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332B1 -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332B1
KR101677332B1 KR1020140145177A KR20140145177A KR101677332B1 KR 101677332 B1 KR101677332 B1 KR 101677332B1 KR 1020140145177 A KR1020140145177 A KR 1020140145177A KR 20140145177 A KR20140145177 A KR 20140145177A KR 101677332 B1 KR101677332 B1 KR 10167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lever
combine
automatic switch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125A (ko
Inventor
강영선
김수경
이관호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3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1Automatic heade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5Header lif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01D57/02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using reels
    • A01D57/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크릴 및 예취부의 조작이 간편한 콤바인의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는, 콤바인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주변속레버(42)에 설치되는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와; 상기 주변속레버에 설치되어 레이크릴의 수동으로 승하강시키는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 콤바인의 조향 제어 및 예취부의 승하강을 위한 파워스티어링레버(44); 상기 수동스위치(42a) 및 자동스위치(42b), 그리고 파워스티어링레버(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압실린더 및 제2유압실린더에 각각 공급되는 오일을 제어하는 밸브체(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42b)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하강하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상승하도록 밸브체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cutting portion and rake reel in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크릴 및 예취부의 승하강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은 일반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기초로 하여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주행 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 그리고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탈곡하는 탈곡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예취부는, 예취프레임의 내부에 작물을 잡아 당기기 위한 레이크릴과, 상기 레이크릴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작물을 절단하는 예취날, 그리고 예취날에 의하여 절단된 곡간을 탈곡부로 이송하기 위한 예취오거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콤바인의 운전석에는, 무단 변속 장치인 HST의 조작과 관련되고 주행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속장치와, 트랜스미션의 조작과 관련되고 주행 단수를 제어하는 부변속 장치, 그리고 조향을 담당하는 파워스티어링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콤바인에서 상술한 예취부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예취프레임 자체가 일점을 지지축으로 하여 전방부분이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취부를 구성하는 레이크릴도 예취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취프레임 및 레이크릴의 승하강은 작업 상태에 따라서 그리고 주행 및 파킹 상태에 따라서 그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파킹 상태에서는, 예취프레임 및 레이크릴을 가장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행 상태에서는 예취프레임을 일정한 높이, 예를 들면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시킨 후 운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실제 작업 시에는 작업 대상 작물의 높이에 적합하도록 예취프레임 및 레이크릴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예취프레임을 승하강 시키는 것은 파워스티어링레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레이크릴의 승하강은 별도의 레버를 통하여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콤바인의 주행 상황에서는 오른손은 파워스티어링레버를 그리고 왼손은 주변속레버를 잡은 상태로 운전해야 한다. 그러나 콤바인의 조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을 위해서는 예취프레임 및 레이크릴을 조작해야 하는데, 이러한 조작을 위해서 각각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 또는 레버 등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그리고 일본 특허 제4111051호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행속도를 변속 제어하는 주변속레버에 레이크릴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릴승강스위치를 설치하고, 예취프레임의 승하강 및 좌우 조향을 제어하는 부변속레버에는 레이크릴을 수동으로 상하 움직이는 수동 우선의 수동 상하 스위치를 설치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릴승강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 위치까지 레이크릴을 하강시키는 기술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제안하는 레이크릴 및 예취프레임의 조작 기구 만으로는 충분한 사용편의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파킹 상태에서 주행, 그리고 작업지에서의 작업을 수행할 때의 각각의 예취프레임과 레이크릴의 상태를 고려하여, 가장 편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예취프레임과 레이크릴을 원하는 위치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착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콤바인의 여러 가지 상태를 고려하여, 예취프레임과 레이크릴의 이동을 아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하강장치는,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작물을 잡아당기며 제2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레이크릴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적용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콤바인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주변속레버에 설치되는 레이크릴 자동스위치와; 상기 주변속레버에 설치되어 레이크릴의 수동으로 승하강시키는 레이크릴 수동스위치; 콤바인의 조향 제어 및 예취부의 승하강을 위한 파워스티어링레버; 상기 수동스위치 및 자동스위치, 그리고 파워스티어링레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압실린더 및 제2유압실린더에 각각 공급되는 오일을 제어하는 밸브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하강하도록 밸브체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상승하도록 밸브체를 제어한다.
