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158B1 - 휴대형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9158B1 KR101679158B1 KR1020157012474A KR20157012474A KR101679158B1 KR 101679158 B1 KR101679158 B1 KR 101679158B1 KR 1020157012474 A KR1020157012474 A KR 1020157012474A KR 20157012474 A KR20157012474 A KR 20157012474A KR 101679158 B1 KR101679158 B1 KR 101679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device
- area
- hand
- input
- input ope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입력 조작의 접수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휴대형 장치(1)는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122)와, 휴대형 장치(1)의 파지손을 판정하는 파지손 판정부(125)와, 메뉴를 표시했을 때에, 상기 메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파지손 판정 결과에 따른 영역을 무효 영역에 설정하는 무효 영역 설정부(12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면에 대한 입력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의 오조작 방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마트폰 등의 터치 패널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의 조작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터치 스크린의 각 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터치 센서에 의해서 휴대 전화기의 어느 부분이 파지되었는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른 위치를 터치 조작의 무효화 영역으로 함으로써, 무효화 영역에 손가락을 두고 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스크롤 조작의 궤적의 돌출 방향에 따라서 UI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 등의 표시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는, 휴대형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손으로 조작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조작 시에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오조작이 행하여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휴대형 장치를 파지하면서,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의 밑동 부분이 화면에 닿음으로 의한 오조작이 발생하였다. 유저의 파지손 위치 부근을 입력 조작이 무효로 되는 무효 영역으로 함으로써, 상기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무효 영역의 설정에 관한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상기 영역을 설정해야 할 타이밍에 대해서 고려되지 않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특허문헌 1에서는, 휴대 전화기의 파지손 위치 부근이 항상 무효화 영역으로 되기 때문에, 표시면의 전체면을 활용한 입력 조작의 접수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해야 할 타이밍(예를 들어,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로 된 타이밍)에서,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입력 조작의 접수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오조작의 방지가 가능한 휴대형 장치 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휴대형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이며, 소정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면의 일부 영역에 입력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입력 대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휴대형 장치가 오른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왼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파지손 판정 수단과,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의 표시 중에,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며,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른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휴대형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이며, 상기 표시면의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휴대형 장치가 오른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왼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파지손 판정 수단과,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이 파지손을 판정했을 때에, 파지손의 판정 결과에 따른 상기 표시면 상의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각 형태에 의하면,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해야 할 타이밍(입력 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는 타이밍 또는 표시면의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 행하여진 타이밍 등)에서,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한다. 따라서, 입력 조작의 접수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형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메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오조작이 발생하기 쉬운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무효 영역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무효 영역의 다른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메뉴 표시 조작의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메뉴 조작 시에 메뉴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파지손을 판정하는 경우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휴대형 장치의 파지손에 따른 기울임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휴대형 장치의 기울기에 의해 파지손을 판정하는 경우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상하 방향의 드래그 조작의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드래그 조작의 궤적의 해석에 의해 파지손을 판정하는 경우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무효 영역 해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메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오조작이 발생하기 쉬운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무효 영역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무효 영역의 다른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메뉴 표시 조작의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메뉴 조작 시에 메뉴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파지손을 판정하는 경우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휴대형 장치의 파지손에 따른 기울임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휴대형 장치의 기울기에 의해 파지손을 판정하는 경우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상하 방향의 드래그 조작의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드래그 조작의 궤적의 해석에 의해 파지손을 판정하는 경우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무효 영역 해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형 장치(1)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휴대형 장치(1)는 하우징을 파지한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사이즈 및 형상의 장치이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 제어부(12), 기억부(13) 및 기울기 센서(기울기 검출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패널(11)은,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11)와, 유저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111)의 표시면이 입력부(112)의 입력면을 겸하고 있어, 표시면에 대한 유저의 터치 조작을 휴대형 장치(1)에 대한 입력 조작으로서 접수한다. 제어부(12)는, 휴대형 장치(1)가 구비하는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조작 판정부(121), 메뉴 표시부(표시 수단)(122), 조작 기록부(123), 조작 해석부(124), 파지손 판정부(파지손 판정 수단)(125), 무효 영역 설정부(무효 영역 설정 수단, 해제 수단)(126) 및 무조작 시간 계측부(129)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3)는, 휴대형 장치(1)가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유저의 조작의 궤적을 나타내는 조작 데이터(131)와, 휴대형 장치(1)의 파지손을 판정하기 위한 파지손 판정 조건(133)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울기 센서(100)는 휴대형 장치(1)가 유지되고 있는 자세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기울기 센서(100)는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 등이어도 좋다.
