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963B1 -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963B1
KR101819963B1 KR1020110006791A KR20110006791A KR101819963B1 KR 101819963 B1 KR101819963 B1 KR 101819963B1 KR 1020110006791 A KR1020110006791 A KR 1020110006791A KR 20110006791 A KR20110006791 A KR 20110006791A KR 101819963 B1 KR101819963 B1 KR 10181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witch
control
combin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460A (ko
Inventor
차성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9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2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5Header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는, 주행기체에 대한 예취부 승강 높이 조절를 위해 운전석에 마련되는 조종간과, 작업자 조작에 따라 온/오프(On/Off) 되며 온(On)인 경우 상기 예취부를 최고점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원터치 상승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는 조종간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Cutting device lifter of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 상승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정해진 승강범위 내에서 최고점까지 예취부를 상승시킬 수 있는 구성의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무한궤도식 주행륜(20)를 갖는 주행기체(10) 전방에 설치되는 예취부(30)와, 예취부(30)에 의해 베어진 작물을 주행기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레일(40)과, 피드레일(40)을 통해 이송된 수확물의 곡립을 탈곡하는 탈곡부(도시 생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취부(30)에는 작물의 줄기 밑부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베어내는 예취수단(도시 생략)이 장치되며, 피드레일(40)은 예취부로부터 전달된 수확물을 상기 탈곡부 이동시키기 위한 피드체인(부호 생략)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은 기체 측방에 위치한 선별부(미도시)로 이송되며 여기서 그에 포함된 지푸라기 등이 걸러진다.
위와 같은 구성의 종래 일반적인 콤바인에서 상기 예취부(30)는, 주행기체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행기체 전방 측 운전석에 마련된 조종간(50) 조작에 따른 실린더 구동에 의해 그 승강 높이가 제어된다. 따라서, 작업 대상면의 상태 및 작물의 크기가 다를 경우 조종간의 조작을 통해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적당한 높이로 작물의 줄기 밑부분을 베어낼 수 있다.
상기한 콤바인을 이용, 작물에 대한 수확작업을 행함에 있어서는, 작업 대상면 예컨대, 논을 지그재그 형태로 왕복 이동하면서 수확작업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작업 대상면 끝 자락에서는 다음 작업을 위해 주행기체(10)를 회전 또는 유턴시켜야 하며, 이 경우 안전을 위해 예취부(30)를 상승시켜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회전 또는 유턴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예취부(30)의 상승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조종간의 조작, 구체적으로는, 조종간을 당기는 동작으로서 행해진다. 따라서 다음 작업을 위해 주행기체를 회전 또는 유턴시킴에 있어서는, 예취부(30) 조작과 관련한 상기 조종간(50)을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이를 좌·우로 조작해야만 주행기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게 되는 조작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조종간(50)을 계속적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주행기체(10) 선회와 관련한 조작을 수행하려면, 동시작업으로 운전자 집중력이 분산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주행기체를 선회시키는 도중 자칫 예취부(30)가 지면 측으로 하강하여 예취되지 않은 양호한 작물을 쓸어뜨리거나, 주행기체에 대한 양호한 선회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주변 돌출물과 충돌하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주행기체의 선회를 위해 예취부를 상승시킴에 있어,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정해진 승강범위 내에서 최고점까지 예취부를 상승시킬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기체에 대해 예취부 승강 높이 조절를 위한 조종간이 운전석에 마련되고, 작업자 조작에 따라 온/오프(On/Off) 되며 온(On)인 경우 상기 예취부를 최고점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원터치 상승 스위치가 상기 조종간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로 작동명령을 제어부가 전달받아 상기 예취부가 그 승강범위 내에서 최고점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승강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예취부 승강은 상기 조종간의 전·후 조작에 관련하고,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는 조종간 측면 또는 상면 또는 그 외에 작업자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장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예취부 승강은 상기 조종간의 전·후 조작에 관련하고, 상기 조종간 후방의 운전석에는 안전 손잡이가 더 장치되며, 상기 조종간을 당겼을 때, 상기 안전 손잡이와 접촉되는 부분의 조종간 배면에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가 장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는 지정된 시간이상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만 스위치가 온(On)되는 구성의 압력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터치 승강 스위치 온(On)인 경우에 있어, 작업자에 의해 조종간이 