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벽시계의 후면 금속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벽시계를 구성하는 전면 금속재와 후면 금속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시계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후면 금속재에 구성되는 수직 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후면 금속재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벽시계의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벽시계에서 밀착판이 전면 본체에 밀착되는 경우의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기술구성을 벗어나는 경우에 밀착판이 전면 본체로 가해지는 밀착력이 부족한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시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벽시계의 후면 금속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벽시계를 구성하는 전면 금속재와 후면 금속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시계(10)는 전면 금속재(100)와, 상기 전면 금속재(100)에 밀착 고정되는 후면 금속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금속재(100)와 후면 금속재(200) 사이의 결합은 상측부위에서 커링 리벳가공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롤압착펀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 금속재(100) 일부와 후면 금속재(200) 일부를 압착단조하는 공정만으로 이둘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전면 금속재와 후면 금속재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벽시계(1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모두 이루어지고, 시계로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전면 금속재(100)와, 상기 전면 금속재(100)에 밀착 고정되어 후방을 형성하는 후면 금속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금속재(100)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이루어져 내면이 오목한 형태의 보울(bowl)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면 본체(110)와, 상기 전면 본체(110)의 상측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전면측 리벳 가공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본체(110)가 보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본 발명의 벽시계가 무당 벌레와 같은 생명체를 모티브로 제작되는 이유도 있으나, 후술되는 후면 금속재(200)와의 역벤딩에 의한 밀착력 유지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상기 전면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숫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고, 시침 또는 분침이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이 상기 전면 본체(1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본체(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수단(500)이 결합된다.
특히, 상기 동력 수단(500)은 후술되는 후면 본체(202)의 개방부(212)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개방부(212)를 통해서 노출되는 동력 수단(500)을 조작하여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시침 또는 분침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후면 금속재(200)는 상기 전면 금속재(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후면 금속재(200)와 전면 금속재(100)사이의 결합은 상기 전면 결합부(120)와 후면 결합부(220) 사이의 리벳 가공에 의해서도 충분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후면 금속재(200)는 상기 전면 본체(11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밀착판(203)과, 상기 밀착판(203)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개방부(212) 주위로 결합되는 후면 본체(202)와, 상기 후면 본체(20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 경사부(211)와, 상기 하측 경사부(211)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된 역벤딩부(201)와, 상기 역벤딩부(201)로부터 상기 밀착판(203)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상측 경사부(231)와, 상기 상측 경사부(23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전면 결합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후면 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후면 본체(202)와 밀착판(203) 사이의 결합은 상기 후면 본체(202)에는 상기 밀착판(203)과 닿게 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링 돌출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 본체(202)의 버링 돌출부(214)와 대응되는 위치의 밀착판(203)에는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후면 본체(202)를 상기 밀착판(203)에 결합하는 때에, 상기 버링 돌출부(214)를 밀착판(203)의 홀에 삽입한 다음, 커링(curling) 가공함으로써, 상기 후면 본체(202)와 밀착판(203)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3에는 후면 본체(202)에 5개의 버링 돌출부를 형성하고, 밀착판(203)에 5개의 커링홀이 구성되어 결합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면 본체(202) 역시 상기 밀착판(203)의 개방부(212)의 개방부위가 방해되지 않도록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판(203)과 접하는 부위의 후면 본체(202)는 'C'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면 본체(202)에는 상기 전면 본체(1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수직 지지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213)는 상기 전면 금속재와 후면 금속재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밀착판(203)이 과도하게 상기 전면 본체(110)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후면 본체(202)의 일부로부터 상기 전면 본체(101)의 내주면을 향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후면 금속재(200)를 구성하는 상기 하측 경사부(211)와 역벤딩부(201) 및 상측 경사부(231)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과 함께 도 10을 참조하여 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후면 금속재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 결합부(120)와 후면 결합부(220) 사이의 리벳 가공을 통한 커링 단조가 이루어지면, 그 결합력이 상기 역벤딩부(201)로 전달되어 역벤딩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밀착판(203)이 상기 전면 본체(110) 내주면을 향하여 가압력이 발생/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역벤딩이 발생하게 되는 역벤딩부(201)와, 상기 역벤딩부(201)에 연결된 상측 경사부(231) 및 하측 경사부(211) 사이의 각도 역시 중요하다.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후면 금속재(200)의 후면 결합부(220)와 상측 경사부(231) 사이에는 B 각도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부(231)와 역벤딩부(201) 사이에는 C 각도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역벤딩부(201)와 하측 경사부(211) 사이에는 D각도가 형성된다.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표시할 때에는 360도를 기준으로 작은 각과, 큰 각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두 부재 사이의 각도는 어느 한쪽의 각도를 α라 했을 때, 360-α와 α 중에서 작은 각을 표시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후면 결합부(220)가 상기 상측 경사부(231)와 이루는 각도를 B로 정의하고 있으나, 상기 후면 결합부(220)가 밀착판(203)가 이루는 각도 A 역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상술하는 A, B, C 및 D각도들은 상기 역벤딩부(201)의 역벤딩을 발생시키기 적합한 각도로 이루어지고, A, B, C 및 D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안되는 각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역벤딩부(201)가 상기 전면 본체(110)를 향하여 휘어지는 역벤딩이 원활히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역벤딩부(201)가 원하는 정도의 역벤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밀착판(203)이 전면 본체(110) 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부족하게 되고, 이 경우 전면 금속재(100)와 후면 금속재(200)사이의 결합이 완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판(203)이 전면 본체(110)에 밀착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이러한 경우는 전면 금속재(100)와 후면 금속재(20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다.
