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674B1 -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674B1
KR101669674B1 KR1020100009195A KR20100009195A KR101669674B1 KR 101669674 B1 KR101669674 B1 KR 101669674B1 KR 1020100009195 A KR1020100009195 A KR 1020100009195A KR 20100009195 A KR20100009195 A KR 20100009195A KR 101669674 B1 KR101669674 B1 KR 10166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hamber
follower
stat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012A (ko
Inventor
다카유키 하야시다
다카시 이바
구니히코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야마토미신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미신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미신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재봉틀 본체(32)의 상부에 바늘실(A) 및 루퍼실(C)을 협착(挾着)하여 장력을 부여하는 협착 상태와 협착 해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전환하는 실 장력 조정부(33)를 마련한다. 가동 메스(35)는, 바늘판(34)의 하방에서 전진/후퇴하여, 바늘실(A) 및 루퍼실(C)을 절단한다. 요동 아암(38)은 일단부가 재봉틀 본체(32)에 각변위(角變位)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와 일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팔로워(follower; 37)가 마련된다. 캠 부재(40)에는 긴 구멍(39)이 형성되며, 캠 부재(40)의 변위에 의해 요동 아암(38)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각변위시킨다. 제1 링크부(42)는, 요동 아암(38)의 타단부의 변위를 실 장력 조정부(33)에 전달하고, 제2 링크부(43)는, 가동 메스(35)에 구동부(41)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가동 메스(35)를 전진 및 후퇴시킨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THREAD 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종래 기술은, 예컨대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3684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1)는, 공기압 실린더(2)의 피스톤 로드(3)에 연결 블록(4)에 의해 연동축(5)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이 연동축(5)의 타단부에 고정된 캠 부재(6)에 의해, 바늘실(needle thread) 유지기라고도 불리는 실 장력 조정 장치(도시 생략)에 바늘실 및 루퍼실(looper thread)을 협착(挾着)시켜 원하는 장력을 부여하며, 또한 이 협착 상태를 해제하여 바늘실 및 루퍼실의 장력을 해방할 수 있고, 상기 연동축(5)의 변위에 동기하여, 바늘판(도시 생략)의 하면에 마련되는 대략 C자 형상의 가동 메스(12)를 화살표 B1, B2 방향으로 각변위(角變位)시켜, 바늘실 및 루퍼실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축(5)의 축선과 상기 공기압 실린더(2)의 피스톤 로드(3)의 축선은 평행하다. 또한, 상기 공기압 실린더(2)는, 단동(單動) 공기압 실린더에 의해 구현되며, 피스톤 로드(3)는 공기압에 의해 화살표 A1 방향으로 축퇴(縮退)하고, 복귀 스프링(2a)의 스프링력에 의해 화살표 A2 방향으로 신장한다.
상기 연결 블록(4)에는, 압박 로드(7)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압박 로드(7)의 타단부에는, 제1 핀(8)에 의해 제1 요동 아암(9)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1 요동 아암(9)의 타단부에는, 제2 핀(10)에 의해 메스 구동 로드(1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메스 구동 로드(11)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동 메스(12)가 제3 핀(13)에 의해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요동 아암(9)의 중간부는, 제4 핀(14)에 의해 재봉틀의 기체(機體)에 피봇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3)가 화살표 A1 방향으로 축퇴하면, 상기 제1 요동 아암(9)은 제4 핀(14)의 축선 둘레로 각변위하고, 메스 구동 로드(11)를 통해 가동 메스(12)를 압박하여 화살표 B1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3)가 화살표 A2 방향으로 신장하면, 상기 제1 요동 아암(9)은 상기 제4 핀(14)의 축선 둘레로 반대 방향으로 각변위하고, 메스 구동 로드(11)를 통해 가동 메스(12)를 끌어당겨 화살표 B2 방향으로 후진시킨다. 이러한 상기 가동 메스(12)는, 제5 핀(15)에 의해 상기 바늘판의 하면에 피봇 지지된다.
