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895B1 - 구강용 연고 - Google Patents

구강용 연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895B1
KR101680895B1 KR1020100032580A KR20100032580A KR101680895B1 KR 101680895 B1 KR101680895 B1 KR 101680895B1 KR 1020100032580 A KR1020100032580 A KR 1020100032580A KR 20100032580 A KR20100032580 A KR 20100032580A KR 101680895 B1 KR101680895 B1 KR 10168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viscosity
less
oral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076A (ko
Inventor
마사츠구 오노
키미코 히시키
히로시 이이지마
하지메 고토
테루히코 요시노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환부에의 도포성, 환부에의 초기 및 경시 체류성에 우수하고, 보존 안정성에 우수한 구강용 연고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a) 1질량% 수용액의 점도(20℃)가 5 내지 100mPa·s인 알긴산염 0.1 내지 1.0질량%와,
(b)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2.0 내지 12.0질량%를 함유하고,
(b)/(a)로 표시되는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5 내지 50이고, pH가 3.0 이상 6.00 미만인 구강용 연고.

Description

구강용 연고{ORAL OINTMENT}
본 발명은, 환부에 직접 부착시켜서 적용하는 구강용 연고에 관한 것이다.
구강용 연고는, 타액에 의해 제제(製劑)가 씻겨 내려가기 쉽고, 약제를 어떻게 입안 환부에 머물게 하는지가 제제 설계상 중요하고, 환부에의 도포성, 환부에의 체류성이 요구된다. 또한, 구강용 연고는, 도포 직후의 초기 체류성(滯留性)의 향상도 중요하지만, 장시간 입안 내에 제제가 머무르기 위한, 경시적인 체류성의 향상은 더욱 중요하다. 체류성 향상의 점에서, 제제의 겔 구조를 구축하는 성분으로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2 참조). 그러나,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는 타액중의 염분에 의해, 경시적으로 수축·축퇴(縮退)하여 액상화하여 가기 때문에, 타액에 의해 제제가 씻겨 내려가기 쉬워지고, 경시적인 체류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알긴산염을 사용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지만 (특허 문헌 3 참조), 이것은, 액상 구강용 조성물이고, 경시적인 체류성의 점에서는 그 효과는 불충분하였다.
한편, 알긴산염을 함유하는 제제의 pH가 6.0 미만에서는, 조성에 의해서는 경시적으로 점도 저하가 생기고, 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pH를 6.0 이상으로 함으로서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4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평7-12613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6-18269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 2008-7413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 2006-20658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환부에의 도포성, 환부에의 초기 및 경시 체류성이 우수하고, 점도 및 체류성의 보존 안정성(이하, 특별히 명기하지 않은 경우, 「보존 안정성」은, 점도 및 체류성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낸다)에 우수한 구강용 연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a) 특정한 알긴산염과, (b)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각각 특정량으로 병용하고, (b)/(a)로 표시되는 함유 질량비를 5 내지 50으로 함에 의해, 환부에의 도포성, 환부에의 초기 및 경시 체류성에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조합에 있어서, pH를 3.0 이상 6.00 미만으로 함에 의해, 경시적인 점도 저하를 억제하고, 보존 안정성이 향상함과 함께, 구강 점막에의 제제의 친화성을 향상하고, 약제의 퍼지기 쉬움 및 점막에의 바르기 쉬움이라는 환부에의 도포성(보존 후도 포함한다)이 더욱 향상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긴산염을 함유하는 제제의 pH가 6.00 미만에서는, 경시, 특히 고온 보존에서 점도 저하가 생기는 것을,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의 특정 질량비로의 조합에 의해 해결하고, 또한, 환부에의 도포성이 향상한 것은 본 발명자들의 새로운 발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구강용 연고를 제공한다.
[1]. (a) 1질량% 수용액의 점도(20℃)가 5 내지 100mPa·s인 알긴산염 0.1 내지 1.0질량%와,
(b)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2.0 내지 12.0질량%를 함유하고,
(b)/(a)로 표시되는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5 내지 50이고, pH가 3.0 이상 6.00 미만인 구강용 연고.
[2]. 또한, (c) 포비돈을 함유하는 [1]에 기재된 구강용 연고.
[3]. 또한, (d)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구강용 연고.
