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460B1 -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460B1
KR101665460B1 KR1020150099318A KR20150099318A KR101665460B1 KR 101665460 B1 KR101665460 B1 KR 101665460B1 KR 1020150099318 A KR1020150099318 A KR 1020150099318A KR 20150099318 A KR20150099318 A KR 20150099318A KR 101665460 B1 KR101665460 B1 KR 10166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nit
control unit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영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차량 식별자, 제2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ECU부, 상기 차량 식별자의 제거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식별자, ECU부 및 제어부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를 통해 차주를 식별하여 차량의 시동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바, 차키를 소유하기만 하면 차주로 판단했던 기존 도난 방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GPS 모듈 등과 같은 차량 식별자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을 불허함으로써,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는 차량 도난 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GPS 모듈과 ECU가 전송하는 정보를 비교하여 GPS 모듈의 제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점차 고급화되고 가격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에는 도난 방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도난 방지 시스템은 예를 들어, 차주가 아닌 제3자가 차문을 열려고 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차량에 가해지는 경우 도난 방지 경보를 울림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고 있으나, 분실한 차키를 획득한 제3자 또는 차주 몰래 복사한 차키를 가진 제3자가 차문을 열려고 하는 등의 경우에는, 도난 방지 시스템이 차주를 식별할 수 없는 바, 차량이 도난당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 내비게이션의 보급으로 인해 대부분의 차량은 차량의 현재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GPS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바, 도난 차량을 추적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GPS 모듈이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최근의 차량 도난 사건에서는 차량을 훔친 자들이 차량에 설치된 GPS 모듈을 훔친 직후 제거하여 위치 추적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등 그 수법이 점점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는바, 기존 도난 방지 시스템의 문제점 및 GPS 모듈의 제거로 인해 차량의 현재 위치 추적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 보안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6563호(2012.10.23)
본 발명은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를 이용해 차주를 식별하여 차량의 시동 허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기존 도난 방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GPS 모듈 등과 같은 차량 식별자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을 불허함으로써,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는 차량 도난 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은 제1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차량 식별자, 제2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ECU부, 상기 차량 식별자의 제거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식별자, ECU부 및 제어부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를 통해 차주를 식별하여 차량의 시동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바, 차키를 소유하기만 하면 차주로 판단했던 기존 도난 방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GPS 모듈 등과 같은 차량 식별자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을 불허함으로써,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는 차량 도난 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식별자는, RFID 모듈, DMB 모듈, GPS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식별자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ECU부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는, 서로 동일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는, 차대번호,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 차량 소유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가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 차량 소유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소정 인증절차를 거쳐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ECU부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식별자가 GPS 모듈이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고, 상기 ECU부로부터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이를 소정시간 동안 비교하여 상기 GPS 모듈의 제거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이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상기 ECU부가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가 소정시간 동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미만 저장된 경우,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허용명령을 전송하며,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GPS 모듈의 제거 여부 확인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된 경우, 상기 ECU부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방법은 (a) GPS 모듈이 제어부에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b) ECU부가 제어부에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제어부가 상기 전송 받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소정시간 동안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과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제어부가 상기 판단결과, ECU부에 차량시동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c) 단계 이후에, (c-1) 상기 비교결과, 전송 받은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을 소정시간 동안 일치하지 않는다면, 제어부가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c-2)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되었는지 제어부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c-2) 단계 이후에, (c-3)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미만 저장된 경우, 