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715B1 -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 Google Patents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715B1
KR101671715B1 KR1020167018567A KR20167018567A KR101671715B1 KR 101671715 B1 KR101671715 B1 KR 101671715B1 KR 1020167018567 A KR1020167018567 A KR 1020167018567A KR 20167018567 A KR20167018567 A KR 20167018567A KR 101671715 B1 KR101671715 B1 KR 10167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magnetic field
magnetic
main body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398A (ko
Inventor
가즈오 아라이
요시노부 혼쿠라
Original Assignee
아이치 세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치 세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치 세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61C8/0007Stimulation of growth around implant by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Abstract

자장 발생 장치(3)는 턱뼈(61) 안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본체(2)에 배치되는 것이다. 자장 발생 장치(3)는 자기를 발생하는 자석체(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장 발생 장치(3)는 임플란트 본체(2)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장착 상태에서 임플란트 본체(2)의 주위에 자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MAGNETIC FIELD GENERATION DEVICE FOR PROMOTING BONE GROWTH, IMPLANT DEVICE USING SAME, AND DENTAL PROSTHESIS FOR PROTECTING IMPLANT}
본 발명은 턱뼈에서의 뼈 성장을 촉진하여 골유착(osseointegration)의 기간 단축이 기대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분야에 있어서 구강 내에 의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는 임플란트 고정 구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임플란트 고정 구조는 치조 융선(alveolar ridge)에 매설된 임플란트에 의치를 고정함으로써 구강 내에 의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일례로서는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 측면에 턱뼈와 나사결합(螺合)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이 있다. 이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의 표면은 미소한 요철이 형성된 조면(粗面)을 이루고 있다.
임플란트를 턱뼈에 매설하는 시술 순서로서는 치조 융선의 잇몸을 절개하고, 턱뼈에 미리 뚫는 구멍을 형성한 후, 미리 뚫는 구멍의 내주면에 탭 가공을 시행하여 나사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외주 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유저(有底) 원통 형상의 임플란트를 턱뼈의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하여 직립시킨 후, 3 내지 6개월간을 경과함으로써 턱뼈와 임플란트가 결합한다.
턱뼈와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결합은 골유착에 의해 생긴다. 골유착이란 임플란트의 재료인 티타늄과 턱뼈가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결합하는 현상이다. 임플란트가 매설된 턱뼈는 임플란트 표면과의 틈을 메우면서, 임플란트 표면의 미소한 요철에 들어가도록 성장한다. 이에 의해, 턱뼈와 임플란트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턱뼈와 임플란트를 견고하게 결합한 후, 의치를 임플란트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136190호
그런데, 상기의 임플란트 장치에는 이하의 과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조 융선에 매설된 임플란트는 턱뼈와의 사이에서 골유착을 완료하기까지 3 내지 6개월간이라는 긴 유지 기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 기간 동안에는 임플란트와 턱뼈가 견고하게 결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의치의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골유착의 기간 동안에는 치조 융선에 의치를 직접 배치하게 되고, 의치의 빠짐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이, 골유착의 기간 동안에는 환자에게 불편한 상황이 계속되기 때문에,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턱뼈에서의 뼈 성장을 촉진하여 골유착의 기간 단축이 기대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턱뼈 안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골유착 기간 중에 사용되는 자장 발생 장치로서,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축 방향을 따라 턱뼈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하면,
상기 자장 발생 장치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밖에 배치되는 헤드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자석체와, 상기 자석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배치된 연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삽입 부재 및 기단측 삽입 부재와, 상기 자석체의 측면을 덮는 케이스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 발생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상기 자장 발생 장치와,
턱뼈 안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본체를 갖고 있고,
상기 자장 발생 장치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상기 임플란트 장치를 장착한 치조 융선에 장착하는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로서,
치조 융선을 덮는 의치상(denture base)과, 상기 의치상에 심어진 인공치를 갖고 있고,
상기 의치상은 상기 임플란트 장치의 턱뼈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를 비접촉 상태에서 수용하는 보호 오목부를 갖고, 상기 의치상 안에는 상기 자장 발생 장치로부터의 자장을 유도하는 자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에 있다.
