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809B1 -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4809B1 KR101664809B1 KR1020140140990A KR20140140990A KR101664809B1 KR 101664809 B1 KR101664809 B1 KR 101664809B1 KR 1020140140990 A KR1020140140990 A KR 1020140140990A KR 20140140990 A KR20140140990 A KR 20140140990A KR 101664809 B1 KR101664809 B1 KR 1016648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rtment
- air
- pressure
- air conditioner
- 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계실과 구획된 다수의 제1 격실 및 제2 격실 중 상기 제1 격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와 제1 격실 사이에 설치되는 덕트, 상기 제1 격실과 제2 격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격실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2 격실로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를 마련하여 공기조화기와 하나의 격실에만 덕트를 설치하므로 덕트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덕트를 최소한으로 설치하므로 덕트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트랜스퍼 덕트가 압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어 격실을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발 또는 화재 등의 위험 요인이 있는 공간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해상을 운행하면서 사람과 화물을 수송하는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의 대형 구조물 내에는 필수적으로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고 순환시키기 위한 공조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선박의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엔진이 설치된 선박의 기관실의 경우 추진을 담당하는 주기관을 비롯하여 발전기, 보일러 등의 기계류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배선, 배관 및 공기공급을 위한 덕트(duct)가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관실의 공기 공급은 오염된 공기를 쾌적한 공기로 바꾸고, 주기관을 비롯하여 발전기 엔진, 보일러 등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며, 각종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관실에서는 송풍기에 의한 기계(강제)환기가 적용되며, 이는 자연환기에 비하여 일정한 환기량과 실내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나, 소음 발생과 에너지의 소비 및 설비 비용을 발생시킨다.
기관실의 공조장치는 주로 덕트(duct)에 의하여 구성된다. 덕트 시스템은 냉·난방 또는 환기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각각 연결되어 하나의 공급원 또는 다수의 공급원으로부터 적정량의 공기를 공급 또는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관실 덕트 또는 공조장치의 설계는 적절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의 유량을 충분히 공급하도록 덕트의 형상 및 덕트의 효율적인 배치를 고려한 루트(route)를 결정하는 것이다.
기관실 내의 덕트 시스템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에 필요한 만큼의 유량을 정확하게 공급하는 것은 복잡한 덕트 시스템에 따른 다양한 유동 특성과 압력 분포로 인하여 쉽지 않은 문제이다.
특히 연소를 위한 엔진이나 발열량이 많은 장비의 냉각을 위해 적정량의 공기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선박의 운항 효율 감소와 장비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항해 도중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
한편 폭발 또는 화재 등의 위험이 있는 장비를 수용하는 구역은 정압이 유지되도록 압력을 설정하여, 외부의 공기가 정압 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격실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장치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1)은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격실로 이루어진다. 기계실(1)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조장치(2)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조장치(2)는 기계실(1)의 상부에 다수로 구획된 제1 격실(3) 및 제2 격실(4)과 연결 설치되고, 제1 격실(3)과 제2 격실(4) 사이에는 서로 구분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5)이 설치되어 있다.