상기 캠 부재(6)는, 상기 연동축(5)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제1 및 제2 캠면(6a, 6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캠면(6a)은, 화살표 A2 방향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캠면(6b)은, 제1 캠면(6a)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기압 실린더(2)는, 상기 재봉틀 본체의 배면에 고정된 브래킷(16)에 대략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16)에는 지지 프레임(17)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7)의 상단부에는, 제6 핀(18)에 의해 제2 요동 아암(19)의 중앙부가 상기 제6 핀(18)의 수평한 축선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제2 요동 아암(19)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캠면(6a, 6b)에 의해 안내되는 팔로워(follower; 2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 요동 아암(19)의 타단부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연결 로드(23)의 하방에 배치되는 일단부가 제7 핀(2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6 및 제7 핀(18, 21)은, 핀 볼트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연결 로드(23)의 상방에 배치되는 타단부는, 상기 실 장력 조정 장치에 연결되고, 연결 로드(23)의 화살표 C1 방향으로의 상승 및 화살표 C2 방향으로의 하강에 의해, 상기 실 장력 조정 장치에 의한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와 이 협착 상태를 해제한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실 절단 장치(1)에 있어서, 봉제 중에는 상기 실 장력 조정 장치에 바늘실 및 루퍼실을 탄발적으로 협착하여 적당한 장력을 부여하고, 봉제 동작을 정지했을 때에는,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를 해제하여, 바늘실 및 루퍼실의 상기 봉제시에서의 장력을 해방하고, 가동 메스(12)가 화살표 B1 방향으로 전진할 때, 바늘실 및 루퍼실을 이완시켜, 바늘실 및 루퍼실이 부적절한 타이밍에 절단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1)는, 제2 요동 아암(19)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팔로워(20)를 캠 부재(6)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캠면(6a, 6b)에서 받치고, 캠 부재(6)를 화살표 A1, A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로드(23)를 화살표 C1, C2 방향으로 상하 변위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가동 메스(12)가 화살표 B1 방향으로 전진하는 도중에 상기 실 장력 조정 장치에 의한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캠 부재(6)에 제1 및 제2 캠면(6a, 6b)을 원하는 경사 각도로 형성해도, 원활하게 팔로워(20)를 추종시킬 수 없어, 가동 메스(12)가 화살표 B1 방향으로 전진하는 도중의 최적의 타이밍에서 실 장력 조정 장치의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를 해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메스가 전진하는 도중의 최적의 타이밍에서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재봉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바늘실 및 루퍼실을 협착하여 상기 바늘실 및 루퍼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협착 상태와 이 협착 상태를 해제한 협착 해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실 장력 조정부와,
바늘판의 하방에서 바늘 낙하 위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바늘 낙하 위치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바늘실 및 루퍼실을 절단하는 가동 메스와,
일단부가 상기 재봉틀 본체에 각변위(角變位)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팔로워(follower)가 마련되는 요동 아암과,
상기 팔로워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일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요동 아암을 일방향으로 각변위시키고, 타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요동 아암을 타방향으로 각변위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를,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요동 아암의 타단부의 변위를 상기 실 장력 조정부에 전달하여, 상기 실 장력 조정부를, 상기 협착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상태로 동작시키는 제1 링크부와,
상기 가동 메스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동 메스를 전진 및 후퇴 변위시키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동 아암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팔로워를 마련하고, 이 팔로워를 캠 부재의 긴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춘 상태에서, 캠 부재의 일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요동 아암을 일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며, 캠 부재의 타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요동 아암을 타방향으로 각변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캠 부재의 일방향 및 타방향의 변위에 따라 팔로워를 상기 긴 구멍에 추종시킬 수 있어, 가동 메스의 전진 동작 중 바늘실 후크의 외주부가 바늘실을 밀어 벌어지게 하기 직전의 최적의 위치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실 장력 조정부에 의한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상기 긴 구멍에 면한 내주부에는, 상기 팔로워를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안내하는 제1 캠면과, 상기 팔로워를 상기 캠 부재의 상기 타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안내하는 제2 캠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긴 구멍에는 제1 캠면과 제2 캠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팔로워를 제1 및 제2 캠면에 의해 확실하게 추종시켜 변위시킬 수 있어, 가동 메스의 전진 동작 중 바늘실 후크의 외주부가 바늘실을 밀어 벌어지게 하기 직전의 최적의 위치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실 장력 조정부에 의한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를 보다 고정밀도로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봉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바늘실 및 루퍼실을 협착하여 상기 바늘실 및 루퍼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협착 상태와 이 협착 상태를 해제한 협착 해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실 장력 조정부와,