그리고 레이크릴의 하강은, 레이크릴의 최저점까지 수행되거나, 자동스위치의 온 상태인 동안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이크릴의 승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까지 수행되거나, 레이크릴의 최고점까지 수행되거나, 자동스위치의 온 상태인 동안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및 작업이 완료된 경우, 레이크릴 수동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푸쉬스위치로 구성되어 터치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자동스위치에 의하여 레이크릴이 자동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승하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이 완료되어 예취부가 상승하게 되면 레이크릴은 자동으로 하강하게 되고, 작업의 시작을 위하여 예취부가 하강하면 레이크릴은 자동으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양손 조작 없이, 간단한 온오프 조작에 의하여 콤바인의 레이크릴 및 예취부를 소정의 위치로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작업 전후의 콤바인의 조작성이 보다 쉽고 간편해지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의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콤바인의 운전석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하강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승하강 장치가 적용되는 콤바인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엔진에서의 구동력에 의한 주행하는 한 쌍의 크롤러로 구성되는 주행부(12)와, 상기 주행부에 의한 주행 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20), 그리고 상기 예취부(20)에서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행부(12), 예취부(20), 그리고 탈곡부(14)는 콤바인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10)에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예취부(20)는, 콤바인의 주행과 더불어 작물을 예취하고, 예취된 작물을 모아서 피더(16)를 통하여 탈곡부(14)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예취부(20)는,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측벽(21)을 구비하는 예취프레임(22)과, 상기 예취프레임(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이크릴(24)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예취프레임(22)은 본체프레임에 일점을 중심으로 지지되고 있고, 본체프레임(10)에 지지되고 있는 제1유압실린더(32)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음은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레이크릴(24) 자체도 예취프레임(22)에 지지되고 있는 제2유압실린더(34)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고, 이러한 구성 역시 공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콤바인의 운전석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운전석의 좌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속레버(42)가 설치되어 있고, 운전석의 정면 우측에는 조향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스티어링레버(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변속레버(42)의 주기능, 예를 들면 HST를 제어하는 것에 의한 속도 제어 기능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파워스티어링레버(44)도 종래와 같이, 조향을 제어하면서 예취부(20)의 승하강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좌우 방향 조작은 콤바인의 주행 시 조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방향의 조작은 상기 제1유압실린더(32)를 구동시킴으로써 예취부(20) 전체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을 같이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승하강 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변속레버(42)에는 예를 들면 전후 이동에 의한 속도 제어 이외에, 레이크릴(24)의 승하강을 위한 수동스위치(42a)와, 레이크릴의 자동 제어를 위한 자동스위치(4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스위치(42a)는,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레이크릴(24)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동스위치(42b)는 레이크릴(24)을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그 자체적으로는 동작하지 않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20)의 승하강시 같이 온(on)되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스위치(42b)는 온/오프 조작 가능한 스위치로 구성되며, 예취부(20)의 승하강 동작 시, 온 상태가 됨에 따라서 레이크릴(24)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3을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상기 주변속레버(42)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와 자동스위치(42b)는 제어부(50)와 신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파워스티어링레버(44) 역시 제어부(50)와 연결되어,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조작에 의한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50)는 조향 및 예취부(20)의 승하강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의 기능에 대하여 도 3에 기초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수동 조작에 의하여 레이크릴(24)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를 조작하면 된다. 예를 들어, 수동스위치(42a)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조작을 수행하면, 제어부(50)는 이러한 신호를 전달받아서 밸브체(52)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밸브체(52)는,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펌프(도시 생략)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상기 제1유압실린더(32) 및 제2유압실린더(34)로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체이다. 