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624B1 -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624B1
KR102492624B1 KR1020220068023A KR20220068023A KR102492624B1 KR 102492624 B1 KR102492624 B1 KR 102492624B1 KR 1020220068023 A KR1020220068023 A KR 1020220068023A KR 20220068023 A KR20220068023 A KR 20220068023A KR 102492624 B1 KR102492624 B1 KR 102492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er
opening
hinge device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수
천종철
Original Assignee
황인수
천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수, 천종철 filed Critical 황인수
Priority to KR102022006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624B1/ko
Priority to PCT/KR2023/007409 priority patent/WO20232346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의 후방 도어 개폐에 연동하여 회전부재가 고정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드 회전하는 중에 소정의 지정된 위치에서 롤러가 회전부재와 고정 가이드부재 사이에 걸쳐지게 되도록 작동되어 스톱퍼로서 기능하여 도어를 개방된 상태에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극히 간단한 구조만으로 적재함 후방 도어의 다단계 개방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Multistage open hinge device of vehicle loading door}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후방에 구비되는 적재함 도어를 종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고, 횡방향으로도 개폐할 수 있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적재함은 차량 후방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 화물을 적재 운반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 적재함에는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기 위해 후방에 좌우로 개방되는 후방 개폐 도어가 마련되어 있는데,상기 개폐 도어는 힌지 장치에 의해 좌우로 개방하여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적재함 후방 개폐 도어의 힌지 장치는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도어에 결합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을 힌지축으로 축 결합하여 상기 도어가 좌우 회전하면서 개방하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도어가 자유 회전하므로 작업자가 도 어를 살짝 건드리는 작은 충격에도 도어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작업성,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적재함 도어가 다단계로 개방된 상 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다단 개방형 구조의 힌지 장치가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 10-1666168호) 등에서 다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힌지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적재함(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10)의 연결홀(114)에 삽입되는 체결 수단(130)에 도어(3)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120)의 고정부(122)로 삽입하여 도어(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체결 수단에는 회전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 제한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재(140)를 축 결합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별도의 하우징(116)을 마련하여 상기 하우징 의 장착홀(118)에 탄성 부재(160)와 함께 이동부(152)와 회전부(154)로 형성된 가압 부재(150)를 탄발 삽입되게 결합하여서 도어(3) 개폐시 회전 프레임(120)과 함께 각도 조절부재(140)가 회전하면서 각도 조절부재의 각도 제한홈(142a)에 가압 부재의 회전부(154)가 탄성 부재(160)에 의해 삽입 밀착하면서 작업자가 도어(3)를 회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힌지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고정 프레임에 장착홀(118)을 갖는 하우징(116)을 마련하고,상 기 하우징의 장착홀에 탄성 부재(160) 및 가압 부재(150)를 결합하는 복잡한 조립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 작업성 저하 및 제조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도어의 회전 조작시 각도 조절부재가 회전 프레임과 일체 상태가 아닌 체결 수단에 축 결합하여 지지된 상태이어서 조립 견고성이 저하되고,상기 각도 조절부재의 측방에서 가압 부재 및 탄성 부재가 하우징의 장착홀에 삽입되는 조립 구조로 인해 가압 부재의 직경이 작고 탄성 부재의 경우 충분한 탄발력을 갖 는 큰 직경의 스프링 설치가 어려워 반복 사용에 의해 탄발력이 단시간에 상실되 기 때문에 힌지 장치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상기 도어의 회전시 각도 조절부재의 측방에서 가압 부재 및 탄성 부 재가 탄발 밀착하는 구조이어서 도어의 하중이 작용하는 수직 방향이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탄발 지지력이 작용하면서 중량이 큰 도어의 개방 각도를 유지하는 지지 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도어를 각도 조절 부재의 다음 홈 위치에서 정 확히 스톱하지 못하고 다음 홈 위치에서 벗어나는 홈 위치까지 회전 작동하게 되면 서 도어의 정확한 개방 조절 작동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한국 등록특허 10-1320990호)에는 도어와 차체를 연결하여 도어의 개폐시 도어의 회전 중심을 구성하기 위한 도어 힌지(door hinge) 및 도어의 열림 정도를 여러 각도로 설정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부착되어 있어, 도어가 열릴 때 그 도어 체커가 설정 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로써의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 힌지를 개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특허문헌 2의 도어 힌지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체와 결합되는 차체 결합부(200) 및 상기 차체 결합부(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3. 