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319A -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 Google Patents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319A
KR20180046319A KR1020160141439A KR20160141439A KR20180046319A KR 20180046319 A KR20180046319 A KR 20180046319A KR 1020160141439 A KR1020160141439 A KR 1020160141439A KR 20160141439 A KR20160141439 A KR 20160141439A KR 20180046319 A KR20180046319 A KR 20180046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shape
magnet
tooth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아류
Original Assignee
이아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아류 filed Critical 이아류
Priority to KR102016014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319A/ko
Publication of KR2018004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35Magnetic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1Magnetic dental implant reten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제1마그넷부가 수용되는 틀니 및 틀니를 지지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며,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틀니를 지지하는 지대치부;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틀니와 접합되며, 내부에 제2마그넷부가 수용되는 접합부; 및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를 사용하는 경우, 마그넷에 의해 틀니를 잇몸에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틀니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자기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맞는 접착력을 가진 오버덴쳐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기존 틀니의 접착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DUAL MAGNETIC OVERDENTURE}
본 발명은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틀니 및 틀니를 지지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치아부, 치아부를 지지하는 잇몸부 및 치아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제1마그넷부를 포함하고, 접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접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틀니와 틀니를 지지하는 지대치부,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틀니와 접합되며 내부에 제2마그넷부가 수용되는 접합부 및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에 대한 기술이다.
치아의 건강은 인간의 오복(五福) 중 하나라 여겨진다. 치아가 건강하지 못하면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영향이 많으며, 심한 경우 건강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치아 건강도 유지된다면 좋겠지만, 치주염이나 잇몸병 등 갖가지 질병에 의해 치아가 손실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최근에는 일부 치아가 손실된 경우 임플란트 시술을 많이 수행하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이란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잇몸에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치아가 손실된 경우, 손실된 모든 치아를 임플란트로 대체하기는 어렵고, 이러한 경우 틀니를 이용한다.
틀니는 인공적인 치아를 갖는 보철물로서 잇몸에 착탈이 가능하여 음식을 섭취하거나 대화를 하는 평상시에는 잇몸에 착용하였다가, 수면시 빼내어 따로 보관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틀니는 부분 틀니, 전체 틀니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 치아가 전부 손실된 경우 전체 틀니를 이용한다.
전체 틀니의 경우 잇몸에 고정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1864호에는 틀니가 잇몸에 잘 고정될 수 있도록 무독성 젤을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젤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 유지력이 약해지고, 저작 작용에 의해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잇몸에 자극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임플란트와 틀니를 자석 등으로 결합하여 틀니를 고정시키는 것이 개발되고 있지만, 자력의 세기가 약하여 틀니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틀니의 고정력이 강화되어 수평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틀니의 착탈이 사용자의 편의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틀니의 착탈에 관여하는 접착력을 사용자별로 조절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18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넷을 이용하여 틀니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착용감이 좋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틀니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틀니의 착탈에 관여하는 접착력을 사용자별로 조절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는 내부에 1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제1마그넷부가 수용되는 틀니 및 틀니를 지지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며,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틀니를 지지하는 지대치부,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틀니와 접합되며 내부에 1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제2마그넷부가 수용되는 접합부 및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넷부 또는 제2마그넷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개의 자석을 겹쳐 자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자석은 0.001 내지 0.100 mm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틀니는 치아부, 치아부를 지지하는 잇몸부 및 치아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1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제1마그넷부를 포함하고, 접합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접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의 상부에는 원추형,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톱니형, 기울어진 톱니형, 및 요철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의 하부에는 접합부에 대응하도록 원추형,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톱니형, 기울어진 톱니형, 및 요철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를 사용하는 경우, 마그넷에 의해 틀니를 잇몸에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틀니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기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맞는 접착력을 가진 틀니 및 오버덴쳐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기존 틀니의 접착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와 틀니의 고정부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와 틀니의 고정부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이하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발명들의 기술 사상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에서 접합부의 홈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와 틀니의 고정부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와 틀니의 고정부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대치부(1100), 접합부(1200) 및 결합부(1300)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부(2100), 잇몸부(2200) 및 고정부(2300)를 포함하는 틀니(20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틀니(2000) 및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1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제1마그넷부(2310)가 수용되는 틀니(2000); 상기 틀니(2000)를 지지하는 지대치부(1100); 상기 지대치부(1100) 상에 위치하고, 상기 틀니(2000)와 접합되며, 내부에 1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제2마그넷부(1210)가 수용되는 접합부(1200); 및 상기 지대치부(1100)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1300);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니(2000)는 치아부(2100); 상기 치아부(2100)를 지지하는 잇몸부(2200); 및 상기 치아부(2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제1마그넷부(2310)가 수용되고, 상기 접합부(1200)에 착탈가능하도록 접합하는 고정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자 잇몸(1400)의 치조골에 픽스춰(fixture)를 식립한다. 지대부(1100)는 픽스춰(미도시)와 결합함으로써 잇몸에 식립된다. 단일의 인공 치아를 식립하는 경우 지대부와 인공 치아가 바로 연결되나, 치아 전체가 손실되어 전체 틀니를 착용하여야 할 때는 틀니를 고정할 수 있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가 필요하다. 지대치부(1100)는 잇몸에 식립되어 틀니를 지지한다. 지대치부(1100)는 스테인레스, 지르코니아, 티타늄, 귀금속, 알루미나 등으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지대치부(1100)에 티타늄 코팅을 할 수도 있다.