이러한 밸브체(52)의 내부에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가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제어부(50)에 의하여 제어(개폐)되는 것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32) 및 제2유압실린더(34)가 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 원리 자체는 현재 콤바인에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50)는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다수의 밸브(예를 들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52)를 통하여, 제1유압실린더(32) 및 제2유압실린더(34)를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유압실린더(32,34)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예취부(20) 또는 레이크릴(24)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를 조작하여 직접 원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레이크릴(2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본 발명에서는 예취부(20)의 승하강, 즉 제1유압실린더(32)를 제어하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조작과 동시에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를 더욱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스위치(42b)를 온시킨 상태, 즉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조작하여 예취부(20)를 승하강 시키게 되면, 상기 레이크릴(24)도 같이 구동하게 된다. 제1실시예로써, 상기 자동스위치(42b)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이용하여 예취부를 상승시키게 되면, 제어부(50)는 예취부(20)의 상승과 동시에 레이크릴(24)를 이동시키는 두 개의 명령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레이크릴(24)의 이동은 하강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파워스티어링레버(44)에 의하여 예취부(20)를 상승시키는 조작 및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가 되면, 제어부(50)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32)에 의하여 예취부(20)가 상승하도록 밸브체(52) 내부의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자동스위치(42b)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50)는 제2유압실린더(34)에 의하여 레이크릴(24)이 하강하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이크릴(24)의 하강은 상기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를 유지하는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면서,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유압실린더(34)를 통하여 레이크릴(24)이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레이크릴(24)의 하강이 자동스위치(42b)의 원터치조작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파워스티어링레버(44)가 조작되어 제1유압실린더(32)가 예취부를 상승하는 도중에 자동스위치(42b)의 신호가 입력되거나, 자동스위치(42b)의 신호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입력된 후,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는 밸브체(52)를 제어하여 제2유압실린더(34)가 레이크릴을 최저 높이에 이를 때까지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취부(20)가 상승할 때, 자동으로 레이크릴(24)을 하강시키는 제어방법은, 실질적으로 작업을 완료한 후 이동을 시작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즉, 작업 시 예취부(20) 및 레이크릴(24)은 작물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있는데, 작업이 완료된 후 이동을 위하여 예취부(2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자동스위치(42b)를 한 번 누르거나 누른 상태에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제어하여 예취부(20)를 상승시키면 자동으로 레이크릴(24)은 최소 높이까지 내려가서 예취부(20)에 가장 근접한 상태로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예취부(20)를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42b)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예취부(20)를 하강시킨다는 것은 콤바인의 이동이 완료되어 작업지에 도착한 경우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이 완료된 후, 예취부(20)를 하강시키는 조작을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통하여 수행하면서 자동스위치(42b)를 온상태로 조작하면(누르면) 제어부(50)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제어부(50)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통하여 예취부(20) 하강 신호에 따라서 제1유압실린더(32)가 하강하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예취부(20)가 하강하면서, 상기 자동스위치(42b)의 온신호에 의하여 제어부(50)는 제2유압실린더(34)가 레이크릴(24)를 상승시키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34)가 레이크릴(24)을 상승시킬 때, 레이크릴(24)의 상승 정도는 다음과 같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레이크릴(24)을 설정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실시예를 들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가장 필요한 높이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상술한 바와 같은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통한 예취부 하강 및 자동스위치(42b)의 온 신호가 같이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레이크릴(24)을 상승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써, 실질적으로 작업 시 가장 많이 설정된 위치까지 레이크릴(24)을 하강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50)가 콤바인에서 작업 시 가장 자주 설정되는 위치를 기억하거나 저장부에서 이를 읽어내어서, 그에 해당하는 위치로 레이크릴(24)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유압실린더(34)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예취부(20)의 하강과 동시에 자동스위치(42b)가 온상태로 조작되는 경우, 레이크릴(24)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레이크릴(24)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포지션센서)가 필요함은 당연하고, 이러한 위치센서는 실제로 공지된 것임과 동시에 콤바인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예취부(20)의 승하강 조작이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통하여 또는 다른 조작레버를 통하여 이루어지면서, 자동스위치(42b)가 조작되면 레이크릴(24)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취부(20)의 상승 시에는 레이크릴(24)이 하강하고, 예취부(20)의 하강 시에는 레이크릴(24)이 상승하도록 제어부(50)가 밸브체(52)를 제어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콤바인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파킹 상태를 제외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스위치의 조작은 실제로 원터치로 수행되거나 