도 1 참조)와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1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차체 결합부(200)는, 상기 도어 결합부(10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230) 및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에서 상기 차체 결합부(200)에 고정되는 디스크(3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결합부(100)는, 상기 회전축(230)과 동심으로 결합되며,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도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도어 결합판(120) 및 상기 하우징(110)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되도록 구비되는 원판형상의 캠(4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230)이 관통되도록 제1관통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3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하면이 폐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디스크(300)의 상면은 상기 캠(40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300)의 상면 및 상기 캠(400)의 하면의 형상에 의해 도어가 단계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디스크(300)의 상면에는 원주를 따라 골과 산이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단차홈(310) 및 단차턱(320)이 형성되고, 상기 캠(400)의 하면에는 상기 도어 결합부(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단차홈(310)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캠 돌기(420)가 형성되며,상기 도어 결합부(100)에는 돌출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차체 결합부(200)에는 상기 돌출부(130)가 접촉되는 위치에 완충부재(2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완충부재(250)는 상기 도어 결합부(100)의 회전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며,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완충부재(250)가 접촉되는 경우는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가 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어 힌지(10)가 종래의 도어 체커 기능까지 수행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2는 닫힌 상태의 도어를 개방할 때, 디스크(300)가 회전축(230) 외주를 도어 개방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디스크(300)가 회전하면 이동하는 단차턱(320)이 캠돌기(420)를 축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며(이때 스프링 30이 압축된다), 디스크(300)가 계속하여 더 회전하게 되면 캠돌기(420)가 단차턱(320)을 타고 넘어 그의 직하부 위치로 이웃하여 있던 단차홈(310)이 새로 이동해 오게 되는 순간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30)의 탄발력으로 캠돌기(420)가 하강하여 단차홈(310) 속에 수용되어 도어의 1차 개방 위치가 셋팅되어지게 되는 것인데(그 위치에서 도어가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디스크(300)와 캠(400)의 요철 결합을 포함한 상대 구조가 복잡하며, 스프링(30)의 탄성력 작용 방향과 단차턱(320)의 회전 방향이 서로 직교하고 있어 디스크(300)가 회전할 때 단차턱(320)이 캠돌기(420)와의 큰 접촉력 및 마찰력이 요구되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30)의 장력이 커서 마모 및 소음발생이 커지며, 또한 도어 개방 시 압축 스프링(30) 하단에 비틀림력이 작용하여 비틀어지게 되므로, 비틀림 복원력 작용에 의해 캠돌기(420) 상면과 밀착하여 지지되는 스프링(30) 하단의 원상 복귀 움직임에 따른 마찰 소음 발생 등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666168호 한국등록특허 제 10-132099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차량 적재함의 후방 도어 개방 시 도어 회전 방향으로 부드럽게 작동되고 단순한 구조로 도어 멈춤용 체커로서의 기능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후방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에 적재함을 개폐토록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토록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부재와, 일측이 적재함을 개폐하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결합용 회전 브라켓부재 및 상기 도어를 개방 시 상기 도어가 소정 위치에 정지해 있도록 구속하는 도어 스톱퍼기구를 포함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부재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상하부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 스톱퍼기구는 상기 상하부 브라켓의 단부 내측에 수직축선 상에 정렬되게 소정의 상하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고정되게 장착되는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중심축부재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지나는 중심축부재의 외주를 감싸 지지하는 보스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 사이로 중심축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도어 폐쇄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될 때 미리 설정된 소정 각도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이동하여 소정 이상의 외력의 작용 없이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여 도어가 개방 상태를 유지토록 구속하며, 그 설정된 각도 회전 위치를 제외한 구간에서는 회전부재의 내면에 대해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중심축부재를 기점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을 허용하는 체커롤러와, 그 체커롤러를 지지 및 작동시키는 작동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브라켓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는, 관통하는 중심축부재의 외주를 감싸 지지하는 보스부와, 그 보스부의 외주에 