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168B1 -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168B1
KR101666168B1 KR1020160007484A KR20160007484A KR101666168B1 KR 101666168 B1 KR101666168 B1 KR 101666168B1 KR 1020160007484 A KR1020160007484 A KR 1020160007484A KR 20160007484 A KR20160007484 A KR 20160007484A KR 101666168 B1 KR101666168 B1 KR 10166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ngle
rotation
fram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수
Original Assignee
박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금수 filed Critical 박금수
Priority to KR102016000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차 적재함의 개방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적재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개방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도어가 일단에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점 상에 구비되어 연동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제한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표면에 가압한 상태로 접촉되어 회전되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각도제한홈 내에 위치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차 적재함의 도어 개방시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최소한의 힘을 제공하면 탄성력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자동으로 작동되며,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백미러에 의해 육안으로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 회전 각도를 제한하거나, 도어를 적재함에 위치 고정하는 경우 적재함에 충돌하지 않는 각도로 제한하여 도어가 적재함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재나 도어를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고정바 등의 부속품을 생략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Hinge apparatus for container of car}
본 발명은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차 적재함의 개방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도어를 상기 적재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개방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차(또는 특장차)는 지붕이나 뚜껑이 있는 화물 자동차의 하나로, 후방에 설치된 적재함 내에 수하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수하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개폐하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는 여닫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탑차의 적재함 측벽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적재함에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0356445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3553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0356445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3553호에 개시된 특장차(탑차)용 뒷도어의 힌지브라켓 및 탑차용 개폐도어의 힌지구조를 통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특허공보 제0356445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특장차(탑차)용 뒷도어의 힌지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특장차(탑차)용 뒷도어의 힌지브라켓은 철판을 프레싱 가공형성하여 연결편(2)(4) 상하에 축공(6)(8)이 형성된 지지편(10)(12)과 고정공(14)(16)이 형성된 고정편(18)(20)을 연장형성하되, 연결편(4)과 고정편(18)(20)은 경계선을 따라 절단 분리되게 한 다음 고정편(18)(20)은 지지편(10)(12)으로부터 후방으로 직각되게 절곡하고, 일측 연결편(4)과 지지편(10),(12)은 타측 연결편(2)으로부터 전방으로 직각되게 절곡하며, 일측 연결편(4)은 상하지지편(10)(12)과 용접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특장차(탑차)용 뒷도어의 힌지브라켓은 상하지지편(10)(12)에 축공(6)(8)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6)(8)에 축핀(32)으로 힌지(30)를 연결하는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데 상기 힌지(30)가 자유 회전하므로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에서는 도어의 개폐 여부가 백미러를 통해 확인될 수 없으므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출발해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도어를 탑차의 적재함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고정바 등의 부속품이 필요하면서, 도어가 적재함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재 등의 구성도 부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특허공보 제1003553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탑차용 개폐도어의 힌지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탑차용 개폐도어의 힌지구조는 탑차의 벽면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10)과, 제1프레임의 측면에서 직각으로 일체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15) 사이를 힌지로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의 외측 단부에 힌지공(12) 및 요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20)는 일측에 제1프레임(10)의 요홈(11)에 삽입되고 제1프레임(10)의 힌지공(12)과 일치하는 힌지공(21)이 형성되어 힌지축(19)으로 축결합되며, 상기 힌지(20)의 타측에 도어(30)에 복수로 형성된 결합공(31)과 일치하는 고정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20)의 고정공(22)과 도어(20)의 결합공(31)을 통해 볼트(40) 및 너트(42)와 스프링와셔(44)가 나사 결합되고, 볼트(40)에 형성된 통공(41)에 고정핀(43)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탑차용 개폐도어의 힌지구조 역시 힌지(20)가 제1프레임(10)에 힌지공(12)에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도어를 탑차의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바 등의 부속품이 필요하면서, 도어가 적재함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재 등의 구성도 부가적으로 필요하며,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도어의 개방여부를 확인하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564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차 적재함의 도어 개방시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최소한의 힘을 제공하면 탄성력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자동으로 작동되며,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백미러에 의해 육안으로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 회전 각도를 제한하거나, 도어를 적재함에 위치 고정하는 경우 적재함에 충돌하지 않는 각도로 제한하여 도어가 적재함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재나 도어를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고정바 