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696B1 - 선박 크레인 - Google Patents

선박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696B1
KR101654696B1 KR1020140087507A KR20140087507A KR101654696B1 KR 101654696 B1 KR101654696 B1 KR 101654696B1 KR 1020140087507 A KR1020140087507 A KR 1020140087507A KR 20140087507 A KR20140087507 A KR 20140087507A KR 101654696 B1 KR101654696 B1 KR 10165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ok
lifting beam
cra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194A (ko
Inventor
김태옥
고준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7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6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선박 크레인이 개시된다. 선박 크레인은, 일단에는 제1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며 제1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후크와 제1 후크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는 메인 크레인과, 일단에는 제2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며 제1 와이어에 일측이 연결되며 제2 와이어에 타측이 연결되며 중량체가 연결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크레인{CRANE FOR SHIP}
본 발명은 작업 반경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선박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사용되는 800톤 이상에 대응하는 골리앗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 블록 등의 중량체의 이송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골리앗 크레인은 이송하고자 하는 중량체에 따라, 후크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중량체를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전술한 골리앗 크레인은 일정 하중 이상의 중량체를 용이하게 이송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골리앗 크레인의 자체 하중이 상당하고 크기가 커서 중량체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중량체를 이송하는 작업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량체를 이송하는 작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선박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단에는 제1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며 제1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후크와 제1 후크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는 메인 크레인과, 일단에는 제2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며 제1 와이어에 일측이 연결되며 제2 와이어에 타측이 연결되며 중량체가 연결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한다.
제1 후크와 제2 후크는 메인 크레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리프팅 빔의 타단은 메인 크레인의 연직 선상에서 레일의 이동 범위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와이어는 리프팅 빔의 일측에서 제2 밸런스 웨이트가 연결된 위치에 연결되며, 제2 와이어는 리프팅 빔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와 리프팅 빔의 타측과의 사이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팅 빔은,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빔 본체와, 빔 본체의 양단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부재와,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연결되어 빔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크레인의 하부에 와이어로 연결되는 리프팅 빔을 설치하여 중량체를 이송하는 작업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여, 해상에서 효과적인 중량체 이송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크레인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리프팅 빔의 제2 밸런스 웨이트가 연결된 위치에 메인 크레인의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리프팅 빔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크레인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크레인(100)은, 메인 크레인(10)과, 메인 크레인(10)에 연결되는 리프팅 빔(20)을 포함한다.
메인 크레인(10)은 중량체(11)를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해상에서 사용되는 800톤 이상에 대응하는 골리앗 크레인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메인 크레인(10)의 일단에는 중량체(11)의 이송 과정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제1 밸런스 웨이트(13)가 설치된다. 제1 밸런스 웨이트(13)는 중량체(11)가 연결되는 부분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중량체(11)의 이송을 위한 메인 크레인(10)의 선회 과정에서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균형을 유지한다. 제1 밸런스 웨이트(13)는 메인 크레인(10)의 일단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밸런스 웨이트(13)가 이동 가능한 설치를 위해 메인 크레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메인 크레인(10)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후크(15)와,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후크(17)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크레인(10)에는 중량체(11)의 이송을 위한 제1 후크(15) 및 제2 후크(17)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량체(11)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후크(15)는 제1 와이어(15a)가 연결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와 같이, 제1 후크(15)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제1 와이어(15a)의 설치된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제2 후크(17)는 메인 크레인(10)에서 제1 후크(15)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레일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후크(17)에는 제2 와이어(17a)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2 후크(17)의 일정 거리 이동에 따라 제2 와이어(17a)의 설치된 위치의 변경도 함께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후크(15) 및 제2 후크(17)는 중량체(11)의 이송을 위해 동시에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상대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제1 와이어(15a) 및 제2 와이어(17a)는 중량체(11)의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1 와이어(15a) 및 제2 와이어(17a)의 단부에는 리프팅 빔(20)이 설치된다.
