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60Y1 -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60Y1
KR200481260Y1 KR2020120004856U KR20120004856U KR200481260Y1 KR 200481260 Y1 KR200481260 Y1 KR 200481260Y1 KR 2020120004856 U KR2020120004856 U KR 2020120004856U KR 20120004856 U KR20120004856 U KR 20120004856U KR 200481260 Y1 KR200481260 Y1 KR 200481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duct
port body
endoscop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227U (ko
Inventor
박형범
신도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6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4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living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은, 해양구조물의 덕트(duct)에 마련되어 화재 시 덕트의 연결 통로를 차단시키는 방화 댐퍼; 및 덕트에 마련되어 방화 댐퍼의 검사를 위한 내시경 카메라의 통로로 사용되는 내시경 포트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FIRE PROTECTING DAMPER INSPECTION SYSTEM FOR MARINE STRUCTURE}
본 고안은, 해양구조물의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구조물의 덕트에 마련되어 화재 시 덕트의 연결 통로를 차단하는 방화 댐퍼의 정상 작동 유무 등을 검사하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은 LNG와 같이 극저온 상태로 적재되는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가지면서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과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드릴쉽(drillship),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ing rig), 고정 플랫폼(fixed platform), FPSO, CLOV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PSO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구조물 뿐만 아니라 LNG 수송선이나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을 모두 포함한다.
드릴쉽은 해저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 장비를 탑재하며 자체의 동력으로 향해가 가능하다. 또한, 자기의 위치를 일정 시추 지점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위치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반잠수식 시추선은 컬럼(column)과 폰툰(pontoon)을 포함하며, 수선 면적이 작아 운동 성능이 좋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해상환경하중이 심한 해역에서도 투입이 가능하며 심해 유전 개발을 위해 많이 투입되고 있다.
CLOV FPSO는 길이 305 미터, 폭 61 미터에 자체 무게만 11만t으로 하루 16만 배럴의 원유와 650만㎥의 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최대 180만 배럴에 달하는 원유를 저장할 수 있다.
LNG FPSO는, 해저를 시추하여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LNG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LNG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해상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LNG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한편 해상구조물에는 선체에 마련된 룸(room) 등의 공기 조화를 위해 각각의 룸 등을 연결하는 덕트(duct)가 마련된다. 또한 덕트에는 화재 시 유독 가스나 화염 등이 덕트를 통해 다른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 댐퍼(fire damper)가 마련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방화 댐퍼를 검사하기 위해 덕트에 검사 커버가 마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덕트의 일측부에 검사 커버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결합하고, 작업자가 검사 커버를 덕트로부터 분리한 후 육안으로 방화 댐퍼를 검사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실시예는 검사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 및 검사 안정성에서 문제점이 있다.
즉 검사 커버는 덕트에 사용자의 얼굴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홀을 형성하고, 이 홀에 브래킷을 용접한 후 브래킷에 홀보다 더 큰 크기의 검사 커버를 볼트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므로, 검사 커버의 제작 및 설치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덕트는 일반적으로 천장과 같이 높고 작업 공간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므로 방화 댐퍼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안전 사고가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나아가 검사 커버가 브래킷에 볼트 결합의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좁은 공간에서 검사 커버를 분리 및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를 풀거나 조아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1190호(공간산업 주식회사) 2006. 11. 09.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검사 커버를 제거하여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방화 댐퍼를 검사할 수 있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구조물의 덕트(duct)에 마련되어 화재 시 상기 덕트의 연결 통로를 차단시키는 방화 댐퍼; 및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방화 댐퍼의 검사를 위한 내시경 카메라의 통로로 사용되는 내시경 포트유닛을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포트유닛은, 상기 덕트에 결합되는 포트 바디; 및 상기 포트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되는 포트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 바디는, 상기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덕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캡은 상기 연장부에 개폐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포트캡은 일측부는 상기 포트 바디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포트캡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포트 바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캡 사이 또는 상기 포트 바디와 상기 덕트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캡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포트캡을 상기 포트 바디에 결합 시 상기 포트캡에 의해 눌러지면서 상기 포트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구조물의 화재 시 덕트의 연결 통로를 차단하는 방화 댐퍼를 검사하는 내시경 카메라; 및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통로로 사용되는 내시경 포트유닛을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포트유닛은, 상기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 바디; 상기 포트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캡; 및 상기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캡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종래에 육안으로 방화 댐퍼를 검사하는 대신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안전하게 방화 댐퍼를 검사할 수 있고, 내시경 카메라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내시경 포트유닛을 제작 및 설치하면 되므로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방화 댐퍼를 검사하기 위해 덕트에 검사 커버가 마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해양구조물은 드릴쉽, 반잠수식 시추선, 고정식 플랫폼, FPSO 또는 FSRU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1)은, 해양구조물의 덕트(D, duct)에 마련되어 화재 시 덕트(D)의 연결 통로를 차단시키는 방화 댐퍼(100, fire damoer)와, 덕트(D)에 마련되어 방화 댐퍼(100)를 검사하는 내시경 카메라의 통로로 사용되는 내시경 포트유닛(200)을 구비한다.
