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764B1 -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764B1
KR101774764B1 KR1020160064186A KR20160064186A KR101774764B1 KR 101774764 B1 KR101774764 B1 KR 101774764B1 KR 1020160064186 A KR1020160064186 A KR 1020160064186A KR 20160064186 A KR20160064186 A KR 20160064186A KR 101774764 B1 KR101774764 B1 KR 10177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head crane
module
crane
crane module
j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박어진
송명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중량물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다수의 지지 영역이 형성된 상부 구조물;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브 크레인; 및 상기 지브 크레인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양단이 상기 지지 영역들에서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MARINE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구조물은 시추, 발전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 운용되고 있다.
예컨대, 최근 부유식 발전 플랜트(Barge Mounted Power Plant, BMPP)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부유식 발전 플랜트는 부유체인 바지 위에 발전기와 각종 송전 설비가 탑재된다.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해 육상으로 전송된다.
해양 구조물은 특성 상 플랫폼 상에 각종 설비들이 탑재된다. 설비들 중 일부는 중량이 큰 중량물이다. 플랫폼 상에는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크레인이 설치된다.
그런데 플랫폼 상의 공간이 매우 타이트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설치 및 작업 공간이 과다하게 요구되는 천정형 크레인(Overhead crane) 보다 선회 가능한 지브 크레인(Jib crane)이 사용된다.
그런데 지브 크레인은 설치 공간이 작지만 선회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들어 올릴 수 있는 하중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플랫폼 상의 중량물이 지브 크레인의 용량보다 과다한 경우 지브 크레인으로 중량물을 리프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의 상부 공간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중량물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다수의 지지 영역이 형성된 상부 구조물;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브 크레인; 및 상기 지브 크레인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양단이 상기 지지 영역들에서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브 크레인의 용량은 상기 중량물의 중량보다 작고,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지지 영역들은 상기 지브 크레인의 작업 반경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은, 양단이 상기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되는 거더; 및 상기 거더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는 호이스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영역들에는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영역들에는 각각 보강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해양 구조물의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지브 크레인이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을 리프팅하는 단계;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의 양단이 상기 지지 영역들 중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이 상기 상부 구조물 내의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운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브 크레인과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지브 크레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이에 따라 본체의 상부 공간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운용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해양 구조물(10)은 본체(100)와, 상부 구조물(200)과, 지브 크레인(300)과,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은 부유식 발전 플랜트(Barge Mounted Power Plant, BMPP)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운용되는 해양 구조물이 제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은 부유식 구조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일부가 해저에 고정되고 일부가 수면 위에 노출되는 고정식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부유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라스트 탱크(1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발전을 위해 사용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130)가 형성된다. 저장 탱크(130)에는 액화천연가스 등이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체(100)에는 발전기(110)가 탑재될 수 있다.
본체(100) 상부에는 상부 구조물(2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구조물(200)은 트러스 구조물 또는 빔 구조물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부 구조물(200)은 그 내부에 중량물(H)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구조물(200)의 상면에는 개방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구(210)는 별도의 커버 부재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상부 구조물(20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설치 또는 제거가 용이하다.
상부 구조물(200)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지지 영역(S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영역(SA)은 후술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지지되는 영역이다. 예컨대, 다수의 지지 영역(SA)은 상부 구조물(200)의 상면에 형성된 개방구(210)의 가장자리에 분포될 수 있다.
지지 영역(SA)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강 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300)의 보강 부재(230)를 매개로 상부 구조물(2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 영역(SA)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지브 크레인(300)이 설치될 수 있다. 지브 크레인(300)은 선회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부 구조물(200)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 영역(SA)은 지브 크레인(300)의 작업 반경(R)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브 크레인(300)의 용량은 상부 구조물(200) 내의 중량물(H)의 중량보다 작고, 후술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의 중량보다 크다. 이 경우, 지브 크레인(300)은 직접 중량물(H)을 리프팅하지 못하고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에 의해 리프팅될 수 있다.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은 지브 크레인(300)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양단이 지지 영역(SA)들에서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은 지브 크레인(300)으로 리프팅하기 어려운 상부 구조물(200) 내의 중량물(H)을 리프팅 할 때 사용된다.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은 거더(410)와 호이스트 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거더(410)는 후술하는 호이스트 장치(4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이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된다. 호이스트 장치(430)는 거더(410)를 따라 이동하며 중량물(H)을 리프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영역(SA)들에는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운용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 운용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이 상부 구조물(200)의 상면에 지지되어 보관된다. 이때,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의 양단은 지지 영역(SA)들 중 임의로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된다. 이 경우, 본체(100)에 기 설치된 상부 구조물(200)의 상면에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을 지지하여 보관함으로써 본체(100)에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해양 구조물(10)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상부 구조물(200) 내의 중량물(H)을 리프팅해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중량물(H)의 중량은 지브 크레인(300)의 용량보다 크기 때문에 지브 크레인(300)으로 중량물(H)을 리프팅하지 못한다. 이때, 도 1과 같이 보관 중이던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을 사용하여 중량물(H)을 리프팅한다.