등의 부속품을 생략 가능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차 적재함의 개방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적재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개방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도어가 일단에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점 상에 구비되어 연동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제한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표면에 가압한 상태로 접촉되어 회전되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각도제한홈 내에 위치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100~120° 및 250~270°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각도제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0°보다 큰 각도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각도제한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각도제한홈의 경계지점마다 형성된 정점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정점을 통과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웃한 경계지점의 정점부까지 회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접하도록 구비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중심에 양단이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후면 양단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차 적재함의 도어 개방시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최소한의 힘을 제공하면 탄성력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자동으로 작동되며,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백미러에 의해 육안으로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 회전 각도를 제한하거나, 도어를 적재함에 위치 고정하는 경우 적재함에 충돌하지 않는 각도로 제한하여 도어가 적재함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재나 도어를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고정바 등의 부속품을 생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특장차(탑차)용 뒷도어의 힌지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탑차용 개폐도어의 힌지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가 탑차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의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에 회전부재 및 고정부재가 부가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가 탑차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의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100)는 고정 프레임(110), 회전 프레임(120), 체결수단(130), 각도조절부재(140), 가압부재(150) 및 탄성부재(160)를 포함하며, 탑차(1)의 적재함(2)에 형성된 개방면이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를 상기 적재함(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어(3)가 통상적으로 양쪽으로 분할 형성됨을 감안하였을 때 도어 문짝 1개당 하나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쪽 중 하나의 도어(3)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상, 하단이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후단에 고정부(112)가 절곡 형성되고, 상, 하단 선단에 연결홀(114)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적재함(2)의 후면인 개방면에 고정부(112)를 통해 볼트 등으로 고정시키고, 회전 프레임(120)의 후단이 축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120)의 높이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는 선단에 연결홀(114)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 하단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전면에 후술할 가압부재(150)가 장착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장착홈(118)이 형성된 하우징(11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홈(118)은 중심이 홈 형태로 개구 형성되어 이동부(152)의 전후 이동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회전 프레임(120)은 도어(3)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도록 선단이 다단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단에 고정 프레임(110)의 연결홀(114)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장착홀(122)이 종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회전 프레임(120)의 장착홀(122) 도중에 후술할 각도조절부재(140)가 장착되는 장착홈부(124)가 형성된다.
체결수단(130)은 고정 프레임(110)의 연결홀(114) 중심과 회전 프레임(120)의 장착홀(122)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호 체결시키는 구성으로, 볼트 및 너트 등을 포함한다.
각도조절부재(140)는 회전 프레임(120)의 회전 지점인 장착홀(122)의 도중에 형성된 장착홈부(124)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20)의 회전시 연동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각도제한홈(142a, 142b, 142c, 142d)과 그 사이에 제1 내지 제3 정점부(144a, 144b, 144c)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재(140)는 외면에 다수의 굴곡에 의한 캠면을 구비하되, 회전시 가압부재(150)가 항시 제1 내지 제4 각도제한홈(142a, 142b, 142c, 142d)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각도제한홈의 각도만큼 회전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재(14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목한 원호 형상의 홈이 연결된 파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4 각도제한홈(142a, 142b, 142c, 142d) 중 상기 제1 및 제2 각도제한홈(142a, 142b)의 사이에 제1 정점부(144a)가 위치되고, 상기 제2 및 제3 각도제한홈(142b, 142c)의 사이에 제2 정점부(144b)가 위치되며, 상기 제3 및 제4 각도제한홈(142c, 142d)의 사이에 제3 정점부(144c)가 위치된다.
제1 각도제한홈(142a)은 도어(3)가 적재함(2)에 형성된 개방면을 폐쇄한 상태일 때 가압부재(150)의 회전부(154)가 가압하고 있는 홈이다.
한편, 상기 제1 각도제한홈(142a)은 도어(3)가 적재함(2)에 형성된 개방면을 폐쇄한 상태일 때 회전부(154)가 가압하고 있는 홈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도어(3)가 적재함(2)에 형성된 개방면에서 소량의 각도만큼 개방되도록 0°보다 큰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어(3)가 적재함(2) 쪽으로 회전되는 경우 실제는 살짝 열렸지만 닫혔다고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이를 운전자가 확실히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가 조금 개방된 상태에서 멈추게 회전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각도제한홈(142b)은 각도조절부재(140)의 회전 과정에서 홈 내에 가압부재(150)가 위치되도록 하면 회전 프레임(120)이 100~120°, 바람직하게는 110°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백미러에 의해 육안으로 도어(3)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한다.
