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302B1 -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 Google Patents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302B1
KR102182302B1 KR1020190025671A KR20190025671A KR102182302B1 KR 102182302 B1 KR102182302 B1 KR 102182302B1 KR 1020190025671 A KR1020190025671 A KR 1020190025671A KR 20190025671 A KR20190025671 A KR 20190025671A KR 102182302 B1 KR102182302 B1 KR 102182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tool
tower
holder
wind
coun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105A (ko
Inventor
곽대진
김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190025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3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lifting parts of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185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erecting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하단부가 바지 표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에 일정 각도로 경사각이 형성된 지지대를 갖는 붐;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있고, 제2풀리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로프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수평하게 승강하는 스프레더; 일측에 풍력타워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레더에 연동하는 리프팅 툴; 상기 홀더가 형성된 리프팅 툴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가 홀더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풍력타워의 높이가 크레인의 붐 높이보다 높아도 해상에서 투붐(Two Boom) 해상 크레인 또는 대형의 특수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풍력타워를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프팅 툴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의 이동으로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풍력타워를 해상에서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Floating crane for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 tower using the movable counter weight}
본 발명은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타워의 높이가 크레인의 붐 높이보다 높아도 해상에서 투붐(Two Boom) 해상 크레인 또는 대형의 특수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풍력타워를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프팅 툴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의 이동으로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풍력타워를 해상에서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로 자원이 풍부하고 끊임없이 재생되며,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청정하고 전력생산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이 없는 등 화석에너지의 고갈에 대비한 대체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풍력발전은 자연에너지인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기 때문에 바람이 불 때에는 수요에 관계없이 반드시 전력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계통운용 측면에서 분산전원으로 분류된다.
풍력발전기 시스템은 주요 구성으로 기계시스템, 전기시스템 및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또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허브시스템과, 각종 기계, 전기, 제어장치 등이 탑재된 넛셀(Nutshell), 그리고 상부의 허브시스템과 넛셀의 중량을 지상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타워시스템으로도 구분된다.
풍력발전기는 설치 장소에 따라 육상용과 해상용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해상 풍력발전은 물속이나 물 위에 풍력발전단지의 건설로 바람에 의한 전력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해상이라는 관점은 바다뿐만 아니라 호수나 협강, 폐쇄된 해안지역 등 내륙에 속하는 지역의 풍력발전도 포함된다. 더욱이 해상의 풍력발전은 육상보다 안정적이고 양호한 풍속을 얻을 수 있고, 장애물이나 소음 및 전파장애도 적으며, 대형화된 풍력발전기의 운반 및 설치와 시공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대규모의 전력소비지역이 대부분 연안에 위치하고 있어 송전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있다.
종래에 해상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는 육상에서 제작한 후에 바지선에 선적하여 설치 해역까지 예인선으로 예인한 후에 대형의 크레인이 설치된 기중기선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된 기초구조물에 기립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풍력발전기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해상에서 직접 조립 및 설치하고 있다. 즉 대략 1~3단의 풍력타워의 조립과 허브 조립, 그리고 블레이드 조립 등을 동시에 또는 하나씩 조립한 후에 대형의 기중기선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위로 들어 올려야 한다. 이는 크레인의 하중 능력보다 붐의 높이가 중요한 인자가 된다.
풍력발전기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하여 해상에서도 풍력발전기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고 그 길이는 대략 80~130m에 이르며, 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풍력발전기의 높이가 크레인의 붐 높이보다 낮아야 하는데, 이러한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대형 크레인이 설치된 기중기선의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심도가 있는 해상에서 풍력발전기의 설치는 더욱 많은 제약조건이 따르게 된다.
