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11B1 - 카시트용 발받침 - Google Patents

카시트용 발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11B1
KR101664311B1 KR1020160066914A KR20160066914A KR101664311B1 KR 101664311 B1 KR101664311 B1 KR 101664311B1 KR 1020160066914 A KR1020160066914 A KR 1020160066914A KR 20160066914 A KR20160066914 A KR 20160066914A KR 101664311 B1 KR101664311 B1 KR 10166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car seat
coupled
angle adjusting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주
Original Assignee
이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주 filed Critical 이명주
Priority to KR102016006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11B1/ko
Priority to PCT/KR2017/005612 priority patent/WO20172094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카시트용 발받침이 개시된다. 상기 카시트용 발받침은, 카시트에 마련된 결합부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상기 카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는 받침판; 및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어댑터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개면에 탄성을 갖는 복수의 돌기들이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복수의 돌기들에 의해 상기 카시트의 결합부에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삽입되어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시트용 발받침{Footrest for carseat}
본 발명은 카시트용 발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시트(car seat)에 착석한 아이(영아, 유아, 어린이 등)의 다리를 지지하여 편안함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간단하게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카시트용 발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정 이상의 몸집을 가진 어린이나 성인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충격으로부터 몸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안전벨트는 성인 기준으로 제작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몸집이 작은 영아,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의 아이들은 성인용 안전벨트를 사용 시 안정적으로 주요 부분을 잡아주지 못해 사고 등에 의한 충격 발생 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라 하더라도 몸이 튕겨나갈 위험이 발생하거나, 안전벨트가 가슴 위 목부분까지 가로질러 위치됨에 따라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이 발생하여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의 크기에 맞춘 카시트(car seat, child seat)를 차량의 기본 시트에 장착한 후 카시트에 아이를 앉히고 카시트의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아이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
그러나 카시트에 앉은 아이는 차량 바닥에 발이 닿지 않으므로 항상 다리가 공중에 떠 있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로 장시간 또는 자주 이동을 하는 경우 아이가 불편함을 느낄 뿐 아니라 아이의 무릎, 발목 등이 손상될 위험이 매우 높으며, 사고 발생 시 어른보다 크게 다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1007호에서는 카시트에 발판을 부착한 발명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카시트에 발판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발판이 내장된 새로운 카시트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와 기존에 사용하던 카시트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아이의 체형에 맞게 발판의 높이, 각도 및 거리가 조절되지 않고 발판이 항상 고정된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에 따라 불편한 자세로 착석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모든 연령대의 아이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기본 시트 또는 유아용 카시트에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고, 아이의 신체 크기에 따라 발판의 높이, 각도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용 발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은, 카시트에 마련된 결합부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상기 카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는 받침판; 및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어댑터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개면에 탄성을 갖는 복수의 돌기들이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복수의 돌기들에 의해 상기 카시트의 결합부에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삽입되어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들 각각은, 일측이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카시트의 결합부에 삽입 시 상기 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삽입되고, 상기 각 돌기의 수직면에 의해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고정되어 삽입부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가 회동 가능하여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된 상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평판; 상기 평판의 상부 또는 하부 상에 위치되고 복수의 돌기와 버튼이 형성된 돌기부; 상기 평판과 돌기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돌기부의 복수의 돌기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돌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에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버튼이 노출되도록 버튼홀이 형성된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버튼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가 회동 가능하여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된 상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제 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은, 제 2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이 상기 어댑터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바가 상기 제 1 결합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받침판이 상기 어댑터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바가 상기 제 1 결합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카시트에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는 받침부재; 상기 가이드바와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축방향으로 상기 받침부재를 결합시키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기어홀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부 양측에 형성된 기어홈에 결합하는 각도조절기어; 및 상기 각도조절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기어가 상기 기어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각도조절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스위치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도조절기어가 상기 기어홈에서 분리되고, 상기 각도조절스위치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각도조절기어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기어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가이드바에 삽입되어 결합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시키는 제 