접합부(1200)는 지대치부(1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접합부(1200)는 틀니(2000)와 접합하여 틀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합부(1200)는 스테인레스강, 스테인레스 합금 등의 금속이나 인공치아 조성물, 세라믹, 연질 조성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20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은 인체에 무해하도록 티타늄 등으로 코팅되어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접합부(1200)는 별도로 제작되어 레이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지대치부(1100) 상에 부착되거나, 지대치부(1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접합부(1200)는 제2마그넷부(1210)이 내장되어 틀니(2000)에 자력으로 접합할 수 있다. 제2마그넷부(1210)는 지대치부(1100) 및 접합부(1200)의 지름보다 작은 기둥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마그넷부(1210)는 두께가 0.001 내지 0.010 mm이고, 자력이 100 내지 1,000 가우스(Gauss)인 자석을 1개 이상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자석을 겹쳐 자력을 조절할 수 있다. 자석을 적게 포함하는 경우 자력이 완화되고, 자석의 개수를 증대시킬 경우 자력이 강화되어 접합부(1200)가 틀니(2000)와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접합부(1200) 내부에 제2마그넷부(1210)가 내장되는 것 이외에도 접합부(1200) 자체를 자성을 가진 금속 또는 마그넷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접합부(1200) 자체가 자성을 가진 경우 틀니에 내장된 마그넷과 더욱 강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자성을 가진 금속상 또는 마그넷상에 티타늄 등을 코팅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더 채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접합부(1200)는 1 내지 10개의 자석을 겹쳐 자력을 조절하는 제2마그넷부(1210)가 내장되며, 제2마그넷부(1210)는 틀니(2000)에 내장된 1 내지 10개의 자석을 겹쳐 자력을 조절하는 제1마그넷부(2310)와 자력으로 접합할 수 있다. 제1마그넷부 또는 제2마그넷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환자의 구강상태에 따라 자석의 개수를 조절하여 자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자석은 0.001 내지 0.010 mm의 두께를 갖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200)의 상부에는 틀니(2000)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도록 홈(12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122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접합부(1200)의 상부에는 원추형,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톱니형, 기울어진 톱니형, 및 요철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의 홈(122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홈(1220)의 형태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200)의 상부에 원추형의 홈(1220), (b)와 같이 기둥형, (c)와 같이 톱니형, 또는 (d)에서와 같이 기울어진 톱니형의 홈(122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200)의 홈이 원추형, 기둥형 또는 톱니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틀니(2000)와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져 틀니(2000)가 수평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접합부(1200) 내에 기울어진 톱니형의 홈(1220)이 형성될 경우에는 틀니가 밀리는 방향의 면을 접합부(1200)에 수직되도록 형성하여 틀니가 저작 작용시 앞쪽 또는 뒤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시 하악의 경우 구강 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틀니는 구강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홈(1220)의 면이 구강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구강 내측에서 홈(1220)의 면이 접합부(12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악의 경우 구강의 바깥 방향으로 밀리므로, 구강의 외측에서 홈(1220)의 면이 접합부(12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저작 습관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듀얼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의 어태치먼트 및 틀니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합부(1200)의 홈(1220)이 원추형, 사각기둥형, 톱니형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원기둥형, 테이퍼형, 계단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200)의 홈(1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2000)의 고정부(2300) 결합부위에 형성된 돌기(2320)와 맞물려 틀니(20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틀니(2000)에는 접합부(1200)의 홈(1220)에 대응되는 돌기(2320)이 형성되며, 이는 후술한다. 상기 홈(1220) 형상의 높이는 0.5 내지 1.5 mm일 수 있으며, 0.5 mm보다 낮을 경우에는 틀니(2000)의 고정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1.5 mm보다 높을 경우에는 제2마그넷부(1210)과 틀니(2000)의 고정부(2300) 내에 위치하는 제1마그넷부(2310) 결합 간격의 폭이 넓어져 자력에 의한 틀니 고정력이 약화될 수 있다.