또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하부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풍력 발전기를 이동시키는 경우, 풍력발전기의 무게 중심이 풍력발전기 타워의 중앙에 위치되지 않고 타워의 중앙으로부터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가 위치된 방향으로 편심되므로 풍력발전기 전복의 위험성으로 인해 안전성이 낮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5404호(2010.05.03.공개)는 수심이 깊은 해상에 플로트식의 해상 풍력 발전 장치(10)를 안전하고 순조롭게 건설하는 건설 장치(50)를 제공한 것으로, 해상 풍력 발전 장치(10)를 크레인선(S)에 의해 건설하는 건설 장치(50)는 크레인선(S) 에 대해 상하 방향의 작업 위치에 장착되어 하단부측을 해중에 배치한 가이드 부재 (51)와, 축방향을 복수로 분할한 타워부(20)를 착탈할 수 있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가이드 부재(51)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적어도 1쌍의 아암부(6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해상 풍력 발전 장치를 해상에서 조립하면서 설치함으로써 파도나 물결에 의한 흔들림에 위해 조립성과 안전성에서 불리하고, 일반 크레인을 이용한 작업으로 풍력발전시설이 구축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설치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5404호(2010.05.03.공개): 해상 풍력 발전 장치의 건설 방법 및 건설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타워의 높이가 크레인의 붐 높이보다 높아도 해상에서 투붐(Two Boom) 해상 크레인 또는 대형의 특수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풍력타워를 들어올릴 수 있는,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에서 카운터 웨이트는 리프팅 툴과 결합상태에서 현장상황에 따라 리프팅 툴에서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하여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풍력타워를 해상에서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에서 설치되는 풍력타워의 높이를 더욱 고도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풍력발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부가 바지 표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에 일정 각도로 경사각이 형성된 지지대를 갖는 붐;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있고, 제2풀리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로프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수평하게 승강하는 스프레더; 일측에 풍력타워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레더에 연동하는 리프팅 툴; 상기 홀더가 형성된 리프팅 툴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가 홀더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가 바지 표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에 일정 각도로 경사각이 형성된 지지대를 갖는 붐; 일측에 풍력타워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의 러그에 결합된 샤클은 후크에 직접 결합되는 샤클과 와이어로프로 연결되는 리프팅 툴; 상기 홀더가 형성된 리프팅 툴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가 홀더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지; 레그 하단이 바지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와이어로프와 연결된 윈치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데크가 형성된 자켓 구조물;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있고, 윈치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로프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수평하게 승강하는 스프레더; 일측에 풍력타워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레더에 연동하는 리프팅 툴; 상기 홀더가 형성된 리프팅 툴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가 홀더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지; 레그 하단이 바지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와이어로프와 연결된 윈치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데크가 형성된 자켓 구조물; 일측에 풍력타워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의 러그에 결합된 샤클은 후크에 직접 결합되는 샤클과 와이어로프로 연결되는 리프팅 툴; 상기 홀더가 형성된 리프팅 툴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가 홀더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윈치와 와이어로프로 연결된 한 쌍의 제2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2풀리를 거쳐 와이어로프가 연결되고 와이어로프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승강되는 제3풀리가 구비되며, 제3풀리에는 스프레더 상면의 러그에 결합되는 후크가 구비된, 스프레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윈치를 거쳐 와이어로프가 연결되고 와이어로프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승강되는 제3풀리가 구비되며, 제3풀리에는 스프레더 상면의 러그에 결합되는 후크가 구비된, 스프레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프팅 툴 상하면의 러그에는 각각 샤클이 결합되고, 리프팅 툴 상면의 러그에 결합된 샤클은 상기 스프레더 하면의 러그에 결합된 샤클과 와이어로프로 연결되며, 리프팅 툴 하면의 러그에 결합된 샤클은 풍력타워 몸체의 고정구와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 후크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의 갯수에 비해 스프레더와 리프팅 툴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 갯수를 증가시켜 와이어로프의 설치 각도를 유연하게 조절하고 와이어로프 각각의 하중부담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의 원호형 내측면에는 풍력타워와의 충돌완화를 위해 펜더가 