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487A -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487A
KR20140018487A KR1020120084377A KR20120084377A KR20140018487A KR 20140018487 A KR20140018487 A KR 20140018487A KR 1020120084377 A KR1020120084377 A KR 1020120084377A KR 20120084377 A KR20120084377 A KR 20120084377A KR 20140018487 A KR20140018487 A KR 20140018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ower generation
drillship
emergency pow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081B1 (ko
Inventor
안효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0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쉽(drillship)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 상기 비상발전실에 배치되고, 라디에이터와 팬이 구비된 비상발전기; 및 상기 비상발전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발전기에 공급되는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대기와 상호 연통되는 도입용 홀을 구비한 헐 트렁크(hull trun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전 등 비상 상황에서 가동되는 비상발전기에 에어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공간 활용도를 높인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MODULE FOR EMERGENCY GENARATION ROOM OF DRILLSHIP AND THE OPERATING OF IT}
본 발명은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 등 비상 상황에서 가동되는 비상발전기에 에어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공간 활용도를 높인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릴쉽(drillship) 또는 시추선 등과 같은 특수선박에는 일반적으로 정전 등 비상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비상발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비상발전기는 통상 비상발전실에 마련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비상발전기에 가동에 따라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상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라디에이터가 구비되는데, 통상의 라디에이터는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웨더 파트(weather part)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비상발전실의 환기횟수와 비상발전실 부근의 스위치보드실(switchboard room) 내에 배치된 장비들의 발열량을 고려하여 덕트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일반적인 드릴쉽 등과 같은 선박은 이미 많은 덕트와 이러한 덕트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이 복잡하게 얽혀 배치되므로, 추가적인 덕트 설계를 위한 공간 확보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정전 등 비상 상황에서 가동되는 비상발전기에 에어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공간 활용도를 높인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릴쉽(drillship)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 상기 비상발전실에 배치되고, 라디에이터와 팬이 구비된 비상발전기; 및 상기 비상발전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발전기에 공급되는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대기와 상호 연통되는 도입용 홀을 구비한 헐 트렁크(hull trun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헐 트렁크와 연결되고, 평상시에는 차단되며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 개방되어 상기 도입용 홀을 통해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비상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헐 트렁크는, 양측에 상기 비상 유닛과 연통되는 외곽 하우징과, 상기 외곽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저면은 상기 비상발전실과 연통되며, 상면에 상기 도입용 홀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유닛은, 상기 헐 트렁크의 양측에 배치되고, 평상시 폐쇄되며,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에어 공급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상호 연통되게 개방되는 비상 댐퍼와, 상기 드릴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 댐퍼와 상기 비상발전기 및 상기 드릴쉽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유닛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헐 트렁크와 연통되며,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 가동되어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비상 도입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 개방되어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상기 비상발전실측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상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시 유닛은, 대기와 상호 연통되고,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 개방되어 상기 팬에 의하여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상시 도입 어셈블리와, 대기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 개방되어 비상발전실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상시 배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시 도입 어셈블리는, 상기 헐 트렁크와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도입 댐퍼와, 상기 드릴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입 댐퍼와 상기 비상발전기 및 상기 드릴쉽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시 배출 어셈블리는, 상기 비상발전실과 연결되어 대기와 상호 연통되는 헐 덕트(hull duct)와, 상기 헐 덕트 상에 장착되어 개폐 가능한 배출 댐퍼와, 상기 드릴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 댐퍼와 상기 비상발전기 및 상기 드릴쉽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릴쉽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헐 트렁크의 도입용 홀과 대기를 상호 연통시키고,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상기 비상발전실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상기 비상발전실측의 에어를 배출시키며,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에는 상기 도입용 홀을 통하여 상기 비상발전실측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의 운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릴쉽의 평상시 드릴쉽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상기 비상발전실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상시 운전 모드; 및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 상기 비상발전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헐 트렁크의 도입용 홀을 통하여 상기 비상발전실측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비상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의 운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릴쉽의 일측에는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와 비상시를 감지하고 상기 상시 운전 모드와 상기 비상 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가동 가능한 컨트롤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비상발전기가 배치된 비상발전기의 상측에 헐 트렁크를 포함한 외기 도입 구조물을 모듈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많은 덕트와 지지 구조물을 고려한 어려운 덕트 설계를 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상발전실 내의 큰 팬들이 필요없게 되어 팬 가동 부하를 줄여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발전실(100)의 비상발전기(200)에 헐 트렁크(300, hull trunk)를 통하여 상시 유닛(500)에 의하여 외기를 도입하고 배출하되, 드릴쉽(600, drillship)이 비상시일 때는 비상 유닛(400)에 의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로 610은 거주구를 나타낸다.