제어부가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허용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c-4) 제어부가 차량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GPS 모듈의 제거 여부 확인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c-2) 단계 이후에, (c-5)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된 경우, 제어부가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를 통해 차주를 식별하여 차량의 시동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바, 차키를 소유하기만 하면 차주로 판단했던 기존 도난 방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GPS 모듈 등과 같은 차량 식별자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을 불허함으로써,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는 차량 도난 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차량 식별자가 GPS 모듈인 경우, GPS 모듈, ECU부, 제어부 및 메모리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메모리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 보안 시스템(100)은 차량 식별자(10), ECU부(20), 제어부(30) 및 통신부(40)를 포함하며, 기타 부가적인 다른 구성들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식별자(10)는 차량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제1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고유정보는 차주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바, 예를 들어, 차주명, 생년월일, 주소 등과 같은 차주에 대한 정보, 차주가 설정한 비밀번호, 차대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차주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유정보는 차주를 식별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차량을 판매하는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임의로 수정 및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량 식별자(10)는 제1 고유정보만을 포함한 별개의 부품으로 차량에 설치할 수 있으나, 설치 공간상의 제약 및 차량 무게의 감소화를 위해 기존에 설치된 부품을 차량 식별자(10)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FID 모듈, DMB 모듈, GPS 모듈(11) 등과 같이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모듈 등을 차량 식별자(10)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한 모듈 등뿐만 아니라, 차량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들 역시 차량 식별자(10)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ECU부(20)는 제2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ECU는 Engine Control Unit의 약자로써, 엔진 구동의 전반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ECU부(20)에 제2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고유정보는 상기 설명한 제1 고유정보와 동일한 정보이어야 하는바, 후술할 제어부(30)가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시동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고유정보가 차주가 설정한 비밀번호 및 차대번호를 포함하고 있다면, 제2 고유정보 역시 차주가 설정한 비밀번호 및 차대번호를 포함해야 한다. 어느 하나라도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진실한 차주라 하여도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제2 고유정보는 ECU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맵데이터와 같은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으나, 맵데이터의 업데이트 등의 과정에서 제2 고유정보가 손실될 위험이 있으므로,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고유정보와 마찬가지로 제2 고유정보 역시 차주를 식별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차량을 판매하는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임의로 수정 및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는 차량 식별자(10)의 제거 여부를 판단하여, ECU부(20)에 차량 시동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차량 식별자(10)와 와이어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실시간으로 와이어의 단락 또는 단선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와이어의 단락 또는 단선이 발견되어 차량 식별자(10)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ECU부(10)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을 훔친 자가 위치 추적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GPS 모듈(11) 등을 차량으로부터 제거하더라도, 차량의 시동 자체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의 도주가 불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어부(30)는 차량 식별자(1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고유정보와 ECU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제2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경우 ECU부(20)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가 차주명, 생년월일, 주소 등과 같은 차주에 대한 정보, 차주가 설정한 비밀번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면, 제어부(30)는 이를 비교하여 일부라도 상이한 경우 차량 도난의 위험성을 감지해 시동 자체가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후술할 인증절차를 거쳐야 한다. 한편, 차대번호는 차량 생산 시에 부여된 차량 고유의 번호로서, 차량의 사고 유무나 소유자 변경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인바,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에 차대번호가 포함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 식별자(1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고유정보와 ECU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제2 고유정보의 수정이 가능하다. 제1 고유정보와 제2 고유정보는 차주를 식별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차량을 판매하는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임의로 수정 및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함은 앞서 설명하였는바, 제어부(30)에 의해 특별한 사유에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가 차주명, 생년월일, 주소 등과 같은 차주에 대한 정보, 차주가 설정한 비밀번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면, 소정 인증절차를 거쳐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소정 인증절차는 특수한 장비를 제어부(30)에 연결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차주 본인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에 차대번호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30)에 의하더라도 수정 및 변경 자체가 불가능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차대번호는 차량 생산 시에 부여된 차량 고유의 번호로서, 차량의 사고 유무나 소유자 변경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0)는 차량 식별자(10)가 GPS 모듈(11)인 경우에 수행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들이 존재하는바,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40)는 차량 식별자(10), ECU부(20) 및 제어부(3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가 ECU부(20)에 전송하는 차량 시동 제어명령, 차량 식별자(10) 및 ECU부(20)에 저장된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의 송수신 등을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모두 담당한다. 