바늘판의 하방에서 바늘 낙하 위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바늘 낙하 위치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바늘실 및 루퍼실을 절단하는 가동 메스와,
팔로워와,
상기 재봉틀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팔로워의 제1 방향 및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고, 상기 팔로워의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팔로워 안내부가 마련되는 팔로워 안내 부재와,
상기 팔로워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일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타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를,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팔로워의 변위를 상기 실 장력 조정부에 전달하여, 상기 실 장력 조정부를 상기 협착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상태로 동작시키는 제1 링크부와,
상기 가동 메스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동 메스를 전진 및 후퇴 변위시키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팔로워 안내 부재에 의해 팔로워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며, 캠 부재의 긴 구멍에 팔로워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춘 상태로 하여, 캠 부재의 일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를 제1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캠 부재의 타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를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캠 부재의 일방향 및 타방향의 변위에 따라 팔로워를 상기 긴 구멍에 추종시킬 수 있어, 가동 메스의 전진 동작 중 바늘실 후크의 외주부가 바늘실을 밀어 벌어지게 하기 직전의 최적의 위치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실 장력 조정부에 의한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를 이용하면, 가동 메스가 전진하는 도중의 최적의 타이밍에서 바늘실 및 루퍼실의 협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계통도이다.
도 2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 절단 장치가 마련되는 재봉틀의 사시도이다.
도 4a∼도 4e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가동 메스가 우측 바늘실의 루프 사이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우측 바늘실이 바늘실 후크의 외주부에 의해 밀려 벌어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4c는 우측 바늘실이 바늘실 후크의 외주부에 의한 폭방향 양측으로의 밀어 벌리는 힘에 대항하지 못하고 절단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d는 우측 바늘실, 중앙 바늘실 및 좌측 바늘실이 바늘실 후크에 의한 밀어 벌리는 힘에 대항하지 못하고 절단되고, 루퍼실이 바늘실 후크의 외주부를 넘어 실 절단날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4e는 가동 메스가 정상적으로 바늘실 및 루퍼실의 각 루프 사이에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30)의 구성을 도시하는 계통도이고, 도 2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실 절단 장치(30)가 마련되는 다침 환봉(chain stitch) 재봉틀(3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30)는, 실 장력 조정부(33), 가동 메스(35), 요동 아암(38), 캠 부재(40), 구동부(41), 제1 링크부(42), 및 제2 링크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는, 다침 환봉 재봉틀(31)에 있어서, 재봉틀 본체(32)의 상부에 마련되며,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바늘실(A1, A2, A3)(총칭하는 경우에는 「바늘실(A)」이라고 기재함),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을 협착하여 각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에 장력을 부여하는 협착 상태와, 이 협착 상태를 해제한 협착 해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동 메스(35)는, 바늘판(34)의 하방에서 바늘 낙하 위치(P)에 근접하는 화살표 B11 방향(이하, 「전진 방향(B1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전진하고, 또한 상기 바늘 낙하 위치(P)로부터 이반하는 화살표 B12 방향(이하, 「후진 방향(B12)」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후퇴하여, 상기 바늘실(A) 및 루퍼실(C)을 절단한다.
상기 요동 아암(38)은, 일단부가 제1 핀(36)에 의해, 상기 재봉틀 본체(32)에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와 상기 일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팔로워(37)가 마련된다.
상기 캠 부재(40)에는, 상기 팔로워(37)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긴 구멍(39)이 형성되며, 상기 캠 부재(40)의 화살표 A11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요동 아암(38)이 상방으로 각변위되고, 화살표 A12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요동 아암(38)이 하방으로 각변위된다.
상기 제1 링크부(42)는, 상기 요동 아암(38)의 타단부의 변위를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에 전달하여,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를, 상기 협착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상태로 동작시킨다.
