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421A - 영유아용 변기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3421A KR20140063421A KR1020130134755A KR20130134755A KR20140063421A KR 20140063421 A KR20140063421 A KR 20140063421A KR 1020130134755 A KR1020130134755 A KR 1020130134755A KR 20130134755 A KR20130134755 A KR 20130134755A KR 20140063421 A KR20140063421 A KR 201400634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toilet seat
- auxiliary
- lid member
- vie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스텝을 가지는 영유아용 변기를 제공한다.
영유아용 변기(1)가 제 1 천판(41)을 가지며 변기 본체(10)에 씌워지는 덮개부재(40)와, 폐쇄상태의 덮개부재(4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 2 천판(41)을 가지는 보조스텝부재(50)를 구비하고, 제 1 천판(41)만을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1단 스텝상태와, 제 1 천판(41)과 제 2 천판(51) 양쪽을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2단 스텝 상태를 구비하고 있다.
영유아용 변기(1)가 제 1 천판(41)을 가지며 변기 본체(10)에 씌워지는 덮개부재(40)와, 폐쇄상태의 덮개부재(4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 2 천판(41)을 가지는 보조스텝부재(50)를 구비하고, 제 1 천판(41)만을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1단 스텝상태와, 제 1 천판(41)과 제 2 천판(51) 양쪽을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2단 스텝 상태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유아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착탈 가능한 보조변기시트를 가지는 영유아용 변기에 있어서, 변기 본체 상에 보조변기시트 대신에 발판을 놓고, 영유아용 변기를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영유아용 변기가 공지이다(특허문헌 1). 즉, 특허문헌 1의 영유아용 변기는, 보조변기시트 대신에 발판을 놓은 영유아용 변기를 일반용 변기의 정면에 배치하고, 유아가 일반용 변기의 변기시트에 앉을 때까지의 승강대로서의 역할을 다하거나, 정면을 향하여 착석한 상태로 일을 볼 때에 힘을 주기 쉽도록 다리를 벌려 버티기 위한 발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거나 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60073호
하지만, 특허문헌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발판을 놓은 스텝은, 일단계의 높이밖에 설정할 수 없고, 그 스텝의 높이를 바꿀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높이를 유아가 올라가기 쉽도록 낮게 설정하면, 일반용 변기에 착석하였을 때에는 발판으로서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착석시에 발판으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이 높이를 높게 설정하면, 승강대로서는 너무 높아 유아가 올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아의 성장의 한 시기에 있어서 적절한 높이라고 하여도, 그 후의 성장에 따라서 부적절한 높이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스텝을 가지는 영유아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천판을 가지며 변기 본체에 씌워지는 덮개부재와, 폐쇄상태의 상기 덮개부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 2 천판을 가지는 보조스텝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천판만을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1단 스텝상태와, 상기 제 1 천판과 상기 제 2 천판 양쪽을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2단 스텝상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1단 스텝상태와 2단 스텝상태를 영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유아의 성장에 따른 영유아용 변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처음에는 통상의 요강으로서 영유아용 변기가 사용된다. 그 후, 유아가 성장하여 보조변기시트를 부착한 일반용 변기를 사용할 때, 2단 스텝상태로 영유아용 변기가 사용된다. 유아가 더욱 성장하면, 1단 스텝상태에서 영유아용 변기가 사용된다. 즉,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스텝을 가지는 영유아용 변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조스텝부재가 상기 제 2 천판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변기 본체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조스텝부재가 변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부재가 후방으로 휘어진 앞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스텝부재가 후방으로 휘어진 앞면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덮개부재의 제 1 천판 상에 발을 놓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판과 상기 보조스텝부재가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천판과 보조스텝부재가 이간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덮개부재의 제 1 천판과 보조스텝부재가 간섭하여, 제 1 천판이 손상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조스텝부재를 변기 본체 내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스텝부재를 변기 본체 내에 수용 가능한 것으로부터, 보조스텝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유아가 아직 보조스텝부재를 사용할 때까지 성장하지 않은 경우나, 보조스텝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성장한 경우 등에 별도의 보관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보조스텝부재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스텝을 가지는 영유아용 변기를 실현할 수 있다는 공통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영유아용 변기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주요 부품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바닥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스텝부재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2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1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중통(中桶)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중통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변기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보조변기시트의 뒷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보조변기시트를 세로로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보조변기시트를 일반용 변기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설치의 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덮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덮개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덮개부재의 개폐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이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베어링 이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베어링 이너 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베어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베어링 부재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스텝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보조스텝부재의 바닥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보조스텝부재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변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변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변기 본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나타난 스텝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의 변형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주요 부품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바닥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스텝부재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2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1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중통(中桶)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중통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변기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보조변기시트의 뒷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보조변기시트를 세로로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보조변기시트를 일반용 변기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설치의 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덮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덮개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덮개부재의 개폐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이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베어링 이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베어링 이너 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베어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베어링 부재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스텝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보조스텝부재의 바닥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보조스텝부재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변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변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변기 본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나타난 스텝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덮개부재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의 변형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참조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영유아용 변기(요강)(1)의 외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주요부품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바닥면도이다.