1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가이드바에 삽입되어 결합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시키는 제 2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제 1 밀착부재; 및 상기 제 1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제 1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제 2 밀착부재; 및 상기 제 2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제 2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 1 밀착부재 및 상기 제 2 밀착부재가 밀착되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제 1 가이드바; 상기 제 1 가이드바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바; 및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도록 2중으로 중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가이드바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제 3 밀착부재; 및 상기 제 3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제 3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 3 밀착부재 밀착되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바 하측에 결합되는 힌지; 및 상기 힌지에 체결되고 바닥에 지지되는 회동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사용자가 카시트에 착석 시 다리 위치에 따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상기 받침판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은 카시트에 착석한 아이의 신체 크기에 따라 발판의 높이, 각도 또는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카시트에 착석하는 모든 연령대의 아이의 다리를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은 차량의 기본 시트 및 유아용 카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별도의 카시트를 구매할 필요가 없고 모든 종류의 카시트에 호환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어댑터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받침판 부분을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받침판 부분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가이드바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에서 받침판이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에서 받침판이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에서 받침판이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에서 받침판이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어댑터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받침판 부분을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받침판 부분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가이드바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시트용 발받침(10)은 크게, 어댑터(100), 받침판(200) 및 가이드바(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어댑터(100)는 카시트(기본 시트 또는 유아용 카시트)에 마련된 결합부(3)(도 7 또는 도 8 참조)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시트(1, 2)에는 상기 삽입부(110)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공간 또는 체결수단인 결합부(3)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3)는 상기 카시트(1, 2) 제작 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시트(1, 2)에 마련된 결합부(3)에 상기 어댑터(100)의 삽입부(110)기 삽입 결합되어 상기 카시트(1, 2)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댑터(100)는 일측에 상기 결합부(3)에 삽입되는 삽입부(1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회동가능한 회동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120) 일측으로 제 1 위치조절수단(130)이 설치된다.
상기 삽입부(110)는 상기 결합부(3)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적어도 일개면에 탄성을 갖는 복수의 돌기(112a)들이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112a)들은 상기 삽입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일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면들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110)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 평판(111), 상기 평판(1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고 복수의 돌기(112a)와 버튼(112b)이 형성된 돌기부(112), 상기 평판(111)과 돌기부(11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13), 상기 돌기부(112)의 복수의 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돌기홀(114a)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111)에 결합되는 덮개(114) 및 상기 버튼(112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홀(115a)이 형성된 버튼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평판(111)은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반원 형태로 절단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111)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상기 탄성부재(113)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12)는 상기 평판(1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고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112a)가 일정 간격마다 일렬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버튼(112b)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112) 하면에는 상기 평판(111)에 형성된 탄성부재(113)가 삽입 고정되는 수용공간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평판(111)에 형성된 탄성부재(113)의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돌기(112a)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112a) 각각은 경사면과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삽입부(110)가 카시트(1, 2)의 결합부(3)에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13)는 상기 평판(111)과 돌기부(1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112)가 상, 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13)는 상기 평판(111)과 상기 돌기부(112)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13)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버튼(112b) 하측으로 2개, 상기 돌기(112a) 하측으로 1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114)는 상기 평판(111)과 돌기부(112)를 감싸도록 상기 평판(11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평판(111)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평판(111)과 같이 일측은 반원 형태로 절단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12a)와 버튼(112b)이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112a)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돌기홀(114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돌기(112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심부분에 홈이 패인 홈부(114b)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평판(111) 상에 돌기부(112)가 위치되고 상기 덮개(114)가 조립됐을 때 상기 돌기(112a)는 상기 홈부(114b) 공간에 수용되고 돌기홀(114)을 통해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버튼부(115)는 상기 덮개(114)의 일측, 즉, 상기 결합부(3)에 삽입되는 반대 측에 결합되고, 상기 