상기 제2 링크부(43)는, 상기 가동 메스(35)에 상기 구동부(41)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동 메스(35)를 전진 방향(B11) 및 후진 방향(B12)으로 각변위시킨다.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는, 기판(50)과, 기판(50)의 도 1의 지면(紙面)에 수직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협착구(挾着具; 51)를 포함한다. 각 협착구(51)는, 상기 기판(50)에 고정되는 통 형상의 유지편(52)과, 유지편(52)에 장착되며, 유지편(52)을 삽입 관통하여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협착 해제 핀(53)이 마련되는 조작편(54)과, 조작편(54)과 유지편(52) 사이에 개재되며,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을 상기 조작편(54)의 조작량에 따른 협착력으로 협착하여,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에 원하는 장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협착판(55a, 55b)과, 유지편(52)에 장착되며, 각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이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 구멍(56a, 56b)이 각각 형성되는 실 안내편(57)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50)에는, 각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이 각각 삽입 관통되는 각 한 쌍의 실 삽입 관통 구멍(58a, 58b)이 형성되는 실 경로 안내부(59)가 동일면 상에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각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은, 도시하지 않은 실감기 릴 또는 보빈에 권취되고, 이들 각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은, 상기 실 경로 안내부(59)의 각 실 삽입 관통 구멍(58a, 58b)에 삽입 관통되어, 각 실 경로 안내부(59)의 한쪽의 실 삽입 관통 구멍(58a)에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삽입 관통된 후, 다른쪽의 실 삽입 관통 구멍(58b)에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삽입 관통된다.
상기 실 경로 안내부(59)의 각 실 삽입 관통 구멍(58a, 58b)에 삽입 관통된 각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은, 각 실 안내편(57)의 한쪽의 관통 구멍(56a)에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삽입 관통되고, 각 협착판(55a, 55b) 사이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관통 구멍(56b)에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삽입 관통되며, 재봉틀 본체(32)의 상부에 마련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실 경로 안내 부재(61, 62, 63, 64, 65)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각각 삽입 관통되어, 각 바늘실(A)은 각 바늘(S)의 실 통과 구멍에, 또한 상부 장식실(B)은 실 경로 금구(金具)(66)의 관통 구멍(67)에 삽입 관통된다.
또한 상기 루퍼실(C)은, 실 경로 안내부(59)의 실 삽입 관통 구멍(58a, 58b)에 삽입 관통되어, 실 안내편(57)의 한쪽의 관통 구멍(56a)에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삽입 관통되고, 협착판(55a, 55b) 사이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관통 구멍(56b)에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삽입 관통되며, 루퍼실 이완부(69)로부터 루퍼실 안내편(70, 71, 72, 73, 74)을 경유하여, 루퍼(75)로 유도된다.
상기 캠 부재(40)는, 상기 긴 구멍(39)에 면하는 내주부에, 상기 캠 부재(40)의 상기 일방향(A11)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팔로워(37)를 안내하는 제1 캠면(81)과, 상기 캠 부재(40)의 상기 타방향(A12)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팔로워(37)를 안내하는 제2 캠면(82)이, 타방향(A12)을 향해 수평으로부터 하방으로 만곡되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41)는, 전자 솔레노이드(83)와, 이 전자 솔레노이드(83)의 플런저(84)에 고정되는 연결구(85)와, 연결구(85)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연결축(86)과, 연결축(86)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연결 블록(87)과, 연결 블록(87)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연동축(88)과, 연동축(88)이 삽입 관통되며, 연동축(88)을 그 타단부측에서 축선 방향으로 화살표 A11, A1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안내 부재(89)와,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83) 및 연동축(88)을 유지하며, 재봉틀 본체(32)의 배면에 고정되는 브래킷(79)을 갖는다.
상기 연동축(88)에는, 이 연동축(88)이 전자 솔레노이드(83)에 의해 화살표 A11 방향으로 변위한 상태로부터 화살표 A12 방향으로 복귀하기 위한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복귀 보조 스프링(100)이 장착된다.
상기 안내 부재(89)는, 상기 연동축(88)이 삽입 관통하는 안내 통부(筒部)(90)와, 안내 통부(90)로부터 돌출하는 판 형상의 플랜지부(91)를 가지며, 플랜지부(91)에 상기 요동 아암(38)의 일단부가 상기 제1 핀(36)에 의해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링크부(42)는, 하방에 배치되는 일단부가 상기 요동 아암(38)의 타단부에 제2 핀(92)에 의해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94)와, 일단부가 제1 링크 부재(94)의 상방에 배치되는 타단부에 제3 핀(95)에 의해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96)를 갖는다.