조작 판정부(121)는 입력부(112)가 접수한 입력이 휴대형 장치(1)에 대한 어떤 조작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2)가 표시부(111)의 표시면의 우측 단부 또는 좌측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표시면에 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접촉 위치를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을 접수했을 때에는, 메뉴를 표시시키는 조작인 메뉴 표시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한다. 또한,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은 상기 드래그 조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뉴 표시부(122)는, 메뉴 표시 조작이 행하여진 취지의 통지를 조작 판정부(121)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표시부(111)에 메뉴를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도면의 예에서는, 메뉴의 오브젝트 O(이하, 메뉴라고 칭함)가 표시되어 있다. 이 메뉴는, 표시면의 단부를 시작점으로 해서 표시면의 중앙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항목(이 예에서는 6개)을 포함한다. 유저는, 원하는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그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를 휴대형 장치(1)에 실행시킬 수 있다. 조작 기록부(123)는 입력부(112)가 접수한 입력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데이터(131)를 기록하고, 조작 해석부(124)는 조작 데이터(131)를 해석하고, 파지손 판정부(125)는 조작 해석부(124)의 해석 결과로부터 파지손 판정 조건(133)에 따라서 파지손을 판별한다.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파지손 판정부(125)의 판별 결과에 따른 위치에 무효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한 무효 영역을 조작 판정부(121)에 통지함과 함께, 상기 무효 영역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지 않도록 지시함으로써, 무효 영역 내에서 행하여진 조작을 무효로 한다. 또한, 조작의 무효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입력부(112)를 제어해서 무효 영역 내에서 행하여진 조작이 조작 판정부(121)에 통지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무효 영역 내에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해도 좋다.
<메뉴의 표시와 무효 영역의 설정>
도 2의 화면 예에서는, 표시면 우측 하방 모퉁이의 좌표를 기준 좌표 A(X0, Y0)라고 하고, 메뉴 우측 하방 모퉁이의 좌표를 메뉴 기준점 B(X0, Y1)라고 한다. 또한, 메뉴의 폭을 W, 높이를 H, 기준 좌표 A로부터 메뉴 기준점 B까지의 거리를 D(D=Y0-Y1)라고 나타내고 있다. 오브젝트 O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각 파라미터(W, H, D)를 미리 기억해 둠으로써, 도 2와 같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메뉴 표시 조작을 행한 손가락(전형적으로는 엄지 손가락)으로 원활하게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기준점 B의 y좌표 Y1은 메뉴 표시 조작의 시작점 y좌표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면의 좌측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을 행한 경우, 표시면의 좌측 단부를 시작점으로 해서 메뉴를 표시한다.
이어서, 무효 영역의 설정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오조작이 발생하기 쉬운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휴대형 장치(1)를 오른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메뉴 중 영역 P를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려고 한 경우, 영역 Q를 손바닥(엄지 손가락의 밑동 부분)으로 잘못 터치하기 쉽다.
계속해서, 무효 영역의 설정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무효 영역 T는 오른손으로 파지했을 때에 설정되는 무효 영역으로, 오조작되기 쉬운 영역 Q(도 3 참조)를 포함하도록, 메뉴보다도 하측(y축 정방향측)의 표시면의 우측 하방 근방으로 설정된다. 도 4의 예에서는, 무효 영역 T의 높이를 D/N이라고 하고, 폭을 W/M이라고 하였다. 또한, N 및 M은 모두 1 이상의 정수이다. 이상에서, 무효 영역 T의 범위는,
(N×X0-W)/N<X<X0, ((N-1)×Y0+Y1)/N<Y<Y0
이라고 표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각형 형상의 무효 영역 T'도 오조작되기 쉬운 영역 Q를 포함하도록, 메뉴보다도 하측으로 설정된다. 무효 영역 T'는 도 4의 무효 영역 T와 비교해서 메뉴에 가까운 측의 영역을 넓게 커버하므로, 보다오조작이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무효 영역 T 및 T'는 모두 영역 Q를 커버하면서, 그 높이는 메뉴에 도달하지 않는 높이이며, 그 폭은 메뉴의 폭 W 이하이다. 이에 의해, 오조작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무효 영역 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왼손 파지일 때의 무효 영역은,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메뉴보다 하측의 파지손 측(표시면의 좌측 하방 모퉁이)으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무효 영역은 파지손에 따른 영역이며, 오조작이 발생하기 쉬운 영역을 커버하는 것이면 되고, 그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무효 영역은, 상기 예와 같이, 파지손에 따른 특히 오조작이 발생하기 쉬운 영역만을 커버하고, 필요 이상으로 넓게 설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면의 변을 따라서 띠 형상의 무효화 영역을 설정하고 있는 특허문헌 1(상기 문헌의 도 3, 도 7 등)의 기술과 비교하여, 무효 영역을 설정한 상태에서도 넓은 범위에서 유저의 입력 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파지손 판정 방법>
파지손 판정 방법에 대해서, 메뉴 표시 조작의 궤적을 도시하는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조작은 표시면의 우측 단부 또는 좌측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다. 이로 인해, 오른손으로 메뉴 표시 조작을 행했을 때의 궤적은, 상기 도면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면의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 L11, 또는 표시면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 하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 L12로 된다. 한편, 왼손으로 메뉴 표시 조작을 행했을 때의 궤적은, 상기 도면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면의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하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 L14, 또는 표시면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 상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 L13으로 된다. 이하에서는,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을 우측 상승의 궤적이라고 칭하고,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 하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을 좌측 하강의 궤적이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하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을 우측 하강의 궤적이라고 칭하고,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 상방을 향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을 좌측 상승의 궤적이라고 칭한다.
이상에서, 메뉴 표시 조작의 궤적이 우측 상승 또는 좌측 하강(기울기가 정)이면 파지손은 오른손이라고 추정하고, 우측 하강 또는 좌측 상승(기울기가 부)이면 파지손은 왼손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메뉴 표시 조작을 해석하여, 그 궤적의 기울기를 특정할 수 있으면 파지손을 판정할 수 있다.
