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334A - 시추선 - Google Patents

시추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334A
KR20160000334A KR1020140077574A KR20140077574A KR20160000334A KR 20160000334 A KR20160000334 A KR 20160000334A KR 1020140077574 A KR1020140077574 A KR 1020140077574A KR 20140077574 A KR20140077574 A KR 20140077574A KR 20160000334 A KR20160000334 A KR 2016000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generator
room
generator room
ai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철
방정훈
여태선
김성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334A/ko
Publication of KR2016000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발전기 룸이 거주구의 탑 데크에 배치되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선으로서, 내부에 비상 발전기 및 비상 발전기 엔진이 설치되는 비상 발전기 룸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은 거주구(LQ)의 탑 데크(top deck)에 위치하는, 시추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시추선{DRILLING SHIP}
본 발명은, 시추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발전기 룸이 거주구의 탑 데크에 배치되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 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 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드릴쉽(drill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군소 유전 개발을 위해서는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에 따라, 드릴쉽은 예인선 없이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한편 드릴쉽(drillship) 또는 반잠수식 리그(semi-submersible rig)를 포함하는 시추선과 같은 특수선박에는 정전 등 비상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비상 발전기가 마련된다. 비상 발전기는 비상 발전실에 마련되며, 비상 발전기 엔진에 연결되어 작동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비상 발전기 룸이 마련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발전기 룸의 냉각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발전기 룸의 장비들의 유지보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비상 발전기 룸(110)이 거주구(LQ)가 배치되는 메인 데크(MD)에 마련된다. 비상 발전기룸(110)에는 비상 발전기와 비상 발전기 엔진이 설치되고, 비상발전기는 정상운전 중인 주 발전기가 정지하는 등의 비상사태에 작동된다. 그리고, 공조실(120)이 거주구가 배치되는 C 데크에 위치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비상 발전기 룸(110)이 메인 데크(MD)에 위치해 있으므로 비상 발전기를 운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비상 발전기 룸(110)에 인접한 선실 구역으로 전달되어 선실 구역의 쾌적한 생활에 방해가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데크들보다 튀어나온 구역에 설치됨으로써 구조 보강용 기둥(pillar)의 설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공조실(120)도 거주구 인근에 위치하여 공조실의 장비들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거주구로 전달되어 거주구의 쾌적한 생활에 방해가 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화살표는 냉각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발전기 룸(110)이 2 데크로 이루어져서 상부 데크로 냉각 공기가 흡입되어 하부 데크로 흘러가 하부 데크에서 배출된다. 즉, 냉각 공기의 흐름 경로가 꺽이는 형태여서 냉각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발전기 룸(110)이 메인데크에 위치하고, 비상 발전기 룸(110)의 상부에는 주거부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비상 발전기 룸(110)의 장비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과 트롤리(trolley) 및 호이스트(hoist)를 이용하여 장비를 들어서 선체 밖으로 이동시킨다. 도 3에서 화살표는 장비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모노레일과 트롤리 및 호이스트를 설치해야 하고, 비상 발전기 룸(110) 내부에서 장비를 이동시킴에 따라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비상 발전기 룸(110)과 공조실(120)의 진동과 소음이 선실 구역의 쾌적한 생활을 방해하고, 비상 발전기 룸(110)의 냉각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비상 발전기 룸(110)의 장비들의 유지 보수 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구조 보강용 기둥 및 모노레일과 트롤리 및 호이스트를 설치함에 따른 자재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373081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2014. 03. 26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 발전기 룸 및 공조룸의 배치를 최적화하여 선실의 환경이 쾌적하고 비상 발전기 룸의 냉각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시추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선으로서, 내부에 비상 발전기 및 비상 발전기 엔진이 설치되는 비상 발전기 룸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은 거주구(LQ)의 탑 데크(top deck)에 위치하는, 시추선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시추선은 상기 탑 데크에 위치하는 공조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후방벽에는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발전기 룸에는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라이에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전방벽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비상 발전기 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천장부에는 개폐 가능한 해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발전기 및 상기 비상 발전기 엔진은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해치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선으로서, 비상 발전기 룸 및 공조룸이 거주구의 탑 데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상 발전기 룸 및 공조굼을 거주구의 탑 데크에 마련하여 선실의 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비상 발전기 룸의 냉각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에서 비상 발전기 룸이 마련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발전기 룸의 냉각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발전기 룸의 장비들의 유지보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에서 비상 발전기 룸 및 공조룸이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에서 비상 발전기 룸의 냉각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에서 비상 발전기 룸의 장비들의 유지보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에서 비상 발전기 룸 및 공조룸이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에서 비상 발전기 룸의 냉각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에서 비상 발전기 룸의 장비들의 유지보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은 비상 발전기 룸(410) 및 공조룸(420)이 거주구(LQ)의 탑 데크(TD, top deck)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발전기 룸(410) 및 공조룸(420)을 탑 데크에 마련함으로써 비상 발전기 룸(410) 및 공조룸(420)이 선실 구역과 멀어져서 비상 발전기 룸(410) 및 공조룸(420)의 진동이 소음이 선실 구역으로 전달되지 않아 선실 구역이 쾌적해지고, 메인 데크의 활용 공간이 확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발전기 룸(410)에는 비상 발전기(411), 비상 발전기 엔진(412) 및 라디에이터(radiator)(413)가 설치된다. 비상 발전기(411)는 주 발전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작동되어 전력을 생산하여 시추선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비상 발전기 엔진(412)은 연료를 연소시켜 비상 발전기(411)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비상 발전기 엔진(412)과 비상 발전기(411)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비상 발전기 룸(410)의 온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비상 발전기 룸(410)의 후방벽에는 비상 발전기 룸(410)의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414)가 마련되고, 라디에이터(413)는 비상 발전기 룸(410)의 뜨거운 공기를 공기 배출부(414)를 통해 배출시킨다.
그리고, 비상 발전기 룸(410)의 전방벽에는 공기 흡입부(415)가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부(415)를 통해 비상 발전기 룸(410)으로 유입된다. 즉,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부(415)를 통해 비상 발전기 룸(410)으로 유입된 후, 비상 발전기 룸(410)의 장비들을 냉각시킨 후, 뜨거워진 공기는 공기 배출부(4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상 발전기 룸(410)이 탑 데크에 마련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발전기 룸(410)의 전방벽과 후방벽이 외부와 접해 있어서 냉각 공기의 흐름이 일자형이 되어 냉각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비상 발전기 룸(4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비상 발전기 엔진, 비상 발전기, 관련 장비 등을 비상 발전기 엔진룸(4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해치(hatch)(416)가 비상 발전기 룸(410)의 천장부에 마련된다.
해치(416)는 개폐 가능하도록 비상 발전기 엔진룸(410)의 천장부에 힌지 결합 될 수도 있고, 볼트 결합 또는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 될 수도 있다.
페데스탈 크레인(pedestal crane)이 비상 발전기 룸(410) 상부의 해치(416)를 통해 유지 보수할 장비를 들어올려 레이다운 영역(lay down area)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다운 영역에서 장비를 보수하거나, 시추선 내에서 보수가 어려운 경우에는 운송선으로 육상으로 운송하여 육상에서 보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발전기 룸(410)이 탑 데크에 마련되어 비상 발전기 룸(410)의 천장부가 외부와 접하고 있어서, 비상 발전기 룸(410) 천장부의 해치(416)를 통해 유지 보수할 장비를 바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장비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안전성이 향상되고, 모노레일, 트롤리 및 호이스트 등의 장비가 필요 없어져 자재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시추선 10,100 : 비상 발전기 엔진룸
11 : 공기 유입부 20,200 : 배기 가스 파이프
21 : 제1 배기가스파이프 22 : 제2 배기가스파이프
30,300 : 소음기 40 : 해치
E : 비상 발전기 엔진 ES : 연소관 서포트
HD : 헬리 데크 LQ : 거주구
MD : 메인 데크 T : 연료 탱크
TD : 탑 데크