버튼(112b)이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112b)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타공된 버튼홀(115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114)와 체결되어 접하는 부분은 상기 평판(111) 및 덮개(114)의 외주면 테두리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버튼부(115)의 일측에는 양측단이 일부 절개되어 돌출된 형상을 갖고 그 중심에 후술하는 회동축(122)이 체결되기 위한 축홀(115b)이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120)는 상기 삽입부(110)가 회동 가능하고 후술하는 가이드바(30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110)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회동부(120)는 상기 버튼부(115)의 축홀(115b)에 회동축(122)을 통해 체결되는 회동부재(121)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재(121)는 일측이 상기 버튼부(115)의 축홀(115b) 부분과 대응되어 체결되는 축연결부(121a)가 마련되고, 중심부분이 타공되고 후술하는 가이드바(300)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홀(12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21)는 절반으로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조절수단(130)은 상기 어댑터(100)가 후술하는 가이드바(300)에 삽입된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즉, 상기 제 1 위치조절수단(130)은 상기 회동부(120)의 상기 축연결부(121a) 반대측 부분에 설치되어 회동부(120)가 가이드바(30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위치조절수단(130)은 제 1 밀착부재(131) 및 제 1 가압부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밀착부재(131)는 가이드바(30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바(300)와 접촉되는 일면에는 접촉면 일부가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121)의 일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밀착부재(131)는 상기 회동부재(121)에 결합 시 약간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압부재(132)는 상기 회동부재(121)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측은 곡율을 갖고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 1 위치조절수단(130)은 상기 제 1 가압부재(132)가 상기 회동부재(121)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곡면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 1 가압부재(132)는 상기 제 1 밀착부재(131)와 접촉하여 제 1 밀착부재(131)를 가압하고 상기 제 1 밀착부재(131)가 가이드바(300)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110)를 포함하는 상기 회동부(120)를 가이드바(30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어댑터(100)는 상기 삽입부(1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탄성을 갖는 복수의 돌기들(112a)이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부(110)는 복수의 돌기들(112a)에 의해 상기 카시트(1, 2)의 결합부(3)에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삽입되어 삽입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돌기들(112a)이 상기 삽입부(110)에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 열로 배치되는 등 다른 다양한 형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받침판(200)은 상기 카시트(1, 2)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고, 제 2 결합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200)은 상기 카시트(1, 2)에 착석한 아이의 발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받침판(200)은 크게, 상기 카시트(1, 2)에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는 받침부재(210), 가이드바(300)와 결합되는 고정부재(220) 및 상기 받침부재(210)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220)의 축방향으로 상기 받침부재(210)를 결합시키는 각도조절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재(210)는 사용자가 발을 받치는 부분으로 카시트(1, 2)의 넓이에 준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중심에는 일부가 절개된 내측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홈(211)과 접하는 상기 받침부재(210)의 하면에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 챔버(211a)가 상기 내측홈(211)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챔버(211a)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기어홀(211b)이 형성된다. 상기 챔버(211a)는 후술하는 각도조절기어(234)가 관통하거나 결합되는 부분으로 각도조절기어(234)의 기어 형상에 대응하도록 관통된 내주면이 기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가이드바(300)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재(21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바(300)에 삽입되기 위한 제 2 결합홀(221)이 형성되고, 외부 양측에는 후술하는 각조도절기어(234)가 삽입되기 위한 기어 형상의 기어홈(2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부재(210)의 기어홀(211b)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어홈(222)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수단(230)은 상기 받침부재(21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기어홀(211b) 또는 상기 고정부재(220)의 외부 양측에 형성된 기어홈(222)에 결합하는 각도조절기어(234) 및 상기 각도조절기어(234)와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기어(234)가 상기 기어홈(222)에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각도조절스위치(235)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각도조절수단(23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재(210)에 형성된 챔버(211a)의 개방된 하측을 폐쇄하고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231), 상기 베이스(231)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일부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지지판(232), 상기 지지판(232)에 형성된 돌기에 걸림되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233), 상기 탄성체(233)의 일측이 삽입되고 일측의 외주면은 톱니 모양의 기어가 형성된 각도조절기어(234) 및 상기 각도조절기어(234)에 체결된 상태로 각도조절기어(23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각도조절스위치(23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231) 상에 상기 지지판(232), 탄성체(233), 각도조절기어(234) 및 각도조절스위치(235)가 위치되어 상기 챔버(211a)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스위치(235)가 상기 받침부재(21)의 상부에 일부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가 상기 각도조절스위(235)를 수평방향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각도조절스위치(235)와 체결된 각도조절기어(234)는 수평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각도조절기어(234) 일측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233)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스위치(235)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21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도조절기어(234)가 상기 고정부재(220)의 기어홈(222)에서 분리되고, 상기 각도조절스위치(235)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210)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각도조절기어(234)가 탄성체(23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220)의 기어홈(222)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판(200)에는 상기 가이드바(300)에 삽입되어 결합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바(300)에 고정시키는 제 2 