상기 제2 링크 부재(96)의 타단부는,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회동축(97)에 고정되고, 회동축(97)에는,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의 각 협착구(51)의 협착 해제 핀(53)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99)이 고정된다. 이 가압편(99)이 상기 협착 해제 핀(53)을 가압함으로써, 각 협착구(51)의 각 한 쌍의 협착판(55a, 55b)의 협착력이 해제되어, 각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의 장력이 해방된다.
상기 제2 링크부(43)는, 제3 링크 부재(101)와, 제4 링크 부재(102)와, 제5 링크 부재(103)와, 제3 링크 부재(101)의 일단부를 상기 연결 블록(87)에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핀(104)과, 제3 링크 부재(101)의 타단부와 제4 링크 부재(102)의 일단부를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5 핀(105)과, 제4 링크 부재(102)의 타단부와 제5 링크 부재(103)의 일단부를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6 핀(106)과, 제4 링크 부재(102)의 양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재봉틀 본체(32)에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7 핀(107)과, 제5 링크 부재(103)의 타단부와 가동 메스(35)의 중간부를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8 핀(108)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 메스(35)의 일단부는, 상기 바늘판(34)의 이면에 제9 핀(109)에 의해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제9 핀(36, 92, 95, 104∼109)은, 예컨대 핀 볼트에 의해 구현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가동 메스(35)의 타단부에는, 각변위 중심이 되는 제9 핀(109)측에 바늘실 후크(35a)와 루퍼실 후크(35b)가 마련된다.
도 4a 내지 도 4e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가동 메스(35)가 우측 바늘실(A1)의 루프 사이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우측 바늘실(A1)이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에 의해 밀려 벌어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4c는 우측 바늘실(A1)이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에 의한 폭방향 양측으로의 밀어 벌리는 힘에 대항하지 못하고 절단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d는 우측 바늘실(A1), 중앙 바늘실(A2) 및 좌측 바늘실(A3)이 바늘실 후크(35a)에 의한 밀어 벌리는 힘에 대항하지 못하고 절단되고, 루퍼실(C)이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를 넘어 실 절단날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4e는 가동 메스(35)가 정상적으로 바늘실(A1∼A3) 및 루퍼실(C)의 각 루프 사이에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여기서는, 가동 메스(35)에 의해 절단되는 바늘실(A1∼A3)과 루퍼실(C)에 대해서 설명하고, 가동 메스(35)가 절단 대상으로 하지 않는 상부 장식실(B)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30)에 있어서, 재봉틀 본체(32)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 장력 조정부(33)가, 바늘실(A1∼A3),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을 협착하여, 이들 상기 바늘실(A1∼A3),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에 장력을 부여하는 협착 상태에 있어서,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바늘(S)(도 3 참조)이 대략 상사점(上死點)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가동 메스(35)는, 바늘판(34)의 하방에서 바늘 낙하 위치(P)에 근접하는 화살표 B11 방향으로 전진하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바늘실(A1)이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에 의해 밀려 벌어진다.
이 때, 실 절단 장치(30)에 의해 실 장력 조정부(33)의 바늘실(A1∼A3) 및 루퍼실(C)의 협착 상태를 해제하는 타이밍과, 가동 메스(35)의 전진·후진 동작의 타이밍이 최적으로 조정되지 않고서 협착 상태가 유지되면, 봉제시의 장력이 바늘실(A1∼A3)에 부여된 상태에서, 가동 메스(35)가 화살표 B11 방향으로 전진하여 바늘실 루프를 밀어 벌린다. 이 때, 실 장력 조정부(33)가 바늘실(A1∼A3) 및 루퍼실(C)의 협착 상태를 적절한 타이밍에 해제하지 않으면,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바늘실(A1)은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에 의한 밀어 벌리는 힘에 대항하지 못하고 절단되어 버린다. 또한, 중앙 바늘실(A2) 및 좌측 바늘실(A3)은,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에 의해 밀려 벌어지고, 루퍼실(C)은,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 상으로 밀려 보내진 상태가 된다.
