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643U -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643U
KR20150003643U KR2020140002460U KR20140002460U KR20150003643U KR 20150003643 U KR20150003643 U KR 20150003643U KR 2020140002460 U KR2020140002460 U KR 2020140002460U KR 20140002460 U KR20140002460 U KR 20140002460U KR 20150003643 U KR20150003643 U KR 201500036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generation module
crane
building
overhead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575Y1 (ko
Inventor
강경록
임윤빈
조경탁
이형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2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57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유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발전모듈이 설치되는 부유 발전플랜트로, 상기 발전모듈의 빌딩 내부에 오버헤드 크레인이 설치됨으로써, 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상부에 별도의 해치(Hatch)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크레인 사용 시, 주변의 구조물 및 장비들의 간섭 여부를 체크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사용에 제약이 수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FLOATING STORAGE ELECTRIC POWER GENERATING PLANT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OVER HEAD CRANE THEREOF}
본 고안은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부유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발전모듈이 설치된 부유 발전플랜트에서 발전모듈의 빌딩 내부에 오버헤드 크레인이 설치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비롯한 해양 구조물에는 하물(荷物)을 들어올려서 상하, 좌우로 운반하도록 하는 크레인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크레인은 하물의 중량, 이송 방식, 설치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다.
선박을 비롯한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크레인 중에는 페데스탈 크레인(pedestal crane)이 있는데, 이러한 페데스탈 크레인은 페데스탈(pedestal) 상에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에는 호이스트 케이블을 갖는 지브가 설치된다.
페데스탈 크레인(Pedestal Crane)은 페데스탈 크레인은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에 설치되어 하역이나 인양작업을 수행한다.
도 1은 선박에 설치되는 페데스탈 크레인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체(1)의 메인 데크(2) 상에 선미 측과 선수 측으로 페데스탈 크레인(10)이 설치된다.
상기 페데스탈 크레인(10)은 하부구조물인 페데스탈 부분(11)과 상부구조물인 크레인 부분(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페데스탈 부분(11)은 선박에 고정되며, 크레인 부분(12)은 페데스탈 부분(1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역이나 인양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 선박의 경우, 페데스탈 크레인(10)을 메인 데크(2) 상부에 위치시켜서 메인 데크(2) 및 모듈(Module)에 설치된 장비를 유지보수(Maintenance) 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상부에 별도의 해치(Hatch)가 필요하며, 페데스탈 크레인 사용 시, 주변의 구조물 및 장비들의 간섭 여부를 체크해야 하는 등 그 사용상에 많은 제약이 동반된다.
공개번호 10-2014-0013246 공개특허 10-2013-0073451
본 고안은 부유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발전모듈이 설치된 부유 발전플랜트로서 발전모듈의 빌딩 내부에 오버헤드 크레인이 설치됨으로써, 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상부에 별도의 해치(Hatch)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크레인 사용 시, 주변의 구조물 및 장비들의 간섭 여부를 체크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사용에 제약이 수반되지 않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부에는 발전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발전모듈에는 유지보수를 위한 빌딩이 설치되고, 상기 빌딩 내에는 오버헤드 크레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발전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발전모듈은 가스발전 유닛과 스팀 터빈 발전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은 상기 빌딩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거더; 상기 거더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 윈치; 및 작업물의 승,하강을 위하여 상기 전동 윈치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모듈의 하부에 상기 액화 천연가스 화물창이 배치되고, 거주구의 하부에 기관실(Machinery Space)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거주구의 선수 측 배치구조에 의해서, 운항 시 상기 거주구에 있는 조타실에서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기관실과의 접근거리가 단축되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유 해양구조물의 내부에 액화 천연가스가 저장되고, 그 액화 천연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모듈의 빌딩 내부에 오버헤드 크레인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부유 발전플랜트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모듈은 가스발전 유닛 및 스팀 터빈 발전장치들을 구비하는데, 그 발전장치들이 설치되는 빌딩 내부에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이 설치됨으로써, 종전과 같이 별도의 해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고 종래 페데스탈 크레인(Pedestal Crane)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해치 설치 M/H 및 자재비 절감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메인 데크 상에서 크레인 작업시, 크레인과의 간섭 여부를 점검할 필요 없이 빌딩 내부 상측에서 리프팅(Lifting)이 바로 가능함으로써, 이를 통한 유지보수(Maintenance) 절차를 효과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에 설치되는 페데스탈 크레인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스팀 터빈 빌딩 내부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스팀 터빈 빌딩 내부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스팀 터빈 빌딩 내부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부유 발전플랜트(100)는 바지와 같은 부유 해양구조물(110)에 발전 플랜트(120)가 설치된다.
