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236B1 -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 Google Patents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236B1
KR101670236B1 KR1020150068418A KR20150068418A KR101670236B1 KR 101670236 B1 KR101670236 B1 KR 101670236B1 KR 1020150068418 A KR1020150068418 A KR 1020150068418A KR 20150068418 A KR20150068418 A KR 20150068418A KR 101670236 B1 KR101670236 B1 KR 10167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flow path
flange portion
wid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김영춘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건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건화이엔지 filed Critical 서한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06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6Cover or bell housings; Details or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조인트 하우징 내부의 그리스(grease)의 누유 가능성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하면서도, 원활한 공기 배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 형태로 마련되어 피동축이 삽입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부에 마련되는 조인트 커버과 면접하는 연장부와; 상기 플랜지부 내면에 형성되고 음각 형태로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 유로의 폭은 내측단부와 외측단부에서 달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 유닛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유로의 내측단부의 폭이 외측 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온의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되면서도, 그리스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A boot unit for a contant velocity joint}
본 발명은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조인트 하우징 내부의 그리스(grease)의 누유 가능성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하면서도, 원활한 공기 배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진축에 사용하는 등속조인트에 적용된 그리스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트(Boot)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과 고무재질 두 종류를 적용할 수 있다.
PE 재질의 경우 재질 자체가 단단함으로 부트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있는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에 사용할 경우는 주름이 많은 형상을 적용하여 길이방향 변화를 흡수하는 구조로 사용하며, 내부 열이나 압력에 견디는 성질이 강함으로 내부가 왼전히 밀봉된 상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고무 재질의 경우 TPE 재질과 같이 단단하지 않고 경도가 무른 재질임으로 추진축과 같이 고속 회전 용도로 사용할 시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트를 커버가 감싸주는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고무재질 부트는 상기 조인트 하우징과 피동축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여 그리스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밀폐하게 되지만, 상기 등속조인트의 내부에서 고속 회전되는 구동축과 피동축에 의해 내부 발열시, 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경도가 낮는 상기 부트가 자체적으로 흡수하기 어려워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트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면, 등속조인트 내부에 충진된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됨에 따라 품질문제가 발생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등속조인트의 커버 부분에 통기홀을 형성하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 통기홀을 가공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여 제작원가가 상대적으로 적은 부트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 공개 공보 10-2011-0060563에서는 부트의 플랜지부 내면에 돌출되는 한쌍이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에 의하여 종동축과 플랜지부 내면 일부가 이격되어 에어 브리드홀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에어 브리드 홀에 의하여 조인트 하우징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어 고온 고압의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그 이격 공간이 넓어서 조인트 하우징 내부의 그리스(grease)가 에어 브리드 홀을 타고 외부로 누유될 수 있으며, 외부의 수분이 조인트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랜지부와 종동축간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그리스의 누유 가능성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조인트용 부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인트 하우징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연통 성능을 유지함으로써 조인트 하우징 내부의 고온의 공기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의 수분이 조인트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인트용 부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 형태로 마련되어 피동축이 삽입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부에 마련되는 조인트 커버과 면접하는 연장부와; 상기 플랜지부 내면에 형성되고 음각 형태로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 유로의 폭은 내측단부와 외측단부에서 달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공기 유로의 내측 단부의 폭은 상기 외측 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로는 내측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제1 영역과, 제1영역의 종료지점에서 상기 외측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종동축과 상기 플랜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가 체결되는 밴드 체결부가 마련되되. 상기 밴드 체결부의 최선단부의 가상선과 상기 내측단부의 위치가 동일하거나 또는 내측 단부가 상기 밴드 체결부의 최선단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 내측 영역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내측 공기 유로와, 상기 플랜지부 외측 영역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측 공기유로와; 복수의 내측 공기 유로와 외측 공기유로를 한꺼번에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 공기 유로와 연결되는 모든 내측 공기 유로의 폭의 합은 상기 외측 공기 유로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종동축과 상기 플랜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가 체결되는 밴드 체결부가 마련되되. 상기 밴드 체결부의 최선단부의 가상선보다 상기 내측 공기 유로의 내측 단부 또는 최선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더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유로의 내측단부의 폭이 외측 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온의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되면서도, 그리스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공기 유로가 음각 형태로 되기 때문에 공기 유로를 제외한 플랜지부 내면의 나머지 부분과 피동축 간에 면접이 되어 밀폐 성능이 향상되어 조인트 내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고온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스의 품질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인트 내부 구성요소에 열부하가 걸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고 및 그리스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돌기부 가공 공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부트 내부 형상을 단순화 하여 조립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트 유닛이 적용되는 조인트의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부트 유닛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부트 유닛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4는 종래 기술의 부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a)(b)는 종래 기술의 부트 유닛과 피동축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c)(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부트 유닛과 피동축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e)(f)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부트 유닛과 피동축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트유닛(100)이 적용되는 등속조인트(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샤프트나 프로펠러 샤프트와 같은 구동축(2)에 연결되는 외륜(10)을 포함한다.