상기 자장 발생 장치는 상기 삽입부가 갖는 자석체와 상기 자석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끼워 넣는 연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삽입 부재 및 기단측 삽입 부재에 의해, 임플란트 본체의 주위에 자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즉, 정형 외과 분야에서는 자장에 의해 뼈의 골아세포에 자기(磁氣) 자극을 가함으로써, 자기 자극을 받은 골아세포가 성장을 재촉하여 뼈 성장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상기 자장 발생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즉, 상기 임플란트 본체가 매설된 부위의 주위 턱뼈는 상기 자장 발생 장치가 형성하는 자장에서 자기 자극을 받게 된다. 자기 자극을 받은 턱뼈의 골아세포는 성장을 재촉하여 턱뼈의 성장이 촉진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자장 발생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기대된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장치는 상기와 같이 상기 자장 발생 장치와 상기 임플란트 본체를 구비하고, 양자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골유착 종료 후에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로부터 상기 자장 발생 장치를 떼어내고, 상기 임플란트 본체에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등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임플란트 본체를 통상의 임플란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의 상기 의치상은 상기 보호 오목부와 상기 자성 부재를 갖고 있다.
상기 보호 오목부는 상기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 장치의 턱뼈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를 비접촉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장치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 장치의 자세를 안정시켜 상기 임플란트 본체와 턱뼈 사이에서의 골유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자장 발생 장치와 자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주위에는 자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자성 부재를 개재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자장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주위에 배치된 턱뼈의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하여 자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턱뼈의 성장을 촉진하여,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을 보다 단축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상기 임플란트 장치 및 상기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에 의하면, 턱뼈의 성장을 촉진하여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기대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임플란트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자장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자장 발생 장치의 자장 분포도.
도 5는 실시예 2에서의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2에서의 자장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참고예 1에서의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참고예 1에서의 임플란트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참고예 1에서의 자장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참고예 2에서의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참고예 2에서의 자장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a) 자석체를 도시한 단면도, (b) 키퍼(keeper)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 자장 발생 장치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에 상기 자장 발생 장치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 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가 갖는 자석체에 의해 상기 삽입부에 자기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상기 오목부 안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자석체에 의해 상기 삽입부에 자극(磁極)을 형성하고,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주위에 자장이 형성된다. 이 자장에 의해, 턱뼈에 자기 자극을 가하여 턱뼈의 성장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에서의 선단에 의해 가까운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보다 선단측의 위치까지 상기 삽입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보다 넓은 범위에 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란 자성을 띠는 것이 가능한 물질이며, 보자력이 작은 연자성체나, 유자력이 큰 경자성체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연자성체로서는 연자성 스테인레스강 등을 들 수 있고, 경자성체로서는 영구 자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의치상 안에 분산 배치된 자성체 입자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자성체 입자를 상기 의치상 안의 넓은 범위에 분산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자장 발생 장치와 상기 자성체 입자가 자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자성체 입자는 주위에 자장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주위에 배치된 턱뼈의 보다 넓은 범위에 자기 자극을 가할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자장 발생 장치 및 임플란트 장치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장 발생 장치(3)는 턱뼈(61) 안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본체(2)에 배치되는 것이다. 자장 발생 장치(3)는 자기를 발생하는 자석체(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장 발생 장치(3)는 임플란트 본체(2)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장착 상태에서 임플란트 본체(2)의 주위에 자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임플란트 장치(1)는 치조 융선(6)에 의치(도시 생략)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본체(2)를 턱뼈(61)에 매설한 후, 턱뼈(61)와 임플란트 본체(2)가 골유착에 의해 결합하는 기간 동안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장치(1)는 임플란트 본체(2)와, 임플란트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장 발생 장치(3)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본체(2)는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은 미소한 요철이 형성된 조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본체(2)와 턱뼈(61)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조면은 숏블라스트나 강산(强酸)에 의한 에칭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본체(2)의 외주 표면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코팅을 실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임플란트 본체(2)는 원통상의 임플란트 통부(筒部)(21)와, 임플란트 통부(21)의 선단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임플란트 저부(22)를 갖는 유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본체(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갖는 매설 나사부(24)와, 매설 나사부(24)의 기단(基端)측에 배치된 임플란트 플랜지(25)가 형성되어 있다.
매설 나사부(24)는 임플란트 본체(2)의 선단으로부터 기단부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고, 임플란트 플랜지(25)는 매설 나사부(24)의 기단측의 부위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본체(2)에 있어서 임플란트 통부(21)의 내주는 오목부(26)를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26)는 나사산을 갖는 너트부(261)와, 너트부(261)보다도 임플란트 저부(22)측에 배치된 삽입 배치부(262)를 갖고 있다.
너트부(261)는 임플란트 통부(21)에서의 기단측 개구부 근방으로부터, 축 방향에서 임플란트 통부(21)의 대략 중앙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삽입 배치부(262)는 내경이 똑같은 원통면을 이루고 있고, 너트부(261)와 임플란트 저부(2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본체(2)의 오목부(26)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장 발생 장치(3)는 오목부(26) 안에 배치되는 삽입부(31)와, 삽입부(31)의 기단부에 형성된 헤드부(35)를 갖고 있다.