제3 각도제한홈(142c)은 각도조절부재(140)의 회전 과정에서 홈 내에 가압부재(150)가 위치되도록 하면 도어(3)가 적재함(2)에서 180° 정도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 각도제한홈(142c)은 반경이 가압부재(150)의 회전부(154) 반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므로 이 구간에서는 각도조절부재(140)의 회전 각도가 크게 된다.
제4 각도제한홈(142d)은 각도조절부재(140)의 회전 과정에서 홈 내에 가압부재(150)가 위치되도록 하면 회전 프레임(120)이 250~270°, 바람직하게는 260°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도어(3)를 적재함(2) 외벽면에 위치 고정하는 경우 상기 적재함(2)에 충돌하지 않는 각도로 제한하여 상기 도어(3)가 상기 적재함(2)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재나 도어를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고정바 등의 부속품을 생략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4 각도제한홈(142d)은 제2 각도제한홈(142b)과 함께 가압부재(150)의 회전부(154)와 동일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3 각도제한홈(142c)은 상기 회전부(154)의 반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각도제한홈(142c)이 상기 회전부(154)를 통과할 때 각도조절부재(140)의 회전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 정점부(144a)는 도어(3)를 개방하여 제1 각도제한홈(142a)을 통해 상기 제1 정점부(144a)가 가압부재(150)를 통과하게 되면 정점 지점까지는 운전자가 힘을 가해야 하지만 더 힘을 가해 상기 정점을 넘어가게 하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각도조절부재(140)가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150)가 제2 각도제한홈(142b)을 가압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정점부(144b)는 도어(3)를 더 개방하여 제2 각도제한홈(142b)을 통해 상기 제2 정점부(144b)가 가압부재(150)를 통과하게 되면 정점 지점까지는 운전자가 힘을 가해야 하지만 더 힘을 가해 상기 정점을 넘어가게 하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각도조절부재(140)가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150)가 제3 각도제한홈(142c)을 가압하도록 한다.
더욱이, 제3 정점부(144c)는 도어(3)를 좀더 개방하여 제3 각도제한홈(142c)을 통해 상기 제3 정점부(144c)가 가압부재(150)를 통과하게 되면 정점 지점까지는 운전자가 힘을 가해야 하지만 더 힘을 가해 상기 정점을 넘어가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각도조절부재(140)가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150)가 제4 각도제한홈(142d)을 가압하도록 한다.
가압부재(150)는 고정 프레임(110)의 하우징(116) 내에 설치되면서 각도조절부재(140)의 표면에 가압한 상태로 접촉되어 회전되는 상기 각도조절부재(140)의 제1 내지 제4 각도제한홈(142a, 142b, 142c, 142d)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14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이동부(152) 및 회전부(154)를 포함한다.
이동부(152)는 직립한 핀(pin)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각도조절부재(140)에 접하도록 회전부(154)가 구비되며, 하우징(116)의 장착홈(118) 내에 삽입되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하게 된다.
회전부(154)는 이동부(152)의 도중에 각도조절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도록 구비되며, 일 예로 베어링 등이 이에 적용된다.