상기 후면 결합부(220)가 밀착판(203)과 이루는 각도(A)는 15±1°가 되어야 하고, 상기 후면 결합부(220)가 상측 경사부(231)와 이루는 각도(B)는 150±15°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경사부(231)와 역벤딩부(201)가 이루는 각도(C)는 135±10°가 되어야 하고, 역벤딩부(201)와 하측 경사부(211)가 이루는 각도(D)는 100±10°이 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A각도가 15°, B각도가 150°, C각도가 135°, D각도가 10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되는 상기 밀착판(203)이 전면 본체(110)측으로 밀착되는 가압력이 발생되기 위해서는 위의 각 부재들의 바람직한 각도에서 10% 내외의 범위에서 각도의 일부 변경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면 경사부(220)와 상측 경사부(231) 사이에는 제 1 코킹 엠보싱부(241)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부(231)와 역벤딩부(201) 사이에는 제 2 코킹 엠보싱부(2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역벤딩부(201)와 하측 경사부(211) 사이에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홈부로 이루어진 제 3 코킹 엠보싱부(243)가 형성된다.
이들 코킹 엠보싱부들(241,242,243)은 금속철판의 일부가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홈부로 구성되며, 각 부재들의 휨을 억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 결합부(120)와 후면 결합부(220) 사이의 리벳 가공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때에 발생되는 역벤딩시 벤딩되는 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면 금속재(100)와 후면 금속재(200) 사이의 결합 과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시계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 금속재(100)의 전면 결합부(120)와, 후면 금속재(200)의 후면 결합부(220)을 정렬시킨다. 상세히, 상기 후면측 리벳 가공홀(221)로부터 돌출된 버링부(222)를 상기 전면 결합부(120)의 전면측 리벳 가공홀(121) 내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면측 리벳 가공홀(121)과 후면측 리벳 가공홀(221)을 통과할 수 있는 돌기를 갖는 하측 펀치(301)를 위치시키고, 상기 리벳 가공홀(121,221)을 통과한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홈을 갖는 상측 펀치(302)를 위치시킨다.
그 다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펀치(302)와 하측 펀치(301)를 이동시켜 리벳 가공을 수행한다. 특히,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측 펀치(302)와 하측 펀치(301) 사이에 밀착되기 이전에는, 밀착판(203)이 수평면을 유지하지 못한 채 전면 본체(110) 내주면에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후면 결합부(220)의 버링부(222)가 리벳 가공에 의한 커링이 이루어지면, 밀착판(203)이 수평유지가 되며, 자연스러운 힘으로 역벤딩이 발생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후면 결합부(220)의 후면측 리벳 가공홀(221)에 형성된 버링부(222)가 커링(222a)되면, 상기 전면 결합부(120)와 후면 결합부(22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 후면 결합부(220)와 상측 경사부(231)의 연결부위가 꺾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 결합부(220)와 상측 경사부(231) 사이의 연결부위가 꺽이게 되면, 그 꺾여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역벤딩부(201)가 상기 전면 본체(110)의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을 역벤딩이라고 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역벤딩부(201)가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꺾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직선 형태가 되거나 오히려 외측으로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후면 본체(202)가 전면 본체(110) 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다만,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 역벤딩부(201)가 내측을 향하도록 휨이 발생하는 역벤딩이 형성되면, 상기 후면 금속재가 전면 금속재측으로 밀착되는 가압력의 강도와 그 힘의 유지가 오랜시간 지속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밀착판(203)은 상기 전면 본체(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밀착된다. 이러한 밀착은 상기 전면 결합부(120)와 후면 결합부(220) 사이의 한차례 리벳 가공에 의한 커링단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강제로 힘을 가하여 상기 후면 금속재(200)를 전면 금속재(1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더라도 그에 대항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벽시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밀착판이 전면 금속재측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후면 금속재의 경우, 밀착판(203)이 전면 본체(110) 내주면에 밀착되고, 그 밀착된 힘이 지속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후면 금속재(200) 내측면에는 상기 밀착판(203)이 전면 본체(110)를 향하여 가압되는 힘에 대항하여 과도한 밀착력이 전면 본체(11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수직 지지부(213)이외에 수직 바(250)가 더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후면 금속재에 구성되는 수직 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밀착판(203)에 결합되는 후면 본체(202)의 내주면, 즉, 전면 본체(110)에 대향하는 면에는 전면 본체(110)와 밀착판(203)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직 바(25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바(250)의 단부를 상기 후면 본체(202)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커링될 수 있도록 버링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후면 본체(202)의 홀을 통과시킨 다음 리벳 펀치 금형으로 커링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수직 바(250)가 상기 후면 본체(202)에 결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의 벽시계라 할지라도, 복잡한 용접공정이나 볼트 및 나사 체결 공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금속 재질이 갖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이용한 역벤딩을 발생시킴으로써, 전면 금속재와 후면 금속재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어낼 수 있다.