외륜(10) 내에는 외주면에 트랙이 형성되는 내륜(20)과, 내륜(20)의 트랙에 배치되는 볼(30)과, 절각시 볼(30)의 위치를 잡아주는 케이지(40)가 마련된다.
외륜(10)의 내면에도 트랙이 형성되며, 볼(30)은 외륜(10) 내면의 트랙과 내륜(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트랙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내륜(20)에는 피동축(50)이 결합되는데, 내륜(20)의 내주면과 피동축(50)의 결합부 외주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호 치합되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동축(2)과 피동축(50) 간의 절각시, 볼(30)은 트랙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구동축(2)의 동력을 피동축(50)으로 전달한다.
외륜(10)의 내부 공간(11)에는 그 내부 구성요소(내륜, 볼, 케이지)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 그리스(grease)가 충진된다.
한편, 외륜(10)의 개방구(12) 측에는 커버(60)가 장착된다.
커버(60)는 외륜(10)의 단부와 면접하고 절곡되는 형태의 제1커버부(61)와, 제1커버부(61)에서 연장되는 제2커버부(62)로 구성되며, 제1커버부(61)의 내경은 제2커버부(6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커버부(62) 내부에는 피동축(50)이 통과하고, 피동축(50)과 제2커버부(62) 내면 사이에 부트 유닛(100)이 마련된다.
부트 유닛(100)은 피동축(50)의 표면에 면접하게 되는 플랜지부(110)와, 플랜지부(110)의 단부로부터 곡선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120)와, 절곡부(120)에서 연장되어 제2커버부(62)와 결합되는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제2커버부(62)의 단부는 'U'자 형으로 절곡되어, 연장부(130)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연장부(130)와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밴드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부(110)의 외주면에는 장착홈(140)이 형성되어, 플랜지부(110)에 피동축(50)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경우, 그 배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밴드가 장착될 수 있다.
플랜지부(110)의 내부 공간은 제1공간 영역(111)과, 제2공간 영역(112)으로 구분되며, 제1공간 영역(111)의 내경은 피동축(50)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공간 영역(111)의 내주면은 피동축(50)의 외주면과 이격된다.
그리고 제2공간 영역(112)의 내경은 피동축(5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공간 영역(112)의 내주면은 피동축(50)과 면접한다.
플랜지부(110) 내면에는 공기 유로(도2 및 도3참조, 150, 160)가 형성되어 등속 조인트(1) 발열시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안내한다.
등속조인트(1)가 수천 RPM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체 발열로 인하여 등속 조인트(1) 내부 온도가 증가하고 이에 의하여 그리스의 품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또한, 내부 구성요소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으면서도 그리스의 누유를 방지하고, 외부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110) 내면에 공기 유로(150, 160)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부트 유닛(10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10)의 내면에는 음각(홈 형태)으로 형성되는 공기 유로(150)가 마련된다.
공기 유로(150)는 플랜지부(110)의 내주면에 플랜지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b)와 도2(c)는 공기 유로(150)가 플랜지부(110) 내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공기 유로(150)는 내측단부(151)와 외측단부(152)를 가지며, 내측단부(151)의 폭은 외측 단부(152)에 비해서 좁게 형성된다.
한편, 공기유로(150)는 내측단부(151)에서 외측 단부(152)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늘어나도록 테이퍼진 형태가 되는 제1 유로 영역(153)과, 제1유로 영역(153)의 종료점에서 외측 단부(152)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유로 영역(15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공기 유로(150)의 내측 단부(151)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은 조인트 회전시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는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되, 그리스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외부의 수분이 내측 단부(151)를 통과하여 외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유로(150)의 내측 단부(151)의 위치는 밴드 장착홈(140)의 최선단부(140a)의 위치와 비교할 때 외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110)의 단부에서 공기유로(150) 내측 단부 까지의 거리(A)는 플랜지부(110)의 단부에서 밴드 장착홈(140)의 최선단부(140a) 까지의 거리(D)보다 짧게 형성되거나, 아니면 도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거리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단부(151)의 폭과 외측단부(152)의 폭의 비율은 0.3~0.5 : 1 정도의 비율이 적절하며, 이러한 비율에서는 부트 유닛(100) 내부의 공기 부피 팽창시, 공기는 공기 유로로 빠져나가되 그리스(grease)는 빠져나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공기 유로(150)의 내측 단부(151)의 위치는 밴드 장착홈(140)의 최선단부(140a)의 위치와 비교할 때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는 외륜(도1참조, 10) 내부 및 커버(도1참조, 6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공기 압력을 일정하기 유지하지 하면서도, 그 내부 공간에 들어 있는 그리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3는 본 발명에 의한 부트 유닛(10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a)와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로(160)는 Y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Y 형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내측단부(161a)가 분기되는 형태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공기 유로(160)는 플랜지부(110) 내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내측 공기 유로(161, 162)와, 외측 공기유로(164)와, 복수의 내측 공기 유로(161,162)와 외측 공기유로(164)를 한꺼번에 연결하는 연결 유로(163)를 포함한다.