본 발명에 의하면, 환부에의 도포성, 환부에의 초기 및 경시 체류성에 우수하고, 보존 안정성에 우수한 구강용 연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연고는, (a) 1질량% 수용액의 점도(20℃)가 5 내지 100mPa·s인 알긴산염 0.1 내지 1.0질량%와, (b)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2.0 내지 12.0질량%를 함유하고, (b)/(a)로 표시되는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5 내지 50이고, pH가 3.0 이상 6.00 미만인 것이다.
(a) 알긴산염
알긴산염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알긴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긴산염의 점도는, 보존 안정성의 점에서 점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수용액의 점도(20℃)가 5 내지 100mPa·s이고, 보존 안정성의 점에서는 5 내지 50mPa·s가 바람직하고, 5 내지 30mPa·s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범위(5 내지 100mPa·s) 외의 것이라면, 보존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보존 후의 제제 점도가 저하함으로써, 보존 후의 구강에의 체류성이 저하된다. 또한, 점도의 측정은, BL형 회전 점도계, 로터 No.1 내지 4, 회전수 60rpm, 회전 60초 후에 측정한다.
알긴산염의 함유량은, 구강용 연고에 대해 0.1 내지 1.0질량%이고, 0.15 내지 0.7질량%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0.4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1질량% 미만이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1.0질량%를 초과하면, 보존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보존 후의 제제 점도가 저하됨으로써, 보존 후의 구강에의 체류성이 저하된다.
(b)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a) 알긴산염과 (b)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의 조합에 의해, 환부에의 도포성, 환부에의 초기 및 경시 체류성, 및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로서는, 0.2질량% 수용액의 점도(20℃)[조건은 BH형 회전 점도계, 로터 No. 6 또는 7, 회전수 20rpm, 회전 60초 후]로, 5,000 내지 50,000mPa·s의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내지 40,00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16,000 내지 27,000mPa·s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에는, 그 염도 포함된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구체적인 제품으로서는, 카보폴914, 934, 934P, 940, 941, 971P, 974P, 980, 981, 2984, 5984, ETD2050, Ultrez10(NOVEON사 제), 준론PW-110, PW-111, PW-150, PW-302, PW-310, PW-350(일본순약(주)제), 하이비스와코103, 104, 105(와코순약공업(주)제), AQUPECHV-501, HV-504, HV-505(스미토모정화(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b)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함유량은, 구강용 연고에 대해 2.0 내지 12.0질량%이고, 2.0 내지 10.0질량%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7.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2.0질량% 미만이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12.0질량%를 초과하면, 제제 조제시의 핸들링성이 나빠지기 쉽다.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중요하다. (b)/(a)로 표시되는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질량비는 5 내지 50이고, 5.0 내지 40이 바람직하고, 6 내지 20이 보다 바람직하고, 7 내지 18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이 5 미만이면, 체류성(보존 후도 포함한다)이 불충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질량비가 50을 초과하면, 경시 체류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구강용 연고의 pH는 3.0 이상 6.00 미만이다. pH가 3.0 미만이면, 체류성(보존 후도 포함한다)이 불충분하게 되고, 보존 안정성이 나빠지고, 이빨(齒)에의 악영향(용해)이나 자극이 생길 우려가 있다. 6.00 이상이면, 구강 점막에의 도포성 및 보존 안정성이 나빠진다. 상기 pH는 4.0 내지 6.00 미만이 바람직하고, 4.5 내지 6.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5. 9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pH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알칼리나, 유기산(구연산, 유산, 주석산, 사과산 등, 글리콜산), 무기산(염산, 인산) 등의 산으로 적절히 조정된다. 또한, pH는, 온도 (25℃)로 일본약국방 일반시험법 pH 측정법에 따라 측정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연고에는, 초기 체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또한 (c) 포비돈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비돈은 폴리비닐피롤리돈이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포비돈으로서는, 5질량% 수용액(25℃)[조건은 BH형 회전 점도계, 로터 No. 4 내지 7, 회전수 20rpm, 회전 60초]로, 1,500 내지 60,000mPa·s가 바람직하고, 20,000 내지 60,00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00 내지 60,000mPa·s가 더욱 바람직하다. 점도가 너무 높으면, 제제 조제시의 핸들링성이 나빠질(덩어리가 되기 쉽다) 우려가 있다.
(c) 포비돈의 함유량은, 구강용 연고에 대해 0.5 내지 15.0질량%가 바람직하고, 0.7 내지 10.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9 내지 5.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5 내지 15.0질량%의 범위에서 배합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고,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끈적거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연고에는, 체류성 및 도포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또한 (d)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고,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히프로멜로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2질량% 수용액(20℃)[조건은 BL형 회전 점도계, 로터 No.1 내지 4, 회전수 12 내지 30rpm, 회전 60초]으로, 1,500 내지 10,000mPa·s가 바람직하고, 2500 내지 500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0 내지 4,500mPa·s가 더욱 바람직하다. 점도가 너무 높으면, 제제 조제시의 핸들링성이 나빠질(덩어리가 되기 쉽다) 우려가 있다.