공조장치(2)와 제1 격실(3) 사이에는 제1 덕트(6)가 설치되며, 공조장치(2)와 제2 격실(4) 사이에는 제2 덕트(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격실(3) 및 제2 격실(4)은 외기로부터 폭발 또는 화재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공기 또는 가스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계실(1)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각각의 격실(3, 4)에는 공조장치(2)와 덕트(6, 7)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며, 각각의 격실(3, 4)에는 조건에 따라 방화 댐퍼(fire damper), 풍우밀(weather tight) 댐퍼 등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제2 격실(4)은 기계실(1)과 외기를 구분 짓는 기밀실(air lock)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기밀실은 설계 단계에서 가능한 한 작은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2 격실(4) 내부에 제2 덕트(7)의 설치 또는 배치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이들 격실(3, 4)은 선박 관련 규정 및 요구조건에 만족해야 되는데, 구획된 공간이 너무 협소함에 따라 선박 관련 규정 및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선박의 제한된 구역 환기 시스템 배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선박의 제한된 구역 환기 시스템 배치 방법에는 소정 높낮이 간격으로 균일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배기 루버 블레이드(louver blade)를 포함하여 격실 배출 공기를 제1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기부(exhaust) 및 소정 높낮이 간격으로 균일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공급 루버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격실 공급 공기를 제2 방향으로 흡입하여 선박 격실에 공급하는 공급부(supplier)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선내 위험구역 출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선내 위험구역 출입 시스템에는 폭발 위험이 있는 장비들이 수용되며, 정압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출입문이 형성된 정압공간, 폭발 위험이 없으면서도 정압 공간으로 연결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부압공간 및 상기 정압공간과 상기 부압공간 사이에 압력을 완화시키는 에어락(air lock) 공간을 선내 위험구역 출입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출입문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출입문의 구동과 상기 제2 출입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정압공간 출입부, 상기 정압공간 출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출입문과 상기 제2 출입문 구동을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부 및 상기 출입문 제어부 및 제2 출입문과 연결되어 상기 제1출입문 상태에 따라 제2출입문을 구동하는 부압공간 출입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은 격벽에 의해 구회되는 다수의 공간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덕트를 설치해야 되며, 이러한 덕트의 설치로 인한 비용의 증가 및 작업량이 증가하게 되고, 덕트와 함께 방화 댐퍼, 풍우밀 댐퍼 등을 설치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각각 구획된 격실을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격실을 동일한 정압으로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격실에 설치되는 덕트를 최소화하여 덕트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는 기계실과 구획된 다수의 제1 격실 및 제2 격실 중 상기 제1 격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와 제1 격실 사이에 설치되는 덕트, 상기 제1 격실과 제2 격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격실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2 격실로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격실은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의해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는 상기 제2 격실의 공기 또는 화염원이 상기 제1 격실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설치되는 방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격실 및 제2 격실에는 동일한 정압이 유지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압력조절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댐퍼는 상기 트랜스퍼 덕트보다 높은 압력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배치방법은 다수로 구획된 제1 격실과 제2 격실의 내부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외부보다 높은 압력으로 상기 격실을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며, (a)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를 상기 제1 격실로 공급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격실과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격실과 제2 격실 사이의 격벽에 설치된 트랜스퍼 덕트를 통해상기 제1 격실의 공기를 제2 격실로 공급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상기 제2 격실의 공기가 제1 격실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화 댐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와 하나의 격실에만 제한적으로 덕트를 설치하므로 덕트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덕트를 최소한으로 설치하므로 덕트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트랜스퍼 덕트가 압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어 격실을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배치방법에 의하면, 격실에 설치된 덕트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다른 격실과 동일한 정압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각각의 격실에 설치된 압력조절댐퍼에 의해 적정 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방화댐퍼에 의해 다른 격실과 차단되어 화재·폭발 등의 위험요인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트랜스퍼 덕트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배치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트랜스퍼 덕트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배치방법을 보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트랜스퍼 덕트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는 기계실(10)과 구획된 다수의 제1 격실(11) 및 제2 격실(12) 중 상기 제1 격실(11)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조화기(20), 상기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격실(11)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2 격실(12)로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격실(11, 12)은 상기 트랜스퍼 덕트(20)에 의해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10)은 선박의 엔진 등과 같은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음은 물론 그 상부에는 다수의 격실(11, 12)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실(10)에는 엔진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킴은 물론 환기 등을 위한 공기조화기(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20)는 기계실(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기계실(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계실(10)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위험요인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수로 구획된 격실(11, 1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격실(11, 12)은 기계실(10)의 상부를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로 구획되는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은 각각 구획된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으나, 이들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은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는 외부에서 화재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공기 또는 가스 등의 유입을 차단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은 격벽(13)에 의해 분할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격실(11)에는 청정한 공기가 공급됨은 물론 기계실(10) 또는 외부보다 높은 압력 상태를 유지되도록 공기조화기(20)에 연결된 덕트(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2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22)가 설치될 수 있다. 