영유아용 변기(1)는, 변기 본체(10)와, 중통(20)과, 변기 본체(10)에 놓이는 변기시트(보조변기시트)(30)와, 변기 본체(10)에 씌워지는 덮개부재(40)와,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수납되는 보조스텝부재(50)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재(40)는 변기 본체(10)에 대하여 선회 가능, 즉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명세서 중에는 영유아용 변기(1)로의 착석시의 배면측, 즉 개방된 덮개부재(40)측을 '뒤'쪽으로 규정하고, 그것과 반대측을 '앞'쪽으로 규정한다.
각 부재의 상세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영유아용 변기(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보조스텝부재(50)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2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1단 스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유아용 변기(1)는 기저귀를 떼는 화장실 훈련의 제 1 단계로서,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요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서 요강이 아닌 일반용(성인용) 변기의 사용 훈련이 이루어진다. 유아에게 있어서 일반용 변기시트의 개구는 커서, 그대로 착석하면 변기 안으로 낙하할 가능성이 있다.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용 변기시트 위에 보조변기시트로서 변기시트(30)가 놓인다. 이때, 유아가 일반용 변기의 변기시트에 착석할 때까지의 스텝, 즉 승강대로서 또는 정면을 향하여 착석한 상태로 일을 볼 때에 힘을 주기 쉽도록 다리를 벌리고 버티기 위한 스텝, 즉 발판으로서 덮개부재(40) 및 보조스텝부재(50)가 사용된다.
보조스텝부재(50)는 수납되어 있는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으로부터 분리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의 상부에 대하여 폐쇄상태의 덮개부재(40)의 위쪽으로부터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조스텝부재(50)가 설치된 영유아용 변기(1)는, 폐쇄상태의 덮개부재(40)를 제 1단째 스텝으로 하고, 그 위에 설치된 보조스텝 부재(50)를 제 2단째 스텝으로 하는 2단 스텝을 가지는 발판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상태를 2단 스텝상태라고 한다. 2단 스텝 상태의 영유아용 변기(1)를 보조변기시트(30)가 설치된 일반용 변기(2)의 정면에 배치함으로써, 영유아용 변기(1)를 승강대 및 발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유아가 더욱 성장하면, 보조스텝부재(50)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경우, 보조스텝부재(50)는 변기 본체(10)의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수납된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조스텝부재(50)가 분리된 영유아용 변기(1)는, 폐쇄상태의 덮개부재(40)를 제 1단째 스텝으로 하는 1단 스텝을 가지는 발판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상태를 1단 스텝상태라고 한다. 1단 스텝상태의 영유아용 변기(1)를 보조변기시트(30)가 설치된 일반용 변기(2)의 정면에 배치함으로써, 영유아용 변기(1)를 2단 스텝상태보다 낮은 스텝을 가지는 승강대 및 발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1단 스텝상태는 일을 볼 때의 발판 이외에, 세면장에서 손을 씻거나 양치를 할 때의 발판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1단 스텝상태 및 2단 스텝상태를 영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선택함으로써, 승강대 및 발판의 높이를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영유아용 변기(1)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변기 본체(10) 내에 수납되고, 배설물을 저장하는 중통(20)부터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유아용 변기(1)의 중통(2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중통(20)의 측면도이다. 중통(20)은 도 7에 있어서 앞쪽, 도 8에 있어서 좌측이 영유아용 변기(1)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변기 본체(10) 내에 수납된다. 중통(20)은 배설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21) 및 바닥벽(22)을 가진다. 측벽(21)의 상단은 모든 둘레에 걸쳐 바깥쪽으로 휘어져서 바깥둘레부(23)를 형성한다. 중통(20)의 앞단 부분의 바깥둘레부(23)는 다른 부분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절결부(23a)를 가지고 있다. 절결부(23a)를 가지는 바깥둘레부(23) 부분은 변기 본체(10)로부터 중통(20)을 분리할 때에 파지된다.
바닥벽(22)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한 형상의 분리 볼록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 볼록부(22a)는 중통(20)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부분, 또는 그것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중통(20)이 분리 볼록부(22a)를 가짐으로써, 영유아가 배설할 때, 분리 볼록부(22a)보다 앞쪽에는 소변이 저장되고, 분리 볼록부(22a)보다 뒤쪽에는 대변이 저장된다. 즉, 중통(20) 내에 있어서 소변과 대변의 혼합이 방지된다. 따라서, 소변과 대변이 혼합되어 중통(20)의 청소가 어려워지는 일은 없다. 소변과 대변의 혼합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볼록한 형상의 분리 볼록부가 아닌, 바닥벽(22)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된 분리 벽부여도 좋다. 한편, 중통(20)은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9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보조변기시트(3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의 사시도이다. 한편,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변기시트(30)를 보조변기시트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보조변기시트(30)라고 한다.