연결 유로(163)는 플랜지부(110)의 중심축과 비교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여기서 내측 공기유로(164)의 폭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공기유로(161,162)는 상호 이격되며 내측 공기유로(161,162)에서 연장되는 연결유로(163)가 외측 공기유로(164)의 시작점에 수렴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내측 공기 유로(161,162)와 하나의 외측 공기유로(164)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내측 공기 유로(161, 162)의 폭의 합은 외측 공기 유로(16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측 공기 유로(161,162)의 폭의 합이 외측 공기 유로(16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이유는 고온의 공기는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되, 그리스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외부의 수분이 내측 단부(161a, 162a)를 통과하여 외륜 (10)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내측 공기 유로(161,162)의 내측 단부(161a, 162a)는 밴드 장착홈(140)의 최선단부(140a)보다 내측 방향으로 앞서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랜지부(110)의 단부에서 내측 공기유로(161, 162)의 내측 단부(161a, 162a) 까지의 거리(C)는 플랜지부(110)의 단부에서 밴드 장착홈(140)의 최선단부 (140a)까지의 거리(D)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륜(10) 내부 및 커버(6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내측 공기 유로(161, 162)의 내측 단부(161a, 162a)의 폭의 합과 외측 공기 유로(164)의 외측 단부(164a)의 폭의 비는 0.3~0.5: 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내측단부(161a 또는 162a)와 외측 단부(164a)의 폭 간의 비율은 0.15~0.25 : 1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측 공기 유로(161, 162)의 수량이 많아지면 그 비율은 그 수량에 맞게 변화할 것이다(예, 0.1 : 1).
이 경우, 단일의 내측단부(161a, 162a)의 폭이 외측 단부(164)의 폭에 비하여 현저하게 좁기 때문에, 공기를 통과해도 그리스는 통과 하기 어렵다. 따라서, 내측단부(161a, 162a)가 밴드 장착홈(140)의 최선단부(140a)보다 내측 방향으로 앞서도록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원활한 공기의 배출과, 그리스의 누출 방지라는 두 개의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트 유닛(1000)을 도시한 것이다.
도4에서는 플랜지부(1100) 내면에 돌기부(1400)가 형성되고, 돌기부(1400)는 2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이격공간(S3)이 형성된다. 돌기부(1400)는 플랜지부(1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도5(a)(b)는 도4에 따른 종래 기술의 부트 유닛(1000)에 피동축(5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5(c)(d)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부트 유닛(100)에 피동축(5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5(e)(f)는 제2실시예에 따른 부트 유닛(100)에 피동축(5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는 돌기부(1400)의 내측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를 절단한 것이고, 도5(b)는 돌기부(1400)의 외측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를 절단한 것인데, 돌기부(1400)의 단면 형상이나, 돌기부(1400)간의 간격은 내측단부나 외측단부가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피동축(50)이 플랜지부(1100)에 삽입되면, 돌기부(1400)에 의해서 플랜지부(1000) 내면 일부와 피동축(50)의 외주면이 이격된다.
즉, 돌기부(1400) 사이의 공간(S3) 및 돌기부의 상부 공간(S1) 및 돌기부의 하부 공간(S2)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들을 통해서 그리스가 누유될 수 있고, 외부의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그 만큼 위 공간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한편, 도5(c)는 제1실시예에서 공기유로의 내측단부(151)에 해당하는 위치를 절단한 것이고, 도5(d)는 제1실시예에서 공기 유로의 외측단부(152)에 해당하는 위치를 절단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내측 단부(151)의 폭이 외측 단부(152)보다 현저하게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이 공기 유로를 타고 외륜(10) 및 커버(6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유로의 내측 단부(151)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공기는 빠져나올 수 있으나, 점성이 큰 그리스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유로는 음각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플랜지부(110) 내면은 모두 피동축(50) 외면에 면접할 수 있어서, 밀폐 성능이 종래 기술에 비해서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5(e)는 제2실시예에서 공기유로의 내측단부(161a, 162a)에 해당하는 위치를 절단한 것이고, 도5(f)는 제2실시예에서 공기 유로의 외측단부(164a)에 해당하는 위치를 절단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기 유로(도4참조, 161, 162)는 외부 공기유로(도4참조, 164)로부터 분기되기 때문에, 내측단부(161a, 162a)에 해당하는 영역을 절단한 경우, 내측 단부(161a, 162a)는 복수개(본 도면에서는 2개)가 형성되고, 내측 단부(161a, 162a) 사이는 이격된다.