여기서 CAN 통신은 차량용 네트워크를 위해 고안된 시리얼 통신 네트워크 통신방식으로서, 복수의 ECU를 병렬로 연결하여 정보 교환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으며, 노이즈에 강하고 통신 속도가 최대 1Mbps로 빠르다는 장점이 있는 통신방식이다. 한편, 통신부(40)는 CAN 통신뿐만 아니라 상용화된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한 차량 식별자(10), ECU부(20), 제어부(30) 및 통신부(40)를 포함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10)에 의해 차량 식별자(1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고유정보와 ECU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제2 고유정보가 상이한 경우 및 차량 식별자(10)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된 경우에 차량의 시동 자체가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을 훔친 자들의 추가적인 도주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는 차량 도난 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차량 식별자(10)가 GPS 모듈(11)인 경우, 차량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바,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차량 식별자(10)가 GPS 모듈(11)인 경우, GPS 모듈(11), ECU부(20), 제어부(30) 및 메모리부(31)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 식별자(10)가 GPS 모듈(11)이라면, GPS 모듈(11)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제어부(30)에 전송하며, ECU부(20)는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부(30)에 전송하고, 제어부(30)는 이를 소정시간 동안 비교하여 GPS 모듈(10)의 제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현재 시속 80Km/h로 주행하고 있다면, GPS 모듈(11)은 시속 80Km/h에 따른 위치정보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ECU부(20)는 시속 80Km/h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는 GPS 모듈(11)과 ECU부(20)가 전송한 정보를 소정시간 동안 비교하는바, 이는 GPS 모듈(11)이 수신하고 산출할 수 있는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 변화량에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정시간은 GPS 모듈(11)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시간차까지 고려하여 정보를 비교할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하는바, 일반적으로 30초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GPS 모듈(11)과 ECU부(20)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의 전송은 통신부(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0)는 GPS 모듈(11)이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ECU부(20)가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가 소정시간 동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31)에 저장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GPS 모듈(11)이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ECU부(20)가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주행 중에 생성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 하여 주행 중인 차의 시동을 꺼버리거나 급정지를 하게 되면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메모리부(31)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은 이후 시동 사이클(Cycle)에서 수행되는바, 1회에 불과한 정보의 불일치로 GPS 모듈(11)이 차량으로부터 제거되었다 단정 지을 수는 없으므로, 메모리부(11)에 정보가 소정 횟수 이상 저장된 경우 GPS 모듈(11)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31)에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되었다면, GPS 모듈(11)이 차량으로부터 제거되었다고 판단하여 ECU부(20)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31)에 정보가 5회 미만 저장되었더라도, GPS 모듈(11)이 차량으로부터 제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어부(20)는 ECU부(20)에 차량시동 허용명령을 전송하되, 차량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GPS 모듈 제거 여부 확인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횟수를 5회로 설정한 것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차량 제조사의 판단에 따라 차량 제조 시 또는 추후에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한 차량 식별자(10)가 GPS 모듈(11)인 경우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100)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차량 보안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한편, 이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도에 불과하고,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GPS 모듈(11)이 제어부(30)에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S210), ECU부(20)는 제어부(30)에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220). 상기 정보의 전송은 통신부(4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S210 단계 또는 S220 단계 어느 단계가 먼저 수행되어도 무방하나, 양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이 현재 시속 80Km/h로 주행하고 있다면, GPS 모듈(11)은 시속 80Km/h에 따른 위치정보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ECU부(20)는 시속 80Km/h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양 정보가 제어부(30)에 동시에 전송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부(30)는 전송 받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소정시간 동안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는 GPS 모듈(11)이 수신하고 산출할 수 있는 차량의 현재위치 정보 변화량에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소정시간은 GPS 모듈(11)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시간차까지 고려하여 정보를 비교할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하는바, 일반적으로 30초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0)가 상기 비교결과, GPS 모듈(11)의 제거 여부를 판단한다(S24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방법 역시 차량 보안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메모리부(31)에 불일치 정보를 저장하는바, 이하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30)가 메모리부(31)에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에 대한 순서도이다.