리프팅 빔(20)은 일단에는 제1 와이어(15a)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 와이어(17a)가 연결된다. 이러한 리프팅 빔(20)은 제1 와이어(15a) 및 제2 와이어(17a)의 연결된 길이에 따라 메인 크레인(10)의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빔(20)의 일단에는 제2 밸런스 웨이트(2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중량체(11)가 와이어(22)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2 밸런스 웨이트(21)는 리프팅 빔(20)의 일단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량체(11)의 무게 및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일정 거리 위치 이동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밸런스 웨이트(21)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 소정의 레일(미도시)을 설치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구성 및 작용은 공지된 것으로 생략한다.
리프팅 빔(20)의 타단 즉, 중량체(11)가 연결되는 위치의 단부(20a)는 메인 크레인(10)의 단부(10a) 보다 외측으로 더욱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프팅 빔(20)의 단부(20a)가 메인 크레인(10)의 단부(10a) 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은, 중량체(11)의 이송 범위를 메인 크레인(10)의 외측으로 더욱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리프팅 빔(20)을 메인 크레인(10)의 하부에 설치하여 리프팅 빔(20)의 단부가 메인 크레인(10)의 단부 보다 외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중량체(11)를 견인 및 이송하는 범위가 리프팅 빔(20)이 메인 크레인(10)의 외부로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여 더욱 확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리프팅 빔의 제2 밸런스 웨이트가 연결된 위치에 메인 크레인의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크레인(10)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15a)는 리프팅 빔(20)에서 제2 밸런스 웨이트(21)가 연결된 위치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와이어(17a)는 리프팅 빔(20)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제1 와이어(15a)가 설치된 위치에서 대향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15a)가 제2 밸런스 웨이트(21)가 설치되는 위치에 연결됨으로써, 보다 큰 중량체(11)를 견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와이어(15a)가 리프팅 빔(20)의 제2 밸런스 웨이트(21)가 연결된 위치에 연결됨으로써, 보다 큰 하중을 갖는 제2 밸런스 웨이트(21)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큰 중량의 중량체(11)를 견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와이어(15a)가 제2 밸런스 웨이트(21)가 설치된 위치에서 리프팅 빔(20)에 연결됨으로써, 리프팅 빔(20)이 메인 크레인(10)의 외부로 더욱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리프팅 빔(20)에 의해 중량체(11)를 견인 및 이송하는 범위를 더욱 확대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선박 크레인(100)의 작업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
한편, 제1 와이어(15a)는 제2 밸런스 웨이트(21)가 연결된 위치에 연결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프팅 빔(20)의 길이 방향을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와이어(17a)가 설치된 대향된 위치에 임의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리프팅 빔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5a) 및 제2 와이어(17a)는 리프팅 빔(20)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와이어(15a)가 연결된 위치와 중앙 부분과의 이격된 거리는, 제2 와이어(17a)가연결된 위치와 중앙 부분과의 이격된 거리와 동일한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와이어(15a) 및 제2 와이어(17a)는 리프팅 빔(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중량체(11)의 견인 및 이송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크레인의 리프팅 빔(120)은 제2 밸런스 웨이트(21)가 연결되는 부분의 단부와 중량체(11)가 연결되는 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프팅 빔(120)은, 제1 와이어(15a) 및 제2 와이어(17a)가 연결되는 빔 본체(121)와, 빔 본체(121)의 양단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부재(123)와, 실린더부재(123)의 로드에 연결되어 빔 본체(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빔(125)을 포함한다.
빔 본체(121)는 메인 크레인(10)에 제1 와이어(15a) 및 제2 와이어(17a)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실린더부재(123)가 설치된다.
실린더부재(123)는 빔 본체(121)의 양단의 내부에 설치되며, 로드에는 슬라이더 빔(125)이 연결된다. 즉, 실린더부재(123)는 2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는 빔 본체(121)의 일단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는 빔 본체(121)의 타단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 빔(125)은 실린더부재(123)의 작동에 따라 빔 본체(121)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하고자 하는 중량체(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선박 크레인(100)의 작업 범위의 조절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중량체(11) 이송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메인 크레인 11...중량체
13...제1 밸런스 웨이트 15...제1 후크
15a..제1 와이어 17...제2 후크
17a..제2 와이어 20...리프팅 빔
21...제2 밸런스 웨이트