방화 댐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D)에 마련되며, 화재 시 덕트(D)의 연결 통로를 차단 및 해제하도록 덕트(D)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부 공간에서 발생된 화재에 의한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방화 댐퍼(100)는 선체에 마련되는 구동모터(미도시)나 유압 실리더(미도시) 등과 축 연결되어 구동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의 작동에 의해 덕트(D)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선체의 내부는 벌크 헤드(BH)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고, 덕트(D)와 벌크 헤드(BH)에는 주름 형상의 단열재(I)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후술하는 내시경 포트유닛(200)을 통해 방화 댐퍼(100)를 검사하는 내시경 카메라를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서 내시경 카메라는 휴대 가능한 상태로 방화 댐퍼(100)의 작동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내시경 카메라는, 미 도시되었지만, 휴대 가능하며 전원부를 구비한 모니터 어셈블리와, 모니터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연결 케이블과, 연결 케이블이 내부에 수용되며 덕트(D)의 내부에 삽입되어 덕트(D)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유연 관로와, 유연 관로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내시경 카메라의 카메라 어셈블리는 방화 댐퍼의 작동 유무를 촬영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고, 내시경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은 휴대용 모니터 어셈블리로 전달되어 지면에서 방화 댐퍼(100)의 작동 또는 이물질의 유무를 안전하게 검사할 수 있다. 한편 내시경 카메라에는 덕트(D) 내부의 어두운 공간을 밝혀줄 조명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내시경 포트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D)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내시경 카메라의 유연 관로와 카메라 어셈블리가 덕트(D)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나갈 수 있는 출입구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는 종래의 실시예와 달리 작업자가 얼굴을 덕트(D)의 내부로 밀어넣어 작업자의 육안으로 방화 댐퍼(100)를 검사할 필요가 없으므로 덕트(D)에 홀을 종래와 같이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는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므로 전술한 유연 관로와 카메라 어셈블리가 덕트(D)의 내부로 유입될 크기로 내시경 포트유닛(200)을 마련하면 되므로 내시경 포트유닛(200)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포트캡(220)이 포트 바디(210)에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제 내시경 포트유닛(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내시경 포트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D)에 결합되는 포트 바디(210)와, 포트 바디(21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캡(220)과, 일측부는 포트 바디(21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포트캡(220)에 연결되어 포트 바디(210)와 포트캡(2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30)와, 포트 바디(210)와 포트캡(220) 사이 또는 포트 바디(210)와 덕트(D)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240)를 포함한다.
내시경 포트유닛(200)의 포트 바디(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D)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베이스 플레이트(211)에서 덕트(D)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21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덕트(D)에 볼트 결합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포트캡(220)은 포트 바디(210)의 연장부(212)에 개폐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포트캡(220)은 포트 바디(210)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포트캡(220)의 내부면에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포트캡(220)을 포트 바디(210)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내시경 포트유닛(200)의 포트 바디(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에 마련된 고리(H)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포트캡(220)에 마련된 고리(H)에 연결되어 포트캡(220)이 작업 중에 지면으로 떨어지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230)는 체인, 와이어 또는 벨트 등을 포함한다.