보조변기시트(30)는, 도 9에 있어서 안쪽, 도 10에 있어서 앞쪽이, 영유아용 변기(1)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변기 본체(10) 상에 놓인다. 보조변기시트(30)는 일반용 변기에도 설치 가능한 변기시트로서 구성되고, 고리형상의 시트부(보조변기시트 본체)(31)와, 소변을 받기 위한 소변받이(32)와, 날개부(33)를 가지고 있다. 시트부(31)와 소변받이(32)와 날개부(33)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소변받이(32)를 시트부(31)로부터 착탈 가능한 별체의 부재로 하여도 좋다.
시트부(31)는 영유아가 착석하는 시트면(34)과, 시트면(34) 내주측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개구부(35)를 구성하는 내벽(36)과, 시트면(34) 외주측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바깥둘레부(37)를 가진다. 시트면(34)의 앞단 쪽에는 구형상으로 융기하는 융기부(34a)가 형성된다. 내벽(36)의 앞단측에는 융기부(34a)에 인접하여 전방을 향하는 오목부(36a)가 형성된다. 내벽(36)의 오목부(36a)는 융기부(34a)의 형상에 맞추어 융기부(34a)의 내면까지 위쪽으로 연장되고, 융기부(34a)의 내면과 함께 소변받이(32)를 형성한다. 소변받이(32)의 앞면(32a), 즉 내벽(36)의 오목부(36a)의 뒷면과, 앞면(32a)의 좌우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리브부재(32b)는 일반용 변기시트로의 고정시에 사용된다.
날개부(33)는 시트부(31)의 좌우후방에 있어서 시트부(3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조변기시트(30)가 한쌍의 날개부(33)를 가짐으로써, 영유아용의 작은 시트부(31)를 일반용 변기시트 위에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날개부(33)의 뒷면에 한쌍, 및 시트부(31)의 앞단 부분의 뒷면에 1개, 합계 3개의 고무발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고무발부재(60)는 보조변기시트(30)가 놓이는 일반용 변기와의 미끄럼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고무발부재(60)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고,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날개부(33)의 한쪽 고무발부재(60)는 생략되어 있다.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의 좌우후방에는, 후술하는 변기시트 고정부재(70)가 설치되는 한쌍의 통형상의 보유부재(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한쪽 보유부재(38)에는 변기시트 고정부재(70)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 보유부재(38)는 중심축선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중심축선에서 직경방향으로 같은 거리만큼 돌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보유 돌기(39)를 가지고 있다.
보조변기시트(30)는,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즉 세로로 자립하여 놓을 수 있다. 보조변기시트(30)가 자립한 세로 배치는, 보조변기시트(30)의 후단이 적어도 3개의 지지점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실현된다. 즉, 각 날개부(33)의 후단에, 지지점(33a)이 형성되고, 시트부(31)의 후단에 지지점(31a)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변기시트(30)를 세로로 놓고자 하면, 좌우의 지지점(33a)과, 이러한 2점간을 연결한 직선의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지지점(31a)에 의하여 바닥면 상에 이등변삼각형을 형성하는 3개의 지지점이 확립된다. 세로로 놓은 상태에서 보조변기시트(30)의 중심은 3개의 지지점(31a, 33a)에 의한 이등변삼각형 내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보조변기시트(30)는, 안정적이고 자립한 세로 배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보조변기시트(30) 단독체에서의 수납 및 보관에 적합하다.
또한, 지지점(31a) 및 지지점(33a) 근방은, 각각 평탄하지 않고,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변기시트(30)를 세로로 놓지 않은 상태에서 그 후단을 보아도, 불연속적인 직선이나 평면의 요소는 일절 없어, 유연한 미감을 느끼게 한다. 한편, 지지점은 4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모든 지지점이 시트부(31)의 후단에만 또는 날개부(33)의 후단에만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측면도이다. 변기시트 고정부재(70)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통형상 벽부(71)와, 통형상 벽부(71) 내부를 폐쇄하는 지지벽(72)을 가진다. 통형상 벽부(71)의 상부에는, 대략 반원에 상당하는 부분을 절결한 절결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72)에는 통형상의 통형상 벽부(71)의 중심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설치구멍(72a)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 벽부(71)의 둘레면에는, 중심축선(C)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중심축선(C)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고정돌기(73a, 73b)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73a)의 돌출량은, 고정돌기(73b)의 돌출량보다 크다. 또한, 통형상 벽부(71)의 하단으로서 각 고정돌기(73a, 73b)에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중심축선(C)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하단면보다 소정 깊이에 삽입된 4개의 삽입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으로의 설치는,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자세를 확인하면서, 삽입부(74)가 형성된 측의 통형상 벽부(71) 내에 보조변기시트(30)의 보유부재(38)를 삽입한다. 즉,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삽입부(74) 내에, 보유부재(38)로부터 돌출되는 4개의 보유돌기(39)가 삽입되도록, 중심축선(C) 둘레의 회전위치를 맞춘다. 이러한 상태로 변기시트 고정부재(70)는 설치구멍(72a)에 나사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에 고정된다(도 10). 한편, 변기시트 고정부재(7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4는 도 9의 보조변기시트(30)의 일반용 변기시트(3)로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조변기시트(30)를 일반용 변기시트(3)에 놓을 때, 일반용 변기시트(3)의 개구부(4) 내에, 소변받이(32) 및 좌우 한쌍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가 삽입된다. 보조변기시트(30)는 개구부(4) 내에 삽입된 소변받이(32) 및 변기시트 고정부재(70)가, 개구부(4)를 구성하는 측둘레부(4a)와 강하게 맞닿음으로써, 일반용 변기시트(3)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소변받이(32)에 대해서는, 앞면(32a) 또는 리브부재(32b)가 변기시트(3)의 개구부(4) 전방의 측둘레부(4a)와 맞닿는다. 또한, 변기시트 고정부재(70)에 대해서는, 각각 좌우방향의 바깥쪽 부분이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좌우 측둘레부(4a)와 맞닿는다.