보다 상세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브 크레인(300)이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을 리프팅한다(S100).
이후, 도 3 및 도 5을 참조하면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의 양단이 지지 영역(SA)들 중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한다(S200).
이때,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이 중량물(H)을 용이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지지 영역(SA)이 선정될 수 있다.
이때,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은 보강 부재(230)를 매개로 선정된 지지 영역(SA)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은 선정된 두 영역에 설치된 전기 공급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이 상부 구조물(200) 내의 중량물(H)을 리프팅한다(S30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브 크레인(300) 용량을 초과하는 중량물(H)을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400)을 이용하여 리프팅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적 크기가 작은 소용량의 지브 크레인(300)을 사용하게 되어 본체(100)의 상부 공간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해양 구조물
100 : 본체
110 : 발전기
120 : 발라스트 탱크
130 : 저장 탱크
200 : 상부 구조물
300 : 지브 크레인
400 :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
410 : 거더
430 : 호이스트 장치
H : 중량물
SA : 지지 영역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중량물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다수의 지지 영역이 형성된 상부 구조물;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브 크레인; 및
    상기 지브 크레인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양단이 상기 지지 영역들에서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은,
    양단이 상기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되는 거더; 및
    상기 거더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는 호이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브 크레인의 용량은
    상기 중량물의 중량보다 작고,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의 중량보다 큰, 해양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들은 상기 지브 크레인의 작업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해양 구조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들에는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가 설치되는, 해양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들에는 각각 보강 부재가 배치되는, 해양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지브 크레인이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을 리프팅하는 단계;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의 양단이 상기 지지 영역들 중 선정된 두 영역에 각각 지지하는 단계;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 모듈이 상기 상부 구조물 내의 상기 중량물을 리프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운용 방법.
KR1020160064186A 2016-05-25 2016-05-25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 KR10177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86A KR101774764B1 (ko) 2016-05-25 2016-05-25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86A KR101774764B1 (ko) 2016-05-25 2016-05-25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764B1 true KR101774764B1 (ko) 2017-09-05

Family

ID=5992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186A KR101774764B1 (ko) 2016-05-25 2016-05-25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474A (ko) * 2021-07-01 2023-01-10 훌루테크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벙커링 로딩 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06B1 (ko) * 2007-03-26 2008-07-29 성백섭 멀티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06B1 (ko) * 2007-03-26 2008-07-29 성백섭 멀티 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474A (ko) * 2021-07-01 2023-01-10 훌루테크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벙커링 로딩 암 시스템
KR102530788B1 (ko) * 2021-07-01 2023-05-11 훌루테크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벙커링 로딩 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7027B1 (en) Working system for floating structure, floating structure, working ship, and working method for floating structure
US11970370B2 (en) Motion compensa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CN104903572B (zh) 浮体式风力发电装置及该装置的部件搬运方法
US20200115197A1 (en) Crane, vessel comprising such a crane, and a method for up-ending a longitudinal structure
US10941023B2 (en) Wave-induced motion compensa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vessel and load transferring method
CN105059489B (zh) 一种恒稳式海上核电平台
CN103079951B (zh) 风力发电机组装体移动装置及利用其装卸风力发电机组装体的方法
CN107571975B (zh) 一种海上风电安装平台
CN102161375A (zh) 风电机组设备运输安装船及其应用
RU2708754C2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CN106014874A (zh) 海上风力发电机组的安装方法
WO2012060070A1 (ja) 水流発電設備
KR101774764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 방법
JP5820953B1 (ja) 風力発電装置の組み付け方法、風力発電装置の分解方法、風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及び風力発電装置の作業用船舶
EP3095687B1 (en) Floating island
KR20120139931A (ko) 잭업 플랫폼의 스퍼드 캔 탈부착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20154A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의 트러스형 하부 구조물
KR102449636B1 (ko)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2302B1 (ko)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101640041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전용선 잭업하우스
WO2012060112A1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KR101484121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200479575Y1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JP7197118B2 (ja) クレーンを備えた作業台船及びそのクレーン運用方法
JP2021142869A (ja) 浮体構造物及び洋上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