온/오프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어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오른손으로 조작하면서 왼손으로 손쉽게 자동스위치(42b)를 조작하는 것은 매우 간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가 주변속레버(4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수는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는 콤바인의 주행 또는 작업 시, 운전석에서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는 부분, 즉 주변속레버(42) 또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동스위치(42b)를 별도의 스위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스위치(42b)가 주변속레버(42) 또는 파워스티어링레버(44)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더라도, 주행 및 작업 시, 작업자는 한 손 또는 양 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온/오프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콤바인에서 레이크릴(24)의 승하강 시 가장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프레임
12 .... 주행부
14 ..... 탈곡부
16 ..... 피더
20 ..... 예취부
22 ..... 예취프레임
24 ..... 레이크릴
32 ..... 제1유압실린더
34 ..... 제2유압실린더
42 ..... 주변속레버
42a ..... 레이크릴 수동스위치
42b ..... 레이크릴 자동스위치
44 ..... 파워스티어링레버
50 ..... 제어부
52 ..... 밸브체

Claims (5)

  1. 본체프레임(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유압실린더(32)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예취부(20)와, 상기 예취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작물을 잡아당기며 제2유압실린더(34)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레이크릴, 콤바인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속레버(42), 그리고 콤바인의 조향 제어 및 예취부의 승하강을 위한 파워스티어링레버(44)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속레버(42)에 설치되는 레이크릴 자동스위치(42b) 및 레이크릴 수동스위치(42a);
    상기 수동스위치(42a) 및 자동스위치(42b), 그리고 파워스티어링레버(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압실린더 및 제2유압실린더에 각각 공급되는 오일을 제어하는 밸브체(5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42b)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동시에 하강하도록 밸브체(52)를 제어하고, 파워스티어링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제1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예취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동스위치가 온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레이크릴이 동시에 상승하도록 밸브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릴의 하강은, 레이크릴의 최저점까지 수행되거나, 자동스위치의 온 상태인 동안 하강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릴의 승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까지 수행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릴의 승강은, 레이크릴의 최고점까지 수행되거나, 자동스위치의 온 상태인 동안 승강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장치.







  5. 삭제
KR1020140145177A 2014-10-24 2014-10-24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 KR101677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77A KR101677332B1 (ko) 2014-10-24 2014-10-24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77A KR101677332B1 (ko) 2014-10-24 2014-10-24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25A KR20160049125A (ko) 2016-05-09
KR101677332B1 true KR101677332B1 (ko) 2016-11-18

Family

ID=5602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177A KR101677332B1 (ko) 2014-10-24 2014-10-24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415B1 (ko) * 2016-10-13 2018-05-18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US11272663B2 (en) 2018-03-01 2022-03-15 Deere & Company Harvester head reel with extendable b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468A (ja) * 2005-12-13 2007-06-2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レバー操作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44A (ja) * 1997-07-11 1999-02-02 Kubota Corp 刈取収穫機の変速操作装置
KR101065563B1 (ko) * 2008-05-09 2011-09-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예취 수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468A (ja) * 2005-12-13 2007-06-2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レバー操作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25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973B2 (ja) 刈取収穫機の刈取部昇降構造
US20140048294A1 (en) Control method for driving a ripper
KR101677332B1 (ko)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
JP2013005770A (ja) 苗移植機
JPH06113605A (ja) 作業車の対地作業装置昇降構造
JP2008029212A (ja) 農作業機
JP2010099005A (ja) 茶葉摘採機
JP4600996B2 (ja) 水田作業機
JPH11196628A (ja) 水田作業機の昇降制御装置
JP4073805B2 (ja) 移動農機
JP2000175520A (ja) 対地作業機
JP2008029212A5 (ko)
JP7399072B2 (ja) 野菜収穫機
JP5404011B2 (ja) 移植機
KR101819963B1 (ko)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JP3200514B2 (ja) 刈取作業機の昇降装置
JP3203129B2 (ja) 刈取作業機の昇降装置
KR101859415B1 (ko)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JP3332444B2 (ja) 対地作業機
JP2003333918A (ja) コンバイン
JP2552032Y2 (ja) 作業車輌の昇降制御装置
JP3142161B2 (ja) 水田作業機
JP3346819B2 (ja) 作業車の対地作業装置昇降構造
JP2001016909A (ja) 作業車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5081008B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