<휴대형 장치(1)가 실행하는 무효 영역 설정 처리>
도 7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에서는, 입력부(112)가 메뉴 표시 지시를 접수하고(S101), 조작 판정부(121)가 메뉴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접수한 취지를 메뉴 표시부(122)에 통지한다. 또한, 조작 판정부(121)는 메뉴를 표시시키는 조작의 궤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조작 기록부(123)에 보낸다. 그리고, 메뉴 표시부(122)는 메뉴를 표시부(111)에 표시한다(S102; 표시 스텝). 또한, 조작 기록부(123)는 조작의 궤적을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를 조작 데이터(131)로서 기록하고(S103), 그 취지를 조작 해석부(124)에 통지한다.
이어서, 조작 해석부(124)는 조작 데이터(131)를 해석하고(S104), 궤적에 일정 이상의 기울기가 있는지를 판정한다(S105). 여기서, 일정 이상의 기울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S105에서 "아니오"),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일정 이상의 기울기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S015에서 "예")에는, 조작 해석부(124)는 궤적의 기울기가 우측 상승 또는 좌측 하강인지를 판정하고(S106), 이 판정의 결과를 파지손 판정부(125)에 통지한다.
여기서, 궤적의 기울기가 우측 상승 또는 좌측 하강이라고 판정된 경우(S106에서 "예")에는, 그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파지손 판정부(125)가 파지손 판정 조건(133)에 따라서, 파지손이 오른손이라고 판정한다(S107; 파지손 판정 스텝). 그리고, 파지손 판정부(125)는, 이 판정 결과를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하고,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표시면의 오른손 측에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S108; 무효 영역 설정 스텝). 한편, 궤적의 기울기가 좌측 상승 또는 우측 하강이라고 판정된 경우(S106에서 "아니오")에는, 그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파지손 판정부(125)가 파지손 판정 조건(133)에 따라서, 파지손이 왼손이라고 판정한다(S109; 파지손 판정 스텝). 그리고, 파지손 판정부(125)는, 이 판정 결과를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하고,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표시면의 왼손 측에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S110; 무효 영역 설정 스텝). 이와 같이, 파지손에 따른 무효 영역을 설정한 후,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무효 영역 설정 처리는 표시하는 대상에 착안하면, 메뉴를 표시할 때에, 파지손의 판정 결과에 따른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처리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접수한 입력 조작에 착안하면,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메뉴를 표시시키는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파지손의 판정 결과에 따른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처리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형 장치(1)는, 메뉴를 표시하는 타이밍(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 행하여진 타이밍)에서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 즉, 휴대형 장치(1)는 엄지 손가락의 밑둥 부근이 표시면에 닿음에 의한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무효 영역을 설정할 필요성이 높은 상태로 되었을 때(메뉴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와 같은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을 때에는 무효 영역을 설정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항상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과 비교하여, 표시 화면의 전체면에서 입력 조작을 접수 가능한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하는 오브젝트는 입력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것이면 되고, 메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은, 화면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화면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휴대형 장치(1)가 상기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방식으로 파지손 판정을 행하여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의 좌측 흐름도에서는, 도 7의 예와 마찬가지로, 우선 메뉴의 표시 조작을 접수하고(S101), 메뉴를 표시한다(S102).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112)가 표시면에 대한 터치 조작을 접수하면(S203), 조작 판정부(121)는 표시면 상에서 손가락이 닿은 영역인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조작 기록부(123)에 보낸다(S203). 그리고, 조작 기록부(123)는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를 조작 데이터(131)로서 기억부(13)에 기록하고(S204), 그 취지를 조작 해석부(124)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무효 영역 설정 처리가 행하여진다(S205). 그리고, 무효 영역 설정 처리에 의해 무효 영역이 설정된 경우,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무효 영역을 해제할지를 판정한다(S206). S206에서는, 예를 들어 무효 영역을 해제하는 유저 조작, 메뉴의 표시 종료, 또는 표시한 메뉴에 의해 조작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행 종료 등이 검출되었을 때에, 무효 영역을 해제한다고 판정해도 좋다. 여기서, 무효 영역을 해제한다고 판정한 경우(S206의 "예")에는,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조작 판정부(121)에 지시해서 무효를 해제시키고(S207), 이에 의해 처리는 종료된다.
계속해서, S205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에서는, 우선 조작 해석부(124)가 조작 데이터(131)를 해석하고, S203에서 접수한 조작이 메뉴에 대한 조작 #1인지를 판정한다(S208). 구체적으로는, 조작 데이터(131)가 나타내는 터치 위치가,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조작 #1이라고 판정하고,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조작 #1이 아니라고 판정한다.
여기서, 조작 #1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S208에서 "아니오"), 무효 영역 설정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조작 #1이라고 판정한 경우(S208에서 "예")에는, 조작 해석부(124)는 조작 데이터(131)를 더 해석하고, 파지손 판정의 대상으로 되는 터치 영역이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209). 여기에서는,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터치 영역과는 다른 터치 영역이 기록되어 있으면 "예"라고 판정하고,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아니오"라고 판정한다. 즉, S209에서는 메뉴 이외에 대한 터치 조작 #2가 행하여졌는지를 판정한다.