위치조절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위치조절수단(240)은 상기 받침판(200)을 후술하는 가이드바(300)에 삽입된 결합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제 2 위치조절수단(240)은 상기 고정부재(220)의 일측, 즉, 앞서 설명한 제 1 위치조절수단(130)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20)가 가이드바(30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 위치조절수단(240)은 제 2 밀착부재(241) 및 제 2 가압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밀착부재(241)는 가이드바(30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바(300)와 접촉되는 일면에는 접촉면 일부가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20)의 일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밀착부재(241)는 상기 고정부재(220)에 결합 시 약간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부재(242)는 상기 고정부재(2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측은 곡율을 갖고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 2 위치조절수단(240)은 상기 제 2 가압부재(242)가 상기 고정부재(220)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곡면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 2 가압부재(242)는 상기 제 2 밀착부재(241)와 접촉하여 제 2 밀착부재(241)를 가압하고 상기 제 2 밀착부재(241)가 가이드바(300)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20), 즉, 상기 고정부재(220)와 연동되는 상기 받침부재(210)를 가이드바(30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가이드바(300)는 상기 어댑터(100) 및 받침판(200)이 설치되고 설치 높이를 변경하기 위해 차량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결합홀(121b) 및 상기 제 2 결합홀(22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바(300)는 제 1 가이드바(310) 및 상기 제 1 가이드바(320)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바(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바(310) 및 제 2 가이드바(320)를 통해 가이드바(300)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단축될 수 있도록 2중으로 중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3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제 1 위치조절수단(130) 및 제 2 위치조절수단(240)과 접하는 부분에 일렬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위치조절수단(130) 및 제 2 위치조절수단(240)이 상기 가이드바(300)에 고정될 때 고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300)는 상기 제 1 가이드바(310) 및 제 2 가이드바(320)를 길이를 연장하거나 단축된 상태에 정해진 길이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 3 위치조절수단(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위치조절수단(330)은 상기 제 2 가이드바(3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몸체(331), 상기 몸체(331) 일측에 설치되는 제 3 밀착부재(332) 및 제 3 가압부재(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331)는 상기 제 2 가이드바(320)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일측이 일부 절개되어 개방된 형태이고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바(310)의 외주면 일부가 대응되도록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밀착부재(332)는 가이드바(300)의 외주면, 즉, 상기 제 2 가이드바(320)의 절개된 부분에 위치되어 제 1 가이드바(310)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가이드바(310)와 접촉되는 일면에는 접촉면 일부가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331)의 일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3 밀착부재(332)는 상기 몸체(331)에 결합 시 약간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가압부재(333)는 상기 몸체(331)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측은 곡율을 갖고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 3 위치조절수단(330)은 상기 제 3 가압부재(333)가 상기 몸체(331)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곡면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 3 가압부재(333)는 상기 제 3 밀착부재(332)와 접촉하여 제 3 밀착부재(332)를 가압하고 상기 제 3 밀착부재(332)가 상기 제 1 가이드바(310)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1 가이드바(310)와 제 2 가이드바(320)가 길이가 조절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300)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바(3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각도조절 지지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지지대(340)는 상기 가이드바(300) 하측에 결합되는 힌지(341) 및 상기 힌지(341)에 체결되고 바닥에 지지되는 회동 가능한 지지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341)는 상부가 가이드바(300)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부에는 중심 부분이 원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42)는 상부에 상기 힌지(341)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바닥에 지지되기 위해 상기 가이드바(300)의 외주면 넓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힌지(341)에 상기 지지부재(342)가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바(300)를 수직 상태에서 힌지(341)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전, 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지지대(340)에 의해 차량의 바닥이 수평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사진 형태의 바닥인 경우라도 상기 가이드바(300)를 수직 또는 특정 각도로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300)는 사용자가 카시트(1, 2)에 착석 시 다리 위치에 따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상기 받침판(200)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의 작동상태 및 설치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카시트용 발받침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에서 받침판이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에서 받침판이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어댑터(100)는 상기 제 2 가이드바(32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11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어댑터(100)는 상기 회동부(120)의 회동축(1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고, 이를 통해, 카시트(1, 2)에 마련된 결합부(3)의 각도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 지지대(340)는 상기 제 1 가이드바(3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닥면이 경사진 형태일 경우 이에 대응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110) 및 각도조절 지지대(340)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300)를 수직으로 곧게 세우거나 특정 각도도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어 다양한 차량의 구조에 대응하여 카시트용 발받침(10)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어댑터(100)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바(300)가 상기 제 1 결합홀(121b) 및 제 2 결합홀(221)에 삽입되거나,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어댑터(100)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바(300)가 상기 제 1 결합홀(121b) 및 제 2 결합홀(22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어댑터(100)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결합홀(121b)에 