또한, 가동 메스(35)가 화살표 B11 방향으로 더 전진하면,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바늘실(A2) 및 좌측 바늘실(A3)은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에 의한 밀어 벌리는 힘에 대항하지 못하고 절단되고, 루퍼실(C)은 바늘실 후크(35a)의 외주부를 넘어 실 절단날부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실 장력 조정부(33)에 의해 각 실이 협착된 상태인 채로, 바늘실(A1∼A3)이 절단되면, 바늘실(A1∼A3)의 장력은 급격하게 해방되고, 그 반동으로 실 장력 조정부측으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바늘의 실 구멍으로부터 절단된 바늘실의 절단 단부까지의 길이가 짧아지고, 다음 봉제를 위해서 다시 장력이 부여되어 바늘의 상하 운동이 시작되면 바늘실이 바늘의 실 구멍으로부터 빠져 버려, 봉제를 원활하게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루퍼실(C)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늘실 후크(35a)의 실 절단날부에 의해 절단되면, 루퍼의 실 구멍에 연결되는 루퍼실(C)의 절단 단부가, 후퇴한 가동 메스(35)와 실 누름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유지되지 않고, 다음 바느질 동작이 개시되었을 때, 루퍼실(C)이 루퍼(75)로부터 빠져 버린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캠 부재(40)에 긴 구멍(39)을 형성하고, 이 긴 구멍(39)에 면하는 내주면에 제1 및 제2 캠면(81, 82)을 형성하며, 팔로워(37)를 긴 구멍(39) 내에서 제1 및 제2 캠면(81, 82)에 의해 강제적으로 안내하여 추종시켜, 실 절단 장치(30)에 의한 실 장력 조정부(33)의 협착 해제의 타이밍을, 가동 메스(35)가 화살표 B11 방향으로의 전진 도중의 적절한 타이밍으로 정확하게 조정시킬 수 있어, 도 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메스(35)가 최적의 타이밍에서 각 바늘실(A1∼A3) 및 루퍼실(C)의 협착 상태를 해제하여 이완시킨 후, 바늘실(A1∼A3) 및 루퍼실(C)을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바늘실(A1∼A3)을, 각 바늘(S)의 실 구멍으로부터 적절한 길이로 할 수 있고, 루퍼실(C)을 가동 메스와 실 누름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유지할 수 있어, 다음 봉제 동작을 개시할 때에 실이 빠지는 것이 방지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실 절단 장치(30)에 있어서, 요동 아암(38)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간부에는 팔로워(37)가 마련되고, 이 팔로워(37)를 캠 부재(40)의 긴 구멍(39)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춘 상태에서, 캠 부재(40)의 일방향(A11)으로의 변위에 의해, 요동 아암(38)을 일방향으로 각변위시키고, 캠 부재(40)의 타방향(A12)으로의 변위에 의해 요동 아암(38)을 타방향으로 각변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캠 부재(40)의 일방향(A11) 및 타방향(A12)의 변위에 의해 요동 아암(38), 제1 링크 부재(94) 및 제2 링크 부재(96)를 연동시켜, 높은 응답성으로 실 장력 조정부(33)를 협착 상태 및 협착 해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동작시키고, 가동 메스(35)가 전진 도중의 최적의 타이밍에서, 고정밀도로 바늘실(A) 및 루퍼실(C)의 협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30a)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을 피해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30a)는, 실 장력 조정부(33)와, 가동 메스(35)와, 팔로워(37)와, 팔로워 안내 부재(121)와, 캠 부재(40)와, 구동부(41)와, 제1 링크부(42)와, 제2 링크부(43)를 포함한다.
상기 팔로워 안내 부재(121)는, 브래킷(79)에 고정되며, 팔로워(37)의 제1 방향(J1) 및 제1 방향(J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J2)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고, 또한 상기 팔로워(37)의 상기 제1 및 제2 방향(J1, J2)에 교차하는 방향(K1, K2)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팔로워 안내부(12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J1)은,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를 협착 상태로부터 협착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는 방향에 대응하고, 제2 방향(J2)은,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를 협착 해제 상태로부터 협착 상태로 동작시키는 방향에 대응한다.