S209에서, 파지손 판정의 대상으로 되는 터치 영역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209에서 "아니오")에는, 무효 영역 설정 처리는 종료된다. 이 경우에는, 휴대형 장치(1)가 양손으로 파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편, 기록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S209에서 "예")에는, 조작 해석부(124)는 파지손 판정의 대상으로 되는 터치 영역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좌표)와 함께, 그 취지를 파지손 판정부(125)에 통지한다.
이어서, 파지손 판정부(125)는 조작 해석부(124)로부터 통지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의 무게 중심이 오른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기대 접촉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한다(S210). 여기서, 기대 누름 영역이란, 메뉴에 대한 입력 조작 시에 유저의 손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서 미리 설정된 표시면 상의 영역이며, 오른손으로 파지한 경우에 손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오른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과,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에 손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왼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영역 Q를 포함하는 표시면 우측 하방 모퉁이의 영역을 오른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으로 해도 좋고, 왼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은 오른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과 마찬가지 형상인 표시면 좌측 하방 모퉁이의 영역으로 해도 좋다. 또한, 기대 누름 영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는, 그 범위가 오른손 파지(오른손 측)에 대응하는지, 왼손 파지(왼손 측)에 대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대응시킨 파지손 판정 조건(133)으로서 기억부(13)에 기록해 두면 된다.
기대 누름 영역은, 유저가 휴대형 장치(1)를 한손으로 파지할 때에, 휴대형 장치(1)의 파지손 측의 모서리 부분(엄지 손가락의 밑둥 부근. 도 3 참조.)을 커버하도록 설정하면 좋고,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무효 영역과 마찬가지의 범위로 해도 좋다. 즉, 오른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을,
(N×X0-W)/N<X<X0, ((N-1)×Y0+Y1)/N<Y<Y0
으로 설정해도 좋다(도 4 참조). 왼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기대 누름 영역은 메뉴에 대한 입력 조작 시에 손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의 무효 영역과 같이, 휴대형 장치(1)의 파지손 측의 모서리(우측 하방 모서리 또는 좌측 하방 모서리)로부터 메뉴를 향함에 따라서 광폭으로 되는 영역을 기대 누름 영역으로 해도 좋다. 기대 누름 영역의 형상도 무효 영역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및 오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다리꼴, 원형, 삼각형 및 육각형 이상의 다각형 등이어도 좋다. 또한, 기대 누름 영역과 무효 영역은 동일한 영역이어도 좋고, 상이한 영역이어도 좋다.
여기서, 파지손 판정 조건(133)에 따라서 터치 영역의 무게 중심이 오른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 내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S210의 "예")에는, 파지손 판정부(125)는 오른손 파지라고 판정한다(S211; 파지손 판정 스텝). 그리고, 파지손 판정부(125)는 이 판정 결과를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하고,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표시면의 오른손 측에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S212; 무효 영역 설정 스텝). 한편, 터치 영역의 무게 중심이 왼손 측의 기대 누름 영역 내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S212에서 "아니오")에는, 왼손 파지라고 판정하고(S213; 파지손 판정 스텝) 그 취지를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하고,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표시면의 왼손 측에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S214; 무효 영역 설정 스텝). 이와 같이, 파지손에 따른 무효 영역을 설정한 후, 처리는 종료된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휴대형 장치(1)가, 상기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방식으로 파지손 판정을 행하여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도 9 및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형 장치(1)를 오른손 파지하고 있을 때에는, 엄지 손가락의 밑동에 가까운 휴대형 장치(1)의 모서리(도 9의 (a)에서 원으로 둘러싼 모서리)가 다른 모서리보다도 연직 하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휴대형 장치(1)가 우측 하강으로 기운다. 한편, 왼손 파지일 때에는,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하강으로 기운다. 이것은, 한 손으로 확실하게 휴대형 장치(1)를 유지하면서 조작하기 위해서는, 겨드랑이를 붙이고, 팔꿈치를 몸측면에 밀착시켜서 고정할 필요가 있고, 또한 손바닥과 휴대형 장치(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휴대형 장치(1)의 좌우측 단부를, 손바닥의 엄지 손가락의 밑동 부분(엄지 손가락 내전근)과, 새끼손가락·약지·중지·집게 손가락의 제1 간접으로, 휴대형 장치(1)의 한쪽의 단부를 손바닥 하부를 따르게 하는 형태로 끼워 넣도록 유지하면서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휴대형 장치(1)의 좌우측 단부 중 어느 한 쪽을 하측 방향을 향하게 됨에 의한다.
본 실시 형태의 파지손 판정 방법은 이를 이용한 것으로, 휴대형 장치(1)가 소정 시간 이상 우측 하강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오른손 파지, 소정 시간 이상 좌측 하강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왼손 파지라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이상 우측 하강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과, 오른손 파지가 대응되어져, 소정 시간 이상 좌측 하강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과, 왼손 파지가 대응지어진 파지손 판정 조건(133)을 사용해서 파지손 판정을 행한다. 또한, 기울기는 기울기 센서(100)(도 1 참조)에 의해 계측된 데이터로부터 산출된다.