삽입부(31)는 자석체(30)와, 축 방향에서 자석체(30)를 끼우도록 배치된 삽입 부재(321, 322)와, 자석체(30)의 측면을 덮는 케이스 부재(301)를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체(30)는 원주상을 이루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자석체(30)에서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된 측면을 덮는 케이스 부재(301)를 갖고 있다. 또한, 자석체(30)는 축 방향에 착자(着磁)되어 있고, 자석체(30)의 축 방향 양단에는 각각 자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석체(30)의 착자방향은 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할 수도 있지만, 축 방향으로 한 경우, 보다 광범위하게 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301)는 내경이 자석체(30)의 외경과 대응한 원통상을 이루고 있고, 그 내주에 자석체(30)를 삽입 배치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부재(321, 322)는 자석체(30)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는 선단측 삽입 부재(321)와, 자석체(30)보다도 기단측에 배치되는 기단측 삽입 부재(322)를 갖고 있다.
선단측 삽입 부재(321)는 연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임플란트 본체(2)의 오목부(26) 안에 삽입 배치 가능한 원주상을 이루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측 삽입 부재(322)는 연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원주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외주 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기단측 삽입 부재(322)를 이루고 있고, 오목부(26)의 너트부(261)와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자석체(30) 및 삽입 부재(321, 322)는 일체로 접합되어 있고, 자장 발생 장치(3)를 임플란트 본체(2)에 맞붙였을 때, 자석체(30)가 임플란트 통부(21)의 축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석체(30)와 일체로 접합된 삽입 부재(321, 322)는 자석체(30)에 의해 자화(磁化)되고, 삽입 부재(321, 322)에 각각 자극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측 삽입 부재(322)의 측면부로부터 선단측 삽입 부재(321)의 측면부를 향하여 삽입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임플란트 본체(2) 및 턱뼈(61) 등을 자력선이 통과하는 개자로(開磁路)가 형성된다. 또한, 개자로를 형성하는 자력선의 방향은 상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이라도 좋다.
본 예에 있어서 삽입부(31)는 자석체(30) 및 삽입 부재(321, 322)를 일체로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자석체(30) 및 삽입 부재(321, 322) 사이에서 자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삽입부(31)의 자극은 본 예에 게시한 바와 같이, 삽입 부재(321, 322)로 구성해도 좋고, 삽입부(31)의 전체를 자석체(30)로 하고, 자석체(30)에 의해 자극을 구성해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1)의 기단측 삽입 부재(322)의 기단측에는 헤드부(35)가 배치되어 있다. 헤드부(35)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헤드 본체부(351)와, 헤드 본체부(351)의 주위에 배치된 잇몸 접촉부(37)를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본체부(351)는 대략 원주상을 이루고 있고, 기단부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하여 설치된 헤드 플랜지(352)와, 선단측 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원주상의 헤드 연결부(353)를 갖고 있다. 또한, 헤드 본체부(351)의 기단측 단면에는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을 이루고 육각 렌치와 계합 가능한 계합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연결부(353)의 선단면에는 상기 삽입부(31)의 기단측 삽입 부재(322)가 접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 접촉부(37)는 티타늄 합금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주상을 이루고 있고, 대략 원통상의 접촉 본체부(371)와, 이 접촉 본체부(37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하여 설치된 원환상(圓環狀)을 이루는 내주 플랜지(372)를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본체부(371)에서의 기단측의 개구부 내측에는 헤드 본체부(351)에서의 헤드 플랜지(352)로부터 선단측을 삽입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본체부(371)에서의 선단측의 개구부 내측에는 임플란트 본체(2)를 연결했을 때에, 임플란트 본체(2)의 기단부가 삽입 배치된다. 이때, 접촉 본체부(371)와 임플란트 본체(2)는 서로 밀착한다.
내주 플랜지(372)는 헤드 본체부(351)에 잇몸 접촉부(37)를 배치했을 때에, 헤드 본체부(351)의 선단측 단면과 대응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임플란트 장치(1)를 치조 융선(6)에 매설하는 시술 순서로서는 치조 융선(6)의 잇몸(62)에 구멍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턱뼈(61)에 나사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임플란트 본체(2)를 턱뼈의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하여 직립한 후, 임플란트 본체(2)의 오목부(26)에 자장 발생 장치(3)의 삽입부(31)를 설치한다. 임플란트 본체(2)와 자장 발생 장치는 임플란트 너트부(261)와 볼트부(333)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임플란트 본체(2)와 자장 발생 장치(3)는 양자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폐하여 결합된다.