상기 캠 부재(40)에는, 상기 팔로워(37)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긴 구멍(39)이 형성되며, 화살표 K1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37)를 상기 제1 방향(J1)으로 변위시키고, 또한 화살표 K2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팔로워(37)를 제2 방향(J2)으로 변위시킨다. 또한, 상기 캠 부재(40)는, 일단부가 안내 부재(89)의 플랜지부(91)에 볼트(36a)에 의해 결합된 아암(38a)의 타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팔로워(37)는, 상기 제1 링크부(42)의 제2 핀(92)에 부착된다.
상기 제1 링크부(42)는, 상기 아암(38a)의 타단부의 변위, 즉 상기 팔로워(37)의 변위를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에 전달하여, 상기 실 장력 조정부(33)를 상기 협착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상태로 동작시킨다.
상기 제2 링크부(43)는, 상기 가동 메스(35)에 상기 구동부(41)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동 메스(35)를 전진 방향(B11) 및 후진 방향(B12)으로 변위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42)는, 제1 링크 부재(94)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30a)에 있어서, 팔로워 안내 부재(121)에 의해 팔로워(37)의 제1 방향(J1) 및 제2 방향(J2)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고 또한 제1 및 제2 방향(J1, J2)에 교차하는 화살표 K1, K2 방향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며, 캠 부재(40)의 긴 구멍(39)에 팔로워(37)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춘 상태로 하고, 캠 부재(40)의 일방향(K1)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37)를 제1 방향(J1)으로 변위시키고, 캠 부재(40)의 타방향(K2)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37)를 제2 방향(J2)으로 변위시켜, 실 장력 조정부(33)의 협착 상태와 협착 해제 상태를 고정밀도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캠 부재(40)의 긴 구멍(39)에 팔로워(37)를 끼워 맞추고, 이 팔로워(37)를 제1 캠면(81)과 제2 캠면(82)에 의해 안내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이나 주위의 물체 등의 부주의한 접촉에 의해 충격력이 제1 및 제2 링크부(42, 43)에 작용해도, 팔로워(37)가 제1 및 제2 캠면(8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접촉하여, 실 장력 조정부(33)에 가장 가까운 제2 링크 부재(96)가 변위하고, 바늘실(A), 상부 장식실(B) 및 루퍼실(C)의 협착 상태가 해제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서,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나타내어지고,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Claims (3)

  1. 재봉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바늘실 및 루퍼실을 협착(挾着)하여 상기 바늘실 및 루퍼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협착 상태와 이 협착 상태를 해제한 협착 해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실 장력 조정부와,
    바늘판의 하방에서 바늘 낙하 위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바늘 낙하 위치로부터 이반(離反)되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바늘실 및 루퍼실을 절단하는 가동 메스와,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팔로워(follower)가 마련되는 요동 아암과,
    상기 요동 아암의 일단부가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부재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팔로워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 부재의 일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요동 아암의 타단부를 각변위 방향의 일방으로 각변위시키고, 상기 안내 부재의 타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요동 아암의 타단부를 각변위 방향의 타방으로 각변위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요동 아암의 타단부의 변위를 상기 실 장력 조정부에 전달하여, 상기 실 장력 조정부를, 상기 협착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상태로 동작시키는 제1 링크부와,
    상기 가동 메스에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동 메스를 전진 및 후퇴 변위시키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 구멍은 상기 가동 메스가 전진하는 도중에 상기 실 장력 조정부가 협착 상태에서 협착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긴 구멍에 면하는 내주부에는, 상기 팔로워를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안내하는 제1 캠면과, 상기 팔로워를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타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안내하는 제2 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2. 삭제
  3. 재봉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바늘실 및 루퍼실을 협착하여 상기 바늘실 및 루퍼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협착 상태와 이 협착 상태를 해제한 협착 해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실 장력 조정부와,
    바늘판의 하방에서 바늘 낙하 위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바늘 낙하 위치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바늘실 및 루퍼실을 절단하는 가동 메스와,
    팔로워와,
    상기 재봉틀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팔로워의 제1 방향 및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고, 상기 팔로워의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팔로워 안내부가 마련되는 팔로워 안내 부재와,
    상기 팔로워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일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타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팔로워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를,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팔로워의 변위를 상기 실 장력 조정부에 전달하여, 상기 실 장력 조정부를 상기 협착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협착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협착 상태로 동작시키는 제1 링크부와,