도 10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에서는, 도 7의 예와 마찬가지로 우선 메뉴의 표시 조작을 접수하고(S101) 메뉴를 표시한다(S102). 조작 판정부(121)는 메뉴의 표시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한 경우, 파지손 판정부(125)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이 통지를 수신한 파지손 판정부(125)는, 기울기 센서(100)가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휴대형 장치(1)의 기울기를 검출하고(S303), 그 기울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소정 시간 기록한다(S304). 소정 시간의 기록이 완료되었을 때에, 파지손 판정부(125)는 기록한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형 장치(1)가 기울어져 있는지를 판정한다(S305). 구체적으로는, 우측 하강 또는 좌측 하강 중 어느 하나로 기울어져 있는 시간이 소정의 하한 시간 이상이면 기울어져 있다고 판정한다. 여기서, 기울어져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S305에서 "아니오"), 무효 영역을 설정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기울어져 있다고 판정한 경우(S305에서 "예"), 기울기가 우측 하강인지를 판정한다(S306).
여기서, 기울기가 우측 하강이라고 판정한 경우(S306에서 "예")에는, 파지손 판정부(125)는 파지손 판정 조건(133)에 따라서 오른손 파지라고 판정한다(S307; 파지손 판정 스텝). 그리고, 파지손 판정부(125)는 이 판정 결과를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하고,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표시면의 오른손 측에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S308; 무효 영역 설정 스텝). 한편, 좌측 하강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판정한 경우(S306에서 "아니오")에는 왼손 파지라고 판정하고(S309; 파지손 판정 스텝), 이 판정 결과를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해서 왼손 측에 무효 영역을 설정시킨다(S310; 무효 영역 설정 스텝). 이와 같이, 파지손에 따른 무효 영역을 설정한 후, 처리는 종료된다.
〔파지손 판정 방법의 다른 예〕
파지손 판정 방법의 다른 예를 도 11 및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상하 방향의 드래그 조작의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드래그 조작의 궤적의 해석에 의해 파지손을 판정하는 경우의 무효 영역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드래그 조작을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행하는 경우, 그 밑동을 지지점으로 해서 엄지 손가락이 움직여지는 결과, 표시면에 그려지는 궤적은 좌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의 드래그 조작을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행하는 경우, 표시면에 그려지는 궤적은 우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드래그 조작의 궤적이 어느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지를 특정함으로써, 파지손을 판정할 수 있다. 즉, 파지손 판정 조건(133)을, 드래그 조작의 궤적이 좌측으로 돌출된 호라면 오른손 파지이고, 우측으로 돌출된 호라면 왼손 파지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파지손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2의 흐름도에서는, 우선 조작 판정부(121)는 드래그 조작을 기다리고 있다(S401). 그리고, 입력부(112)가 접수한 조작의 궤적으로부터 드래그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했을 때(S401에서 "예")에, 그 궤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조작 기록부(123)에 송신하고, 조작 데이터(131)로서 기록시킨다(S402). 또한, 조작 기록부(123)는 조작 데이터(131)를 기록한 취지를 조작 해석부(124)에 통지한다.
이어서, 조작 해석부(124)는 조작 데이터(131)를 해석하고, 궤적이 원호 형상인지를 판단한다(S403). 여기서, 원호 형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S403에서 "아니오"), 무효 영역 설정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원호 형상이라고 판단한 경우(S403에서 "예"), 궤적이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호로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04).
여기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호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404에서 "예"), 조작 해석부(124)는 그 취지를 파지손 판정부(125)에 통지한다. 그리고, 파지손 판정부(125)는 파지손 판정 조건(133)에 따라서 오른손 파지 판정하고(S405; 파지손 판정 스텝), 이 판정 결과를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한다. 한편, S404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호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S404에서 "아니오"), 조작 해석부(124)는 그 취지를 파지손 판정부(125)에 통지한다. 그리고, 파지손 판정부(125)는 파지손 판정 조건(133)에 따라서 왼손 파지라고 판정하고(S406; 파지손 판정 스텝), 이 판정 결과를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한다.
그 후, 조작 판정부(121)가 메뉴를 표시시키는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단했을 때(S407에서 "예")에는, 그 취지를 메뉴 표시부(122) 및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통지하고, 처리는 S408로 진행한다. 한편, 메뉴를 표시시키는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으면 S401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메뉴 표시 조작을 행하기 직전의 파지손에 따른 무효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S408에서는, 메뉴 표시부(122)는 메뉴를 표시한다. 그리고,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파지손 판정부(125)로부터의 최후의 통지 내용에 기초하여, 왼손 파지인지를 확인하고(S409; 파지손 판정 스텝), 왼손 파지라면 왼손 측에 무효 영역을 설정하고(S410; 무효 영역 설정 스텝), 오른손 파지라면 오른손 측에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S411; 무효 영역 설정 스텝). 이에 의해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기울기의 검출 및 파지손의 판정은 메뉴의 표시 전에 행해두어도 좋다. 이에 의해, 메뉴의 표시로부터 무효 영역 설정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메뉴의 표시와 동시에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무효 영역의 해제)
무효 영역의 해제에 대해서,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3의 흐름도는 무효 영역이 설정된 후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무효 영역을 설정한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무조작 시간 계측부(129)에 무조작 시간을 계측하도록 지시하고, 무조작 시간 계측부(129)는 이 지시에 따라서 무조작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501). 또한, 무조작 시간이란, 입력부(112)에 대한 입력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상태의 계속 시간이다.