탄성부재(160)는 하우징(116)의 장착홈(118) 상하에 형성된 원형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부(152)를 탄지(彈支)하므로 제1 내지 제3 정점부(144a, 144b, 14c)를 통과할 땐 압축되지만 제1 내지 제4 각도제한홈(142a, 142b, 142c, 142d)을 통과할 때는 신장되면서 회전부(154)가 각도조절부재(140)의 외면에 밀착 및 가압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100)의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적재함(2)의 개방면이 도어(3)에 의해 폐쇄된 후 잠금레버(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잠가진 상태로, 이 경우 각도조절부재(140)의 제1 각도제한홈(142a)에 가압부재(150)의 회전부(154)가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어(3)의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 작업자가 도어(3)를 잡은 상태에서 힘을 가해 회전시켜 제1 정점부(144a)가 가압부재(150)의 회전부(154)를 통과하면 상기 제1 정점부(144a)의 정점까지는 힘을 가해야 하지만 상기 정점을 통과하면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각도제한홈(142b) 쪽으로 자동 회전된다. 이는 제2 각도제한홈(142b)이 회전부(154)에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경우 회전 프레임(120)이 110°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백미러에 의해 육안으로 도어(3)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3)를 더 개방시켜 적재함(2)의 벽면과 나란하게 위치시키는 경우 작업자가 도어(3)를 잡은 상태에서 힘을 가해 회전시켜 제2 정점부(144b)와 제3 정점부(144c)가 가압부재(150)의 회전부(15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하면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에 의해 제3 각도제한홈(142c)을 거쳐 제4 각도제한홈(142d)으로 자동 회전된다. 이는 제4 각도제한홈(142d)이 회전부(154)에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경우 도어(3)가 적재함(2)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재나 도어를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고정바 등의 부속품을 생략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어(3)를 폐쇄하는 경우 위의 역순으로 진행되되, 제3 정점부(144c), 제3 각도제한홈(142c), 제2 정점부(144b), 제2 각도제한홈(142b) 및 제1 정점부(144a)에 가압부재(150)의 회전부(154)가 순차 밀착되도록 위치시키며, 그 후 힘을 더 가하여 제1 각도제한홈(142a)에 회전부(154)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제1 각도제한홈(142a)에 회전부(154)가 밀착되게 하는 경우 도어(3)가 적재함(2)을 폐쇄시킬 정도로 회전시키지 않고 약간 개방된 상태로 위치시켜 상기 도어(3)가 폐쇄된 상태가 아님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에 회전부재 및 고정부재가 부가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100)는 고정 프레임(110), 고정부재(115), 회전 프레임(120), 회전부재(126), 체결수단(130), 각도조절부재(140), 가압부재(150) 및 탄성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15) 및 상기 회전부재(126) 외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재(115)는 고정 프레임(110)의 선단 저면에 연결홀(114)의 중심과 동심을 갖도록 구비되며, 저면 일측에 후술할 회전부재(126)의 제1, 2 결속 돌기(126a, 126b) 중 어느 하나의 돌기와 결속될 수 있도록 별도의 돌기(115a)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돌기(115a)는 고정부재(115)의 저면에 브래킷(B)을 통해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면서 돌기 탄성부재(S)에 의해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돌기(115a)가 제1, 2 결속 돌기(126a, 126b) 중 어느 하나의 돌기와 결속될 때 정점 부위를 넘어가기 전까지 압축되다가 정점 부위를 넘어가면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제1, 2 결속 돌기(126a, 126b)를 가압하게 된다.
회전부재(126)는 장착홀(122)과 연통된 상태로 회전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도록 제1, 2 결속 돌기(126a, 126b)가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2 결속 돌기(126a, 126b)는 파형 형태로 형성되며, 그 사이가 고정부재(115)의 돌기(115a)와 결속되도록 제2 각도제한홈(142b)과 제4 각도제한홈(142d)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부재(126)의 제1, 2 결속 돌기(126a, 126b) 중 제1 결속 돌기(126a)가 고정부재(115)의 돌기(115a)에 결합되면 각도조절부재(140)가 110°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결속 돌기(126b)가 상기 고정부재(115)의 돌기(115a)에 결합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140)가 260°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힌지 장치
110: 고정 프레임
120: 회전 프레임
130: 체결수단
140: 각도조절부재
142a, 142b, 142c, 142d: 제1 내지 제4 각도제한홈
144a, 144b, 144c: 제1 내지 제3 정점부
150: 가압부재
160: 탄성부재

Claims (5)

  1. 탑차 적재함의 개방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적재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개방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도어가 일단에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점 상에 구비되어 연동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제한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표면에 가압한 상태로 접촉되어 회전되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각도제한홈 내에 위치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축과 직교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되,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도록 함몰 형성된 다수의 각도제한홈과 상기 각도제한홈의 사이마다 돌출 형성된 정점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시 상기 정점부가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시키면서 이웃한 각도제한홈으로 이동하는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100~120° 및 250~270°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각도제한홈이 형성되는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0°보다 큰 각도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각도제한홈이 형성되는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각도제한홈의 경계지점마다 형성된 정점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정점을 통과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웃한 경계지점의 정점부까지 회전되는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접하도록 구비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중심에 양단이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후면 양단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KR1020160007484A 2016-01-21 2016-01-21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KR10166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84A KR101666168B1 (ko) 2016-01-21 2016-01-21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84A KR101666168B1 (ko) 2016-01-21 2016-01-21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168B1 true KR101666168B1 (ko) 2016-10-13