이 후에, 임플란트 본체(2)의 표면에 형성된 미소한 요철 안으로 들어가도록, 턱뼈(61)가 성장함으로써 턱뼈(61)와 임플란트 본체(2)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자장 발생 장치(3)의 헤드부(35)가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의 역활을 하고, 잇몸(62)의 구멍부가 막히지 않고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장치(1)를 매설한 치조 융선(6)에는 골유착이 완료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50)가 배치된다.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50)는 치조 융선(6)을 덮는 의치상(51)과, 의치상(51)에 심어진 인공치(53)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치상(51)은 치조 융선(6)의 상부에 배치되는 꼭대기부(511)와 꼭대기부(5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하여 설치된 측벽부(512)를 갖고 있다. 의치상(51)의 꼭대기부(511) 이면측에는 치조 융선(6)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된 임플란트 장치(1)의 헤드부(35)를 비접촉 상태에서 수용하는 보호 오목부(513)를 갖고 있다.
턱뼈(61)와 임플란트 본체(2) 사이에서의 골유착이 완료되고, 양자가 견고하게 결합한 후, 임플란트 본체(2)에 의치 고정 부재(도시 생략)를 형성함으로써 의치측 고정 부재를 갖는 의치(도시 생략)를 치조 융선(6)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예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 자장 발생 장치(3)는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 본체(2)의 주위에 자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즉, 정형 외과 분야에서는 자장에 의해 뼈의 골아세포에 자기 자극을 가함으로써, 자기 자극을 받은 골아세포가 성장을 재촉하여 뼈 성장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자장 발생 장치(3)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즉, 임플란트 본체(2)가 매설된 부위의 주위 턱뼈(61)는 자장 발생 장치(3)가 형성하는 자장에서 자기 자극을 받게 된다. 자기 자극을 받은 턱뼈(61)의 골아세포는 성장을 재촉하여 턱뼈(61)의 성장이 촉진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에 의해, 자장 발생 장치(3)를 사용함으로써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기대된다.
또한, 임플란트 장치(1)는 상기와 같이 자장 발생 장치(3)와 임플란트 본체(2)를 구비하고, 양자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골유착 종료후에는 임플란트 본체(2)로부터 자장 발생 장치(3)를 떼어내고, 임플란트 본체(2)에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어버트먼트 등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임플란트 본체(2)를 통상의 임플란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임플란트 장치(1)에 있어서, 임플란트 본체(2)의 오목부(26) 안에 삽입되는 삽입부(31)는 연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삽입 부재(321, 322)과, 삽입 부재(321, 322)에 접속된 자석체(30)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자석체(30)와, 연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삽입 부재(321, 322)가 자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삽입부(31)의 주위에 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부(31)는 임플란트 본체(2)의 오목부(26) 안에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부(31)에 의해 임플란트 본체(2)의 주위에 자장이 형성되어 턱뼈(61)의 성장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자석체(30)는 삽입부(31)에 내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임플란트 본체(2)와 턱뼈(61) 사이에서의 결합 부위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영구 자석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턱뼈(61)에서의 임플란트 본체(2)와 결합하는 부위에 확실하게 자장을 형성하여, 더 효과적으로 턱뼈(61)의 성장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자장 발생 장치(3)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1)에 의하면, 턱뼈(61)의 성장을 촉진하여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기대된다.
(실시예 2)
본 예는 실시예 1에서의 자장 발생 장치의 구성을 변경한 예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장 발생 장치(302)는 임플란트 본체(2)의 오목부(26) 안에 배치되는 삽입부(31)를 갖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1)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자석체(30)와, 자석체(30)의 외주에 배치된 케이스 부재(301)와, 자석체(30)의 선단측에 배치된 선단측 삽입 부재(321)와, 자석체(30)의 기단측에 배치된 기단측 삽입 부재(322)를 갖고 있다. 또한, 자석체(30), 케이스 부재(301) 및 선단측 삽입 부재(321)는 실시예 1에 게시한 것과 같은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측 삽입 부재(322)는 원주상을 이루고 있고, 임플란트 본체(2)의 오목부(26) 안에 배치된다. 기단측 삽입 부재(322)의 기단부에는 원판상의 덮개부(331)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부(33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기단측 삽입 부재(322)의 선단측을 향하여 외주 통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측 삽입 부재(322)는 외주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333)를 형성하고 있고, 임플란트 본체(2)의 오목부(26)에 형성된 너트부(261)와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331)의 기단측 단면에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계합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331)의 축 방향 치수는 약 1mm이며, 실시예 1에서의 헤드부(35)의 축 방향 치수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
본 예의 임플란트 장치(1)는 상기와 같이 기단측 삽입 부재(322)에서의 덮개부(331)의 축 방향 치수를 작게 설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임플란트 장치(1)에서의 턱뼈(61)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임플란트 장치(1)를 매설한 후, 잇몸(62)을 봉합하고, 임플란트 장치(1)를 치조 융선(6)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골유착의 후기 또는 종료 후에 잇몸(62)에 구멍부를 형성하고, 실시예 1에 게시한 자장 발생 장치(3) 또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 본체(2)에 배치함으로써 잇몸(62)의 구멍부가 막히지 않고 형성된다.