링상의 제1 공간부를 두고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1 링부재와, 상기 제1 링부재와의 사이에 제2 공간부를 두고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2 링부재 및 도어 닫힘 상태에서 상기 도어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링부재의 벽에 상기 체커롤러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의 상기 제2 공간부에 각기 끼워져 환상으로 슬라이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돌출링부재 및 상기 개방부와 소정의 회전각을 두고 상기 상하부 돌출링부재에 1개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 개폐로 상기 개방부와 마주하여 위치하였을 때 개방부를 통해 돌출하는 상기 체커롤러의 몸체 일부를 수용하는 롤러수용구속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동체는 상기 제1 공간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체커롤러의 내측 방향 몸체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2개의 지지체 및 그 2개의 지지체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발하도록 제1 공간부 내에 배설되는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개방부와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이 일직선상에 정렬될 때는 상기 탄성체가 2개의 지지체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체커롤러의 외측 방향 몸체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돌출하여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은 도어를 임의 개방 위치에서 잠금 구속하기 위해 1개 또는 2개 또는 3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개의 롤러수용구속홈은 상기 개방부와는 각기 90°위치로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180°상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90° 및 270°개방 위치에서 회전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개의 롤러수용구속홈은 상기 개방부에 대해 90°및 180° 위치로서, 서로 직각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90° 및 180°개방 위치에서 회전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3개의 롤러수용구속홈은 도어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와 각기 90°, 180°, 270°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90°, 180° 및 270°개방 위치에서 회전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체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은 상하부 돌출링부재의 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지지체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방향으로 힘을 소정 이상 받게될 때 회전부재가 체커롤러를 부드럽게 후퇴시키도록 체커롤러와의 접촉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는 와셔가 게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의 후방 도어 개폐에 연동하여 회전부재가 고정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드 회전하는 중에 소정의 지정된 위치에서 롤러가 회전부재와 고정 가이드부재 사이에 걸쳐지게 되도록 작동되어 스톱퍼로서 기능하여 도어를 개방된 상태에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극히 간단한 구조만으로 적재함 후방 도어의 다단계 개방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기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가 적용된 화물차량의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 브라켓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의 요부를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의 평면도 형상에 있어, 도어 스톱퍼기구 부위를 평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또는 상부) 고정가이드부재를 나타낸 평면도(또는 저면도) 형상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의 정단면 형상이다.
도 15는 도 13의 A-A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부재의 정단면도 형상이다.
도 17은 본 발명 회전부재의 B-B 평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회전부재와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를 조립하여 나타낸 도어 스톱퍼기구의 평단면도 구조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회전부재와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 사이에 게재되는 와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b)는 체커롤러와 작동체를 도시(탄성체 도시는 생략)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어가 도 12의 닫힘 상태에서 90°개방된 상태하에서의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어가 도 21의 개방 상태에서 완전히 열어 젖혀졌을 때의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부속되는 특허청구범위 속에서 사용된 것처럼, "내측(또는 안쪽)"은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외측(또는 바깥측)"은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또 "상부", "하부"는 실제 장치의 설치 사용 상태를 기준하는 경우 및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한 경우가 있으며, 또한 이들 방향을 포함하여 다른 방향들 또는 지향들은 명확히 하기 위해 도면들에 부호로 묘사되었으며, 실제 장치나 시스템의 제한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여기에 서술된 장치들 및 시스템들은 다수의 방향들과 지향들 속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가 적용된 화물차량의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의 사시도로서, 화물차량 적재함(40)의 후방에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적재함을 개폐하는 도어(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도어(41)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42)(이하 '도어 