접합부(120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티타늄으로 코팅될 수 있으며, 티타늄으로 코팅된 접합부(1200)의 상부를 레진,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다시 한번 더 코팅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10 내지 100 ㎛로 할 수 있다. 접합부(1200)의 상부를 연성 재질로 코팅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높이고,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1220)과 함께 틀니(20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합부(1200) 상에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접합부(1200) 상에 연성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마찰력이 높아져 틀니가 이동하지 않게 결합력을 상승시키면서, 또한 틀니의 착용감을 좋게 한다는 효과도 있다.
한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는 결합부(1300)를 포함한다. 결합부(1300)는 지대치부(1100)의 하부에 연결된다. 결합부(13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을 통하여 환자의 잇몸(1400)에 식립되어 있는 픽스춰(미도시)와 결합한다. 결합부(1300)는 스테인레스강을 티타늄 코팅하거나,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와 틀니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는 틀니(2000)와 자력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틀니(2000)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치아부(2100), 잇몸부(2200) 및 고정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부(2100)는 인공 치아로서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연 치아와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치아부(2100)는 주로 세라믹이나 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작 작용 시 음식물을 부수고 씹는 역할을 한다.
잇몸부(2200)는 치아부(2100)을 고정 및 지지하는 부분이다. 잇몸부(22000는 틀니(2000)를 환자의 잇몸(1400) 상에 안착시키는 부분으로, 잇몸(1400)을 감쌀 수 있도록 잇몸(140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잇몸부(2200)는 레진,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잇몸부(2200)는 입이 개방되어 있을 때 치아부(2100)와 함께 보이는 것이므로, 잇몸(1400)과 최대한 유사한 색상 및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와 틀니의 고정부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의 접합부와 틀니의 고정부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2300)가 위치하는 부분의 잇몸부(2200)가 개방되어 치아부(2100) 하부의 고정부(2300)가 외부로 드러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고정부(2300)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와 착탈 가능하도록 접합되는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300)는 내부에 제1마그넷부(2310)가 내장되어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와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마그넷부(2310)는 고정부(2300)의 지름보다 작은 기둥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마그넷부(2310)는 두께가 0.001 내지 0.010 mm이고, 자력이 100 내지 1,000 가우스인 자석을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자석을 겹쳐 자력을 조절할 수 있다. 자석을 적게 포함하는 경우 자력이 완화되고, 자석의 개수를 증대시킬 경우 자력이 강화되어 접합부(1200)와 틀니(2000)의 결합력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2300) 내부에 제1마그넷부(2310)가 내장되는 것 이외에도 고정부(2300) 자체를 자성을 가진 금속 또는 마그넷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부(2300) 자체가 자성을 가진 경우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의 제2마그넷부(1210)와 과 더욱 강하게 접합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악에 두 개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를 식립하였으며, 틀니(2000)에 두 개의 고정부(230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부(2300)의 개수는 식립된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도 3에서 도시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고정부(2300)는 환자의 편의에 따라 틀니(2000)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결합력을 조절하기 위해 제1마그넷부(2310)에 구비된 자석의 개수를 조절하는 등의 방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부(2300)는 치아부(210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접합부(1200)의 소재와 동일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고정부(2300)는 금속재질, 자성을 가진 금속상, 연질 재질 및 세라믹 재질 등 여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고정부 상 또는 하면에 티타늄 등을 코팅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더 채택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300)의 하면 또는 티타늄으로 코팅된 고정부(2300)의 하면은 레진,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다시 한번 코팅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10 내지 100 ㎛로 할 수 있다.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부(2300) 하면에 광중합형 소프트 레진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2300)의 하면을 연성 재질로 코팅시킬 경우, 마찰 계수를 높이고, 마찰력이 높아져 틀니(2000)가 이동하지 않게 결합력을 상승시켜 틀니(20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틀니의 착용감을 좋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0)의 하부에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형성된 홈(1220)에 대응하는 돌기(232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부(2300)의 하부에는 접합부(1200)에 대응하도록 원추형,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톱니형, 기울어진 톱니형, 및 요철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의 돌기(232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6의 (a)에서와 같이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원추형의 홈(1220)이 형성된 경우, 고정부(2300)의 하부에 홈(1220)과 동일한 형태의 원추형 돌기(2320)가 형성되어 틀니(2000)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b)의 사각 기둥 형상의 돌기(2320)나 (c)의 톱니 형상의 돌기(2320) 또는 (d) 비스듬한 톱니 형상의 돌기(2320) 또한 어태치먼트(1000)의 접합부(1200)에 각각 맞물릴 수 있는 형태의 홈(1220)과 결합함으로써 틀니(2000)가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300)의 돌기(2320)의 형상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나 비스듬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틀니가 밀리는 방향의 면을 고정부(2300)의 면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하여 틀니가 저작 작용 시 좌우로 밀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시 하악의 경우 구강 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틀니는 구강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 때, 톱니 형상을 구강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구강 내측에서 돌기(2320)의 면이 고정부(23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악의 경우 구강의 바깥 방향으로 밀리므로, 구강의 외측에서 돌기(2320)의 면이 고정부(2300)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저작습관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어태치먼트(1000) 및 틀니(2000)를 제작하여 보다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를 제작할 수 있다. 