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695B1 -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9695B1 KR101679695B1 KR1020150132383A KR20150132383A KR101679695B1 KR 101679695 B1 KR101679695 B1 KR 101679695B1 KR 1020150132383 A KR1020150132383 A KR 1020150132383A KR 20150132383 A KR20150132383 A KR 20150132383A KR 101679695 B1 KR101679695 B1 KR 101679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mounting space
- upper plate
- meat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쉬형 드럼(drum) 외면에 펼쳐진 상태의 육류를 고정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원에 의해 구이요리를 수행함은 물론 신속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육질이 구워져 섭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판(11)의 모서리에 받침다리(12)가 설치되며, 상판(11) 평면에는 드럼장착공간(14)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상판(11) 상부에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을 개폐하도록 일측이 상판(11)과 힌지결합되고,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멍(21)이 상단에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상판(11) 하부에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의 하단에 더 형성된 공기유입홀(17)을 통해 외부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수단(30)과;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41)와 드럼장착공간(14) 내부에 돌출 설치된 구동축(42)이 동력연결부재(43)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축(42)이 회전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드럼장착공간(14)에 수납되고, 내부에 열원이 놓여지는 화구(50)와; 메쉬형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양측에 돌출된 종속축(61)은 일단이 구동축(42)에 연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42)과 대응해 드럼장착공간(14)의 타측 내벽에 형성된 축받이(16)에 회전가능하게 놓여져 조립되는 드럼부재(60)와; 상기 드럼부재(60)의 외경면을 감싸면서 일단의 걸림후크(74)가 타단의 받침대(72)에 걸려져 고정되는 드럼말이판(70)과; 상기 상판(11)의 전면에 위치되며, 송풍수단(30)과 구동수단(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로 구성된다.
또, 상기 드럼말이판(7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줄(71)과;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리줄(71)를 상호 연결하는 받침대(72)와; 상기 고리줄(71)의 양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스프링(73)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73)의 타측에는 걸림후크(74)가 더 연결되어 달성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판(11)의 모서리에 받침다리(12)가 설치되며, 상판(11) 평면에는 드럼장착공간(14)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상판(11) 상부에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을 개폐하도록 일측이 상판(11)과 힌지결합되고,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멍(21)이 상단에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상판(11) 하부에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의 하단에 더 형성된 공기유입홀(17)을 통해 외부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수단(30)과;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41)와 드럼장착공간(14) 내부에 돌출 설치된 구동축(42)이 동력연결부재(43)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축(42)이 회전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드럼장착공간(14)에 수납되고, 내부에 열원이 놓여지는 화구(50)와; 메쉬형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양측에 돌출된 종속축(61)은 일단이 구동축(42)에 연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42)과 대응해 드럼장착공간(14)의 타측 내벽에 형성된 축받이(16)에 회전가능하게 놓여져 조립되는 드럼부재(60)와; 상기 드럼부재(60)의 외경면을 감싸면서 일단의 걸림후크(74)가 타단의 받침대(72)에 걸려져 고정되는 드럼말이판(70)과; 상기 상판(11)의 전면에 위치되며, 송풍수단(30)과 구동수단(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로 구성된다.
또, 상기 드럼말이판(7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줄(71)과;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리줄(71)를 상호 연결하는 받침대(72)와; 상기 고리줄(71)의 양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스프링(73)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73)의 타측에는 걸림후크(74)가 더 연결되어 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쉬형 드럼(drum) 외면에 펼쳐진 상태의 육류를 고정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원에 의해 구이요리를 수행함은 물론 신속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육질이 구워져 섭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구이 장치는 숯불, 전기히터,가스버너 등과 같은 열원을 이용해 직화방식으로 육류를 구이요리하는 장치로서, 육류가 열원에 의해 익혀지면서 육류에 포함된 지방이 제거되어 단백하고, 직화구이 특유의 그을린듯한향(이하, 불맛이라 함)을 포함한 상태로 구워져 고기를 풍미(風味)있게 하여 많은 사람이 선호하고 있는 장치이다.