(d)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의 함유량은, 구강용 연고에 대해 0.1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0.15 내지 0.7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내지 0.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1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상기 배합 효과를 잘 얻을 수 있고,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미끈거림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연고에는, 약제(유효 성분)를 배합할 수 있고, 구강용 연고가 환부에의 도포성, 환부에의 초기 및 경시 체류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약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약제로서는 하기를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분류에는 약제의 효과에 따라 중복되어 기재되는 것이 포함된다.
살균제로서는,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액상 페놀·페놀, 염화 세틸피리디늄, 글루콘산 크로르헥시딘, 염산 크로르헥시딘, 염화 데쿠알리늄, 크레오소트, 티몰, 트리클로카르밤, 염화 벤잘코늄 , 염화 벤제토늄, 아크리놀, 옥시돌,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머큐로크롬, 크레졸,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살리실산 페닐, 술파디아진, 호모설파민, 계피기름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제로서는, 트라넥삼산, 염화 리소자임, 아즐렌술폰산 나트륨, 글리시리진산 2칼륨, 글리시리진산 암모늄, 글리시레틴산, 부로멜라인, 세라펩타제, 프라노프로펜, 이부프로펜피코놀, 푸레스테론, 자근(紫根) 엑기스, 에피다히드로콜레스테린, 부펙사막, 우페나마트, 미르라 팅크, 시호(柴胡), 복령(茯笭), 황백(黃柏), 아세트산 히드로코르티손, 아세트산 프레도니솔론, 프레도니솔론, 히드로크르티손,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등을 들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로서는,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살리실산 디펜히드라민, 염산 디페닐피랄린, 메퀴타진, 염산 트리프롤리딘, 말레인산 카르비녹사민, 염산 디펜히드라민, 타닌 산 디펜히드라민, 디멘히드리나트, 염산 프로메타진, 테오클산 프로메타진, 염산 메클리진, 염산 이소펜틸 등을 들 수 있다.
조직 수복제(修復劑)로서는, 구리 클로로필린나트륨, 알란토인, 알디옥사, 메틸메티오닌설포늄클로라이드, 스쿠랄페이트, 염산 세트락세이트, 소팔콘, 게파르네이트, 말레인산 트리멥틴, 테프레논, 헤파린 유사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국소 마취제로서는, 염산 디부카인, 디부카인, 염산 리도카인, 리도카인, 아미노안식향산 에틸, 옥세타제인, 티카인 등을 들 수 있다.
생약으로서는, 계피·계피 기름, 미르라 팅크, 시호, 복령, 황백, 정자(丁子) 성분, 가밀렬(加密列) 팅크, 라타니아 팅크, 연호삭(延胡索), 승마(升痲), 길경(桔梗), 홍화(紅花)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성분으로서는, 글리세린·농(濃) 글리세린 등의 국소 보호제, l-멘톨, 박하(薄荷) 기름, dl-멘톨 등의 국소 자극제, 히노키 티올 등의 조직 수렴·살균제, 카르바조크롬 등의 지혈제,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칼슘, 아세트산 토코페롤·호박산 토코페롤 칼슘, 판토텐올, 염산 피리독신 등의 비타민제, 니코틴산 벤질 등의 혈액 순환 촉진제, 폴리에틸렌술폰산 나트륨 등의 혈액 순환 촉진제, 염산 미노사이클린 등의 항생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임의 성분으로서는, 습윤제, 계면활성제, 용제,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습윤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PEG, 소르비톨, 물엿,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多價)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POE 경화 피마자 기름,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蔗糖)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소르비탄,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POP 알킬 에테르, POE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서는, 물(水), 에탄올,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연고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a)성분 및 (b)성분과, 임의 성분 및 물(잔부)을 혼합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구강용 연고의 점도(20℃)[조건은 BH형 회전 점도계, 로터 No. 7, 회전수 20rpm, 회전 60초 후]는, 본 발명의 효과는 점도에 의존한 것이 아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을 충족시키고 나서, 50 내지 300Pa·s로, 바람직한 것은 60 내지 200Pa·s로 점도를 조정함에 의해, 알맞는 도포성과 체류성을 더욱 겸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한 예에 있어서 특히 명기가 없는 경우는, 조성의 「%」는 질량%, 비율은 질량비를 표시하고, 표중의 각 성분의 양은 순분(純分) 환산한 양이다.