돌기(2320)의 두께는 접합부(1200)의 홈(12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300)의 돌기(2320)가 원추형, 사각기둥형, 톱니형, 기울어진 톱니형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기둥형, 테이퍼형, 계단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부(2300) 및 돌기(2320)는 그 표면이 레진이나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고정부(2300)와 돌기(2320)의 하면이 연성 재질로 코팅됨으로써, 동일 재료로 코팅된 접합부(1200)의 단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고, 마찰력이 보다 더 증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틀니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는 틀니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자력을 강화시켜 틀니 착용시 틀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연성 재질을 사용하여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1100 : 지대치부 1200 : 접합부
1210 : 제2마그넷부 1220 : 홈
1300 : 결합부 1400 : 잇몸
2000 : 틀니 2100 : 치아부
2200 : 잇몸부 2300 : 고정부
2310 : 제1마그넷부 2320 : 돌기

Claims (6)

  1. 내부에 1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제1마그넷부가 수용되는 틀니; 및
    상기 틀니를 지지하는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 어태치먼트는
    상기 틀니를 지지하는 지대치부;
    상기 지대치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틀니와 접합되며, 내부에 1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제2마그넷부가 수용되는 접합부; 및
    상기 지대치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픽스춰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넷부 또는 상기 제2마그넷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개의 자석을 겹쳐 자력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0.001 내지 0.100 mm의 두께를 갖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는 원추형,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톱니형, 기울어진 톱니형, 및 요철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는
    치아부;
    상기 치아부를 지지하는 잇몸부; 및
    상기 치아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제1마그넷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접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는 상기 접합부에 대응하도록 원추형,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톱니형, 기울어진 톱니형, 및 요철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KR1020160141439A 2016-10-27 2016-10-27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KR20180046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439A KR20180046319A (ko) 2016-10-27 2016-10-27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439A KR20180046319A (ko) 2016-10-27 2016-10-27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319A true KR20180046319A (ko) 2018-05-08

Family

ID=6218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439A KR20180046319A (ko) 2016-10-27 2016-10-27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3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Belser et al. Prosthetic management of the partially dentate patient with fixed implant restorations Note
US6224374B1 (en) Fixed, splinted and removable prosthesis attachment
ES2688592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ntal extraíble
US20040191727A1 (en) Implant for use in aesthetic regions of the mouth with coloured contoured edge portion
Balshi Osseointegration and Orthodontics: Modern Treatnentment or Congenitally Missing Teeth.
US6986661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Dhanrajani et al. Single-tooth implant restorations: A retrospective study
KR200473225Y1 (ko)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Devi et al. Customization of attachments in tooth supported overdentures: Three clinical reports
JP4190759B2 (ja) 歯科用保定装置
JP2013501600A (ja) アバットメントとジルコニアキャップとの強固な締結構造を有するインプラント装置
KR20150114710A (ko) 맞춤형 전치부 임플란트
US9044289B2 (en) Universal transitional abutment
KR200388933Y1 (ko) 연조직의 깊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런트
KR20180046319A (ko)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KR20180093737A (ko) 듀얼 마그네틱 오버덴쳐
US20210186664A1 (en) Bone-bonded artificial tooth structure
Rockman et al. Magnetic retention of dental prostheses in a child with ectodermal dysplasia
Spitzer et al. Achieving Ideal Esthetics in Osseointegrated Prostheses. Pert II. The Single Unit.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784608B1 (ko) 통공이 형성된 잇몸부를 구비한 의치
KR101695585B1 (ko) 틀니용 어태치먼트의 의치 결합방법
Chavez Retention of Implant-Retained Overdentures: A Comparison of Locator and Locator R-TX Retention Inserts
JP2896994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