힌지장치'라 한다)에 의해 적재함(40)을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도어 힌지장치(42)는 차체(43)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부재(44)와, 일측이 적재함 도어(4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부재(44)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결합용 회전 브라켓부재(45) 및 상기 회전 브라켓부재(45)의 회전을 가이드하며, 개방된 도어(41)가 소정 위치에 정지해 있도록 구속하는 도어 스톱퍼기구(46)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부재(44)를 나타낸 도면으로, 고정 브라켓부재(44)는 차체(43)에 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공(47)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하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돌출하는 상하부 브라켓(48)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하부 브라켓(48)에는 수직축선상에 축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축공(49)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 브라켓부재(45)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어(41)에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공(50)을 일단에 구비하고 있으며, 타단에는 추후 상세히 설명할 도어 스톱퍼기구(46)에 고정하기 위해 돌출시켜 형성한 고정용 돌출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용 돌출부(51)는 회전부재(54) 몸통에 슬릿 구멍을 형성한 후 끼워맞춤하고 용접 처리하여 회전부재(54)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만든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42)의 요부를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의 평면도 형상에 있어, 도어 스톱퍼기구 부위를 평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상하부 브라켓(48) 사이에는 도어 스톱퍼기구(46)가 장착되어 있으며, 원통체처럼 생긴 형상인 이 도어 스톱퍼기구(46)는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부재(52)에 의해 의해 상하부 브라켓(48) 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어 스톱퍼기구(46)는 상기 상하부 브라켓(48,48)의 단부 내측에 수직축선 상으로 정렬되게 소정의 상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으로 고정되게 장착되는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중심축부재(52)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 사이로 중심축부재(52)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와 결합되는 회전부재(54)와, 상기 회전부재(54)가 도어(41) 닫힘 상태에서 도어(41)가 개방될 때 미리 설정된 소정 각도 회전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54)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이동하여 소정 이상의 외력의 작용 없이는 상기 회전부재(54)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여 도어(41)가 그 소정 각도 회전 개방된 위치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토록 구속하며, 그 설정된 각도 회전 위치를 제외한 구간에서는 회전부재(54)의 내면에 대해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54)가 중심축부재(52)를 기점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을 허용하는 체커롤러(55)와 그 체커롤러(55)를 지지 및 작동시키는 작동체(56)를 포함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를 나타낸 평면도(상부 고정 가이드부재를 기준하면 저면도 형상이며, 하부 고정가이드부재를 기준하면 평면도 형상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의 정단면 형상이며, 도 15는 도 13의 A-A 단면도이다.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53)는 상하로 관통하여 지나는 중심축부재(52)의 외주를 감싸 지지하는 보스부(57)의 외주로 링상의 제1 공간부(58)를 두고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1 링부재(59)와, 상기 제1 링부재(59)와의 사이에 링상의 제2 공간부(60)를 두고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2 링부재(61) 및 도어(41) 닫힘 상태에서 상기 도어(41)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링부재(59)의 벽에 상기 체커롤러(55)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개방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부재의 정단면도 형상이고, 도 17은 본 발명 회전부재의 B-B 평단면도로서, 상기 회전부재(54)는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의 상기 제2 공간부(60)에 각기 끼워져 결합되는 상하부 돌출링부재(63) 및 상기 개방부(62)와 소정의 회전각을 두고 상기 상하부 돌출링부재(63)에 원주 방향에 걸쳐 1개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41)의 회동 개폐로 상기 개방부(62)와 수평면상에서 동축선상에 위치하여 개방부(62)를 통해 돌출하는 상기 체커롤러(55)의 몸체 일부를 수용하는 롤러수용구속홈(64a, 64b: 대표 부호는 6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러수용구속홈(64)은 접촉하는 체커롤러(55)의 원형 외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부드럽게 상대적 회전 운동에 의한 마찰 접촉이 가능하게 체커롤러(55)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회전부재(54)와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를 조립하여 나타낸 도어 스톱퍼기구(46)의 평단면도 구조로서, 상기 작동체(54)는 상기 제1 공간부(58) 내에 수용되어 상기 체커롤러(55)의 내측(안쪽) 방향에 위치하는 몸체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2개의 지지체(65) 및 그 2개의 지지체(6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발하도록 제1 공간부(58) 내에 배설되는 탄성체(66)(도 18에서 복잡함을 피하고자 압축코일스프링을 간단히 선으로 나타내었다)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개방부(62)와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이 수평선상에서 서로 맞닿아 일직선상으로 정렬될 때는 상기 