또 제1 격실(11)에는 덕트(21)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제1 격실(11)에 채워진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제1 압력조절댐퍼(1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격실(12)에는 제1 격실(11)과 동일하게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제2 격실(12)에 채워진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제2 압력조절댐퍼(1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압력조절댐퍼(14, 15)는 제1 격실(11) 및 제2 격실(12)이 각각 동일한 압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이 과도한 압력이 아닌 기계실(10) 또는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은 설정된 압력을 유지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을 구획하는 격벽(13)에는 덕트(21)를 통해 제1 격실(11)로 공급된 공기가 제2 격실(12)로 이동되도록 트랜스퍼 덕트(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덕트(30)에는 제2 격실(12)로 공급된 공기가 제1 격실(11)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화댐퍼(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화댐퍼(31)는 제2 격실(12) 또는 기계실(10)의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 등으로 인한 화염이 제1 격실(11)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트랜스퍼 덕트(3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케이스(32)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멍(33)이 형성되며, 케이스(32)의 구멍(33) 일측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판(34)이 고정될 수 있고, 케이스(32)의 구멍(33) 타측에는 일정 이를 갖는 가동판(35)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4)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가동판(35)은 제1 격실(11)의 낮은 압력에 의해 고정판(34)에 밀착됨으로써 트랜스퍼 덕트(30)를 폐쇄시키거나 제1 격실(12)의 높은 압력에 의해 트랜스퍼 덕트(30)를 개방시키도록 일측이 자유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기계실(10)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20)와 기계실(10)의 상부에 다수로 구획된 격실(11, 12)에 공기조화기(10)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동일한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트랜스퍼 덕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실(11, 12)은 기계실(10) 또는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게 설정된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기계실(10)을 보다 안전한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계실(10)에는 격실(11, 12)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2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격실(11, 12)은 정압으로 유지되는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20)와 제1 격실(11) 사이에는 공기조화기(20)에서 발생된 공기를 제1 격실(11)로 이동(또는 공급)할 수 있도록 덕트(21)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덕트(21)는 제1 격실(11)에만 제한적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즉, 덕트(21)는 공기조화기(20)와 제1 격실(11)에만 제한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격실(11, 12)에 설치되는 덕트(21)의 설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제한된 덕트(21)에 의해 덕트(21)의 설치 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덕트(21)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 제1 격실(11)에는 설정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격실(11)에 채워진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제1 압력조절댐퍼(15)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제2 격실(12)에도 제1 압력조절댐퍼(15)와 동일한 제2 압력조절댐퍼(15)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을 구획하는 격벽(13)에는 제1 격실(11)에 공급된 공기가 제2 격실(12)로 이동되도록 개폐되는 트랜스퍼 덕트(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퍼 덕트(30)는 항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격실(11)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상승되면서 점진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트랜스퍼 덕트(30)는 일정 크기를 갖는 케이스(32)에 구멍(33)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구멍(33)의 일측에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판(34)을 설치할 수 있고, 구멍(33)의 타측에 일정 길이를 갖는 가동판(35)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동판(35)은 제1 격실(11)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것으로, 그 일단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동판(35)은 제1 격실(11)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압력에 의해 구멍(33)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랜스퍼 덕트(30)의 일측에는 제2 격실(12)의 공기가 제1 격실(11)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화댐퍼(31)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화댐퍼(31)는 제2 격실(12) 또는 기계실(10)의 외부에서 화재 또는 폭발 등이 발생한 경우 제2 격실(12)로 유입된 화염원이 제1 격실(11)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줌으로써, 기계실(10)의 화재 등을 방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배치방법은 다수로 구획된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의 내부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외부보다 높은 압력으로 상기 격실(11, 12)을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20)를 포함하며, (a) 상기 공기조화기(20)에 설치된 덕트(21)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를 상기 제1 격실(11)로 공급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격실(11)과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격실(11)과 제2 격실(12) 사이의 격벽(13)에 설치된 트랜스퍼 덕트(30)를 통해 제1 격실(11)의 공기를 제2 격실(12)로 공급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배치방법은 선박의 엔진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10)과 다수의 격실(11, 12)을 다수의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0) 또는 그 외부에는 기계실(10)뿐만 아니라 구획된 격실(11, 12)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2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조화기(20)에는 제1 격실(11)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덕트(20)를 연결 설치하며, 덕트(20)는 다수의 분출구(22)를 통해 공기조화기(20)에서 공급된 공기가 제1 격실(11)에서 분출되게 연결 설치한다.