상기 S230 단계에서 제어부(30)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소정시간 동안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면, 제어부(30)는 우선,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31)에 저장한다(S231). 상기 실시 예에서 GPS 모듈(11)이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ECU부(20)가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주행 중에 생성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 하여 주행 중인 차의 시동을 꺼버리거나 급정지를 하게 되면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모리부(31)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은 이후 시동 사이클(Cycle)에서 수행되는바, 1회에 불과한 정보의 불일치로 GPS 모듈(11)이 차량으로부터 제거되었다 단정 지을 수는 없으므로, 메모리부(11)에 정보가 소정 횟수 이상 저장된 경우 GPS 모듈(11)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31)에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되었는지 제어부(30)가 판단하여(S232),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되었다면, 제어부(30)가 ECU부(20)에 차량 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233). 하지만, 정보가 5회 미만 저장되었다면, 제어부(30)는 ECU부(20)에 차량시동 허용명령을 전송하되(S234), 추가적으로 차량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GPS 모듈(11) 제거 여부 확인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235). 한편, 여기서 소정 횟수를 5회로 설정한 것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차량 제조사의 판단에 따라 차량 제조 시 또는 추후에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히 기술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보안 시스템(100)의 모든 기술적 특징 및 효과들은 차량 보안 방법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차량 보안 시스템
10: 차량 식별자 11: GPS 모듈
20: ECU부
30: 제어부 31: 메모리부
40: 통신부

Claims (17)

  1. 제1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차량 식별자;
    제2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ECU(Engine Control Unit)부;
    상기 차량 식별자의 제거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식별자, ECU부 및 제어부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는 서로 동일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자는,
    RFID 모듈, DMB 모듈, GPS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식별자가 차량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ECU부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는,
    차대번호,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 차량 소유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가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 차량 소유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소정 인증절차를 거쳐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고유정보 및 제2 고유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ECU부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자가 GPS 모듈이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고, 상기 ECU부로부터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이를 소정시간 동안 비교하여 상기 GPS 모듈의 제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이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상기 ECU부가 전송하는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가 소정시간 동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미만 저장된 경우,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허용명령을 전송하며,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GPS 모듈의 제거 여부 확인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된 경우, 상기 ECU부에 차량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
  13. GPS 모듈을 차량 식별자로 포함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a) GPS 모듈이 제어부에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b) ECU부가 제어부에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제어부가 상기 전송받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과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를 소정시간 동안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보안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제어부가 상기 판단결과, ECU부에 차량시동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c-1) 상기 비교결과, 전송 받은 차량의 현재 차속에 대한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 변화량을 소정시간 동안 일치하지 않는다면, 제어부가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c-2)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되었는지 제어부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 이후에,
    (c-3)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미만 저장된 경우, 제어부가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허용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c-4) 제어부가 차량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GPS 모듈의 제거 여부 확인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 이후에,
    (c-5) 상기 메모리부에 정보가 5회 이상 저장된 경우, 제어부가 상기 ECU부에 차량 시동 불허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보안 방법
KR1020150099318A 2015-07-13 2015-07-13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KR101665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18A KR101665460B1 (ko) 2015-07-13 2015-07-13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18A KR101665460B1 (ko) 2015-07-13 2015-07-13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460B1 true KR101665460B1 (ko) 2016-10-12

Family

ID=5717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318A KR101665460B1 (ko) 2015-07-13 2015-07-13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4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03A (ja) * 1992-07-17 1994-02-08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自動車強制停車装置
JPH09240431A (ja) * 1996-03-01 1997-09-16 Nissan Motor Co Ltd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7099173A (ja) * 2005-10-07 2007-04-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車両盗難通報装置
KR20120116563A (ko) 2011-04-13 2012-10-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키 시스템, 그의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354672A (zh) * 2014-11-01 2015-02-18 德州富路车业有限公司 电动车辆防盗警报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03A (ja) * 1992-07-17 1994-02-08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自動車強制停車装置
JPH09240431A (ja) * 1996-03-01 1997-09-16 Nissan Motor Co Ltd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7099173A (ja) * 2005-10-07 2007-04-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車両盗難通報装置
KR20120116563A (ko) 2011-04-13 2012-10-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키 시스템, 그의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354672A (zh) * 2014-11-01 2015-02-18 德州富路车业有限公司 电动车辆防盗警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06261A1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CA295314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security
US6788189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program
US2016012567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vehicles
US20070005197A1 (en) System for vehicle component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component management data update, and vehicle component management center
CN109484355B (zh) 一种禁用车辆钥匙的方法及装置
RU2556383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оборуд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0214182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CN104554145A (zh) 认证车辆部件的系统和方法
US10793106B2 (en) Automobile tracking and notification device and service
JP2006164706A (ja) コネクタおよび車載用コネクタシステム
JP2014094680A (ja) 車両盗難防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CN106537463A (zh) 用于提高车辆安全性的方法和装置
JP2017007650A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2002269663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665460B1 (ko)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JP4172282B2 (ja) 電子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システム
CN113147668B (zh) 智能钥匙解锁车辆的方法和车辆的自动解锁方法
CN101654093A (zh) 汽车防盗系统及其防盗方法
JP3200243U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CN103963739A (zh) 具有防盗功能的汽车导航系统
JP3200585U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CN203198918U (zh) 一种车载音响控制装置及车辆
CN113799734B (zh) 一种车辆防盗系统的防盗匹配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N206086641U (zh) 车辆的防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