[실시예 1 내지 40, 비교예 1 내지 10]
표 1 내지 9에 표시하는 조성의 구강용 연고를 통상방법(常法)에 의해 조제하고, 하기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중에 병기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강용 연고의 초기 점도(20℃)[조건은 BH형 회전 점도계, 로터 No. 7, 회전수 20rpm, 회전 60초 후]는, 50 내지 300Pa·s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였다. 또한, 표중에는 알긴산 나트륨의 1질량% 수용액의 점도(20℃, BL형 회전 점도계, 로터 No.1 내지 4, 회전수 60rpm, 회전 60초 후로 측정)를 기재하였다.
[I] 체류성(초기·경시), 구강 점막에의 도포성
샘플(구강용 연고) 약 0.3g을 손가락에 취하고, 잇몸에 칠한다. 이 시점에서 하기 체류성 초기 평가 및 구강 점막에의 도포성(친화성) 평가를 행하고, 도포 20분 후에 하기 체류성 경시 평가를 행하였다.
<체류성 초기 평가>
패널러 20명에게서, 하기 사용감 평점에 의거하여 초기 체류성을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20명의 평균치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효과를 판단하였다.
[사용감 평점]
5점 : 매우 강하게 느낀다
4점 : 강하게 느낀다
3점 : 느낀다
2점 : 약간 느낀다
1점 : 느끼지 않는다
[평가 기준]
A : 평균 4.7점 이상
B : 평균 4.4점 이상 4.7점 미만
C : 평균 4.0점 이상 4.4점 미만
D : 평균 3.5점 이상 4.0점 미만
E : 평균 3.5점 미만
<구강 점막에의 도포성(친화성)>
패널러 20명에게서, 하기 사용감 평점에 의거하여, 구강 점막에의 약제의 퍼지기 쉬움 및 점막에의 바르기 쉬움(도포성)을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20명의 평균치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효과를 판단하였다.
[사용감 평점]
7점 : 매우 좋다
6점 : 상당히 좋다
5점 : 약간 좋다
4점 : 어느쪽이라고 말할 수가 없다
3점 : 약간 나쁘다
2점 : 상당히 나쁘다
1점 : 매우 나쁘다
[평가 기준]
A : 5.5점 이상
B : 5.0점 이상 5.5점 미만
C : 4.5점 이상 5.0점 미만
D : 3.0점 이상 4.5점 미만
E : 3.0점 미만
<체류성 경시 평가>
패널러 20명에게서, 하기 사용감 평점에 의거하여 경시 체류성을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20명의 평균치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효과를 판단하였다.
[사용감 평점]
5점 : 매우 강하게 느낀다
4점 : 강하게 느낀다
3점 : 느낀다
2점 : 약간 느낀다
1점 : 느끼지 않는다
[평가 기준]
A : 평균 3.0점 이상
B : 평균 2.5점 이상 3.0점 미만
C : 평균 2.0점 이상 2.5점 미만
D : 평균 1.5점 이상 2.0점 미만
E : 평균 1.5점 미만
[Ⅱ] 보존 안정성
샘플(구강용 연고) 50g을 50mL의 유리병에 채우고, 40℃·3개월 보존 후의 안정성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점도 안정성(%) = 40℃·3개월 후의 점도치/초기의 점도치×100
A : 90% 이상
B : 80% 이상 90% 미만
C : 70% 이상 80% 미만
D : 60% 이상 70% 미만
E : 60% 미만
[Ⅲ] 보존 후의 체류성
상기 [Ⅱ]에서 보존한 샘플(구강용 연고)에 관해, [I] 체류성(초기·경시)과 같은 평가를 행하였다.
[표 1]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1
[표 2]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2
[표 3]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3
[표 4]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4
[표 5]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5
[표 6]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6
[표 7]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7
[표 8]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8
[표 9]
Figure 112010022671115-pat00009
본 발명의 체류성 효과를 더 확인하기 위해, 하기 체류성의 과혹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8의 구강용 연고(초기) 99. 8%에 색소(보르도S 와코순약공업(주)) 0.2%를 첨가하고, 약 0.1g 헤어레스 마우스(각 n=3) 피부(직경 2.5㎝의 엔)상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이것을 인공타액(30mL) 중에 넣고 온화하게 마그네틱 스티어러로 교반하였다. 경시적(0, 1, 3, 5, 15분)으로 샘플링하여, 색소 농도를 흡광도계(파장 520㎚)에 의해 측정하고, 기제(基劑)의 잔존성에 관해 검토하였다. 초기 잔존 률 100%로 하고, 0.1g의 샘플을 인공타액 30mL에 완전 용해시킨 흡광도계의 수치를 잔존률 0%로 하였다. 결과를 표 10에 표시한다.