추가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프팅 툴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홀더에 삽입된 풍력타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가 추가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힌지를 중심으로 반원과 직선이 조합된 모양의 부재 두 개를 교차시켜, 직선 부재측에 설치된 스크류가 회전하면 이탈방지장치의 직선 부재 두 개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반원 부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리프팅 툴에 결합되는 하우징 내에 적재되고, 상기 리프팅 툴 상면에는 양측으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 위로 이동가능한 트랜스포터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트랜스포터는 하우징 상단부의 절곡부 내에서 하우징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랜스포터는 바퀴 및 힌지로 연결된 두 개의 레그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하우징 상단부를 들어올리면 트랜스포터의 두 개의 레그부재가 펴지면서 하우징 상단부 절곡부 측면의 스커트가 리프팅 툴 상면과 이격되어 하우징이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트랜스포터의 두 개의 레그부재가 접혀지도록 하면 하우징 상단부의 하강과 함께 하우징 상단부 절곡부 측면의 스커트가 리프팅 툴 상면에 밀착 안착되도록 하여 하우징을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켓 구조물은 레그와 브레이스 및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지되 풍력타워와 간섭되지 않도록 만입부측 자켓 구조물 레그 사이의 브레이스 및 보강파이프는 설치되지 않고, 상단부 데크는 사각형 틀과 그 내부에 데크를 보강하기 위한 십자형 보강부로 이루어져 있는 형상이며, 자켓 구조물의 안정화를 위해 상단부 데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각각의 레그는 대칭적인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력타워의 높이가 크레인의 붐 높이보다 높아도 해상에서 투붐(Two Boom) 해상 크레인 또는 대형의 특수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풍력타워를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상에서 설치되는 풍력타워의 높이를 더욱 고도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풍력발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리프팅 툴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의 이동으로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풍력타워를 해상에서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에서 붐과 리프팅 툴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에서 리프팅 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에서 도 3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에서 도 3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에서 카운터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나타낸 평면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에 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제시된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해상 크레인(10)은 바지(Barge)(11) 위에 윈치(Winch)(12)와 백트레이(Back Tray)(13)를 거쳐 붐(Boom)(20)이 와이어로프(Wire Rope)(14)로 지지 및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은 풍력타워(1)를 해상에 이미 설치된 기초구조물(미도시) 위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은 붐(20)이 하나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일정 길이를 갖는 붐(20)은 하단부가 바지(11) 표면에 힌지 결합된다. 붐(20) 상단부에는 제1풀리(15)가 고정 설치된다. 붐(20)의 제1풀리(15)는 와이어로프(14)로 윈치(12)와 백트레이(13) 및 바지(11)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 등과 연결된다. 따라서 붐(20)은 윈치(12)의 작동에 의하여 하단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승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에서 지지대(21)는 붐(20) 상단부에 일정 각도로 경사각이 형성된 것이다. 지지대(21) 상단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제2풀리(23)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제2풀리(23)는 윈치(12)와 와이어로프(24)로 연결된다. 또한, 각 와이어로프(24)에는 제3풀리(25)가 결합되어 있다. 제3풀리(25)는 와이어로프(2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승강된다. 제3풀리(25)에는 각각 후크(26)가 결합되어 있다. 제2풀리(23)가 결합된 지지대(21)에는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4)가 관통 연결된다. 상기 제2풀리(23), 와이어로프(24), 제3풀리(25) 및 후크(26)는 스프레더(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에서 스프레더(30)는 대략 평판형상으로, 스프레더(30)의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31,32)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의 러그(31)에는 각각 제3풀리(25)의 후크(26)가 결합되고 하면의 러그(32)에는 샤클(33)이 결합되는데, 제2풀리(23)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기 와이어로프(2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승강하는 제3풀리(25)와 함께 스프레더(30)는 기울어짐 없이 수평하게 승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에서 리프팅 툴(lifting tool)(40)도 대략 평판형상으로, 리프팅 툴(40)의 일측에는 풍력타워(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Holder)(41)가 형성된다. 홀더(41) 내측면은 풍력타워(1)의 단면을 고려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41)의 원호형 내측면에는 풍력타워(1)와의 충돌완화를 위해 고무재질의 펜더(fender)(42)가 구비된다.