여기에서, 일반용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크기나 형상은, 변기 제조업체에 따라 다양하므로, 보조변기시트(30)가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 15는 도 10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 설치의 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것은, 도 14에 있어서 우측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이다. 도 15에 있어서, 일반용 변기시트(3)는 생략되어 있고,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측둘레부(4a)만이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변기시트(3)의 개구부(4)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개구부(4)의 측둘레부(4a)는 변기시트 고정부재(70)에 대하여 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15의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심축선(C)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고정돌기(73a)가 측둘레부(4a)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의 조정은, 설치구멍(72a)에 삽입된 나사를 일단 푼 뒤에,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시키고, 나사를 다시 조임으로써 행해진다. 회전축선은 보조변기시트(30)의 배치상태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축선이고, 여기에서는 통형상 벽부(71)의 중심축선(C)과 동일하다.
또한, 변기시트(3)의 개구부(4)가 작은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다 돌출량이 작은 고정돌기(73b)가 측둘레부(4a)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 변기시트(3)의 개구부(4)가 더욱 작은 경우에는, 도 15의 (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돌기(73a, 73b)가 아니라, 통형상 벽부(71)가 측둘레부(4a)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 변기시트(3)의 개구부(4)가 더 작은 경우에는, 도 15의 (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절결부(71a)가 측둘레부(4a)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
이상으로부터, 변기시트 고정부재(70)는, 삽입되는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측둘레부(4a)와의 거리에 따라서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회전시켜서 측둘레부(4a)에 맞닿게 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맞닿음부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맞닿음부란, 즉 고정돌기(73a, 73b)와, 통형상 벽부(71)와, 절결부(71a)의 4개의 맞닿음부이다.
도 15에서는, 도 14에 있어서 우측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의 설치의 4가지 조정 패턴을 설명하였다. 좌측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4가지 조정 패턴이 있는 것으로부터, 좌우의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독립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합계 10패턴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보조변기시트(30)의 조정기구에 따르면,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중심축선(회전축선) 둘레의 회전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변기시트(3)의 개구부(4)의 크기나 형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보조변기시트(30)를 일반용 변기시트(3) 상에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조정기구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정기구와 비교하여 부품수도 적고, 각 부품 형상도 단순하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조정기구는, 각 변기시트 고정부재에 있어서 개구부의 측둘레부와 맞닿는 4개의 맞닿음부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4개의 고정 가능한 회전 위치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조정기구가 5개 이상 또는 3개 이하의 맞닿음부를 가지고, 대응하는 고정 가능한 회전 위치를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고정돌기의 돌출량이나 형상 등도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더욱이, 복수의 맞닿음부는, 변기시트 고정부재와 개구부의 측둘레부와의 거리에 따라서 맞닿게 하는 부위를 가지면 좋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술한 고정돌기의 맞닿음부를 연결하는 것과 같은 연속적인 곡면을 가지는 듯한 형상이어도 좋다. 더욱이, 조정기구가 상술한 조정기구와 같은 보유돌기 및 삽입부를 가지지 않고, 단순히 변기시트 고정부재의 통형상 벽부 내에 보조변기시트의 보유부재를 삽입하고, 나사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회전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적이 아니라, 무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같은 고정돌기(73a)를 보아도, 회전위치를 무단계적으로 미조정함으로써, 최적의 위치 및 각도 등으로 측둘레부(4a)에 맞닿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덮개부재(40)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덮개부재(40)의 측면도이다. 덮개부재(40)는 제 1단째 스텝이 되는 평탄한 천판(41)과, 덮개부재(40)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천판의 둘레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둘레벽(42)과, 덮개부재(40)의 좌우후단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직으로 연장되는 지지판(43)과, 좌우의 지지판(43) 사이에 연장되어 지지판(43)을 보강하는 보강판(44)을 가지고 있다.