Claims (4)

  1. 일단에는 제1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며, 제1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후크와, 상기 제1 후크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는 메인 크레인; 및
    일단에는 제2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와이어에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와이어에 타측이 연결되며, 중량체가 연결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리프팅 빔;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메인 크레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리프팅 빔의 타단은 상기 메인 크레인의 연직 선상에서 상기 레일의 이동 범위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리프팅 빔의 일측에서 상기 제2 밸런스 웨이트가 연결된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리프팅 빔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와 상기 리프팅 빔의 타측과의 사이 위치에 연결되는 선박 크레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빔은,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빔 본체;
    상기 빔 본체의 양단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빔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빔
    을 포함하는 선박 크레인.
KR1020140087507A 2014-07-11 2014-07-11 선박 크레인 KR101654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07A KR101654696B1 (ko) 2014-07-11 2014-07-11 선박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07A KR101654696B1 (ko) 2014-07-11 2014-07-11 선박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94A KR20160007194A (ko) 2016-01-20
KR101654696B1 true KR101654696B1 (ko) 2016-09-22

Family

ID=5530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507A KR101654696B1 (ko) 2014-07-11 2014-07-11 선박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302B1 (ko) * 2019-03-06 2020-11-24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이동식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742Y1 (ko) * 2000-12-26 2001-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천장크레인 서스펜션의 폭 가변장치
JP2002255474A (ja) * 2001-03-02 2002-09-11 Nippon Steel Corp 建家内クレーンによる物品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821B2 (ja) * 1995-12-28 2000-07-17 五洋建設株式会社 物品の揚重装置
JPH09315760A (ja) * 1996-05-31 1997-12-09 Taihei Dengiyou Kk 寄付き天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742Y1 (ko) * 2000-12-26 2001-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천장크레인 서스펜션의 폭 가변장치
JP2002255474A (ja) * 2001-03-02 2002-09-11 Nippon Steel Corp 建家内クレーンによる物品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94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8628B2 (en) Omnidirectional multi-finger asynchronous gripper for casting robot
US3033605A (en) Expansion-type grapple for lifting and carrying loads
KR101654696B1 (ko) 선박 크레인
JP2019510708A (ja) パイプリフター
KR100920774B1 (ko) 다기능 적재물 이송 리프트
WO2017183993A3 (en) Apparatus for emptying and filling horizontal freezers and freez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filling and emptying horizontal freezers
US10093217B2 (en) Movable frame including gantry
EP3077273B1 (en) Trailer with a width-adjustable chassis for transporting a boat
KR20140005995U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용 모노레일장치
CN105366555A (zh) 一种岸边集装箱起重机
KR101955386B1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 크레인
KR101145254B1 (ko) 호이스팅 가이드 시브 횡방향 이송장치
CN104986092A (zh) 运输车平台操作装置
CN107381340A (zh) 一种管道施工用的吊装装置
KR101487993B1 (ko) 바지선 고정장치
CN207566740U (zh) A形架横向移动装置
CN201713227U (zh) 一种钢结构翻转用龙门吊
KR102248179B1 (ko) 스키드 장치
CN104190848B (zh) 锻造装出料机
FI63189B (fi) Griporgan vid lastningsanordning
KR20150145963A (ko) 중량물 이송 장치 및 방법
CN105540430A (zh) 防摇吊具机构及集装箱起重机
CN203806926U (zh) 吊运用辅助平衡杆
JP7099159B2 (ja) リフタ装置セット、リフタ装置およびその移動用サポータ
CN207858084U (zh) 一种床身就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