가정이나 야외 또는 식당 등에서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방법으로는 숯불을 담은 화로 위에 석쇠와 같은 용구를 놓고 그 위에 고기를 올려 뒤집어 가면서 굽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숯불구이방식으로 고기를 굽는 경우에는 뒤집는 시점이 제각각일 수 밖에 없어서 가열시간을 고르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고기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타는 부위가 있는가 하면 덜 익혀진 부위가 있을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기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구울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개발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회전식 고기구이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상기의 선행기술로 특허문헌 1(등록특허 10-0617385호)이 제시된 바 있는데, 상기 특허문헌 1에 대한 내용을 도 1을 참고로 간략히 설명하면, 프레임(1)에 고정된 원통형의 본체(2), 본체(2)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3), 회전축에 설치되어 본체(2)내부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쿠킹그릴(4), 쿠킹그릴(4) 하부에 설치된 챠콜그릴을 포함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쿠킹그릴 내부공간에 육류를 투입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 쿠킹그릴이 회전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챠콜그릴의 열원으로 투입된 육류를 굽게 된다.
그러나, 상기 쿠킹그릴이 회전하면서 투입된 전체 육류가 서로 엉켜 열원에 가열되지 않는 부위가 생기면서 고르게 익혀지지 않게 되고, 구워진 형태가 지저분하여 섭취하는데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특허문헌 2(등록실용신안 20-0222144호)가 제시된 바 있는데, 상기 특허문헌 2에 대한 내용을 도 2을 참고로 간략히 설명하면, 도어가 구비된 본체(2)내부에 숯불화로(5)가 설치되고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6)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과, 이 회전축(3)에 장착된 회전판(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행거(4)가 기어조립체의 회전으로 공전과 자전하면서 행거내부에 투입된 육류를 굽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육류를 일부분 투입한 행거가 다수개 장작된 회전판을 자전과 공전회전시켜 육류를 굽는 장치이나, 특허문헌 1과 같이 행거가 회전하면서 내부에 투입된 육류가 엉켜 열원에 가열되지 않는 부위가 생기면서 고르게 익혀지지 않게 되고, 구워진 형태가 지저분하여 섭취하는데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은 동일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메쉬(mesh)형 드럼(drum) 외면에 펼쳐진 상태의 육류를 고정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원에 의해 구이요리를 수행하여 빠른 시간내에 육류를 타지않게 구워 섭취할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메쉬형 드럼 외면에 육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서 구워지게 하여, 구이가 완료된 상태에서도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식욕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직화구이 장치 내부에서 양념 및 소금구이와 같이 종류에 따라 육류를 구분해 고정한 메쉬형 드럼을 장착하여 열원으로 굽게 함으로써, 어린이와 어른 모두가 입맛에 맞는 육류를 섭취할 수 있게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11)의 모서리에 받침다리(12)가 설치되며, 상판(11) 평면에는 드럼장착공간(14)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상판(11) 상부에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을 개폐하도록 일측이 상판(11)과 힌지결합되고,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멍(21)이 상단에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상판(11) 하부에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의 하단에 더 형성된 공기유입홀(17)을 통해 외부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수단(30)과;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41)와 드럼장착공간(14) 내부에 돌출 설치된 구동축(42)이 동력연결부재(43)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축(42)이 회전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드럼장착공간(14)에 수납되고, 내부에 열원이 놓여지는 화구(50)와; 메쉬형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양측에 돌출된 종속축(61)은 일단이 구동축(42)에 연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42)과 대응해 드럼장착공간(14)의 타측 내벽에 형성된 축받이(16)에 회전가능하게 놓여져 조립되는 드럼부재(60)와; 상기 드럼부재(60)의 외경면을 감싸면서 일단의 걸림후크(74)가 타단의 받침대(72)에 걸려져 고정되는 드럼말이판(70)과; 상기 상판(11)의 전면에 위치되며, 송풍수단(30)과 구동수단(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로 구성된다.
또, 상기 드럼말이판(7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줄(71)과;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리줄(71)를 상호 연결하는 받침대(72)와; 상기 고리줄(71)의 양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스프링(73)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73)의 타측에는 걸림후크(74)가 더 연결되어 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 내부의 드럼장착공간(14)은 격벽(15)으로 공간이 구분되어, 각각의 구분된 공간에 드럼부재(60)가 조립되며, 상기 하나의 공간에 한 쌍의 드럼부재(60)가 조립되면 동력연결부재(43)를 통해 한 쌍의 드럼부재(60)를 상호 연결시켜 일체 회전되게 구성한다.