조작되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치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에 의하면, 주행기체의 선회를 위해 예취부를 상승시킴에 있어,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 예컨대, 스위치를 임의로 누르거나 조종간을 안전 손잡이 측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 정해진 승강범위 내에서 최고점까지 예취부를 상승시킨 채 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취부 조작과 관련한 조종간을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이를 좌·우로 조작해야 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한번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예취부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다음 작업을 위해 주행기체를 회전 또는 유턴시킴에 있어 조종간 조작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조종간을 계속적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주행기체 선회와 관련한 조작을 수행하려면 동시작업으로 운전자 집중력이 분산될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예취부 상승상태가 유지되기 되므로 작업자가 주행기체 선회 조작에만 집중할 수 있는 운전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결국, 선회도중 작업자의 집중력 분산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 발생율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콤바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조종간의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예취부 상승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예취부(3) 원터치 상승장치는, 예취부(3) 승강조작을 위한 조종간(5), 예취부(3) 상승동작과 관련한 명령을 출력하는 원터치 상승 스위치(6), 원터치 상승 스위치(6)의 출력명령을 전달받는 제어부(1) 및, 조종간(5) 조작 또는 제어부(1)의 명령에 따라 상기 예취부(3)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 실린더(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취부(3) 원터치 상승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취부(3)에는 작물의 줄기 밑부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베어내는 예취수단(도시 생략)이 장치된다. 이러한 예취부(3)는 주행기체 전방으로 이 주행기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예취부(3) 동작에 의해 베어진 작물은 이를 이송시키는 체인구조의 피드레일을 통해 탈곡부로 이동된다(종래도면 도 1 참조).
예취부(3)는 상기 승강 실린더(2)의 동작에 따라 작물을 베어내기에 적당한 높이로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승강 실린더(2)는 상기 조종간(5) 조작을 통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따라서 조종간(5) 조작을 통해 승강 실린더(2)로 유입되는 작동유체 양과 그 이동경로를 조절하면, 지정된 승강범위 내에서 예취부(3)의 승강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조종간(5)은 작업자의 조작상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위치라면 특정 위치에 구애됨이 없이 장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종래 일반적인 콤바인의 구성과 같이 운전석 공간 내에서 운전자 착석을 위한 좌석 전방에 마련되는 것이 적합하며, 이러한 조종간(5)은 예취부(3) 승강과 관련한 조작 뿐만 아니라 주행기체 좌·우 선회이동과 관련한 조작기능을 포함한다.
원터치 상승 스위치(6)는 상기 조종간(5) 일측에 마련되며, 작업자 임의조작에 따라 온/오프(On/Off) 된다. 작업자 조작에 의해 원터치 상승 스위치(6)가 온(On)되면,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6)는 예취부(3)를 최고점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며, 원터치 상승 스위치(6)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1)에 전달된다.
제어부(1)는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6)의 출력신호를 전달받고, 그 전달받은 신호를 근거로 지정된 승강범위 내에서 상기 예취부(3)가 최고점까지 상승될 수 있도록 승강 실린더(2)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작업자가 조작에 의해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6)가 온(On)되면, 제어부(1)에 그 출력명령이 입력되고, 제어부(1)의 제어로서 상기 승강 실린더(2)는 예취부(3)를 최고점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구동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노멀모드에서 예취부(3)의 일반적인 승강은 상기 조종간(5)의 전·후 조작 즉, 조종간(5)을 앞으로 밀거나 반대로 당기는 동작에 추종하여 이루어지며, 조종간(5) 조작도중 작업자 임의 조작으로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6)를 통해 예취부(3) 최고점 상승 작동명령이 입력되면, 승강 실린더(2)의 구동으로 예취부(3)는 위치에 상관 없이 지정된 승강 범위 내에서 최고점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원터치 상승 스위치(6)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운전도중 작업자 임의조작이 용이한 위치이면 그 설치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콤바인을 통한 작물 수확작업 도중 주로 조작이 행해지는 상기한 조종간(5) 일측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조종간(5) 측면 또는 상면과 같이 조종간(5) 조작과 동시에 용이하게 스위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장치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취부(3) 원터치 상승장치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조종간(5)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시와 같이, 일반적인 콤바인의 경우, 작업 중 안전을 위해 운전석 전방에 안전 손잡이(7)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안전 손잡이(7) 전방 측에 조종간(5)이 위치한다. 안전 손잡이(7)에는 조종간(5) 조작에 따른 피로를 줄여주기 위해 팔목을 받칠 수 있는 팔목 받침부(8)가 마련되며, 그 전방에 상기 조종간(5)이 위치한다.