천판(41)은 도시하지 않지만, 도 25를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보조스텝부재(50)의 천판(51)과 마찬가지로, 덮개부재(40)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둘레벽(42)의 윗둘레부로부터 미소한 단차를 가지는 단부를 통하여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덮개부재(40)를 제 1단째 스텝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단부는 발이 걸리는 것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천판(41)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와 디자인적인 목적으로 주름 가공이 되어 있다.
둘레벽(42)의 뒤쪽 부분은, 길이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에서 절결된 절결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4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덮개부재(40)를 폐쇄할 때, 유아동이 변기 본체(10)와의 사이에 옷 등을 끼일 가능성이 저감된다.
지지판(43)의 각각은 그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보스부(45)와, 보스부(45)와 동심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깥쪽을 향하여 요철의 톱니면을 가지는 톱니부(46)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45)의 길이방향의 지지판(43)측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47)가 중심축선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8은 도 16의 덮개부재(40)의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덮개부재(40)의 개폐기구는, 베어링 이너 부재(80)와, 스프링 부재(탄성부재)(90)와, 베어링 부재(100)와, 핀부재(110)를 가지고 있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베어링 이너 부재(80)는 정사각형의 정면 및 뒷면을 가지는 직육면체 부재이다.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정면에는 덮개부재(40)의 톱니부(46)와 맞물리도록 상보적인 요철이 형성된 톱니부(81)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상의 톱니부(81)의 안쪽에는, 작은 직경이 원형단면을 가지는 원형 개구부(8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뒷면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직사각형 개구부(83)는 직사각형의 둘레벽(8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형 개구부(82) 및 직사각형 개구부(83)는, 분리벽(85)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데, 분리벽(85)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86)에 의하여 연통하고 있다.
덮개부재(40)의 개폐기구의 조립시에, 원형 개구부(82)에는 보스부(45)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47) 부분이 수용되고, 개구부(86)에는 돌기(47)보다 선단의 보스부(45) 부분이 삽입 통과된다. 덮개부재(40)의 개폐에 의한 보스부(45)의 회전은, 복수의 돌기(47)를 통한 원형 개구부(82)의 내주면과, 개구부(86)의 내주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베어링 이너 부재(8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22는 도 18에 나타난 베어링 부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베어링 부재(100)의 정면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베어링 부재(100)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베어링 부재(100)는 도 23에 있어서 우측이 영유아용 변기(1)의 앞쪽에 배치되도록 변기 본체(10)의 뒷부분에 설치된다. 베어링 부재(100)는 사각기둥 형상의 축부(101)와, 축부(101)의 상부에 배치된 원주형상의 이너 보유부(102)를 가진다. 축부(101)의 하단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변기 본체(10)에 삽입되는 삽입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01)의 전단면은 후술하는 변기 본체(10)의 후단면(18c)과 맞닿는 평탄한 맞닿음면(101b)을 형성한다. 맞닿음면(101b)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지부(枝部)(10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지부(103)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변기 본체(10)에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가진다.
이너 보유부(102)는 베어링 이너 부재(80)를 수용하여 보유하는 보유 오목부(104)를 가진다. 보유 오목부(104)는 베어링 이너 부재(80)와 상보적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베어링 부재(100)에 대한 회전이 규제된다. 보유 오목부(104)의 바닥면(104a)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융기하고, 스프링 부재(90)의 일단을 맞닿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면(105)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면(105)에는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보스부(45)의 단면과 대향하는 고리형상의 볼록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볼록부(106)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의 스프링 지지면(105)에는 핀부재(110)가 삽입되는 개구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 보유부(102)의 보유 오목부(104)와는 반대측 면에는 개구부(107)를 통하여 보유 오목부(104)와 연통하는 오목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10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8을 참조하면서, 덮개부재(40)의 개폐기구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에 대하여, 바깥쪽으로부터 베어링 이너 부재(80)를 설치한다. 이때, 보스부(45)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원형 개구부(82), 개구부(86) 및 직사각형 개구부(83)를 관통한다. 그리고,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톱니부(46)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더욱이 스프링 부재(90)가 보스부(45)의 바깥쪽에 씌워진다. 스프링 부재(90)의 일단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분리벽(85)에 맞닿는다.