탄성체(66)(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되었다)가 2개의 지지체(65)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체커롤러(55)의 외측 방향 몸체가 상기 개방부(62)를 통해 돌출하여 상기 롤러수용구속홈(64)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부재(54)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어 있으며, 이 같은 구속 상태에서는 도어(41) 및 회전 브라켓부재(45)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54)에 가해지는 힘이 당해 구속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어(41)가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롤러수용구속홈(64)은 2개 또는 3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2개의 롤러수용구속홈(64)은 상기 개방부(62)와는 90°위상차로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180°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도어(41)는 90° 및 270°개방 위치에서 회전 움직임을 구속당하게 되며, 이로써 도어가 1단에서는 90°만큼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2단계로 270°개방 위치에서는 도어(41)가 완전히 열려져 도어(41)는 적재함(40)의 측벽면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3개의 롤러수용구속홈(64)을 상하부 돌출링부재(63)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는 도어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62)와 각기 90°, 180°, 270°위상차를 가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41)가 90°, 180° 및 270°개방 위치에서 도어(41)의 회전 움직임을 구속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롤러수용구속홈(64)이 정확히 90°, 180°에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어서, 이는 도어 개방각 설계에 따라 어느 정도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롤러수용구속홈(64)은 상하부 돌출링부재(63)의 벽면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지지체(65,65)는 상기 회전부재(54)가 회전 방향으로 힘을 소정 이상 받게될 때 회전부재(54)가 체커롤러(55)를 부드럽게 후퇴(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롤러(55)와의 접촉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회전부재(54)와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53) 사이에 게재되는 와셔(67)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와셔는 상기 제1 링부재(59)와 제2 링부재(62)(도 14 참조)사이에 게재되어 회전부재(54)의 회전을 부드럽게 가이드하고 마모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20의 (a)(b)는 체커롤러(55)와 작동체(56)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개방부(62)와 롤러수용구속홈(64)이 일직선상에 정렬되었을 때 탄성체(66)의 탄발력(F1) 작용에 의해 작동체(56)를 구성하는 2개의 지지체(65,65)가 서로 오므러들면서 체커롤러(55)를 외측(도 18에 도시한 상태를 기준하면 상부측으로서 화살표 T1 참조)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에 따라 체커롤러(55)의 몸체 바깥쪽 부분은 제1 공간부(58)를 벗어나 개방부(62)를 통해 바깥쪽(상부쪽)으로, 즉 제2 공간부(60) 측으로 돌출하여 그의 외측 몸체 일부가 롤러수용구속홈(64)에 수용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며, (b)는 상기 (a) 상태에서, 설정된 소정 이상의 회전력(F2)을 회전부재(54)에 가하게 되면, 상하부 돌출링부재(63)가 체커롤러(55)를 강제로 타고 넘어가게 되면서 체커롤러(55)를 중심축 방향으로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체(65,65)는 화살표 방향(b1)으로 서로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체커롤러(55)를 수용하게 되고, 이때 체커롤러(55)의 바깥 표면은 상하부 돌출링부재(63)의 내면(63a)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는 상태가 되며, 체커롤러(55)는 제1 공간부(58) 및 개방부(62) 내에 온전히 위치하게 되어 작은 힘에도 회전부재(54)가 회전하여 개폐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12,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기로 한다.
도 12는 도어(41)가 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구부를 닫고 있는 상태로서, 이때 체커롤러(55)는 회전부재(54)의 상하부 돌출링부재(63)의 내면(63a)에 접촉하여 눌려지고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지지체(65,65)는 서로 벌어져 그 벌어진 사이로 체커롤러(55)의 내측 몸체 부분을 수용하고 있으며, 이때 탄성체(66)인 압축스프링은 길이가 줄어드는 압축이 발생하여 내부에 복원 탄성력을 축적하고 있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적재함의 도어(41)를 개방하고자 도어를 열어 젖히게 되면, 회전 브라켓부재(45)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 브라켓부재(45)의 상하부 돌출링부재(63)의 내면(63a)에 체커롤러(55)가 법선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게 되어 마찰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회전 동작이 약간 빡빡하다는 느낌이 있기는 하나 그 마찰력보다는 회전 모우먼트가 훨씬 커서 회전 브라켓부재(45)의 회전에 장해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회전 브라켓부재(45)가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어(41)가 90°만큼 회전하여 개방되면, 회전 브라켓부재(45)에 가까이 위치하여 형성된 초기 상태의 롤러수용구속홈(64a)도 회전에 의해 90°위상차만큼 위치가 이동되어 체커롤러(55)에 마주 대응하는 위치에 오게 되며, 그 순간 내면(63a)에 의한 중심축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탄성체(66)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압축스프링이 신장하여 양측 2개의 지지체(65)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도 20의 F1 참조)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커롤러(55)를 개방부(62)를 통해 밀어 올려(도 21에 도시 상탸를 기준함) 제2 공간부(60)로 고개를 내민 체커롤러(55)의 몸체가 리세스된 상태의 롤러수용구속홈(64a)에 밀착 수용되어지게 된다.