여기서, 풍력타워(1)가 리프팅 툴(40)에 직립상태로 삽입됨으로써 홀더(41)로의 풍력타워(1) 삽입지점부터 넛셀, 허브 및 블레이드 등으로 구성된 풍력발전기의 기계장치까지는 리프팅 툴(40)의 상부 및 붐(20)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풍력타워의 전체 높이를 그만큼 더 고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리프팅 툴(4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리프팅 툴(40)의 홀더(41)에 삽입된 풍력타워(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힌지를 중심으로 반원과 직선이 조합된 모양의 부재 두 개를 교차시킨 것으로 직선 부재측에 설치된 스크류(51)가 회전하면 이탈방지장치(50)의 직선 부재 두 개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반원 부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풍력타워(1)를 홀더(41)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때는 폐쇄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이탈방지장치(50)가 개방된 상태, 도 4에서는 이탈방지장치(5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리프팅 툴(40)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43,44)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면의 러그(43,44)에는 각각 샤클(46,47)이 결합되고, 리프팅 툴(40) 상면의 러그(43)에 결합된 샤클(46)은 상기 스프레더(30) 하면의 러그(32)에 결합된 샤클(33)과 와이어로프(45)로 연결되며, 리프팅 툴(40) 하면의 러그(44)에 결합된 샤클(47)은 풍력타워(1) 몸체의 고정구(60)와 와이어로프(또는 섬유로프)(61)로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구(60)는 풍력타워(1) 몸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풍력타워(1)를 본 발명인 해상 크레인(10)을 통해 이동시킬 때에 와이어로프(또는 섬유로프)(61)를 걸어 풍력타워(1)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종의 트루니언(trunnion)이다.
한편, 상기 제3풀리(25)에 결합된 후크(26)가 직접 리프팅 툴(40) 상면의 러그(43)에 결합되면, 상기 제3풀리(25)에 결합된 후크(26)의 갯수는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해상 크레인 후크(26)의 특성상 연결된 와이어로프(24)가 적어도 수직에 가깝게 내려와야 되므로 리프팅 툴(40)의 규모는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나아가 설치될 수 있는 풍력타워(1)의 길이도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스프레더(30)를 이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해상 크레인(10)의 후크(26)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24)의 한정된 갯수에 비해 스프레더(30)와 리프팅 툴(40)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45) 갯수를 해상 크레인(10)과 풍력타워(1)의 하중이나 크기 등 상황에 맞게 훨씬 더 증가시키면서 와이어로프(45)의 설치 각도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와이어로프(45)의 하중부담도 분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리프팅 툴(40) 상면과 스프레더(30) 하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복수 개씩 러그(32,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의 붐(20)에는 윈치(12)와 연결된 와이어로프(1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붐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풀리(15)와, 윈치(12)와 연결된 와이어로프(2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스프레더(30)와 와이어로프(45)를 통해 스프레더(30)에 연동하는 리프팅 툴(40)을 수평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최소 4개씩의 제2풀리(23) 및 제3풀리(25)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레더(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풀리(25)의 후크(26)에 샤클(33)이 직접 결합되고 리프팅 툴(40) 상면의 러그(43)에 결합된 샤클(46)은 후크(26)에 직접 결합되는 샤클(33)과 와이어로프(45)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풍력타워(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Holder)(41)가 형성된 리프팅 툴(40) 일측의 반대측에는 카운터 웨이트(70)를 제공하여 이탈방지장치(50)와 고정구(60) 등을 통해 풍력타워(1)가 홀더(41)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리프팅 툴(40)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게 한다. 여기서, 리프팅 툴(40)에는 전자식 수평계가 부착되어 있어서 풍력타워(1)를 승강할 때 평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7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툴(40)에 결합되는 하우징(71) 내에 적재되는데, 카운터 웨이트(70)의 총 설계중량은 풍력타워(1)의 무게, 풍력타워(1)와 카운터 웨이트(70) 각각의 무게중심의 편심거리 등을 고려하여 계산해서 미리 하우징(71) 내에 고정되도록 조립작업을 완료함으로써 풍력타워(1)가 홀더(41)에 삽입·고정되어 들어올려질 때 리프팅 툴(4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카운터 웨이트(70)는 리프팅 툴(40)과 결합상태에서 현장상황에 따라 리프팅 툴(40)에서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하여 리프팅 툴(40) 전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툴(40) 상면에는 양측으로 레일(72)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72) 위로 트랜스포터(73)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트랜스포터(73)는 하우징 상단부(76)의 절곡부 내에서 하우징(71)에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터(73)는 카운터 웨이터(70)가 적재된 하우징(71) 중량물의 운송장비로 유압시스템이 내장되어 카운터 웨이터(70)가 적재된 하우징(71)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트랜스포터(73)를 이용하여, 카운터 웨이터(70)가 적재되고 카운터 웨이트(70)를 감싸는 형태의 하우징(71)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고, 여기서 트랜스포터(73)는 바퀴(74) 및 힌지로 연결된 두 개의 레그부재(75)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컴프레셔(미도시)를 이용하여 하우징 상단부(76)를 들어올리면 트랜스포터(73)의 두 개의 레그부재(75)가 펴지면서 하우징 상단부(76) 절곡부 측면의 스커트(77)가 리프팅 툴(40) 상면과 이격되어 이동가능한 상태(도 5b, 도 6b)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트랜스포터(73)의 유압시스템을 구동시켜 트랜스포터(73)와 이에 고정결합된 하우징(71)을 이동(도 6c)시킨다.