더욱이, 베어링 부재(100)가 스프링 부재(90)를 압축하면서 바깥쪽으로부터 설치된다. 이때, 베어링 이너 부재(80)는, 베어링 부재(100)의 보유 오목부(104) 내에 수용된다. 스프링 부재(90)의 타단은, 고리형상의 볼록부(106)의 바깥쪽에 씌워지고, 스프링 지지면(105)에 맞닿는다. 즉, 스프링 부재(90)는 베어링 이너 부재(80)를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 방향으로 밀고,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톱니부(46)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와의 맞물림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있다. 끝으로,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안쪽으로부터 핀부재(110)가 삽입된다. 핀부재(110)는 보스부(45) 내부를 관통하고, 그 선단은 베어링 부재(100)의 오목부(108)에 도달한다. 핀부재(110)의 선단은, 오목부(108) 내에 있어서, 나사고정이나 박음고정됨으로써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덮개부재(40)를 베어링 부재(10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톱니부(46)의 경사면과,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의 경사면이 서로 미끄러져, 베어링 이너 부재(80)가 스프링 부재(90)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지지판(43)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보유 오목부(104) 내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덮개부재(40)의 톱니부(46)의 정점이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의 정점을 넘으면, 베어링 이너 부재(80)가 스프링 부재(90)의 미는 힘에 의하여 지지판(43) 방향으로 보유 오목부(104)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고, 톱니부(46) 및 톱니부(81)가 다시 맞물린다. 즉, 톱니부(46) 및 톱니부(81)는 스프링 부재(90)에 의하여 맞물리는 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따라서, 보유 오목부(104)는, 적어도 톱니부(46) 및 톱니부(81)의 맞물림 및 그 해제에 필요한 이동 거리만큼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깊이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재(40)의 지지판(43)의 톱니부(46)의 경사면과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의 경사면이 서로 미끄러질 때의 마찰력이나, 스프링 부재(90)의 미는 힘이 덮개부재(4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여기에서, 스프링 부재(90)는 덮개부재(40)의 자중에 의하여 톱니부(46)를 통하여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에 전달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덮개부재(40)의 톱니부(46)와 베어링 이너 부재(80)의 톱니부(8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는 미는 힘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덮개부재(40)는 베어링 부재(100)에 대하여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고,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덮개부재(40)를 개폐하고 있을 때에만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덮개부재(40)의 폐쇄동작이 제한되어, 영유아가 덮개부재(40)에 의하여 옷 등을 끼일 가능성이 저감된다.
도 25는 도 1의 영유아용 변기의 보조스텝부재(50)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보조스텝부재(50)의 바닥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보조스텝부재(50)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보조스텝부재(50)는 도 25에 있어서 앞쪽, 도 26에 있어서 위쪽이 영유아용 변기(1)의 2단 스텝상태(도 5)에 있어서 앞쪽에 배치된다.
보조스텝부재(50)는 제 2단째 스텝이 되는 평탄한 천판(51)과, 천판(51)의 둘레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벽(다리부)(52)을 가지고 있다. 천판(51)은 측벽(52)의 윗둘레부로부터 미소한 단차를 가지는 단부(53)를 통하여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보조스텝부재(50)를 제 2단째 스텝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단부(53)는 발이 걸리는 것에 의한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천판(51) 표면에도 미끄럼 방지와 디자인적인 목적으로 주름 가공이 되어 있다. 천판(51)의 뒷면 중앙에는, 뒷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조판(爪板)(54)이 형성되어 있다. 조판(54)의 각각은 외측면에 조부(爪部)(54a)를 가지고 있다.
측벽(52)은 평탄한 뒷면(52a)과, 뒤쪽으로 휘어진 앞면(52b)과, 바깥쪽으로 휘어진 좌우의 측면(52c)으로 구성된다. 앞면(52b)이 뒤쪽으로 휘어져 있는 것에 의하여,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제 1단째 스텝인 덮개부재(40)의 천판(41) 상에 발을 놓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뒷면(52a)의 아래쪽 부분은 폭넓게 절결된 절결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앞면(52b)의 아래쪽 부분은, 폭넓게 절결된 절결부(52e)가 형성되어 있다. 뒷면(52a) 및 앞면(52b)에, 각각 절결부(52d) 및 절결부(52e)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보조스텝부재(50)가 덮개부재(40)에 간섭하는 일이 없다. 바꿔 말하면, 절결부(52d) 및 절결부(52e)는 변기 본체(10)로의 설치시, 보조스텝부재(50)가 덮개부재(40), 특히 천판(41)과 간섭하지 않고 이간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보조스텝부재(50)에 의하여 덮개부재(40)의 천판(41) 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좌우 측면(52c)의 하단에는, 변기 본체(10)와 걸어 맞추는 계합돌기(52f)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스텝부재(5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28은 도 1의 영유아용 변기(1)의 변기 본체(10)의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변기 본체(10)의 평면도이다. 변기 본체(10)는 상단부(11)와, 하단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하단부(12)는 주로 디자인적인 목적으로, 상단부(11)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단부(11)와 일체 성형하여도 좋다. 상단부(11) 및 하단부(12)는 각각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된다.