[표 10]
Figure 112010022671115-pat00010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원료를 하기에 표시한다.
[표 11]
Figure 112010022671115-pat00011

Claims (3)

  1. (a) 1질량% 수용액의 점도(20℃에서 측정한 점도)가 5 내지 100mPa·s인 알긴산염 0.1 내지 1.0질량%와,
    (b)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2.0 내지 12.0질량%를 함유하고,
    (b)/(a)로 표시되는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질량비가 5 내지 50이고, pH가 3.0 이상 6.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연고.
  2.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c) 포비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연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또한, (d) 2질량% 수용액의 점도(20℃에서 측정한 점도)가 1,500 내지 10,000m㎩·s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연고.
KR1020100032580A 2009-09-18 2010-04-09 구강용 연고 KR101680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7595 2009-09-18
JP2009217595A JP4473938B1 (ja) 2009-09-18 2009-09-18 口腔用軟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076A KR20110031076A (ko) 2011-03-24
KR101680895B1 true KR101680895B1 (ko) 2016-11-29

Family

ID=4233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580A KR101680895B1 (ko) 2009-09-18 2010-04-09 구강용 연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73938B1 (ko)
KR (1) KR101680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4623B2 (ja) * 2011-08-25 2015-12-24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軟膏組成物及び口腔バイオフィルム殺菌剤
JP6365236B2 (ja) * 2014-10-28 2018-08-01 ライオン株式会社 ミクロゲル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5325B2 (ja) * 2015-01-28 2018-08-01 ライオン株式会社 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7105057B2 (ja) * 2016-12-05 2022-07-2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214331B2 (ja) * 2016-12-28 2023-01-30 小林製薬株式会社 医薬組成物
WO2021172211A1 (ja) * 2020-02-25 2021-09-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生体適合性材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950B2 (ja) * 1993-05-25 2002-12-09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リゾチーム配合口腔用組成物
JPH07267839A (ja) * 1994-03-30 1995-10-17 Sunstar Inc 口腔粘膜付着性軟膏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C.H. Lee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36 p88-98 (2009. 2. 27., online)*
- G. Ikinci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277 p173-178 (2004. 4. 9., on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73938B1 (ja) 2010-06-02
KR20110031076A (ko) 2011-03-24
JP2011063566A (ja)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895B1 (ko) 구강용 연고
AU2010331761B2 (en) Composition of dexibuprofen transdermal hydrogel
JP2003183157A (ja) 眼科用組成物
EA008005B1 (ru) Интраназальный препарат ротиготина
JP7160433B2 (ja) ロキソプロフェン配合皮膚用外用剤
JP6503303B2 (ja) 真菌感染の処置のための医薬組成物
PT1635852E (pt) &#39;&#39;utilização de composições para reconstituição de unhas para aplicação tópica em onicosquise&#39;&#39;
JP2001199883A (ja) 消炎鎮痛外用剤
TWI766912B (zh) 水性製劑
JP5494112B2 (ja) 口腔用軟膏
CA3174550A1 (en) Medicament containing sofpironium bromide
JP7359909B2 (ja) 口腔用組成物の製造方法、口腔用組成物の口腔内塗布部との密着性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口腔用組成物の口腔内塗布部における滞留性を向上させる方法。
JP5366424B2 (ja) 口腔乾燥症改善剤
KR100288190B1 (ko) 피록시캄 함유 알콜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JP2005008596A (ja) 眼科用組成物
JP2018520110A (ja) リポ酸および粘膜模倣ポリマーを含んでなる眼科用組成物
JP2009292744A (ja) 口腔用液体組成物
TWI810168B (zh) 醫藥組成物
KR100979347B1 (ko) 항진균 조성물
JP5999875B2 (ja) ゲル状医薬組成物
JP5513827B2 (ja) 外用医薬組成物
JP6339504B2 (ja) 新規組成物
JP2023001391A (ja) 医薬組成物
JP2006206481A (ja) 水性外用組成物
WO2022092040A1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