제2실시예에서도 공기 유로는 음각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플랜지부(110) 내면은 모두 피동축(50) 외면에 면접할 수 있어서, 밀폐 성능이 종래 기술에 비해서 개선될 수 있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공기 유로의 외측 단부(164a)의 폭은 내측 단부(161a, 162a))의 폭의 합에 비해서 현저하게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이물질이나 수분 유입이 방지되고, 그리스의 외부 누유가 방지되면서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부트유닛 110: 플랜지부
150, 160: 공기 유로 151, 161a,162a: 내측단부
152, 164a: 외측 단부

Claims (8)

  1. 원통 형태로 마련되어 피동축이 삽입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와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부에 마련되는 조인트 커버과 면접하는 연장부와;
    상기 플랜지부 내면에 형성되고 음각 형태로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공기 유로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종동축과 상기 플랜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가 체결되는 밴드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 유로 중 내측 영역의 유로의 폭은 외측 영역의 폭에 비해서 좁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로의 바닥면은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까지 연속적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로의 폭의 변화가 발생하는 지점은 상기 밴드 체결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랜지부 내면 영역에 위치하며,
    공기 유로의 내측 단부가 상기 밴드 체결부를 구성하는 장착홈의 최선단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공기 유로 내측 단부 까지의 거리(A)는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장착홈의 최선단부 까지의 거리(D)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내측 영역은 내측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공기 유로의 외측 영역은 제1영역의 종료지점에서 상기 외측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제2영역으로 정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 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68418A 2015-05-16 2015-05-16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KR10167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418A KR101670236B1 (ko) 2015-05-16 2015-05-16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418A KR101670236B1 (ko) 2015-05-16 2015-05-16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221A Division KR101865049B1 (ko) 2016-09-22 2016-09-22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236B1 true KR101670236B1 (ko) 2016-10-28

Family

ID=5724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418A KR101670236B1 (ko) 2015-05-16 2015-05-16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2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323U (ko) * 1989-04-13 1990-11-07
JPH0744969U (ja) * 1991-12-27 1995-12-05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プロペラシャフト用等速ジョイントのブーツ
JP2008151262A (ja) * 2006-12-18 2008-07-03 Ntn Corp ブーツ取り付け構造
US8834279B2 (en) * 2012-03-14 2014-09-16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Shaft assembly for a constant velocity joi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323U (ko) * 1989-04-13 1990-11-07
JPH0744969U (ja) * 1991-12-27 1995-12-05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プロペラシャフト用等速ジョイントのブーツ
JP2008151262A (ja) * 2006-12-18 2008-07-03 Ntn Corp ブーツ取り付け構造
US8834279B2 (en) * 2012-03-14 2014-09-16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Shaft assembly for a constant velocity jo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9127B2 (ja) 等速自在継手
KR101865049B1 (ko)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JP6360566B2 (ja) シールリング
JP2004138175A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KR101670236B1 (ko) 등속 조인트용 부트 유닛
US7347787B2 (en) Joint boot
JPWO2016158848A6 (ja) シールリング
JP2006275259A (ja) 等速自在継手
KR20170033278A (ko) 샤프트 엔드를 지탱하고 중심 맞추기 위한 센터링 슬리브
WO2017094599A1 (ja) 密封装置
JP2003056718A (ja) オイルシール
US8348774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and constant velocity joint boot
WO2022151760A1 (zh) 一种控制阀
US7582020B2 (en) Boot for universal joint
WO2021010005A1 (ja) シールリング
JP5158693B2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JP2009052705A (ja) オイルシール
WO2011142217A1 (ja) 両シール付き玉軸受
JP4761114B2 (ja) 動力伝達シャフト及び動力伝達装置
JP4199237B2 (ja) ジョイントブーツ
KR101124672B1 (ko) 바퀴측용 등속조인트 부트
US20070144809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2233542A (ja) 動力伝達軸
KR20110060563A (ko) 등속조인트용 부트유닛
JP2023161804A (ja) 等速自在継手のシール構造、及びこのシール構造を備えた等速自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