이에 공기조화기(20)에서 공급된 공기는 덕트(21)를 통해 제1 격실(11)로 공급되도록 배치하게 된다(S10).
이렇게 제1 격실(11)에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제1 격실(11)의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이와 함께 격벽(13)에 설치된 트랜스퍼 덕트(30)는 제1 격실(11)의 압력이 상승되면서 개방되거나 항시 개방된 트랜스퍼 덕트(30)를 통해 덕트(21)에서 분출되는 공기는 제1 격실(11) 및 제2 격실(12)에 동시에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격실(11)의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 제2 격실(12)의 압력이 상승되도록 제1 격실(11)의 공기가 트랜스퍼 덕트(30)를 통해 제2 격실(12)로 공급되도록 배치하게 된다(S20).
또한 트랜스퍼 덕트(30)에는 제2 격실(12)의 공기가 제1 격실(11)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화댐퍼(3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방화댐퍼(31)는 기밀실로 사용되는 제2 격실(12)의 화재 또는 폭발 등으로부터 제1 격실(11)를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기계실(10)과 같이 주요 장치를 화재 또는 폭발 등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압력조절댐퍼(14)는 제1 격실(11)에 공급되는 공기가 증대함에 따라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제1 격실(11)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제1 압력조절댐퍼(14)를 설치하게 되며, 제1 압력조절댐퍼(14)는 제1 격실(11)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 제1 격실(11)에 채워진 공기는 트랜스퍼 덕트(30)를 통해 제2 격실(12)로 공급되며, 제2 격실(12)에 공급된 공기는 제2 격실(12)을 제1 격실(11)과 동일한 압력인 정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압력조절댐퍼(14)는 제1 격실(11)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을 경우 제1 압력조절댐퍼(14)가 개방되어 제1 격실(11)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킬 있게 된다.
또 제2 압력조절댐퍼(15)는 제2 격실(12)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을 경우 제2 압력조절밸브(15)가 개방되어 제2 격실(12)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기계실 11: 제1 격실
12: 제2 격실 13: 격벽
14: 제1 압력조절댐퍼 15: 제2 압력조절댐퍼
20: 공기조화기 21: 덕트
22: 분출구 30: 트랜스퍼 덕트
31: 방화댐퍼
12: 제2 격실 13: 격벽
14: 제1 압력조절댐퍼 15: 제2 압력조절댐퍼
20: 공기조화기 21: 덕트
22: 분출구 30: 트랜스퍼 덕트
31: 방화댐퍼
Claims (6)
- 기계실과 구획된 다수의 제1 격실 및 제2 격실 중 상기 제1 격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와 제1 격실 사이에 설치되는 덕트,
상기 제1 격실과 제2 격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격실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2 격실로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격실은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의해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되며,
상기 트랜스퍼 덕트는 일정 크기를 갖는 케이스의 구멍 일측에 일정 길이의 자유단으로 설치되는 고정판 및 상기 케이스의 구멍 타측에 일정 길이의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격실의 높은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가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는 상기 제2 격실의 공기 또는 화염원이 상기 제1 격실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설치되는 방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실 및 제2 격실에는 동일한 정압이 유지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압력조절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댐퍼는 상기 트랜스퍼 덕트보다 높은 압력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 다수로 구획된 제1 격실과 제2 격실의 내부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외부보다 높은 압력으로 상기 격실을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며,
(a)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를 상기 제1 격실로 공급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격실과 동일한 정압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격실과 제2 격실 사이의 격벽에 설치된 트랜스퍼 덕트를 통해상기 제1 격실의 공기를 제2 격실로 공급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상기 제2 격실의 공기가 제1 격실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화 댐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의 배치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0990A KR101664809B1 (ko) | 2014-10-17 | 2014-10-17 |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0990A KR101664809B1 (ko) | 2014-10-17 | 2014-10-17 |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5445A KR20160045445A (ko) | 2016-04-27 |