상기 드럼말이판(70)의 고리줄(71)은, 스테인레스강 재질을 갖으면서, 사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상판(11)의 측면에는 드럼장착공간(14)에 수납되는 열원이 놓여지는 화구(50)가 상부에 놓여져 수평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게 서랍식 열원받침대(51)를 더 구성한다.
그리고, 드럼장착공간(14)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유입홀(17) 둘레에는 전,후 직선형 이동레일(18)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18)에 끼워져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공기유입홀(17)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판(19)이 더 장착되어 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말이판에 육류를 펼쳐 놓고 메쉬형 드럼을 더 얹은 다음에 드럼말이판과 같이 돌려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수단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화구에 놓인 열원에 구워지게 되어 타지 않고도 짧은 시간안에 구이요리가 완성될 수 있다.
또, 드럼부재와 드럼말이판 사이에 육류가 펼쳐져 고정된 상태로 익혀져, 구이요리가 완성된 상태에서도 형태가 유지되어 전체 익힘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 식욕이 증대된다.
그리고, 드럼장착공간의 구분에 따라 양념 및 소금구이와 같이 종류가 다른 육류를 동시에 구워 어린이와 어른 모두의 입맛에 맞는 육류를 빠르게 익혀 섭취할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숯불구이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다른 숯불구이기의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인 드럼부재와 드럼말이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드럼부재와 드럼말이판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숯불구이기의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인 드럼부재와 드럼말이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드럼부재와 드럼말이판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인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는, 메쉬형 드럼(drum) 외면에 펼쳐진 상태의 육류를 고정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원에 의해 구이요리를 수행함은 물론 신속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육질이 구워져 섭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크게 케이싱(10)의 드럼장착공간(14)에 드럼부재(60)가 놓여지고, 상기 드럼부재(6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드럼부재(60) 외경면에 육류가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드럼말이판(70)이 결합되어, 송풍수단(30)이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화구(50)에 구비된 숯불 화력을 증대되면서, 회전하는 드럼부재(60)에 고정된 육류를 굽는 구성을 갖고 있다.
또, 상기 구동수단(40)의 회전속도와 송풍수단(30)의 공기유입속도는 상판(11) 정면에 고정설치된 제어부(13)의 스위치를 통해 온/오프 및 속도가 조정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상판(11) 평면에 드럼장착공간(14)이 형성되고, 이 상판(11)의 각 모서리에 받침다리(12)가 설치되어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두게 되며, 상기 드럼장착공간(14)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일면에 구동축이 삽입 설치되게 하고, 타면에는 축받이(16)가 상부가 개구된 축받이(16)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10) 내부의 드럼장착공간(14)은 격벽(15)으로 공간이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구분된 공간에 한 쌍의 드럼부재(60)가 조립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상기 상판(11) 상부에는 덮개(20)가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이 개폐되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도 4에서와 같이 닫힘상태에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구멍(21)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 상판(11) 하부에는 송풍수단(30)이 결합되어, 드럼장착공간(14)의 하단에 더 형성된 공기유입홀(17)을 통해 외부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송풍수단(30)은 통상적인 송풍팬을 상판(11) 저면에 설치하고, 상기 송풍팬의 작동으로 고속으로 배출되는 에어를 공기이동관(31)을 통해 안내하여 공기유입홀(17)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드럼장착공간(14)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유입홀(17) 둘레에는 전,후 직선형 이동레일(18)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18)에 끼워져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공기유입홀(17)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판(19)을 더 장착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구동수단(40)은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41)와 드럼장착공간(14) 내부에 돌출 설치된 구동축(42)이 동력연결부재(43)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축(4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동력연결부재(43)는 구동축(42)과 모터축에 스프라켓이 장착되어 상호 체인으로 연결되거나, 기어부재를 연결장착하거나, 풀리가 장착되어 벨트로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어느 하나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터축의 회전비보다 구동축(42)의 회전비를 낮게 감속시키는 연결구성은 당연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동력연결부재(43)는 하나의 구동모터(41)를 사용해 서술된 드럼장착공간(14)을 격벽(15)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공간에 한 쌍이 조립된 드럼부재(60)의 구동축(42)에 동시에 연결시켜 연동회전되게 하는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드럼장착공간(14) 내부 바닥에는 주로 숯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화구가 수납되어, 상부에 위치하며 구동축(42)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드럼부재(60) 방향으로 열이 이동하면서 육류를 굽게 된다.