그리고, 무조작 시간 계측부(129)는 무조작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S502),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S502에서 "예")에, 무효 영역 설정부(126)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이 통지를 수신한 무효 영역 설정부(126)는 조작 판정부(121)에 지시해서 무효 영역의 설정을 해제시키고(S503), 이에 의해 무효 영역 해제 처리는 종료된다.
(변형예)
드래그 조작의 궤적에 기초하여 파지손을 판정하는 방법은,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드래그 조작을 행하였을 때의 궤적과, 왼손으로 드래그 조작을 행하였을 때의 궤적을 판정용 궤적으로서 사전에 등록해 두고, 등록된 궤적과 검출된 드래그 조작의 궤적의 패턴 매칭에 의해 파지손을 판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개시한 파지손 판정 방법을 병용하여, 미리 정한 우선도가 높은 판정 방법으로부터 순서대로 적용하고, 처음 나온 파지손 판정 결과를 채용하면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울기로부터는 파지손을 판정하지 못한 경우에, 드래그 조작의 궤적으로부터 파지손을 판정하여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현예)
휴대형 장치(1)의 제어 블록(특히 제어부(12))은 집적 회로(IC 칩)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해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후자의 경우, 휴대형 장치(1)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 상기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컴퓨터(또는 CPU)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ROM(Read Only Memory) 또는 기억 장치(이들을 「기록 매체」라고 칭함),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또는 CPU)가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어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한 논리 회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서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정리)
본 발명의 형태 1에 따른 휴대형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로서, 소정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면의 일부 영역에 입력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입력 대상 오브젝트(메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메뉴 표시부(122))과, 상기 휴대형 장치가 오른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왼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파지손 판정 수단(파지손 판정부(125))과,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의 표시 중에,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며,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른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무효 영역 설정 수단(무효 영역 설정부(12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력 대상 오브젝트(이하, 필요에 따라서 오브젝트라고 약칭함)의 표시 중에, 파지손의 판정 결과에 따른 영역을, 상기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무효 영역으로 설정하므로,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 조작을 행할 때에 오브젝트 이외의 영역에 잘못 닿아버림으로 인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표시 중에 무효 영역을 설정하기 때문에, 오브젝트가 표시되기까지의 기간, 표시면의 전체면에서의 입력 조작의 접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2에 따른 휴대형 장치(1)는, 상기 형태 1에서, 상기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표시면에서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기 휴대형 장치를 파지하는 유저측이며, 또한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이 판정한 파지손 측 근방의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휴대형 장치가 한손으로 파지되고, 그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경우에 적합한 무효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에 따른 휴대형 장치(1)는, 상기 형태 1 또는 2에서, 상기 소정의 입력 조작은 상기 표시면에 대하여 소정의 궤적을 그리는 입력 조작이며,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은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를 표시시킨 입력 조작의 궤적으로부터 휴대형 장치의 파지손을 판정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오브젝트를 표시시킨 입력 조작의 궤적을 이용해서 파지손을 판정하므로, 파지손 판정을 위한 특별한 구성이 불필요해지고, 또한 파지손 판정을 위한 조작을 유저에게 행하게 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오브젝트의 표시와 동시에 무효 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형태 4에 따른 휴대형 장치(1)는, 상기 형태 1 또는 2에서,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은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 조작과 동시 또는 상기 입력 조작과 연속해서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하여 오른손으로 입력 조작할 때에 유저의 손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서 미리 상기 표시면에 설정된 기대 접촉 영역과,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하여 왼손으로 입력 조작할 때에 유저의 손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서 미리 상기 표시면에 설정된 기대 접촉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접촉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 어느 기대 접촉 영역에 접촉이 있었는지에 따라서 휴대형 장치의 파지손을 판정하고, 상기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은 접촉이 검출된 기대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파지손 판정을 위한 특별한 구성이 불필요하며, 또한 파지손 판정을 위한 조작을 행하게 할 필요도 없이 기대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무효 영역으로 하므로,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 조작 시의 오조작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5에 따른 휴대형 장치(1)는, 상기 형태 1 또는 2에서, 상기 휴대형 장치(1)의 기울기를 계측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은 상기 기울기 검출부에 의해 계측된 기울기로부터 상기 휴대형 장치(1)의 파지손을 판정한다. 여기서, 휴대형 장치(1)를 한손으로 파지하면서 조작하고 있을 때에는, 휴대형 장치(1)는 파지손에 따라서 기운 상태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휴대형 장치(1)가 한손으로 조작되고 있는 상태에서의 파지손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6에 따른 휴대형 장치(1)는, 상기 형태 1 또는 2에서,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은 상기 표시면에 대한 상하 방향의 드래그 조작의 궤적이 좌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오른손 파지라고 판정하고, 우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왼손 파지라고 판정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센서 등의 특별한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 파지손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7에 따른 휴대형 장치(1)는, 상기 형태 1 내지 6 중 어느 1 형태에서, 상기 무효 영역 설정 수단에 의해 무효 영역이 설정된 후, 입력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무효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무효 영역 설정부(126))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오브젝트를 표시했지만, 표시한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 자동으로 무효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고, 입력면을 넓게 사용한 입력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8에 따른 휴대형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이며, 상기 표시면의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휴대형 장치가 오른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왼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파지손 판정 수단과,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이 파지손을 판정했을 때에, 파지손의 판정 결과에 따른 상기 표시면 상의 영역을, 상기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이 무효로 되는 무효 영역으로 설정하는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 10에 따른 제어 방법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1)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표시면의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휴대형 장치(1)가 오른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왼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파지손 판정 스텝(S107, S109; S211, S213; S307, S309; S405, S406)과, 상기 파지손 판정 스텝에서 파지손을 판정했을 때에, 파지손의 판정 결과에 따른 상기 표시면 상의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무효 영역 설정 스텝(S108, S110; S212, S214; S308, S310; S409, S410, S411)을 포함하고 있다. 