변기 본체(10)의 윗면에는 중통(20)을 수납 가능하게 중통용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중통용 오목부(13)의 바닥면에는, 중통(20)의 분리 볼록부(22a)에 대응하는 볼록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3a)의 후방의 중통용 오목부(13)의 바닥면에는, 직사각형의 설치 개구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스텝부재(50)는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수납할 때, 스텝부재(50)는 천판(51) 측을 아래, 즉 상하가 반대로 되어 수납된다(도 3). 이때, 보조스텝부재(50)의 조판(54)은, 변기 본체(10)의 설치 개구부(13b)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좌우의 조판(54)의 조부(54a)에 의하여 설치 개구부(13b)의 좌우 측둘레(13c)에 스냅식으로 걸어 맞춘다. 따라서,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수납되어 있는 보조스텝부재(50)는, 변기 본체(10)로부터 중통(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 개구부(13b)의 위쪽으로부터 조판(54)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변기 본체(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중통용 오목부(13)의 주위 근방에는 고리형상이면서 평탄하게 형성된 고리형상 평탄면(14)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평탄면(14)의 좌우 뒤쪽의 폭넓은 부분에는, 보조변기시트(30)의 뒷면에 설치된 변기시트 고정부재(70)를 수용하는 수용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평탄면(14)은 중통(20)을 중통용 오목부(13)에 수납하였을 때, 중통(20)의 바깥둘레부(23)를 지지한다.
고리형상 평탄면(14)의 주위에는, 고리형상이면서 평탄하게 형성되고, 고리형상 평탄면(14)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변기시트 재치면(15)이 형성되어 있다. 변기시트 재치면(15)은 보조변기시트(30)를 변기 본체(10)에 설치하였을 때, 3개의 고무발부재(60)가 배치되는 재치면이다. 즉, 변기시트 재치면(15)은 보조변기시트(30)의 각 고무발부재(60)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변기시트 재치면(15) 상에 배치됨으로써, 보조변기시트(30)를 지지한다.
변기시트 재치면(15)의 주위에는, 영유아용 변기(1)의 정면에서 보아 U자형이고 평탄하게 형성되고, 고리형상 평탄면(14) 및 변기시트 재치면(1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U자형 평탄면(16)이 형성되어 있다. U자형 평탄면(16)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고리형상 평탄면(14) 및 변기시트 재치면(15)을 바닥면으로 하는 오목부(16a)는 보조변기시트(30)를 수용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U자형 평탄면(16)의 좌우 후방의 바깥쪽 부분에는, 규제벽(17)이 형성되어 있다. U자형 평탄면(16)에 있어서 규제벽(17)보다 전방 부분은, 덮개부재(40)의 둘레벽(42)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덮개 지지면(16b)이다. 또한, U자형 평탄면(16)의 규제벽(17) 근방 부분은,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보조스텝부재(50)의 측벽(52)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스텝 지지면(16c)이다. 그 때문에, 스텝 지지면(16c)은 덮개부재(40)의 폐쇄상태에 있어서도 덮여있지 않다. 한편, 보조스텝부재(50)의 측벽(52)의 하단면을 배치하는 장소는, 스텝 지지면(16c)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변기 본체(10)의 다른 장소, 또는 덮개부재(40)에 배치 장소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규제벽(17)은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보조스텝부재(50)의 측면(52c)이 좌우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즉, 유아동이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보조스텝부재(50)의 천판(51) 위에 올라가면, 무게 때문에 측면(52c)이 좌우방향으로 휘어지려고 한다. 그러한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제벽(1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규제벽(17)의 내면은 보조스텝부재(50)의 측면(52c)에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U자형 평탄면(16)의 뒷부분에는 베어링 부재(100)의 지지 지부(103)의 삽입부(103a)를 수용하는 오목부(16d)가 좌우에 형성되어 있다.
변기 본체(10)의 후단면에는 베어링 부재(100)를 배치하기 위한 베어링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오목부(18)의 바닥면(18a) 좌우에는, 베어링 부재(100)의 삽입부(101a)를 삽입하는 설치구멍(18b)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설치구멍(18b) 전방의 수직면은 베어링 부재(100)의 맞닿음면(101b)과 맞닿는 후단면(18c)이다. 좌우 후방의 U자형 평탄면(16) 및 규제벽(17)에 걸쳐, 설치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 오목부(19)에는 별도의 스텝고정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0은 도 28의 변기 본체(10)의 부분확대도이다. 또한, 도 31은 도 30에 나타난 스텝고정부재(120)의 사시도이다. 스텝고정부재(120)는 U자형 평탄면(16) 및 규제벽(17)의 형상에 적합한 L자형의 L자 부재(121)와 원주형상의 축부(122)를 가지고 있다. L자 부재(121)는 변기 본체(10)로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 가로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계합돌기(121a)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계합조(爪)(121b)를 가진다. 스텝고정부재(12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스텝고정부재(120)는 변기 본체(10)의 설치 오목부(19)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한쌍의 계합조(121b)가 변기 본체(10)의 내부에서 걸어 맞춤으로써 변기 본체(10)에 대하여 설치된다. 스텝고정부재(120)의 L자 부재(121)는 변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축부(122)가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진다.