그 외에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예 1)
본 예는 실시예 1의 자장 발생 장치,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의 구성을 변경한 예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본체(20)는 원통상의 임플란트 통부(21)와, 임플란트 통부(21)의 선단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된 원주상의 임플란트 중실(solid-core)부(23)를 갖고 있다. 임플란트 본체(20)는 그 축 방향에서, 기단측의 대략 절반을 임플란트 통부(21)에 의해 구성하고 있고, 남는 대략 절반을 임플란트 중실부(23)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임플란트 통부(21)의 내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26)는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261)를 이루고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장 발생 장치(303)는 연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31)와, 삽입부(31)와 일체로 배치된 자석 구조체(300)를 갖고 있다.
삽입부(31)는 연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원주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외주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333)를 형성하고 있고, 임플란트 본체(20)의 오목부(26)에 형성된 너트부(261)와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31)의 기단부에는 자석 구조체(300)에서 개구부를 덮는 원판상의 자장 발생 장치(30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1)의 기단 측면에는 자석 구조체(300)가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자석 구조체(300)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자석체(30)와, 자석체(30)의 주위에 배치된 케이스(39)와, 케이스(39)의 개구 단부에 배치된 케이스(39)를 갖고 있다.
자석체(30)는 대략 원주상을 이루고 있고, 그 외경은 덮개부(311)의 외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자석체(30)는 축 방향에 착자되어 있고, 자석체(30)의 축 방향 양단에는 각각 자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석체(30)의 착자 방향은 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할 수도 있지만, 축 방향으로 한 경우, 보다 광범위하게 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9)는 비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자석체(30)의 상부에 배치된 케이스 상면부(392)와, 자석체(30)의 외주에 형성된 케이스 원통부(393)를 갖고 있다.
케이스 원통부(393)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고, 원판상의 케이스 상면부(39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자석체(30)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원통부(393)의 축 방향에서의 길이 치수는 자석체(30)의 축 방향에서의 치수와 덮개부(311)의 치수를 합한 길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부재(6)는 대략 원환상을 이루고 있고, 자석체(30)와 덮개부(311)를 내포한 케이스 원통부(393)의 개구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링 부재(6)는 자장 발생 장치(303)와 임플란트 본체(2) 사이에서, 양자의 틈을 메우는 스페이서의 역활을 하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링 부재(6)를 케이스(39)와 일체로 고정하고 있지만, 양자는 고정하지 않고 별체라도 좋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9), 자석체(30) 및 삽입부(31)는 케이스(39)의 내측에 자석체(30)와 덮개부(311)를 배치한 상태에서, 케이스(39)와 덮개부(311)를 고정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9)와 덮개부(311)의 고정은 예를 들면, 용접이나 압입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자석체(30)와 자기적으로 접속된 삽입부(31)는 자석체(30)에 의해 자화되고, 삽입부(31)의 축 방향에 자극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자석 구조체(300)의 기단측 단면으로부터 삽입부(31)를 향하여, 삽입부(31)의 주위에 존재하는 임플란트 본체(2) 및 턱뼈(61) 등을 자력선이 통과하는 개자로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장 발생 장치(303)를 임플란트 본체(2)에 배치했을 때에, 자석체(30)는 임플란트 본체(2)의 축 방향에서, 오목부(26)의 개구부가 형성된 단부보다도 외측의 위치, 즉 선단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장치(1)를 매설한 치조 융선(6)에 배치되는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5)는 의치상(51)의 내부에 배치된 자성 부재(52)를 갖고 있고, 임플란트 장치(1)를 배치한 부위의 치조 융선(6)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의치상(51)의 꼭대기부(511) 이면측에는 치조 융선(6)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된 임플란트 장치(1)의 자석 구조체(300)를 비접촉 상태에서 수용하는 보호 오목부(513)를 갖고 있다.