Claims (5)

  1. 벽시계의 전면을 구성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전면 금속재;
    상기 전면 금속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시침 또는 분침의 회전을 위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수단; 및
    상기 벽시계의 후면을 구성하고, 상기 전면 금속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후면 결합부와, 상기 후면 결합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상측 경사부와, 상기 상측 경사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역벤딩부와, 상기 역벤딩부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으면서 상기 전면 금속재를 향하여 절곡형성되는 하측 경사부와, 상기 전면 금속재의 내측에 접하는 밀착판과, 상기 하측 경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밀착판에 고정되는 후면 본체를 포함하는 후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벽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본체는 상기 동력 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홀로 이루어진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금속재에는 상기 후면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전면 결합부가 구성되고,
    상기 후면 결합부는 소정 크기의 홀로 이루어진 후면측 리벳 가공홀과, 상기 후면측 리벳 가공홀 주위에서 상기 전면 금속재를 향하여 돌출된 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결합부에는 상기 후면측 리벳 가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면측 리벳 가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결합부와 상측 경사부 사이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제 1 코킹 엠보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부와 역벤딩부 상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제 2 코킹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면 금속재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 수직 지지부 또는 수직 바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바는 상기 후면 본체에 형성된 홀을 이용하여 커링 단조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결합부가 밀착판과 이루는 각도(A)는 15±1°가 되고, 상기 후면 결합부가 상측 경사부와 이루는 각도(B)는 150±15°가 되고, 상기 상측 경사부가 상기 역벤딩부와 이루는 각도(C)는 135±10°가 되고, 상기 역벤딩부가 하측 경사부와 이루는 각도(D)는 100±10°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KR1020160091371A 2016-07-19 2016-07-19 벽시계 KR101682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71A KR101682333B1 (ko) 2016-07-19 2016-07-19 벽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71A KR101682333B1 (ko) 2016-07-19 2016-07-19 벽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333B1 true KR101682333B1 (ko) 2016-12-02

Family

ID=5757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71A KR101682333B1 (ko) 2016-07-19 2016-07-19 벽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3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286A (ja) * 1999-12-13 2001-08-10 Goldstage Development Ltd 時計組立キット及び時計組立キットから形成される時計
KR20090007918U (ko) * 2008-01-31 2009-08-05 이용하 시계의 금속외곽테와 합성수지판체 결합구조
KR20120086778A (ko) * 2011-01-27 2012-08-06 백지웅 벽시계
KR20130006965U (ko) * 2012-05-25 2013-12-04 김동희 벽시계 걸이용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286A (ja) * 1999-12-13 2001-08-10 Goldstage Development Ltd 時計組立キット及び時計組立キットから形成される時計
KR20090007918U (ko) * 2008-01-31 2009-08-05 이용하 시계의 금속외곽테와 합성수지판체 결합구조
KR20120086778A (ko) * 2011-01-27 2012-08-06 백지웅 벽시계
KR20130006965U (ko) * 2012-05-25 2013-12-04 김동희 벽시계 걸이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410B1 (ko) 트윈 스냅 버튼
JP2013521129A (ja) 構成部品接続部
US4988246A (en) Apparatus for indicating incomplete and complete fastening of screw components
KR101682333B1 (ko) 벽시계
KR101279879B1 (ko) 요리 그릇 손잡이에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디바이스
JP6284042B2 (ja) バンドおよび時計
US20020152590A1 (en) Magnetic buckle structure
TWM537021U (zh) 複合物件結構
JP6132515B2 (ja) ナット付きジョイント部材の製造方法
JP4316071B2 (ja) 窯業系等の面材の取付け構造及び接合金物
JP2006105211A (ja) 金属板に設けた穴に部品を締結する方法
CN214711888U (zh) 杯子
JP3059640U (ja) ハトメ装置
CN201780417U (zh) 一种无烧焊无螺丝的眼镜铰链结构
JP2009019434A (ja) 手摺り受け金具
JP3709192B2 (ja) 接合金具
JP2018179125A (ja) ワンタッチファスナー
JP6527606B2 (ja) クリップナット
JP5955096B2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
JPH0354965Y2 (ko)
JP2020193645A (ja) 部材取付構造
KR20090011531U (ko) 단추 고정구
JP2004352114A (ja) サドルクランプの補助具
JPS6341934Y2 (ko)
JP2004097500A (ja) ファス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