체커롤러(55)가 롤러수용구속홈(64a)에 수용되어지면, 회전부재(54)가 잠금 구속되어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그 잠금 구속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어 90°로 열려진 도어(41)는 그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바람 등에 의해 도어(41)가 임의로 닫하게 되어 주변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같은 1단 잠금 상태에서 도어(41)를 완전히 열어젖히기를 원한다면, 도어(41)를 손으로 잡고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가하는 힘이 F2보다 큰 경우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하부 돌출링부재(63)가 강제로 체커롤러(55)를 밀어 붙여 중심축 방향으로 눌러 타고 넘어가게 되어 이때부터 체커롤러(55)가 상하부 돌출링부재(63)의 내면(63a)에 접촉하게 되므로, 계속하여 가해지는 회전력 작용에 의해 미끄럼 마찰이 일어나면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도어(41)의 회전 이동이 일어나며, 도어(41)를 완전히 열어젖히게 되면 닫힘 상태에서 도어(41)는 270°회전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는 두번째 위치의 롤러수용구속홈(64b)이 체커롤러(55) 위치에 도달하게 되어, 체커롤러(55)는 앞선 9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롤러수용구속홈(64b)에 몸체 일부가 수용되어 잠금되어지게 되는 것이며(이때 제1 잠금 위치 시 사용된 롤러수용구속홈(64a)은 도 12 기준하여 하부 측에 이동하여 위치한다), 이로써 도어(41)는 적재함 측벽에 나란히 밀착하여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나 작용이나 인위적인 큰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저절로 닫히게 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유형 및 스타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한 없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교시에 비추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 예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체커롤러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잠금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내측(중심축선 방향)을 향해 밀어내도록 잠금방식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40 : 화물차량 적재함 41 : 도어
42 : 도어 힌지장치 43 : 차체
44 : 고정 브라켓부재 45 : 회전 브라켓부재
46 : 도어 스톱퍼기구 47 : 볼트공
48 : 상하부 브라켓 49 : 축공
50 : 볼트공 51 : 고정용 돌출부
52 : 중심축부재 53 :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
54 : 회전부재 55 : 체커롤러
56 : 작동체 57 : 보스부
58 : 제1 공간부 59 : 제1 링부재
60 : 제2 공간부 61 : 제2 링부재
62 : 개방부 63 : 상하부 돌출링부재
64(64a,64b) : 롤러수용구속홈 65 : 지지체
66 : 탄성체 67 : 와셔

Claims (11)

  1.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에 적재함을 개폐토록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토록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부재와, 일측이 적재함을 개폐하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결합용 회전 브라켓부재 및 상기 도어를 개방 시 상기 도어가 소정 위치에 정지해 있도록 구속하는 도어 스톱퍼기구를 포함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부재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상하부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 스톱퍼기구는 상기 상하부 브라켓의 단부 내측에 수직축선 상에 정렬되게 소정의 상하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고정되게 장착되는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중심축부재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지나는 중심축부재의 외주를 감싸 지지하는 보스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 사이로 중심축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도어 폐쇄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될 때 미리 설정된 소정 각도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이동하여 소정 이상의 외력의 작용 없이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여 도어가 개방 상태를 유지토록 구속하며, 그 설정된 각도 회전 위치를 제외한 구간에서는 회전부재의 내면에 대해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중심축부재를 기점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을 허용하는 체커롤러와, 그 체커롤러를 지지 및 작동시키는 작동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브라켓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는, 관통하는 중심축부재의 외주를 감싸 지지하는 보스부와, 그 보스부의 외주에 링상의 제1 공간부를 두고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1 링부재와, 상기 제1 링부재와의 사이에 제2 공간부를 두고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2 링부재 및 도어 닫힘 상태에서 상기 도어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링부재의 벽에 상기 체커롤러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의 상기 제2 공간부에 각기 끼워져 환상으로 슬라이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돌출링부재 및 상기 개방부와 소정의 회전각을 두고 상기 상하부 돌출링부재에 1개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 개폐로 상기 개방부와 마주하여 위치하였을 때 개방부를 통해 돌출하는 상기 체커롤러의 몸체 일부를 수용하는 롤러수용구속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상기 제1 공간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체커롤러의 내측 방향 몸체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2개의 지지체 및 그 2개의 지지체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발하도록 제1 공간부 내에 배설되는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개방부와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이 일직선상에 정렬될 때는 상기 탄성체가 2개의 지지체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체커롤러의 외측 방향 몸체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돌출하여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은 