또한, 의치상(51) 안에 배치된 자성 부재(52)는 굴곡 형성된 연자성 스테인레스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임플란트 장치(1)에서의 자석 구조체(300)의 주위에 배치되는 동시에 보호 오목부(513)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대략 コ자 단면 형상을 갖는 상방전달부(521)와, 상방전달부(521)의 양단으로부터 치조 융선(6)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된 측방전달부(522)를 갖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
본 예의 자장 발생 장치(303)에 있어서, 자석 구조체(300)에서의 자석체(30)는 임플란트 본체(2)의 축 방향에서, 오목부(26)의 개구부가 형성된 단부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석체(30)를 임플란트 본체(2)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본체(2)의 내측에 배치하는 경우보다 자석체(30)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자장 발생 장치(303)에 의해 광범위하게 강한 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자장 발생 장치(303)에 있어서는 그 부품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그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5)의 의치상(51)은 보호 오목부(513)와 자성 부재(52)를 갖고 있다.
보호 오목부(513)는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 장치(1)의 턱뼈(61)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를 비접촉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5)로부터 임플란트 장치(1)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장치(1)의 자세를 안정시켜 임플란트 본체(20)와 턱뼈(61) 사이에서의 골유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자성 부재(52)는 자장 발생 장치(303)와 자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주위에는 자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자성 부재(52)를 개재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자장을 형성할 수 있고, 임플란트 본체(20)의 주위에 배치된 턱뼈(61)의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하여 자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턱뼈(61)의 성장을 촉진하여,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을 보다 단축하는 것이 기대된다.
그 외에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예 2)
본 예는 참고예 1에서의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의 구성을 변경한 예를 게시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장치(1)는 참고예 1에 게시한 것과 같은 임플란트 본체(20)와, 임플란트 본체(20)의 오목부(26)에 배치되는 자장 발생 장치(304)를 갖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장 발생 장치(304)는 자석체(30)를 내장하는 자석 구조체(300)와, 자석체(30)의 자력에 의해 흡인 고정되는 키퍼(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구조체(300)는 원주상의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자석체(30)와, 자석체(30)를 내포하는 케이스(39)와, 케이스(39)의 외주측에 배치된 슬리브(38)를 갖고 있다.
케이스(39)는 유저 원통 형상을 갖는 케이스 본체부(391)와, 케이스 본체부(391)의 개구 단부를 덮는 덮개부(394)를 갖고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부(391)는 비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자석체(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면부(392)와, 케이스 상면부(392)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케이스 원통부(393)를 갖고 있다. 케이스 원통부(393)의 축 방향 길이는 자석체(30) 및 덮개부(394)를 중합했을 때의 축 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덮개부(394)는 연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원판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외경은 케이스 원통부(393)의 내경과 대응하고 있다.
자석 구조체(300)는 케이스 본체부(391)의 내측에 자석체(30)를 배치하고, 덮개부(394)를 케이스 본체부(391)의 개구 단부의 내측에 압입 배치함으로써, 케이스(39)의 내측에 자석체(30)를 봉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9)에 있어서, 덮개부(394)를 배치한 측의 단면은 자석체(30)의 자력에 의해 키퍼(4)를 흡착하는 흡착면을 이루고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8)는 전체 형상이 대략 원통상을 이루고 있고, 한쪽의 개구 단부는 케이스 본체부(391)에서의 개구 단부측의 외주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38)에서의 다른 쪽의 개구 단부는 케이스 본체부(391)의 개구 단부보다도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자석체(30)를 키퍼(4)에 배치했을 때에, 그 내측에 키퍼(4)를 배치 가능한 키퍼 배치 오목부(381)를 형성하고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퍼(4)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키퍼 본체부(41)와, 키퍼 본체부(41)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잇몸 접촉부(43)를 갖고 있다.