발전 모듈(120)은 가스터빈 발전장치(121), 폐열회수장치(122), 스팀 터빈발전장치(123)를 포함하는 데,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는 가스터빈 발전장치(121)와 스팀 터빈발전장치(123)에 적용될 수 있다. 발전 모듈(120)은 액화 천연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한 전기를 수요처에 공급하는 발전플랜트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터빈발전장치(123)는 부유 해양구조물 데크(D) 상부에 유지보수(maintenance)를 위한 빌딩(123a)이 형성되고, 그 빌딩(123a) 내부에는 제1 지지 플레이트(123b)와 제2 지지 플레이트(123c)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3b)와 제2 지지 플레이트(123c)는 장비들을 설치하기 위한 파운데이션으로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123b) 상에는 스팀 터빈(123d)과 발전기(123e)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123c)에는 콘덴서(123f)가 설치된다.
상기 빌딩(123a)은 내부에 설치된 스팀 터빈(123d)과 발전기(123e)와 콘덴서(123f)를 바람이나 눈, 비 등의 외부 요소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빌딩(123a)의 내측 벽에는 철골의 지지 프레임(123g)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23g)의 상단 측에 지지되도록 상기 스팀 터빈(123d)의 상방으로는 오버헤드 크레인(20)이 설치된다.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20)은 상기 빌딩(123a)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거더(21)와, 상기 거더(21)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 윈치(22)와, 작업물의 승,하강을 위하여 상기 전동 윈치(2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23)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20)은 상기 가스터빈발전장치(121)의 빌딩 내부에도 동일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스팀 터빈 빌딩 내부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부유 발전플랜트(200)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211)를 구비하는 부유 저장 해양구조물(210)에 발전 모듈(220)이 설치된다. 발전 모듈(220)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211)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연료가스로 기화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발전 모듈(220)의 여러 발전장치 중에서, 스팀 터빈발전장치(223)는 부유 해양구조물 데크(D) 상부에는 유지보수(maintenance)를 위한 빌딩(223a)이 형성되고, 그 빌딩(223a) 내부에는 제1 지지 플레이트(223b)와 제2 지지 플레이트(223c)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223b) 상에는 스팀 터빈(223d)과 발전기(223e)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223c)에는 콘덴서(223f)가 설치된다.
상기 빌딩(223a)의 내측 벽에는 철골의 지지 프레임(223g)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23g)의 상단 측에 지지되도록 상기 스팀 터빈(223d)의 상방으로는 오버헤드 크레인(20)이 설치된다.
상기 발전 모듈(220)의 하부에 상기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211)가 배치되고, 거주구(230)의 하부에 기관실(Machinery Space)(2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230)의 선수 측 배치구조에 의해서, 운항 시 상기 거주구(230)에 있는 조타실(231)에서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기관실(240)과의 접근거리가 단축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에 있어서는, 발전모듈의 빌딩 내부에 오버헤드 크레인(20)이 설치됨으로써, 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상부에 별도의 해치(Hatch)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크레인 사용 시, 주변의 구조물 및 장비들의 간섭 여부를 체크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사용에 제약이 수반되지 않는다.