가이드바(300)의 상단이 삽입되거나,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어댑터(100)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결합홀(221)에 가이드바(30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어댑터(100)는 카시트(1, 2)의 결합부(3)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어댑터(100)의 위치보다 낮거나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카시트(1, 2)에 앉는 아이의 체형에 맞게 다리를 받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카시트(1, 2)는 차량의 기본 시트(1) 또는 상기 기본 시트(1)에 추가로 장착되는 유아용 카시트(2)이고, 상기 카시트용 발받침(10)은 상기 차량의 기본 시트(1) 또는 상기 기본 시트(1)에 추가로 장착되는 유아용 카시트(2)에 호환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의 기본 시트(1) 또는 유아용 카시트(2)에 어댑터(10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3)가 마련된 카시트(1, 2)라면 본 발명의 카시트용 발받침(10)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10)을 도시한 것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에서 받침판이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발받침에서 받침판이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어댑터(100)의 삽입부(110)를 대신하여 결합판(11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시트(2)에 결합부(3)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카시트(2)에 카시트용 발받침(1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바(300)에 판 형상의 상기 결합판(110')을 결합하고 상기 결합판(110')을 차량의 기본 시트(1)와 유아용 카시트(2) 사이에 위치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결합판(110')의 위치보다 낮거나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카시트(2)에 앉는 아이의 체형에 맞게 다리를 받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카시트(1, 2)에 착석한 아이의 발 위치 또는 아이의 편의에 따라 받침판(200)의 각도,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아이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카시트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카시트(1, 2)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음으로써 모든 카시트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카시트용 발받침 100: 어댑터
110: 삽입부 110': 결합판
120: 회동부 130: 제 1 위치조절수단
200: 받침판 210: 받침부재
220: 고정부재 230: 각도조절수단
240: 제 2 위치조절수단 300: 가이드바
310: 제 1 가이드바 320: 제 2 가이드바
330: 제 3 위치조절수단 340: 각도조절 지지대

Claims (14)

  1. 카시트에 마련된 결합부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상기 카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는 받침판; 및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어댑터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개면에 탄성을 갖는 복수의 돌기들이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복수의 돌기들에 의해 상기 카시트의 결합부에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삽입되어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들 각각은,
    일측이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카시트의 결합부에 삽입 시 상기 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삽입되고, 상기 각 돌기의 수직면에 의해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고정되어 삽입부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가 회동 가능하여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된 상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평판;
    상기 평판의 상부 또는 하부 상에 위치되고 복수의 돌기와 버튼이 형성된 돌기부;
    상기 평판과 돌기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돌기부의 복수의 돌기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돌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에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버튼이 노출되도록 버튼홀이 형성된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제 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은,
    제 2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이 상기 어댑터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바가 상기 제 1 결합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받침판이 상기 어댑터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바가 상기 제 1 결합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카시트에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는 받침부재;
    상기 가이드바와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축방향으로 상기 받침부재를 결합시키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기어홀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부 양측에 형성된 기어홈에 결합하는 각도조절기어; 및
    상기 각도조절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기어가 상기 기어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각도조절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스위치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도조절기어가 상기 기어홈에서 분리되고, 상기 각도조절스위치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각도조절기어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기어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가이드바에 삽입되어 결합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시키는 제 1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가이드바에 삽입되어 결합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시키는 제 2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밀착되는 면에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밀착부재; 및
    상기 제 1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제 1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밀착되는 면에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밀착부재; 및
    상기 제 2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제 2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 1 밀착부재 및 상기 제 2 밀착부재가 밀착되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제 1 가이드바;
    상기 제 1 가이드바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바; 및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도록 2중으로 중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가이드바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밀착되는 면에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밀착부재; 및
    상기 제 3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제 3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 3 밀착부재가 밀착되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바 하측에 결합되는 힌지; 및
    상기 힌지에 체결되고 바닥에 지지되는 회동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사용자가 카시트에 착석 시 다리 위치에 따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상기 받침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발받침.