다음으로, 하우징(71)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트랜스포터(73)의 두 개의 레그부재(75)가 접혀지도록 하면서 하우징 상단부(76)의 하강과 함께 하우징 상단부(76) 절곡부 측면의 스커트(77)가 리프팅 툴(40) 상면에 밀착 안착(도 6d)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 내지 도 9에서는 풍력타워를 설치하는 전용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의 해상 크레인(10')은 'ㄷ'자 형의 만입부(16)가 있는 바지(Barge)(11')에 자켓 구조물(80)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자켓 구조물(80)은 레그(81)와 브레이스(82) 및 보강파이프(83) 등으로 이루어지고, 자켓 구조물(80)의 상단부 데크(84)는 사각형 틀과 그 내부에 데크를 보강하기 위한 십자형 보강부로 이루어져 있는 형상(田)이다.
또한, 자켓 구조물(80)의 각각의 레그(81) 하단은 바지(11')에 고정되고 자켓 구조물(80)의 최소 레그(81) 수는 4개이며, 자켓 구조물(80)의 안정화를 위해 상단부 데크(84)의 중심점(십자형 보강부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각각의 레그(81)는 대칭적인 구조로 제작된다.
여기서, 풍력타워(1)가 위치하는 바지(11')의 만입부(16)의 폭은 풍력타워(1)가 해상 크레인(10')에 의해 승강될 때 상기 만입부(16)와 간섭이 없도록 설계되고, 풍력타워(1)는 상기 만입부(16)의 수직 상방향으로 기립고정되므로 풍력타워(1)와 간섭되지 않도록 그에 해당하는 만입부(16)측 자켓 구조물(80) 레그(81) 사이의 브레이스(22) 및 보강파이프(83)는 자켓 구조물(80) 최초 제작시 설치되지 않아야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데크(84)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윈치(12')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윈치(12')는 와이어로프(24)와 연결된다. 또한, 각 와이어로프(24)에는 제3풀리(25)가 결합되어 있다. 제3풀리(25)와 스프레더(30)는 윈치(12')의 작동에 의한 와이어로프(2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승강되고, 제3풀리(25)에는 각각 후크(26)가 결합되어 있다. 윈치(12')가 설치된 상단부 데크(84)에는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4)가 관통한다. 상기 윈치(12'), 와이어로프(24), 제3풀리(25) 및 후크(26)는 스프레더(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프레더(30), 리프팅 툴(40) 및 카운트 웨이트(70)의 구조와 작용 및 기능은 상기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도 상기 스프레더(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풀리(25)의 후크(26)에 샤클(33)이 직접 결합되고 리프팅 툴(40) 상면의 러그(43)에 결합된 샤클(46)은 후크(26)에 직접 결합되는 샤클(33)과 와이어로프(45)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풍력타워를 해상의 기초구조물(미도시) 위에 설치하게 되는데 설치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람직하게는 육상에서 풍력타워(1)의 주요 구성인 복수 단의 타워(Tower), 넛셀(Nutshell), 허브(Hub) 및 블레이드(Blade)를 일체 조립시키고,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를 육상에 설치된 대형 크레인으로 끌어 올려 기립시킨 후,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를 육상 크레인으로 운송용 바지선(미도시) 위에 올려놓고 고정용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선적한다. 그리고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가 고정 선적된 운송용 바지선을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를 설치할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10')까지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10')을 운송용 바지선에 선적된 풍력타워(1) 쪽으로 이동시킨 후에 윈치(12,12')의 작동으로 해상 크레인(10)의 스프레더(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때,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 몸체가 리프팅 툴(40)의 홀더(41)에 삽입되도록 하고, 풍력타워(1) 몸체의 고정구(60)에 와이어로프(61)를 감고 이탈방지장치(50)를 이용해 홀더(41)로부터의 풍력타워(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레더(30)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켜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가 운송용 바지선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탈방지장치(50)와 고정구(60) 등을 통해 풍력타워(1)가 홀더(41)에 안착될 때 카운터 웨이트(70)를 리프팅 툴(40)과 결합상태에서 현장상황에 따라 리프팅 툴(40)에서의 위치를 이동시켜 카운터 웨이터(40)를 풍력타워(1) 하중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리프팅 툴(40) 전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운송용 바지선은 후퇴한다. 이에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10')의 스프레더(30)와 리프팅 툴(27)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를 리프팅시켜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10')으로 해상에 이미 설치된 기초구조물(미도시) 위에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를 위치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기초구조물 위에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10')의 리프팅 툴(40)이 위치되도록 하고, 윈치(12,12')를 작동시켜 와이어로프(24)을 풀거나 당겨 풍력타워(1)의 승강이 조절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가 기초구조물 위에 고정되면 이탈방지장치(50)를 개방하고 고정구(60)로부터 와이어로프(61)를 풀어 해상 크레인(10,10')을 후퇴시킨다.