20: 오버헤드 크레인
21: 거더
22: 전동 윈치
23: 후크
100: 부유 발전플랜트
110: 부유 해양구조물
120: 발전 모듈
121: 가스터빈 발전장치
122: 폐열회수장치
123: 스팀 터빈발전장치
123a: 빌딩
123b: 제1 지지 플레이트
123c: 제2 지지 플레이트
123d: 스팀 터빈
123e: 발전기
123f: 콘덴서
123g: 지지 프레임
200: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211: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220: 발전 모듈
223a: 빌딩
223b: 제1 지지 플레이트
223c: 제2 지지 플레이트
223d: 스팀 터빈
223e: 발전기
223f: 콘덴서
223g: 지지 프레임
230: 거주구
231: 조타실
240: 기관실

Claims (6)

  1. 부유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부에는 발전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발전모듈에는 빌딩이 설치되고, 상기 빌딩 내에는 오버헤드 크레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발전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은 가스발전 유닛과 스팀 터빈 발전모듈을 포함하는 부유 발전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은
    상기 빌딩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거더;
    상기 거더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 윈치; 및
    작업물의 승,하강을 위하여 상기 전동 윈치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부유 발전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모듈의 하부에 상기 액화 천연가스 화물창이 배치되고, 거주구의 하부에 기관실(Machinery Space)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발전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의 선수 측 배치구조에 의해서, 운항 시 상기 거주구에 있는 조타실에서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기관실과의 접근거리가 단축되는 구조를 갖는 부유 발전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오버헤드 크레인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부유 발전플랜트.
KR2020140002460U 2014-03-27 2014-03-27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KR200479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460U KR200479575Y1 (ko) 2014-03-27 2014-03-27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460U KR200479575Y1 (ko) 2014-03-27 2014-03-27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43U true KR20150003643U (ko) 2015-10-07
KR200479575Y1 KR200479575Y1 (ko) 2016-02-15

Family

ID=5434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460U KR200479575Y1 (ko) 2014-03-27 2014-03-27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2070A (ja) * 2017-03-31 2018-11-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設備及び発電設備並びに機器のメンテナンス方法
CN110356508A (zh) * 2019-07-31 2019-10-22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用于海上起重安装船的生活楼布置形式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78Y1 (ko) * 2008-06-16 2010-12-07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엔진 테스트 바지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2070A (ja) * 2017-03-31 2018-11-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設備及び発電設備並びに機器のメンテナンス方法
US11208179B2 (en) 2017-03-31 2021-12-28 Mitsubishi Power, Ltd. Maintenance facility,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maintenance method for device
CN110356508A (zh) * 2019-07-31 2019-10-22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用于海上起重安装船的生活楼布置形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575Y1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31B1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JP6039097B2 (ja) 浮遊輸送および設置構造体、および浮遊風力タービン
WO2014083684A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該装置の部品搬送方法
US20110129334A1 (en) Wind turbine holding and lifting system and movable operating platform above water
EP2714506B1 (en) A vessel and a metho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an offshore structure
KR20160150431A (ko) 풍력과 해류 및 조류 발전장치를 내장한 반 잠수식 플렛폼
US9739267B2 (en) Wind turbine on a floating support stabilized by a raised anchoring system
KR101399933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0479575Y1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CN203844964U (zh) 母子双浮体海上风力发电机组整体运输安装一体船
KR101379025B1 (ko)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JP6124064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建造・運搬方法
KR102092198B1 (ko) 해상 풍력발전기의 운송 설치용 선박
CN103921900A (zh) 母子双浮体海上风力发电机组整体运输安装一体船及方法
CN103803024A (zh) 半浮式海上风力发电机组整体运输安装一体船及施工方法
WO2012039619A2 (en) Vessel comprising a hull with a deck and a cargo area extending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deck
KR20150018338A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CN103807116A (zh) 海上风力发电机组拉索千斤顶提升安装装置及施工方法
FI96589B (fi) Menetelmä puoliuposaluksen muuntamisessa
CN104802948A (zh) 抗波浪抨击力的装置及具有该装置的海工结构物
CN106089597B (zh) 海上风电机组用运输安装平台
CN203822557U (zh) 海上风力发电机组拉索千斤顶提升安装装置
KR101348621B1 (ko)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
KR101774764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11296A (ko)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