키퍼 본체부(41)는 임플란트 본체(20)의 오목부(26)에 삽입되는 삽입부(45)와, 치조 융선(6)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는 헤드부(42)를 갖고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5)는 원주상을 이루고 있고, 외주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451)를 형성하고 있고, 오목부(26)의 너트부(261)와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42)는 삽입부(45)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45)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 본체부(421)와, 헤드 본체부(421)의 외주에 배치된 잇몸 접촉부(43)를 갖고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본체부(421)는 대략 원주상을 이루고 있고, 기단부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하여 설치된 헤드 플랜지(422)를 갖고 있다. 또한, 헤드 본체부(421)의 기단측 단면에는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을 이루고, 육각 렌치를 삽입 계합 가능한 계합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 본체부(421)의 기단측 단면은 자석체(30)에 흡착되는 피흡착면을 이루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구조체(300)와 키퍼(4)는 자석 구조체(300)의 키퍼 배치 오목부(381)의 내측에 키퍼(4)의 헤드부(42)를 삽입 배치하고, 자석체(30)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피흡착면에 흡착면을 흡착시킴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장치(1)를 매설한 치조 융선(6)에 배치되는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5)의 의치상(51)에는 자성 부재(52)로서 자성체 입자(523)가 분산 배치되어 있다. 자성체 입자(523)로서는, 예를 들면, 분말상의 영구 자석이나 플라스틱 마그넷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
본 예의 임플란트 장치(1)에 있어서는, 자석 구조체(300)가 자기 흡인력에 의해 키퍼(4)에 흡착하기 때문에,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석체(30)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 및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골유착이 완료된 후에는 키퍼(4) 및 임플란트 본체(2)를 의치의 고정으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 의치는 자기 흡인력을 발생하는 의치내 자석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의치내 자석 구조체를 키퍼(4)에 흡착함으로써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5)에 있어서, 자성 부재(52)는 의치상(51) 안에 분산 배치된 자성체 입자(523)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자성체 입자(523)를 의치상(51) 안의 넓은 범위에 분산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장 발생 장치(304)가 형성하는 자장은 자성체 입자(523)를 개재하여 광범위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턱뼈(61)의 보다 넓은 범위에 자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게시한 자성체 입자에는 분말상의 영구 자석이나 플라스틱 마그넷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단체로 사용한 경우에도 임플란트 본체의 주위에 자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자장 발생 장치와 병용함으로써 영구 자석분과 자석체의 양쪽에 의해 자장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광범위하게 확실하게 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새로운 골유착의 기간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
그 외에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2 및 참고예 1, 2에 있어서는, 자석체로서 영구 자석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자석 등의 자기 발생 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삽입부는 그 일부가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삽입부의 전체가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게시한 바와 같이 연자성체와 자석체로 구성되거나,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2에 게시한 바와 같이 연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거나, 삽입부의 전체가 자석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자석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게시한 삽입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보다 넓은 범위에 자장을 발생시킬 수 있어,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더욱 기대된다.
또한, 자장 발생 장치는 자석체를 복수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게시한 삽입부에 내장된 자석체와,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2 중 어느 하나에 게시한 임플란트 본체에서의 오목부의 개구부가 형성된 단부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배치된 자석체의 양쪽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다 넓은 범위에 강한 자장을 발생시킬 수 있어, 골유착에 걸리는 기간의 단축이 더욱 기대된다.

Claims (5)

  1. 턱뼈 안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골유착 기간 중에 사용되는 자장 발생 장치로서,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축 방향을 따라 턱뼈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하면,
    상기 자장 발생 장치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밖에 배치되는 헤드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자석체와, 상기 자석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배치된 연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선단측 삽입 부재 및 기단측 삽입 부재와, 상기 자석체의 측면을 덮는 케이스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삽입 부재 및 상기 기단측 삽입 부재는 연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자장 발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자장 발생 장치와,
    턱뼈 안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본체를 갖고 있고,
    상기 자장 발생 장치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장치.
  4. 제 3 항에 기재된 임플란트 장치를 장착한 치조 융선에 장착하는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로서,
    치조 융선을 덮는 의치상과, 의치상에 심어진 인공치를 갖고 있고,
    상기 의치상은 상기 임플란트 장치의 턱뼈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를 비접촉 상태에서 수용하는 보호 오목부를 갖고, 상기 의치상 안에는 상기 자장 발생 장치로부터의 자장을 유도하는 자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의치상 안에 분산 배치된 자성체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KR1020167018567A 2012-09-25 2013-07-22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KR101671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1330 2012-09-25