또한, 육상에서 조립이 완료된 풍력타워(1)를 운송용 바지선으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10')을 안벽으로 이동시켜 안벽상에 기립되어 있는 풍력타워를 본 발명의 해상 크레인(10'10')이 직접 운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풍력타워의 높이가 크레인의 붐 높이보다 높아도 해상에서 투붐(Two Boom) 해상 크레인 또는 대형의 특수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풍력타워를 들어올릴 수 있고, 해상에서 설치되는 풍력타워의 높이를 더욱 고도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풍력발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카운터 웨이트는 리프팅 툴과 결합상태에서 현장상황에 따라 리프팅 툴에서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하여 리프팅 툴 전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풍력타워를 해상에서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1: 풍력타워 10,10': 해상 크레인 11,11': 바지 12,12': 윈치 13: 백트레이 14,24,45,61: 와이어로프 15: 제1풀리 16: 만입부
20: 붐 21: 지지대 23: 제2풀리 25: 제3풀리 26: 후크 30: 스프레더 31,32,43,44: 러그 33,46,47: 샤클 40: 리프팅 툴 41: 홀더 42: 펜더 50: 이탈방지장치 51: 스크류 60: 고정구 70: 카운터 웨이트
71: 하우징 72: 레일 73: 트랜스포터 74: 바퀴 75: 레그부재
76: 하우징 상단부 77: 스커트 80: 자켓 구조물 81: 레그
82: 브레이스 83: 보강파이프 84: 데크

Claims (13)

  1. 하단부가 바지(11) 표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에 일정 각도로 경사각이 형성된 지지대(21)를 갖는 붐(20);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31,32)가 구비되어 있고, 제2풀리(23)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로프(2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수평하게 승강하는 스프레더(30);
    일측에 풍력타워(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41)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43,4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레더(30)에 연동하는 리프팅 툴(40);
    상기 홀더(41)가 형성된 리프팅 툴(40)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40)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40)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1)가 홀더(41)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40)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70);
    상기 리프팅 툴(4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홀더(41)에 삽입된 풍력타워(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힌지를 중심으로 반원과 직선이 조합된 모양의 부재 두 개를 교차시켜, 직선 부재측에 설치된 스크류(51)가 회전하면 이탈방지장치(50)의 직선 부재 두 개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반원 부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2. 하단부가 바지(11) 표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에 일정 각도로 경사각이 형성된 지지대(21)를 갖는 붐(20);
    일측에 풍력타워(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41)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43,4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의 러그(43)에 결합된 샤클(46)은 후크(26)에 직접 결합되는 샤클(33)과 와이어로프(45)로 연결되는 리프팅 툴(40);
    상기 홀더(41)가 형성된 리프팅 툴(40)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40)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40)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1)가 홀더(41)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40)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70);
    상기 리프팅 툴(4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홀더(41)에 삽입된 풍력타워(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힌지를 중심으로 반원과 직선이 조합된 모양의 부재 두 개를 교차시켜, 직선 부재측에 설치된 스크류(51)가 회전하면 이탈방지장치(50)의 직선 부재 두 개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반원 부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3. 만입부(16)가 형성되어 있는 바지(11');