우선, 비상발전실(100)은 드릴쉽(600)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것으로, 비상발전기(2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비상발전기(200)는 비상발전실(100)에 배치되고, 라디에이터(이하 미도시)와 팬(210)이 구비된 것으로, 드릴쉽(600)이 정전 등 비상 상황일 때 가동되어 드릴쉽(600)의 보조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헐 트렁크(300)는 비상발전실(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비상발전기(200)에 공급되는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대기와 상호 연통되는 도입용 홀(301)을 구비한 것으로 비상시 후술할 비상 유닛(400)의 개방에 따라 평상시에 비하여 많은 외기를 비상발전실(100)에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비상 유닛(400)은 헐 트렁크(300)와 연결되고, 평상시에는 차단되며 드릴쉽(600)의 비상시 개방되어 도입용 홀(301)을 통해 비상발전기(200)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평상시에 비하여 많은 외기를 비상발전실(100)의 비상발전기(200)에 공급함으로써 비상발전기(200) 및 스위치보드룸(이하 미도시)의 각종 장비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시 유닛(500)은 드릴쉽(600)의 평상시 항상 개방되어 비상발전기(200)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비상발전실(100)측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헐 트렁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시 비상발전실(100)측으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 것으로, 크게 외곽 하우징(310)과 내부 하우징(3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외곽 하우징(310)은 양측에 비상 유닛(400)과 연통되는 것으로 악천후로부터 비상발전실(100)을 포함한 드릴쉽(600)의 내부 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하우징(320)은 외곽 하우징(3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저면은 비상발전실(100)과 연통되며, 상면에 도입용 홀(301)이 형성된 것으로, 실질적인 외기 도입용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비상 유닛(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릴쉽(600)의 비상 상황에서 비상발전실(100)측으로 향하는 유로를 개방하여 평상시에 비하여 많은 양의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비상 댐퍼(410)와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비상 댐퍼(410)는 헐 트렁크(300)의 양측에 배치되고, 평상시 폐쇄되며, 드릴쉽(600)의 비상시 비상발전기(200)측으로 에어 공급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상호 연통되게 개방되는 것이다.
컨트롤러는 드릴쉽(6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비상 댐퍼(410)와 비상발전기(200) 및 드릴쉽(600)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비상 상황을 감지하면 비상 댐퍼(410)의 개방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비상 유닛(40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헐 트렁크(300)와 연통되며, 드릴쉽(600)의 비상시 가동되어 비상발전기(200)측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비상 도입팬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시 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 항상 개방하여 비상발전실(100) 내부의 공기조화를 담당하기 위하여 외기를 도입하고 비상발전실(100) 내부의 에어를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시 도입 어셈블리(510)와 상시 배출 어셈블리(5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상시 도입 어셈블리(510)는 대기와 상호 연통되고, 드릴쉽(600)의 평상시 항상 개방되어 팬(210)에 의하여 비상발전기(200)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시 배출 어셈블리(520)는 대기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며, 드릴쉽(600)의 평상시 항상 개방되어 비상발전실(100)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시 도입 어셈블리(51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헐 트렁크(300)와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도입 댐퍼(512)와, 드릴쉽(6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도입 댐퍼(512)와 비상발전기(200) 및 드릴쉽(600)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시 배출 어셈블리(52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상발전실(100)과 연결되어 대기와 상호 연통되는 헐 덕트(521, hull duct)와, 헐 덕트(511) 상에 장착되어 개폐 가능한 배출 댐퍼(522)와, 드릴쉽(6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배출 댐퍼(512)와 비상발전기(200) 및 드릴쉽(600)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을 운용하는 방법을 도 3을 참고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한다.