표시면의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은 화면 외에 있는 것을 화면 내로 인입하는 것을 상기시키므로, 새로운 선택 대상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에 할당되는 경우가 많다. 즉, 표시면의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이 행하여진 후에는, 이 조작에 의해 새롭게 표시된 선택 대상에 대한 입력 조작이 행하여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 입력 조작 시에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영역에 잘못 접촉해버림에 의한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면의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조작의 궤적으로부터 파지손을 판정하고, 이 판정을 행했을 때에 파지손의 판정 결과에 따른 무효 영역을 설정한다. 즉,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타이밍에서 무효 영역을 설정하므로, 입력 조작의 접수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형태에 따른 휴대형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휴대형 장치가 구비하는 각 수단으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휴대형 장치를 컴퓨터로 실현시키는 휴대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개시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휴대형 장치
100 기울기 센서(기울기 검출부)
122 메뉴 표시부(표시 수단)
125 파지손 판정부(파지손 판정 수단)
126 무효 영역 설정부(무효 영역 설정 수단, 해제 수단)
100 기울기 센서(기울기 검출부)
122 메뉴 표시부(표시 수단)
125 파지손 판정부(파지손 판정 수단)
126 무효 영역 설정부(무효 영역 설정 수단, 해제 수단)
Claims (8)
-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로서,
소정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면의 일부 영역에, 입력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입력 대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 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휴대형 장치가 오른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왼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파지손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입력 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후에,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며, 또한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른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도록 설정하는 무효 영역 설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상기 영역의 위치를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표시면에서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기 휴대형 장치를 파지하는 유저측이며, 또한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이 판정한 파지손 측 근방의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입력 조작은 상기 표시면에 대하여 소정의 궤적을 그리는 입력 조작이며,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은,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를 표시시킨 입력 조작의 궤적으로부터 휴대형 장치의 파지손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형 장치로서,
소정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상기 표시면의 일부 영역에, 입력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입력 대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휴대형 장치가 오른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왼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파지손 판정 수단과,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의 표시 중에,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며,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른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무효 영역 설정 수단
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은,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 조작과 동시 또는 상기 입력 조작과 연속해서,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하여 오른손으로 입력 조작할 때에 유저의 손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서 미리 상기 표시면에 설정된 기대 접촉 영역과,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하여 왼손으로 입력 조작할 때에 유저의 손가락이 닿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서 미리 상기 표시면에 설정된 기대 접촉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접촉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 어느 기대 접촉 영역에 접촉이 있었는지에 따라서 휴대형 장치의 파지손을 판정하고,
상기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은, 접촉이 검출된 기대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영역 설정 수단은,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 대상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기 휴대형 장치를 파지하는 유저측이며, 또한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이 판정한 파지손 측 근방의 영역에 대한 입력 조작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장치의 기울기를 계측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은, 상기 기울기 검출부에 의해 계측된 기울기로부터, 상기 휴대형 장치의 파지손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손 판정 수단은, 상기 표시면에 대한 상하 방향의 드래그 조작의 궤적이 좌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오른손 파지라고 판정하고, 우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왼손 파지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영역 설정 수단에 의해 무효 영역이 설정된 후, 입력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무효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48258 | 2013-03-11 | ||
JP2013048258A JP5965339B2 (ja) | 2013-03-11 | 2013-03-11 | 携帯型装置 |
PCT/JP2014/054166 WO2014141856A1 (ja) | 2013-03-11 | 2014-02-21 | 携帯型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8478A KR20150068478A (ko) | 2015-06-19 |
KR101679158B1 true KR101679158B1 (ko) | 2016-11-23 |
Family
ID=5153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2474A KR101679158B1 (ko) | 2013-03-11 | 2014-02-21 | 휴대형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301713A1 (ko) |
JP (1) | JP5965339B2 (ko) |
KR (1) | KR101679158B1 (ko) |
CN (1) | CN104781769B (ko) |