JP2012211330A JP5488660B2 (ja) 2012-09-25 2012-09-25 骨成長の促進を図る磁場発生装置と、これを用いたインプラント装置及びインプラント保護用義歯
PCT/JP2013/069754 WO2014050271A1 (ja) 2012-09-25 2013-07-22 骨成長の促進を図る磁場発生装置と、これを用いたインプラント装置及びインプラント保護用義歯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694A Division KR101671711B1 (ko) 2012-09-25 2013-07-22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98A KR20160087398A (ko) 2016-07-21
KR101671715B1 true KR101671715B1 (ko) 2016-11-02

Family

ID=503876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567A KR101671715B1 (ko) 2012-09-25 2013-07-22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KR1020157009694A KR101671711B1 (ko) 2012-09-25 2013-07-22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694A KR101671711B1 (ko) 2012-09-25 2013-07-22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31406A1 (ko)
EP (1) EP2901962A4 (ko)
JP (1) JP5488660B2 (ko)
KR (2) KR101671715B1 (ko)
TW (2) TWI584789B (ko)
WO (1) WO2014050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899B1 (ko) * 2014-12-31 2015-05-06 신원덴탈(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운팅 링
WO2023225584A1 (en) * 2022-05-18 2023-11-23 Simonsen Anne Magnetic drive system for dental applications and methods
CN116616929B (zh) * 2023-05-12 2023-12-05 广东健齿生物科技有限公司 种植体螺丝辅助装置、检测方法与预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3126A (ja) 2006-10-11 2008-04-24 Hitachi Metals Ltd インプラント用キーパー
KR100924615B1 (ko) 2007-06-05 2009-11-02 이요섭 치과용 임플란트 덮개
WO2010119092A1 (en) 2009-04-17 2010-10-21 Fabrizio Bambini Dental implant assembly comprising a magnetic temporary screw
JP2010269034A (ja) 2009-05-22 2010-12-02 Advance Co Ltd 歯科用補綴代用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8160A (en) * 1986-11-20 1988-07-19 Isis International, Inc. Dental implant
JPH07136190A (ja) 1993-11-19 1995-05-30 Aichi Steel Works Ltd 無歯顎に固定されるインプラント
US6032677A (en) * 1998-07-17 2000-03-07 Blechman; Abraham M.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the healing of medical implants
JP2001252289A (ja) * 2000-03-09 2001-09-18 Gc Corp 義歯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JP2002102258A (ja) * 2000-09-29 2002-04-09 Aichi Steel Works Ltd バータイプインプラント用義歯アタッチメント
JP2006042997A (ja) * 2004-08-02 2006-02-16 Aichi Micro Intelligent Corp 歯科用の微小磁界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クスチャ
US8475167B2 (en) * 2007-07-03 2013-07-02 Frederic B. Dunn Magnetically implantable prosthetic device and method to shorten healing time, enhance bone fusion, and retard bacterial growth
KR101033774B1 (ko) * 2008-09-19 2011-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지대주
TR201909314T4 (tr) * 2009-10-29 2019-07-22 Magdent Ltd Osteogenez ve osseoi̇ntegrasyonu uyarmak i̇çi̇n i̇mplant ci̇hazi
TWM404697U (en) * 2010-10-29 2011-06-01 Rang-Ji Huang Carrier structure capable of avoiding interference of im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3126A (ja) 2006-10-11 2008-04-24 Hitachi Metals Ltd インプラント用キーパー
KR100924615B1 (ko) 2007-06-05 2009-11-02 이요섭 치과용 임플란트 덮개
WO2010119092A1 (en) 2009-04-17 2010-10-21 Fabrizio Bambini Dental implant assembly comprising a magnetic temporary screw
JP2010269034A (ja) 2009-05-22 2010-12-02 Advance Co Ltd 歯科用補綴代用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01962A1 (en) 2015-08-05
KR20160087398A (ko) 2016-07-21
KR101671711B1 (ko) 2016-11-02
KR20150056825A (ko) 2015-05-27
TW201422209A (zh) 2014-06-16
TW201538136A (zh) 2015-10-16
JP5488660B2 (ja) 2014-05-14
WO2014050271A1 (ja) 2014-04-03
TWI511707B (zh) 2015-12-11
TWI584789B (zh) 2017-06-01
EP2901962A4 (en) 2016-06-22
US20150231406A1 (en) 2015-08-20
JP2014064687A (ja)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429B2 (en) Implant prosthetic part s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plication plaster model including abutment using the same
WO2014020985A1 (ja) インプラントオーバーデンチャーシステム及びインプラント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US20160199161A1 (en) Attachment for denture
KR101671715B1 (ko) 뼈 성장의 촉진을 도모하는 자장 발생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장치 및 임플란트 보호용 의치
KR200473225Y1 (ko)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RU25293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содержащее магнитный временный винт
KR101033774B1 (ko) 치과용 지대주
US9968424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ementless retention of dental crowns to implants
JP5920323B2 (ja) 骨成長の促進を図る磁場発生装置と、これを用いたインプラント装置及びインプラント保護用義歯
KR20160041606A (ko) 임플란트
KR10113912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KR20230135852A (ko) 동요도 측정을 위한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및 힐링 어버트먼트 조립체
JP2014064936A5 (ko)
KR20180046319A (ko)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KR20150067630A (ko) 치과용 임플란트
JP2005245610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におけるキーパー装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