우선, 본 발명은 드릴쉽(600)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헐 트렁크(300)의 도입용 홀(301)과 대기를 상호 연통시키고, 드릴쉽(600)의 평상시에는 항상 개방되어 비상발전실(100)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비상발전실(100)측의 에어를 배출시키며, 드릴쉽(600)의 비상시에는 도입용 홀(301)을 통하여 비상발전실(100)측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시 운전 모드(M1)와 비상 운전 모드(M2)를 컨트롤러의 실시간 감시에 의하여 드릴쉽(600)의 비상 상황 여부에 대하여 선택 가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시 운전 모드(M1)에서는 드릴쉽(600)의 평상시 드릴쉽(600)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100)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비상발전실(100)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비상 운전 모드(M2)에서는 드릴쉽(600)의 비상시 비상발전실(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헐 트렁크(300)의 도입용 홀(301)을 통하여 비상발전실(100)측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정전 등 비상 상황에서 가동되는 비상발전기에 에어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공간 활용도를 높인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포함한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응용과 변형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100: 비상발전실 200: 비상발전기
300: 헐 트렁크 400: 비상 유닛
500: 상시 유닛 600: 드릴쉽

Claims (12)

  1. 드릴쉽(drillship)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
    상기 비상발전실에 배치되고, 라디에이터와 팬이 구비된 비상발전기; 및
    상기 비상발전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발전기에 공급되는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대기와 상호 연통되는 도입용 홀을 구비한 헐 트렁크(hull trun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헐 트렁크와 연결되고, 평상시에는 차단되며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 개방되어 상기 도입용 홀을 통해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비상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헐 트렁크는,
    양측에 상기 비상 유닛과 연통되는 외곽 하우징과,
    상기 외곽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저면은 상기 비상발전실과 연통되며, 상면에 상기 도입용 홀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상 유닛은,
    상기 헐 트렁크의 양측에 배치되고, 평상시 폐쇄되며,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에어 공급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상호 연통되게 개방되는 비상 댐퍼와,
    상기 드릴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비상 댐퍼와 상기 비상발전기 및 상기 드릴쉽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상 유닛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헐 트렁크와 연통되며,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 가동되어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비상 도입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 개방되어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상기 비상발전실측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상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시 유닛은,
    대기와 상호 연통되고,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 개방되어 상기 팬에 의하여 상기 비상발전기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상시 도입 어셈블리와,
    대기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 개방되어 비상발전실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상시 배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시 도입 어셈블리는,
    상기 헐 트렁크와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도입 댐퍼와,
    상기 드릴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입 댐퍼와 상기 비상발전기 및 상기 드릴쉽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시 배출 어셈블리는,
    상기 비상발전실과 연결되어 대기와 상호 연통되는 헐 덕트(hull duct)와,
    상기 헐 덕트 상에 장착되어 개폐 가능한 배출 댐퍼와,
    상기 드릴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 댐퍼와 상기 비상발전기 및 상기 드릴쉽의 메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10. 드릴쉽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헐 트렁크의 도입용 홀과 대기를 상호 연통시키고,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상기 비상발전실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상기 비상발전실측의 에어를 배출시키며,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에는 상기 도입용 홀을 통하여 상기 비상발전실측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의 운용 방법.
  11. 드릴쉽의 평상시 드릴쉽의 좌현 또는 우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비상발전실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상기 비상발전실의 에어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상시 운전 모드; 및
    상기 드릴쉽의 비상시 상기 비상발전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헐 트렁크의 도입용 홀을 통하여 상기 비상발전실측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비상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의 운용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드릴쉽의 일측에는 상기 드릴쉽의 평상시와 비상시를 감지하고 상기 상시 운전 모드와 상기 비상 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가동 가능한 컨트롤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의 운용 방법.
KR1020120084377A 2012-08-01 2012-08-01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KR10137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77A KR101373081B1 (ko) 2012-08-01 2012-08-01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77A KR101373081B1 (ko) 2012-08-01 2012-08-01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487A true KR20140018487A (ko) 2014-02-13
KR101373081B1 KR101373081B1 (ko) 2014-03-26

Family

ID=5026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77A KR101373081B1 (ko) 2012-08-01 2012-08-01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334A (ko) 2014-06-24 2016-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
KR20160000335A (ko) 2014-06-24 2016-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
KR20160000333A (ko) 2014-06-24 2016-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
KR102069920B1 (ko) * 2015-08-28 2020-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729B1 (ja) * 1999-03-30 2000-06-26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舶用独立型非常発電装置
JP3535814B2 (ja) * 2000-07-27 2004-06-07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舶用独立非常用発電室の換気構造
JP3960611B2 (ja) * 2004-04-26 2007-08-15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舶内電気機器室の空調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081B1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1768B2 (en) Tower bottom cooling device for wind power generator unit, and control method
KR101373081B1 (ko)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US20180323022A1 (en) Arc flash resistant enclosure with segregated cooling
JP6589295B2 (ja) 電力変換装置
CN106859377B (zh) 电烤箱
KR20100004959A (ko)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JP2006353014A (ja) 配電機材
JP2006294409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JP4354295B2 (ja) 船舶用空気調和装置
TW201600714A (zh) 風力發電裝置
JP5444513B2 (ja) 制御盤
KR20080072125A (ko) 개선된 환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JP2010106696A (ja) エンジン発電機
JP5251370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装置の冷却方法
JP2012100466A (ja) 電力変換装置の冷却装置
JP2007104737A (ja) 電力供給装置
KR101488003B1 (ko) 컨버터 냉각 시스템
KR101722594B1 (ko) 선박의 고발열 격실용 난방부하 저감 통풍시스템
JP2012078056A (ja) サーバ室用空調システム
JP5565655B2 (ja) 天井輻射式空調システム
WO2018225214A1 (ja) 制御盤
KR20100021063A (ko) 선박의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474692B1 (ko) 선박의 온도 조절 시스템
KR20160045445A (ko) 격실의 정압 유지용 공조장치 및 그 배치방법
JP2022092417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用排気口カバー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