    레그(81) 하단이 바지(11')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와이어로프(24)와 연결된 윈치(12')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데크(84)가 형성된 자켓 구조물(80);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31,32)가 구비되어 있고, 윈치(12')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로프(2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수평하게 승강하는 스프레더(30);
    일측에 풍력타워(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41)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43,4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레더(30)에 연동하는 리프팅 툴(40);
    상기 홀더(41)가 형성된 리프팅 툴(40)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40)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40)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1)가 홀더(41)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40)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4. 만입부(16)가 형성되어 있는 바지(11');
    레그(81) 하단이 바지(11')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와이어로프(24)와 연결된 윈치(12')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데크(84)가 형성된 자켓 구조물(80);
    일측에 풍력타워(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홀더(41)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복수의 러그(43,4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의 러그(43)에 결합된 샤클(46)은 후크(26)에 직접 결합되는 샤클(33)과 와이어로프(45)로 연결되는 리프팅 툴(40);
    상기 홀더(41)가 형성된 리프팅 툴(40) 일측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리프팅 툴(40)과 결합상태에서 리프팅 툴(40)에서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풍력타워(1)가 홀더(41)에 안착될 때 그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하여 상기 리프팅 툴(40) 전체의 평형을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윈치(12)와 와이어로프(24)로 연결된 한 쌍의 제2풀리(23)가 구비되고, 상기 제2풀리(23)를 거쳐 와이어로프(24)가 연결되고 와이어로프(2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승강되는 제3풀리(25)가 구비되며, 제3풀리(25)에는 스프레더(30) 상면의 러그(31)에 결합되는 후크(26)가 구비된, 스프레더(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12')를 거쳐 와이어로프(24)가 연결되고 와이어로프(24)의 당김과 풀림에 따라 승강되는 제3풀리(25)가 구비되며, 제3풀리(25)에는 스프레더(30) 상면의 러그(31)에 결합되는 후크(26)가 구비된, 스프레더(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툴(40) 상하면의 러그(43,44)에는 각각 샤클(46,47)이 결합되고, 리프팅 툴(40) 상면의 러그(43)에 결합된 샤클(46)은 상기 스프레더(30) 하면의 러그(32)에 결합된 샤클(33)과 와이어로프(45)로 연결되며, 리프팅 툴(40) 하면의 러그(44)에 결합된 샤클(47)은 풍력타워(1) 몸체의 고정구(60)와 와이어로프(61)로 연결되어,
    후크(26)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24)의 갯수에 비해 스프레더(30)와 리프팅 툴(40)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45) 갯수를 증가시켜 와이어로프(45)의 설치 각도를 유연하게 조절하고 와이어로프(45) 각각의 하중부담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1)의 원호형 내측면에는 풍력타워(1)와의 충돌완화를 위해 펜더(42)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툴(4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홀더(41)에 삽입된 풍력타워(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5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힌지를 중심으로 반원과 직선이 조합된 모양의 부재 두 개를 교차시켜, 직선 부재측에 설치된 스크류(51)가 회전하면 이탈방지장치(50)의 직선 부재 두 개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반원 부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70)는 리프팅 툴(40)에 결합되는 하우징(71) 내에 적재되고, 상기 리프팅 툴(40) 상면에는 양측으로 레일(72)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72) 위로 이동가능한 트랜스포터(73)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트랜스포터(73)는 하우징 상단부(76)의 절곡부 내에서 하우징(71)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터(73)는 바퀴(74) 및 힌지로 연결된 두 개의 레그부재(75)로 이루어져 있어, 하우징 상단부(76)를 들어올리면 트랜스포터(73)의 두 개의 레그부재(75)가 펴지면서 하우징 상단부(76) 절곡부 측면의 스커트(77)가 리프팅 툴(40) 상면과 이격되어 하우징(71)이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트랜스포터(73)의 두 개의 레그부재(75)가 접혀지도록 하면 하우징 상단부(76)의 하강과 함께 하우징 상단부(76) 절곡부 측면의 스커트(77)가 리프팅 툴(40) 상면에 밀착 안착되도록 하여 하우징(71)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13.