DE (1) | DE112014001224T5 (ko) |
WO (1) | WO20141418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521B1 (ko) * | 2013-05-14 | 2020-10-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2015038695A (ja) * | 2013-08-19 | 2015-02-26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US9317183B2 (en) * | 2013-08-20 | 2016-04-19 | Google Inc. | Presenting a menu at a mobile device |
KR20160024575A (ko) * | 2014-08-26 | 2016-03-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를 잠금해제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JP6458513B2 (ja) * | 2015-01-30 | 2019-01-3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
JPWO2017006394A1 (ja) * | 2015-07-03 | 2017-07-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情報処理システム |
US10248311B2 (en) * | 2015-07-06 | 2019-04-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virtual keyboard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virtual keyboard |
CN106569713B (zh) * | 2016-10-31 | 2020-07-17 | 南京云岸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触控区域调整装置、方法及终端 |
JP6627795B2 (ja) * | 2017-02-08 | 2020-01-08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方法 |
JP2018151852A (ja) * | 2017-03-13 | 2018-09-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
JP6631582B2 (ja) * | 2017-04-18 | 2020-01-15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方法 |
CN108594995A (zh) * | 2018-04-13 | 2018-09-28 |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手势识别的电子设备操作方法及电子设备 |
JP7491232B2 (ja) | 2021-02-05 | 2024-05-28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制御装置及び車両用制御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69820A (ja) | 2008-01-18 | 2009-07-30 | Panasonic Corp | 携帯端末 |
JP2010182071A (ja) * | 2009-02-05 | 2010-08-19 | Sharp Corp | 携帯情報端末 |
JP2011028603A (ja) * | 2009-07-28 | 2011-02-10 |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2012155675A (ja) * | 2011-01-28 | 2012-08-16 | Panasonic Corp | タッチパネル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26789B2 (ja) * | 2010-01-08 | 2014-06-18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JP5370259B2 (ja) * | 2010-05-07 | 2013-12-18 |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型電子機器 |
US8674959B2 (en) * | 2010-06-28 | 2014-03-18 | Intel Corporation |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
JP5263355B2 (ja) * | 2010-09-22 | 2013-08-14 | 株式会社ニコン |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
JP2012108674A (ja) * | 2010-11-16 | 2012-06-07 | Ntt Docomo Inc | 表示端末 |
JP5729756B2 (ja) * | 2011-02-18 | 2015-06-03 |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2778969B (zh) * | 2011-05-13 | 2015-12-09 | 联想移动通信科技有限公司 | 触摸式移动终端及其运行方法 |
WO2012176371A1 (ja) * | 2011-06-24 | 2012-12-27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携帯機器 |
JP5790203B2 (ja) * | 2011-06-29 | 2015-10-07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
CN102591576B (zh) * | 2011-12-27 | 2014-09-17 | 华为终端有限公司 | 一种手持设备及触摸响应方法 |
KR20130102298A (ko) * | 2012-03-07 | 2013-09-17 | 주식회사 팬택 |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KR101496512B1 (ko) * | 2012-03-08 | 2015-0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2013
- 2013-03-11 JP JP2013048258A patent/JP596533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2-21 WO PCT/JP2014/054166 patent/WO201414185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2-21 DE DE112014001224.6T patent/DE112014001224T5/de not_active Ceased
- 2014-02-21 US US14/440,636 patent/US2015030171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2-21 KR KR1020157012474A patent/KR1016791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2-21 CN CN201480003023.6A patent/CN10478176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69820A (ja) | 2008-01-18 | 2009-07-30 | Panasonic Corp | 携帯端末 |
JP2010182071A (ja) * | 2009-02-05 | 2010-08-19 | Sharp Corp | 携帯情報端末 |
JP2011028603A (ja) * | 2009-07-28 | 2011-02-10 |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2012155675A (ja) * | 2011-01-28 | 2012-08-16 | Panasonic Corp | タッチパネル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4001224T5 (de) | 2016-01-07 |
KR20150068478A (ko) | 2015-06-19 |
JP2014174829A (ja) | 2014-09-22 |
US20150301713A1 (en) | 2015-10-22 |
CN104781769A (zh) | 2015-07-15 |
JP5965339B2 (ja) | 2016-08-03 |
WO2014141856A1 (ja) | 2014-09-18 |
CN104781769B (zh) | 2018-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9158B1 (ko) | 휴대형 장치 | |
EP3514667B1 (en) | Method and terminal for preventing false touch | |
JP5726754B2 (ja) | 携帯情報端末、入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EP2461242A1 (en) |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US20110122080A1 (en) |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20150193112A1 (en) | User interface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program | |
JPWO2013187370A1 (ja) | 端末装置 | |
US9395838B2 (en) | Input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 |
US20170075453A1 (en) |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 |
CN111352524B (zh) | 信息输入装置 | |
JP2010211323A (ja) | 入力システム、携帯端末、入出力装置、入力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入力システムの制御方法 | |
JP5995171B2 (ja) |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JP2010250455A (ja) | 携帯端末装置及び入力装置 | |
EP3568745B1 (en) | Hover interaction using orientation sensing | |
JP6034140B2 (ja) |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119291B2 (ja) |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5049837A (ja) | 携帯端末装置 | |
JP5878850B2 (ja) | 携帯情報装置、携帯情報装置用プログラム、携帯情報装置用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および、携帯情報装置の操作方法 | |
US11893229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ne-hand touch operation method thereof | |
JP2016186824A (ja)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15156153A (ja) | 携帯端末 | |
JP2016038738A (ja) | 表示装置 | |
JP2015135612A (ja) | 電子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