Family

ID=5717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484A KR101666168B1 (ko) 2016-01-21 2016-01-21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16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3527A (zh) * 2018-09-18 2018-12-2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自限位车门铰链及汽车
KR20190050089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다단 회동형 힌지장치
KR102021113B1 (ko)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KR20190128872A (ko) * 2018-05-09 2019-11-19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개방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도어 힌지용 스토퍼
KR20210046281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자동 열림 및 닫힘 유지 장치
KR102330557B1 (ko) 2020-11-18 2021-11-24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220153274A (ko)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2492624B1 (ko) 2022-06-03 2023-01-30 황인수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KR200497066Y1 (ko) 2022-04-08 2023-07-18 주식회사 승진 탑차의 리어 게이트용 힌지장치
KR102592170B1 (ko) 2023-03-23 2023-10-19 정회빈 탑차 적재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445B1 (ko) 1999-08-18 2002-10-18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특장차(탑차)용 뒷도어의 힌지브라켓
KR20130088269A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리한도어 자동차용 도어체커 장치
KR101556766B1 (ko) * 2015-03-13 2015-10-02 박금수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445B1 (ko) 1999-08-18 2002-10-18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특장차(탑차)용 뒷도어의 힌지브라켓
KR20130088269A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리한도어 자동차용 도어체커 장치
KR101556766B1 (ko) * 2015-03-13 2015-10-02 박금수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089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다단 회동형 힌지장치
KR102026534B1 (ko) * 2017-11-02 2019-11-14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다단 회동형 힌지장치
KR20190128872A (ko) * 2018-05-09 2019-11-19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개방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도어 힌지용 스토퍼
KR102147878B1 (ko) * 2018-05-09 2020-10-14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개방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도어 힌지용 스토퍼
CN109083527A (zh) * 2018-09-18 2018-12-2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自限位车门铰链及汽车
KR102021113B1 (ko)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KR20210046281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자동 열림 및 닫힘 유지 장치
KR102284767B1 (ko) * 2019-10-18 2021-08-04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자동 열림 및 닫힘 유지 장치
KR102330557B1 (ko) 2020-11-18 2021-11-24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220153274A (ko)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이지라이더 물품 배송차량의 후면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0497066Y1 (ko) 2022-04-08 2023-07-18 주식회사 승진 탑차의 리어 게이트용 힌지장치
KR102492624B1 (ko) 2022-06-03 2023-01-30 황인수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WO2023234686A1 (ko) * 2022-06-03 2023-12-07 황인수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KR102592170B1 (ko) 2023-03-23 2023-10-19 정회빈 탑차 적재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168B1 (ko)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KR10088917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US7070216B2 (en)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US20180100336A1 (en) Hinge unit of console armrest for vehicle
US7597368B2 (en) Door handle which is intended,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n inertial safety system
US8251431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obile trunk lid
KR100889662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디바이스
US9701183B2 (en) Vehicle sliding door locking device
WO2014103672A1 (ja) ロック部構造
JP671611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などの蓋体用のヒンジ機構
KR101556766B1 (ko)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JP2002029261A (ja) 開閉体のストッパ取付部構造
KR101704060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JP6911246B2 (ja) ボンネットラッチ装置
KR100348046B1 (ko) 체커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JP2010521370A (ja) 車両用ローディングフラップ
US3979144A (en) Luggage boot lid lock for motor vehicle
KR20190032725A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멈춤 장치
JP2013112226A (ja) 車両用充電リッド部構造
JP2002178957A (ja) 自動車の予備車輪用の保持装置
KR100419074B1 (ko) 자동차용 토노커버
KR102212687B1 (ko) 차량 적재함용 수납함의 브래킷
JP3697952B2 (ja) 産業車両のエンジンフード開閉装置
KR101670074B1 (ko) 차량용 트레이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