    상기 가동 메스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동 메스를 전진 및 후퇴 변위시키는 제2 링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KR1020100009195A 2009-02-24 2010-02-01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KR101669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1542A JP5403401B2 (ja) 2009-02-24 2009-02-24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JP-P-2009-041542 2009-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012A KR20100097012A (ko) 2010-09-02
KR101669674B1 true KR101669674B1 (ko) 2016-11-09

Family

ID=4262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195A KR101669674B1 (ko) 2009-02-24 2010-02-01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03401B2 (ko)
KR (1) KR101669674B1 (ko)
CN (1) CN101812779B (ko)
TW (1) TWI4917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0439B2 (ja) * 2013-09-20 2016-02-03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二重環縫い方法及び二重環縫いミシン
CN109797492B (zh) * 2019-02-27 2021-04-20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消除面料上针线的控制方法
CN111945311B (zh) * 2019-05-17 2022-03-01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剪线控制方法、剪线系统和缝纫机
CN113235232B (zh) * 2019-10-12 2022-05-20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剪线抬压脚机构及包缝机
CN112064221B (zh) * 2020-09-30 2021-10-15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缝纫机剪线系统及缝制方法
CN112323274B (zh) * 2020-11-21 2021-07-09 吴江市震宇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防护服生产用缝纫机剪线机构
CN115323641A (zh) * 2022-08-29 2022-11-11 浙江中森缝纫机有限公司 一种切断装置及缝纫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793A (ja) 1999-04-30 2000-11-1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下糸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4452A (ja) * 1985-12-07 1987-06-17 Katsumi Kuwabara 湯の循環加熱装置
JPH03205092A (ja) * 1989-12-29 1991-09-06 Juki Corp サイクルミシン
JP3817159B2 (ja) * 2001-10-15 2006-08-30 Juki株式会社 水平釜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4138355B2 (ja) * 2002-04-02 2008-08-27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CN101191276A (zh) * 2006-11-22 2008-06-04 梁海强 一种暗缝垫肩缝纫机
KR200447773Y1 (ko) * 2007-07-10 2010-02-17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캄퍼니 리미티드 재봉기의 자동사절 제어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793A (ja) 1999-04-30 2000-11-1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下糸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012A (ko) 2010-09-02
JP5403401B2 (ja) 2014-01-29
TWI491776B (zh) 2015-07-11
JP2010194066A (ja) 2010-09-09
CN101812779B (zh) 2013-10-30
CN101812779A (zh) 2010-08-25
TW201037119A (en) 201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674B1 (ko)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US7707953B2 (en) Gripper device for tufting machine
US6988385B2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feeding yarn for weft knitting machine
KR101281393B1 (ko)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US20090013911A1 (en)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US8640639B2 (en) Method for cutting the lower and at least one upper thread and a method for lead-in stitching as well as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9980018728A (ko) 계지편부착장치 (apparatus for appling)
CH624721A5 (en) Device for orientating and retaining the chain of stitches at the start of a seam.
KR20130071399A (ko) 미싱
KR101652025B1 (ko) 재봉기의 윗실유지장치
JP2671478B2 (ja)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TWI727017B (zh) 布料之縫製方法及雙環縫合縫紉機
KR960015666B1 (ko)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장치와그 작동방법
KR20090049031A (ko) 재봉기의 윗실유지장치
EP2524987B1 (en) Sewing machine
CN108796855B (zh) 产生具有目标线缝突出部的线缝起始顶线的组件和缝纫机
US5477793A (en) Cutting and nipping apparatus for the front yarn for embroidery machines
TWI696736B (zh) 用於致動切線及夾線裝置以將大繡花機上的梭線剪斷的方法以及用於致動該切線佈置以執行此方法的裝置
US20200308746A1 (en) Sewing or Looping Device for Closing a Tubular Knitted Article
JPH0515680A (ja) ミシンの下糸把持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476631B1 (ko) 택건의 실고리의 신장장치
US5634418A (en) Needle chuck with pivoting center knife
KR20130139516A (ko) 택건의 훅 레버의 실협지장치
JP2001224884A (ja) ミシンの糸掛け機構
KR101085294B1 (ko) 일체형 복합 실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원형 편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