KR101664809B1 true KR101664809B1 (ko) | 2016-10-12 |
Family
ID=5591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0990A KR101664809B1 (ko) | 2014-10-17 | 2014-10-17 |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480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3771A (ko) * | 2017-02-17 | 2019-10-08 | 미쯔이 이앤에스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 액화가스 연료 선박의 교통 경로 형성 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9154B1 (ko) * | 2018-02-08 | 2018-07-17 | 장상훈 | 선박의 수밀과 기밀을 위한 관리 시스템 |
CN109603034A (zh) * | 2019-01-07 | 2019-04-12 | 上海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 一种防火风闸控制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3999B1 (ko) * | 2007-08-20 | 2012-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혼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20110134318A (ko) * | 2010-06-07 | 2011-12-14 | 장성철 | 해양 구조물용 방화 댐퍼 |
KR20130010389A (ko) | 2011-07-18 | 2013-01-2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내 위험구역 출입 시스템 |
KR20130136062A (ko) | 2012-06-04 | 2013-12-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제한된 구역 환기 시스템 배치 방법 |
-
2014
- 2014-10-17 KR KR1020140140990A patent/KR10166480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3771A (ko) * | 2017-02-17 | 2019-10-08 | 미쯔이 이앤에스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 액화가스 연료 선박의 교통 경로 형성 구조 |
KR102484766B1 (ko) | 2017-02-17 | 2023-01-04 | 미쯔이 이앤에스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 액화가스 연료 선박의 교통 경로 형성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5445A (ko) | 2016-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58770B2 (ja) | 車両 | |
KR101664809B1 (ko) |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 | |
EP1235292A2 (en) | Fuel cell generation system | |
US4711193A (en) | Self-contained ventilation system units for supplying spaces between bulkheads with individually circulated ventilation air | |
JP6137717B1 (ja) | パッケージ型発電装置 | |
CN101952172A (zh) | 用于对航天器的爆炸区域进行通风的系统和方法 | |
KR102014738B1 (ko) | 유입공기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터보 송풍장치 | |
CN100537351C (zh) | 飞行器防火壁 | |
WO2015115228A1 (ja) | 対象物の温度維持方法、船舶の機関室内の対象物の温度維持方法、及び、船舶 | |
CN114348228A (zh) | 一种船用隔离舱通风系统 | |
KR20030042265A (ko) | 냉동 콘테이너 선적 화물창의 통풍 덕트 시스템 | |
JP2017222305A (ja) | 移動電源車 | |
KR101291140B1 (ko) | 선박 거주구 건조용 공기순환시스템 | |
JP2003252295A (ja) | 船舶における機関室への通風装置 | |
KR20140018487A (ko) |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 |
KR20210156414A (ko) | 모듈식 연소 챔버를 구비한 축열 연소 장치 | |
KR20160073100A (ko) | 액화천연가스 및 원유 생산 저장용 부유식 해양 설비 구조물의 선실용 환기 시스템 | |
KR20140075510A (ko) | 선박의 공기 순환장치 | |
JP2008157486A (ja) | 蓄熱型排気処理装置 | |
KR102190553B1 (ko) | 선박의 마찰 저감 장치 | |
KR101955620B1 (ko) | 공기조화용 디퓨저 | |
KR102474692B1 (ko) | 선박의 온도 조절 시스템 | |
KR200477151Y1 (ko) | 선박용 벤트 덕트 시스템 | |
US11101049B2 (en) | Containment building separation system at a nuclear power plant | |
KR20140030491A (ko) | 선박 엔진 케이싱용 송풍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