내시경 포트유닛(200)의 실링부재(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12)의 상측부와 포트캡(220) 사이에 마련되어 덕트(D)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연장부(212)를 통해 덕트(D)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실링부재(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덕트(D)의 사이에 마련되어 덕트(D)의 내부 공기가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덕트(D)의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포트 바디(210)와 포트캡(220)의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240)는 포트캡(220)을 포트 바디(210)에 결합 시 포트캡(220)에 의해 눌러지면서 포트 바디(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종래에 육안으로 방화 댐퍼를 검사하는 대신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안전하게 방화 댐퍼를 검사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내시경 카메라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내시경 포트유닛을 제작 및 설치하면 되므로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100 : 방화 댐퍼
200 : 내시경 포트유닛 210 : 포트 바디
211 : 베이스 플레이트 212 : 연장부
220 : 포트캡 221 : 스크류홈
230 : 연결부재 240 : 실링부재
BH : 벌크 헤드 D : 덕트
H : 고리 I : 단열재

Claims (8)

  1. 해양구조물의 덕트(duct)에 마련되어 화재 시 상기 덕트의 연결 통로를 차단시키는 방화 댐퍼 및,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방화 댐퍼의 검사를 위한 내시경 카메라의 통로로 사용되는 내시경 포트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내시경 포트유닛은, 상기 덕트에 결합되는 포트 바디 및, 상기 포트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캡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 바디는 상기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덕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캡은 상기 연장부에 개폐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내시경 카메라에는 상기 방화 댐퍼의 작동 유무를 촬영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고,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은 휴대용 모니터 어셈블리로 전달되어 지면에서 상기 방화 댐퍼의 작동 또는 이물질의 유무를 검사하며, 상기 덕트 내부의 어두운 공간을 밝혀줄 조명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캡은 일측부는 상기 포트 바디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포트캡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포트 바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캡 사이 또는 상기 포트 바디와 상기 덕트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캡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포트캡을 상기 포트 바디에 결합 시 상기 포트캡에 의해 눌러지면서 상기 포트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7. 해양구조물의 화재 시 덕트의 연결 통로를 차단하는 방화 댐퍼를 검사하는 내시경 카메라 및,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통로로 사용되는 내시경 포트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내시경 포트유닛은, 상기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캡 및, 상기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캡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시경 카메라에는 상기 방화 댐퍼의 작동 유무를 촬영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고,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은 휴대용 모니터 어셈블리로 전달되어 지면에서 상기 방화 댐퍼의 작동 또는 이물질의 유무를 검사하며, 상기 내시경 카메라에는 덕트 내부의 어두운 공간을 밝혀줄 조명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8. 삭제
KR2020120004856U 2012-06-08 2012-06-08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KR200481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56U KR200481260Y1 (ko) 2012-06-08 2012-06-08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56U KR200481260Y1 (ko) 2012-06-08 2012-06-08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27U KR20130007227U (ko) 2013-12-18
KR200481260Y1 true KR200481260Y1 (ko) 2016-09-07

Family

ID=5244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856U KR200481260Y1 (ko) 2012-06-08 2012-06-08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8473B1 (de) * 2016-03-17 2018-03-15 Agnosys Gmbh Automatisches optoelektronisches Prüfverfahren für Brandschutzklappen und Aktoren des vorbeugenden Brandschutz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765A (ja) * 2004-07-07 2004-11-04 Olympus Corp 内視鏡用案内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533B1 (ko) * 2001-09-08 2002-05-22 프리마산업(주) 미세공기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도공기식부상분리장치
KR200431190Y1 (ko) 2006-07-11 2006-11-23 공간산업(주) 방화용 댐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765A (ja) * 2004-07-07 2004-11-04 Olympus Corp 内視鏡用案内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27U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091B2 (en) End protector system for tubular goods
EP1248723B1 (en) Multi-rov delivery system and method
NO321484B1 (no) Fartoy for flytende produksjon, lagring og lossing, med intern dreieskiveforankring med et system for eksplosjonsforhindring
CN112339915B (zh) 一种海上应急救援过驳系统
CN107914849A (zh) 一种艇载饱和潜水逃生舱
KR200481260Y1 (ko) 해양구조물의 방화 댐퍼 검사시스템
US6059620A (en) Arrangement for minimizing the explosion potential in moored turrets for hydrocarbon storage vessels
KR101647406B1 (ko) 밀폐형 데릭 구조의 압력 유지 시스템
US7114883B2 (en) Offshore fluid transfer system and method
JP5638700B2 (ja) 密閉型デリック構造の温度及び圧力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SE435706B (sv) Anordning for montering av thrusterpropellrar
KR20200089824A (ko) 외장형 액화가스 저장부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466433Y1 (ko) 극지용 선박의 밀폐형 데릭구조
KR20150083517A (ko) 해상 lng 벙커링 터미널
Tronstad The use of risk analysis in design: safety aspects related to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FPSO
Kitchen Process Support and Marine Systems in the Hull-Innovation Meets Regulation
KR101231637B1 (ko) 밀폐형 데릭의 댐퍼구조
Crawford Offshore installation practice
Terribile et al. A remotely operated tanker inspection system (ROTIS)
WO2016122031A1 (ko)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WO2023242583A1 (en) Inspection and/or maintenance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KR101681713B1 (ko) 밀폐형 데릭구조의 온도 유지 시스템
KR20160015959A (ko) 시추 해양구조물의 압축공기시스템
KR20140058998A (ko) 통 포스트가 구비된 드릴쉽의 드릴 플로어 배치구조
Yang Comparative Study on Design Specifications of Bow Loading System for Shuttle Tan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