이처럼 안전 손잡이(7)가 조종간(5) 후방에 장착된 경우에는, 예취부(3)를 상승시키기 위해 조종간(5)을 끝까지 당겼을 때 상기 안전 손잡이(7)와 접촉되는 높이의 조종간(5) 배면에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6)가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행기체 선회 시 예취부(3)를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조종간(5)을 끝까지 당길 경우, 상기 상승 스위치(6)가 상기 안전 손잡이(7)에 접촉됨으로써 자동으로 스위치 온(On)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오조작 방지를 위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6)는, 지정된 시간이상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만 스위치가 온(On)되는 구성의 압력 스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원터치 승강 스위치 온(On)인 상태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조종간(5)이 조작되면 제어부(1)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치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에 의하면, 주행기체의 선회를 위해 예취부를 상승시킴에 있어,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 예컨대, 스위치를 임의로 누르거나 조종간을 안전 손잡이 측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 정해진 승강범위 내에서 최고점까지 예취부를 상승시킨 채 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취부 조작과 관련한 조종간을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이를 좌·우로 조작해야 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한번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예취부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다음 작업을 위해 주행기체를 회전 또는 유턴시킴에 있어 조종간 조작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조종간을 계속적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주행기체 선회와 관련한 조작을 수행하려면 동시작업으로 운전자 집중력이 분산될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예취부 상승상태가 유지되기 되므로 작업자가 주행기체 선회 조작에만 집중할 수 있는 운전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결국, 선회도중 작업자의 집중력 분산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 발생율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제어부
2 : 승강 실린더
3 : 예취부
5 : 조종간
6 : 원터치 상승 스위치
7 : 안전 손잡이

Claims (5)

  1. 작물을 베어내는 예취부가 기체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의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기체에 대해 예취부 승강 높이 조절를 위한 조종간이 운전석에 마련되고, 작업자 조작에 따라 온/오프(On/Off) 되며 온(On)인 경우 상기 예취부를 최고점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원터치 상승 스위치가 상기 조종간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의 작동명령을 제어부가 전달받아 상기 예취부가 그 승강범위 내에서 최고점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승강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예취부는 조종간의 전·후 조작에 따라 제어부가 출력하는 신호로 승강이 구현되며, 상기 조종간을 당겼을 때 조종간 후방의 안전 손잡이와 접촉하는 조종간 배면에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는 지정된 시간이상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만 스위치가 온(On)되는 압력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상승 스위치 온(On)인 경우에 있어, 작업자에 의해 조종간이 조작되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치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KR1020110006791A 2011-01-24 2011-01-24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KR10181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791A KR101819963B1 (ko) 2011-01-24 2011-01-24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791A KR101819963B1 (ko) 2011-01-24 2011-01-24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460A KR20120085460A (ko) 2012-08-01
KR101819963B1 true KR101819963B1 (ko) 2018-01-18

Family

ID=4687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791A KR101819963B1 (ko) 2011-01-24 2011-01-24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5085A (zh) * 2015-12-02 2016-02-17 吴勇智 收割机割台机械控制升降改装电控控制升降的方法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460A (ko)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963B1 (ko) 콤바인의 예취부 원터치 상승장치
JP2008278785A (ja) コンバインの手扱ぎ装置
JP2011041481A (ja) 作業車両
KR101794347B1 (ko) 콤바인
KR101677332B1 (ko) 콤바인의 예취부 및 레이크릴 승하강 장치
JP5507204B2 (ja) コンバイン
KR102220263B1 (ko) 콤바인
JP6979834B2 (ja) コンバイン
JP3973613B2 (ja)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JP5714993B2 (ja) コンバイン
JP2009082035A (ja) コンバイン
KR101859415B1 (ko)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JP4533174B2 (ja) コンバイン
JP3874689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H0767354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キヤビン装置
JP3580756B2 (ja) 作業機の昇降制御装置
JP2012239440A (ja) コンバインの刈高さ制御装置
JP5044349B2 (ja) コンバインの変速制御装置
JP7179142B2 (ja) コンバイン
JP2011087532A (ja) 作業車
JP2006109736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構造
JP3652261B2 (ja) 作業車の姿勢制御装置
JP2002253039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KR20150100366A (ko) 콤바인 후사경의 각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
JP4960937B2 (ja) コンバイン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