상기 화구(50)는, 상판(11)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가능하게 설치된 서랍식 열원받침대(51) 상부에 위치시켜, 드럼부재(60)를 분리하지 않고도 측면방향으로 열원받침대(51)를 인출해 화구(50)를 투입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드럼부재(60)는, 메쉬형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양측에 돌출된 종속축(61)에서 일단이 구동축(42)에 연결고정되게 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42)과 대응해 드럼장착공간(14)의 타측 내벽에 형성된 축받이(16)에 회전가능하게 놓여져 조립된다.
상기 드럼부재(60)의 종속축(61)과 구동축(42)은 상호 대향되는 요철(凹凸)형상의 사각핀형상을 갖고 조립되어, 구동모터(41)의 동력을 사용해 드럼부재(60)가 회전가능하다.
여기에, 상기 드럼부재(60)의 외경면을 감싸는 드럼말이판(7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줄(71)과,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리줄(71)를 상호 연결하는 받침대(72)와, 상기 고리줄(71)의 양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스프링(73)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73)의 타측에는 걸림후크(74)가 더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드럼말이판(70)은 스테인레스강 재질을 갖으면서, 고리줄(71)이 사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걸림후크(74)가 연결된 스프링(73) 타측에 탈거고리(7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럼말이판(70)의 받침대(72) 상부에 육류를 펼치고, 메쉬형 원통형상의 드럼부재(60)를 육류 상부에 올려놓은 다음에 드럼말이판(70)과 함께 둘둘 말아 드럼말이판(70) 외경면에 말려진 상태에서, 스프링(73)이 탄력을 갖도록 걸림후크(74)를 잡아당기고, 상기 걸림후크(74)를 다측의 받침대(72)에 걸어 고정하면 육류가 펼쳐진 상태로 드럼부재(60)에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명인 케이싱(10)의 드럼장착공간(14) 바닥면에 직접 또는 서랍식 열원받침대(51)를 이용해 측면에서 숯을 열원으로 하는 화구(50)가 수납되게 하고, 상판(11) 전면에 위치한 제어부(13)의 스위치를 온/오프 하여 구동수단(40)의 회전속도와 송풍수단(30)의 공기유입속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드럼말이판(70)을 펼쳐 연속 배치된 받침대(72) 상부에 섭취할 육류를 펼쳐 놓고, 상기 육류 상부에 메쉬형 드럼부재(60)를 올려놓게 된다.
상기 드럼부재(60)가 올려진 상태에서 하부에 펼쳐진 드럼말이판(70)의 양단부를 잡고 상부로 올린 다음에 상기 드럼말이판(70)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후크(74)를 타단의 받침대(72) 또는 고리줄(71)에 걸어 고정한다.
상기 드럼말이판(70)은 드럼장착공간(14)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줄(71)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받침대(72)가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고리줄의 일단에 탄력 스프링(73)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73)의 타측에 걸림후크(74)와 탈거고리(75)가 더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 드럼말이판(70) 외경면에 말려진 상태에서 스프링(73)이 탄력을 갖도록 잡아당기고, 상기 걸림후크(74)를 다측의 받침대(72) 또는 고리줄(71)에 걸어 고정하면 펼쳐진 육류를 드럼부재(6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럼부재(60)와 드럼말이판(70)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된 육류를 굽기 위해, 드럼부재(60)를 드럼장착공간(14)에 위치시키면서 구동축(42)과 축받이(16)에 양측 종속축(61)이 끼워지게 결합한다.