도어를 임의 개방 위치에서 잠금 구속하기 위해 1개 또는 2개 또는 3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롤러수용구속홈은 상기 개방부와는 각기 90°위치로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180°상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90° 및 270°개방 위치에서 회전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롤러수용구속홈은 상기 개방부에 대해 90°및 180° 위치로서, 서로 직각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90° 및 180°개방 위치에서 회전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롤러수용구속홈은 도어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와 각기 90°, 180°, 270°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90°, 180° 및 270°개방 위치에서 회전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용구속홈은 상하부 돌출링부재의 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체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방향으로 힘을 소정 이상 받게될 때 회전부재가 체커롤러를 부드럽게 후퇴시키도록 체커롤러와의 접촉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고정가이드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는 와셔가 게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KR1020220068023A 2022-06-03 2022-06-03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KR102492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23A KR102492624B1 (ko) 2022-06-03 2022-06-03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PCT/KR2023/007409 WO2023234686A1 (ko) 2022-06-03 2023-05-31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23A KR102492624B1 (ko) 2022-06-03 2022-06-03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624B1 true KR102492624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023A KR102492624B1 (ko) 2022-06-03 2022-06-03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2624B1 (ko)
WO (1) WO20232346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686A1 (ko) * 2022-06-03 2023-12-07 황인수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46B1 (ko) * 2006-12-08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체커가 일체화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1320990B1 (ko) 2011-11-23 2013-10-30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의 도어 힌지
KR101666168B1 (ko) 2016-01-21 2016-10-13 박금수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27459U1 (ko) * 1986-10-15 1987-11-19 Lunke & Sohn Gmbh, 5810 Witten, De
CA2277114C (en) * 1999-07-07 2004-06-01 Multimatic Inc. Integrated door check hinge for automobiles
JP3135441U (ja) * 2007-07-05 2007-09-13 山田車体工業株式会社 貨物自動車における荷箱後部扉の開扉位置保持装置
KR102492624B1 (ko) * 2022-06-03 2023-01-30 황인수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46B1 (ko) * 2006-12-08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체커가 일체화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1320990B1 (ko) 2011-11-23 2013-10-30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의 도어 힌지
KR101666168B1 (ko) 2016-01-21 2016-10-13 박금수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686A1 (ko) * 2022-06-03 2023-12-07 황인수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686A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624B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개폐 도어 힌지장치
CA2636847C (en) Checker-equipped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
AU2010285684B2 (en)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US8347460B2 (en) Checker-equipped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
US20080121490A1 (en) Actuating device with a least one actuating arm
EP1566507B1 (en) Automotive door check assemblies
CA2611918A1 (en) Door hinge with checker
US6739020B1 (en) Door hinge with an integrated door stop
US6684455B1 (en) Articulated joint, in particular a door hinge, having a device for fastening a first movement element
KR20210070796A (ko) 차량도어 체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US20070136993A1 (en) Automobile door hinge device
US8136204B2 (en) Door hinge for vehicle, having check function
JP2007145055A5 (ko)
US6516495B1 (en) Door arrester which is joined to a door hinge, for automobile doors
KR20140089085A (ko) 도어 체커 기능을 구비한 도어 힌지
US20210246702A1 (en) Hinge assembly for trunk lid of vehicle
KR100403161B1 (ko) 힌지
CN110709571B (zh) 一种门保持机构
KR200249985Y1 (ko) 힌지
US4211431A (en) Actuator device for seat belt mechanism for motor vehicle
JP7407905B2 (ja) キャップレスドア用複合バネ
JP4704787B2 (ja) ヒンジ装置
KR100826811B1 (ko) 체커기능이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힌지
CA2357672A1 (en) Door hinge check for a vehicle door
KR20240003927A (ko) 차량용 가스 리프터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