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 구조물(80)은 레그(81)와 브레이스(82) 및 보강파이프(83)로 이루어지되 풍력타워(1)와 간섭되지 않도록 만입부(16)측 자켓 구조물(80) 레그(81) 사이의 브레이스(22) 및 보강파이프(83)는 설치되지 않고, 상단부 데크(84)는 사각형 틀과 그 내부에 데크(84)를 보강하기 위한 십자형 보강부로 이루어져 있는 형상이며, 자켓 구조물(80)의 안정화를 위해 상단부 데크(84)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각각의 레그(81)는 대칭적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1020190025671A 2019-03-06 2019-03-06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102182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71A KR102182302B1 (ko) 2019-03-06 2019-03-06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71A KR102182302B1 (ko) 2019-03-06 2019-03-06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05A KR20200107105A (ko) 2020-09-16
KR102182302B1 true KR102182302B1 (ko) 2020-11-24

Family

ID=7266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671A KR102182302B1 (ko) 2019-03-06 2019-03-06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589B1 (ko) * 2021-03-25 2021-10-07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2점 체결지점 구성의 지그장치를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타워의 인양설치 방법
CN114890329B (zh) * 2022-05-17 2022-12-13 湖南大学 用于海上吊装设备的配重装置及其配重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8885B2 (ja) 2008-08-28 2011-12-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洋上風力発電装置の建設方法及び建設装置
KR101358229B1 (ko) * 2012-06-25 2014-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KR101654696B1 (ko) * 2014-07-11 2016-09-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크레인
KR101657224B1 (ko) * 2015-02-09 2016-09-13 박병룡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05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24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102317990B1 (ko) 해상 풍력 터빈 용 플로트 지지 구조물 및 이와 같은 지지 구조물을 구비한 풍력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US8251004B2 (en) Device for transporting structures on water
CN103228530B (zh) 浮体结构物作业系统、浮体结构物、作业船及浮体结构物的作业方法
JP2021099021A (ja) 浮体式構造物及び浮体式構造物の設置方法
JP6894016B2 (ja) 洋上風車の浮体構造
US20080240864A1 (en) Assembly,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of deepwater windpower plant
JP2015534923A (ja) 浮遊風力タービンを輸送および設置するための浮遊輸送および設置構造体、浮遊風力タービン、およびそれを輸送および設置するための方法
JP2011112044A (ja) 風力タービン固定および吊り上げ装置、および水上移動式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
GB2560057B (en) Turbine deployment system
KR20120047740A (ko) 갑판승강식작업대선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시설의 시공방법
GB2378679A (en)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US20140212288A1 (en) High capacity elevator for wind turbine maintenance
KR101790970B1 (ko) 육상에서 조립한 해상풍력발전기의 해상에서의 설치방법
PT1843964E (pt) Dispositivo de elevação para um gerador de turbina eólica
KR102182302B1 (ko)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WO2014163501A1 (en) Floating wind turbine
WO2002052150A1 (en) Mast construction and erection method for offshore installation
KR101657224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101412025B1 (ko) 와이어윈치 구동형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전용선
ES2787859T3 (es) Conjunto de elevación portátil y modular para una turbina eólica
KR101793059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을 이용한 해상풍력타워의 일괄설치방법
KR20150018338A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101484121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20150011296A (ko)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