따라서, 구동수단(40)에 의해 드럼부재(60)가 회전하면서, 드럼장착공간(14) 바닥면에 수납된 화구(50)의 열원에 의해 육류가 자동으로 구워지게 되며, 공기조절판(19)의 개폐에 따라 화구(5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기를 굽는 초기단계 이후에는 상판(11) 상부에 힌지 연결된 덮개(20)를 덮어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기구멍(21)을 통해 외부에 배치된 후드(H)에 포집되게 함으로써 연기에 퍼지지 않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메쉬형 드럼부재(60)의 외경면에 펼쳐져 드럼말이판(70)에 고정된 육류는 화구(50)의 열원과 접하는 일면만 구워지는 것이 아니고, 열원이 상기 육류 주변의 메쉬망을 통과해 드럼부재(60) 내부에서 육류의 타면을 굽게 되므로 양면이 동시에 직화방식으로 구워지게 된다.
그리고, 굽는요리가 완성된 상태에서는 드럼부재(60)와 드럼말이판(70)이 매우 뜨겁게 가열된 상태이므로 걸림후크(74) 일측에 더 구비된 탈거고리(75)에 별도의 공구를 끼워 드럼장착공간(14)에서 탈거시키고, 상기 공구를 잡아당겨 걸림후크(74)를 받침대(72)에서 분리시켜 드럼말이판(70)이 펼쳐지게 한다.
따라서, 드럼부재(60)의 회전에 따라 신속하면서도 전체적으로 고르게 구워진 육류는 상기 드럼말이판(70)과 같이 펼쳐져 식욕을 돋우는 형태와 불향이 포함된 상태로 제공되어 섭취 시 풍미(風味)가 더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서와 같이 드럼장착공간(14)을 격벽(15)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공간별로 각각 양념 및 소금구이와 같이 종류가 다른 육류를 동시에 구워 어린이와 어른 모두의 입맛에 맞는 육류를 제공하는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케이싱 11. 상판
14. 드럼장착공간 17. 공기유입홀
19. 공기조절판 20. 덮개
30. 송풍수단 40. 구동수단
42. 구동축 50. 화구
60. 드럼부재 61. 종속축
70. 드럼말이판 71. 고리줄
72. 받침대 73. 스프링
74. 걸림후크 75. 탈거고리
80. 제어부
14. 드럼장착공간 17. 공기유입홀
19. 공기조절판 20. 덮개
30. 송풍수단 40. 구동수단
42. 구동축 50. 화구
60. 드럼부재 61. 종속축
70. 드럼말이판 71. 고리줄
72. 받침대 73. 스프링
74. 걸림후크 75. 탈거고리
80. 제어부
Claims (6)
- 상판(11)의 모서리에 받침다리(12)가 설치되며, 상판(11) 평면에는 드럼장착공간(14)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상판(11) 상부에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을 개폐하도록 일측이 상판(11)과 힌지결합되고,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멍(21)이 상단에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상판(11) 하부에 위치하여 드럼장착공간(14)의 하단에 더 형성된 공기유입홀(17)을 통해 외부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수단(30)과;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41)와 드럼장착공간(14) 내부에 돌출 설치된 구동축(42)이 동력연결부재(43)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축(42)이 회전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드럼장착공간(14)에 수납되고, 내부에 열원이 놓여지는 화구(50)와;
메쉬형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양측에 돌출된 종속축(61)은 일단이 구동축(42)에 연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42)과 대응해 드럼장착공간(14)의 타측 내벽에 형성된 축받이(16)에 회전가능하게 놓여져 조립되는 드럼부재(60)와;
상기 드럼부재(60)의 외경면을 감싸면서 일단의 걸림후크(74)가 타단의 받침대(72)에 걸려져 고정되는 드럼말이판(70)과;
상기 상판(11)의 전면에 위치되며, 송풍수단(30)과 구동수단(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로 구성되되;
상기 드럼말이판(7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줄(71)과;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리줄(71)를 상호 연결하는 받침대(72)와;
상기 고리줄(71)의 양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스프링(73)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73)의 타측에는 걸림후크(74)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 내부의 드럼장착공간(14)은 격벽(15)으로 공간이 구분되어, 각각의 구분된 공간에 드럼부재(60)가 조립되며, 상기 하나의 공간에 한 쌍의 드럼부재(60)가 조립되면 동력연결부재(43)를 통해 한 쌍의 드럼부재(60)를 상호 연결시켜 일체 회전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말이판(70)의 고리줄(71)은, 스테인레스강 재질을 갖으면서, 사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판(11)의 측면에는 드럼장착공간(14)에 수납되는 열원이 놓여지는 화구(50)가 상부에 놓여져 수평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게 서랍식 열원받침대(51)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드럼장착공간(14)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유입홀(17) 