KR1020160066914A 2016-05-31 2016-05-31 카시트용 발받침 KR101664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14A KR101664311B1 (ko) 2016-05-31 2016-05-31 카시트용 발받침
PCT/KR2017/005612 WO2017209479A1 (ko) 2016-05-31 2017-05-30 카시트용 발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14A KR101664311B1 (ko) 2016-05-31 2016-05-31 카시트용 발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311B1 true KR101664311B1 (ko) 2016-10-10

Family

ID=5714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914A KR101664311B1 (ko) 2016-05-31 2016-05-31 카시트용 발받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4311B1 (ko)
WO (1) WO201720947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30B1 (ko) * 2016-11-01 2017-01-20 이명주 카시트용 발받침의 위치조절수단
CN108189718A (zh) * 2016-12-08 2018-06-22 李明柱 汽车安全座椅用脚踏板的位置调节装置
WO2018199532A1 (ko) * 2017-04-28 2018-11-01 배종훈 유소년용 카시트 장치의 발 받침 조립체
WO2024013388A1 (en) * 2022-07-15 2024-01-18 Cybex Gmbh Removable footrest for child car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2120B (zh) * 2018-12-20 2023-12-01 安徽永驰婴童科技股份有限公司 脚踏板装置及儿童安全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963A (ja) * 2000-08-09 2002-02-19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ベース
JP3429471B2 (ja) * 2000-03-01 2003-07-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装置
KR101399896B1 (ko) * 2013-10-31 2014-05-29 이명주 카시트용 발받침
US20150137575A1 (en) * 2012-05-24 2015-05-21 Isabelle Millasseau Foot rest device for a child installed in a child car sea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8037B2 (ja) * 2001-09-25 2012-03-14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サポートレ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9471B2 (ja) * 2000-03-01 2003-07-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装置
JP2002052963A (ja) * 2000-08-09 2002-02-19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ベース
US20150137575A1 (en) * 2012-05-24 2015-05-21 Isabelle Millasseau Foot rest device for a child installed in a child car seat
KR101399896B1 (ko) * 2013-10-31 2014-05-29 이명주 카시트용 발받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30B1 (ko) * 2016-11-01 2017-01-20 이명주 카시트용 발받침의 위치조절수단
WO2018084438A1 (ko) * 2016-11-01 2018-05-11 이명주 카시트용 발받침의 위치조절수단
US10286827B2 (en) 2016-11-01 2019-05-14 Myung Joo LEE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footrest for car seat
RU2712398C1 (ru) * 2016-11-01 2020-01-28 Мьюнг Йо ЛИИ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ки положения подножки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кресла
CN108189718A (zh) * 2016-12-08 2018-06-22 李明柱 汽车安全座椅用脚踏板的位置调节装置
WO2018199532A1 (ko) * 2017-04-28 2018-11-01 배종훈 유소년용 카시트 장치의 발 받침 조립체
US10654390B2 (en) 2017-04-28 2020-05-19 Jong Hoon Bae Assembled footrest of car seat apparatus for early child
WO2024013388A1 (en) * 2022-07-15 2024-01-18 Cybex Gmbh Removable footrest for child car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479A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311B1 (ko) 카시트용 발받침
KR101399896B1 (ko) 카시트용 발받침
US4231612A (en) Baby carrier and car seat
US8313115B2 (en) Stroller
JP5596485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60127767A (ko) 차일드 시트, 물품의 통기부 구조 및 그 통기부 구조를구비한 물품의 커버 및 아동용 물품
US5010606A (en) Bath seat
JP2001018696A (ja)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KR20180046742A (ko) 헤드레스트
JP5167359B2 (ja) 自動車シート用子供保護システム
US10654390B2 (en) Assembled footrest of car seat apparatus for early child
KR101698730B1 (ko) 카시트용 발받침의 위치조절수단
KR102349798B1 (ko)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US11160379B2 (en) Booster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a booster seat
JP5504420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140063421A (ko) 영유아용 변기
JP2024032172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093420B1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113878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455405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H09254685A (ja) 大人小児兼用自動車用シート
WO2024013862A1 (ja) ベルト付シート及び腰ベルト保持具
GB2428189A (en) Baby vehicle seat with adjustable armrest mechanism
JP3728793B2 (ja) 大人小児兼用自動車用シート
JPH08119013A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