Claims (8)

  1. 시추선으로서,
    내부에 비상 발전기 및 비상 발전기 엔진이 설치되는 비상 발전기 룸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은 거주구(LQ)의 탑 데크(top deck)에 위치하는, 시추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 데크에 위치하는 공조룸을 더 포함하는 시추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후방벽에는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가 마련되는, 시추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발전기 룸에는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라이에이터가 설치되는, 시추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전방벽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비상 발전기 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마련되는, 시추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발전기 룸의 천장부에는 개폐 가능한 해치가 마련되는, 시추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발전기 및 상기 비상 발전기 엔진은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해치를 통해 배출되는, 시추선.
  8. 시추선에 있어서,
    비상 발전기 룸 및 공조룸이 거주구의 탑 데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KR1020140077574A 2014-06-24 2014-06-24 시추선 KR20160000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574A KR20160000334A (ko) 2014-06-24 2014-06-24 시추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574A KR20160000334A (ko) 2014-06-24 2014-06-24 시추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34A true KR20160000334A (ko) 2016-01-04

Family

ID=5516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574A KR20160000334A (ko) 2014-06-24 2014-06-24 시추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3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81B1 (ko) 2012-08-01 2014-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81B1 (ko) 2012-08-01 2014-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의 비상발전실용 공조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3749B1 (en) Service space for a retractable propulsion device or corresponding
US20200298938A1 (en) Buoy For The Processing Of Production Fluids
KR20090032618A (ko) 선박용 스러스터 모터의 수리를 위한 선박 구조
US9862474B2 (en) Ventilation apparatus of a drillship
KR101498246B1 (ko) 문풀 구역의 장비이동을 위한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 및 그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를 갖는 시추선
KR20130117129A (ko)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물 구조
KR20160000334A (ko) 시추선
KR20160000335A (ko) 시추선
KR200466433Y1 (ko) 극지용 선박의 밀폐형 데릭구조
US9297545B2 (en) Damper structure for a sealed derrick
KR20160000333A (ko) 시추선
KR101613220B1 (ko) 드릴쉽의 엔진 케이싱 배치구조 및 그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쉽
KR101606700B1 (ko) 드릴쉽의 엔진 케이싱 배치구조 및 그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쉽
KR20150083517A (ko) 해상 lng 벙커링 터미널
KR101606696B1 (ko)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KR101695886B1 (ko) 소화수 모니터가 구비된 시추선
KR20150003643U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KR200481260Y1 (ko)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KR101875088B1 (ko) 문풀을 이용한 해수 취수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드릴쉽
Sablok et al. Disconnectable arctic spar
Hendriks et al. Magellan class drillship: Designing the rig of the future
Toma et al. MODERNIZATION OF THE ROMANIAN TUG “HERCULES” TO FULFIL THE CLASS NOTATION CORRESPONDING TO THE RULES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LASSIFICATION SOCIETIES
KR20170004175A (ko) 선박의 해수 유입 및 배출 구조와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50126181A (ko) 드릴쉽
KR101613215B1 (ko) 시추 작업용 해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