둘레에는 전,후 직선형 이동레일(18)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18)에 끼워져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공기유입홀(17)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판(19)이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2383A KR101679695B1 (ko) | 2015-09-18 | 2015-09-18 |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2383A KR101679695B1 (ko) | 2015-09-18 | 2015-09-18 |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9695B1 true KR101679695B1 (ko) | 2016-11-28 |
Family
ID=5770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2383A KR101679695B1 (ko) | 2015-09-18 | 2015-09-18 |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969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6979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정교 | 회전 석쇠 |
KR20190066980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정교 | 회전 석쇠 |
KR102082143B1 (ko) | 2018-09-11 | 2020-02-27 | 류욱현 | 회전식 직화 구이장치 |
KR20210004294A (ko) * | 2019-07-04 | 2021-01-13 | 이규빈 | 회전형 그릴장치 |
CN112690295A (zh) * | 2021-01-14 | 2021-04-23 | 刘建军 | 一种卧式旋转烤炉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04732A1 (en) * | 2011-02-15 | 2012-08-16 |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 Food retainer for rotary grill |
-
2015
- 2015-09-18 KR KR1020150132383A patent/KR1016796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04732A1 (en) * | 2011-02-15 | 2012-08-16 |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 Food retainer for rotary grill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6979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정교 | 회전 석쇠 |
KR20190066980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정교 | 회전 석쇠 |
KR102047063B1 (ko) * | 2017-12-06 | 2019-11-20 | 이정교 | 회전 석쇠 |
KR102047064B1 (ko) * | 2017-12-06 | 2019-12-02 | 이정교 | 회전 석쇠 |
KR102082143B1 (ko) | 2018-09-11 | 2020-02-27 | 류욱현 | 회전식 직화 구이장치 |
KR20210004294A (ko) * | 2019-07-04 | 2021-01-13 | 이규빈 | 회전형 그릴장치 |
KR102241292B1 (ko) * | 2019-07-04 | 2021-04-15 | 이규빈 | 회전형 그릴장치 |
CN112690295A (zh) * | 2021-01-14 | 2021-04-23 | 刘建军 | 一种卧式旋转烤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9695B1 (ko) |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 |
CN102378592A (zh) | 旋转烧烤设备 | |
KR101010264B1 (ko) | 구이용 조리기구 | |
KR101937050B1 (ko) | 꼬치구이기 | |
KR100914173B1 (ko) | 회전 구이기 | |
EP1411771B1 (en) | Roasting oven | |
KR101738814B1 (ko) |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 |
KR101707043B1 (ko) | 원통형 타공드럼을 이용한 육류 반숙기 | |
KR101380623B1 (ko) | 다기능 무연 구이기 | |
KR20200024634A (ko) | 복사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기 | |
KR102171519B1 (ko) | 초벌 구이기 | |
KR102345327B1 (ko) | 야외용 고기 굽는 장치 | |
KR101738891B1 (ko) | 가스 직화 구이기 | |
KR101689089B1 (ko) | 가마형 구이장치 | |
KR200281168Y1 (ko) | 고기 구이기 | |
KR200166404Y1 (ko) | 고기 구이기 | |
US8561527B2 (en) | Tortilla toaster | |
KR200254147Y1 (ko) | 자동회전식 고기 구이기 | |
KR100725221B1 (ko) | 육류 구이장치 | |
KR101439197B1 (ko) | 수평 회전식 구이장치 | |
KR102469309B1 (ko) | 초벌 구이 장치 | |
JP6886218B1 (ja) | 串焼き器 | |
TWM565536U (zh) | Smoked baking device | |
KR200440095Y1 (ko) | 회전식 직화 조리장치 | |
US9549638B1 (en) | BBQ oven with controllable level position of charcoal chamber and inser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