보조스텝부재(50)를 변기 본체(10) 상에 설치할 때에는, 변기 본체(10)의 스텝고정부재(120)의 계합돌기(121a)와, 보조스텝부재(50)의 측벽(52)의 계합돌기(52f)가 스냅식으로 걸어 맞추어진다. 그때, 스텝고정부재(120)가 좌우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보조스텝부재(50)의 매끄러운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보조스텝부재(50)를 변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양쪽의 스텝고정부재(120)의 상단부를 바깥쪽으로 누름으로써, 변기 본체(10)의 스텝고정부재(120)의 계합돌기(121a)와, 보조스텝부재(50)의 측벽(52)의 계합돌기(52f)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한편, 별도의 스텝고정부재(120)를 변기 본체(10)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규제벽(17)과 일체로 계합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조스텝부재(50)를 분리할 때에, 보조스텝부재(50) 자체를 흔들어서 제거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계합돌기를 규제벽(17)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하여, 나아가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보조스텝부재(50)는 변기 본체(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변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하, 영유아의 옷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재의 개폐기구의 변형예를 상술한 개폐기구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몇 가지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2는 덮개부재(140)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덮개부재(140)는 지지판(143)과, 지지판(14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보스부(145)를 가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토션 스프링(탄성부재)(190)이 사용된다. 토션 스프링(190)은 보스부(145)의 바깥쪽에 씌워진다. 토션 스프링(190)의 일단은 지지판(143)에 고정되고, 타단은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 등의 변기 본체측에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190)은 덮개부재(14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토션 스프링(190)은 덮개부재(140)의 자중에 의하여 덮개부재(140)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미는 힘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덮개부재(140)의 폐쇄동작이 제한되어, 영유아가 덮개부재(140)에 의하여 옷 등이 끼일 가능성이 낮다.
도 33은 도 32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140)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덮개부재(140)는 토션 스프링(190)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지 않도록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덮개부재(140)의 선단부 아랫면에 계지조(爪)(147)를 형성하고, 예를 들어 변기 본체의 U자형 평탄면(116)의 전단부에 계지구멍(116a)을 형성한다. 토션 스프링(190)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덮개부재(140)를 폐쇄하면, 계지조(147)가 계지구멍(116a)의 둘레부(116b)와 걸려 멈춘다(도 33의 (a)).
이러한 상태로, 예를 들어 변기 본체의 계지구멍(116a) 근방의 앞면에 배치된 버튼부(150)를 후방으로 누른다. 그에 따라, 변기 본체의 계지구멍(116a) 근방의 부재가 흔들려(도 33의 (b)), 계지 상태가 해제되어, 자동적으로 덮개부재(140)가 개방된다.
도 34는 덮개부재(240)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덮개부재(240)는 지지판(243)과, 지지판(24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보스부(245)를 가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요성으로 U자 판형상의 협지부재(290)가 이용된다. 보스부(245)의 둘레면은 기어와 같이 기어부(245a)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재(290)의 휘어진 내주면에는 기어부(245a)의 기어 형상과 상보적인 톱니부(290a)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재(290)는 보스부(245)를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보스부(245)의 기어부(245a)와 협지부재(290)의 톱니부(290a)가 맞물리고 있다. 또한, U자형 직선부분에는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90b)이 좌우에 형성되어 있다.
도 35는 도 34의 변형예에서의 덮개부재(24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협지부재(290)의 각 긴 구멍(290b)에는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로부터 지지판(243)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막대(20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협지부재(290)의 위쪽에는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로부터 지지판(243)을 향하여 연장되는 보스부(245)의 직경과 동등한 협지판(201)이 배치된다. 지지막대(200)에 의하여 U자형 협지부재(290)의 양단부가 이간하는 방향의 변형이 억제되고, 협지판(201)에 의하여 U자형의 협지부재(290)의 양단부가 접근하는 방향의 변형이 억제된다.
덮개부재(240)를 개폐하면, 보스부(245)의 기어부(245a)의 경사면과, 협지부재(290)의 톱니부(290a)가 서로 미끄러져, U자형의 협지부재(290)는 양단부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도 35의 (b)). 더욱이, 개폐동작을 단속하고, 보스부(245)의 기어부(245a)의 정점이 협지부재(290)의 톱니부(290a)의 정점을 넘으면, 가요성의 협지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하여 기어부(245a) 및 톱니부(290a)가 다시 맞물린다. 즉, 기어부(245a) 및 톱니부(290a)는 협지부재(290)에 의하여 맞물리는 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여기에서, 보스부(245)의 기어부(245a)의 경사면과 협지부재(290)의 톱니부(290a)가 서로 미끄러질 때의 마찰력이나, 협지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한 미는 힘이 덮개부재(24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그 때문에, 협지부재(290)는 덮개부재(240)의 자중에 의하여 덮개부재(240)가 회전하지 않고,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되는,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덮개부재(240)를 개폐하고 있을 때에만 회전 가능하게 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부재(240)의 폐쇄동작에 제한되어, 영유아가 덮개부재(240)에 의하여 옷이 끼일 가능성이 저감된다.
도 36은 덮개부재(340)의 변기 본체로의 설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7은 도 36의 변형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덮개부재(340)는 지지판(343)과, 지지판(34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보스부(345)를 가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고리형상의 와셔부재(300)와, 원통형상의 탄성부재(301)가 이용된다. 보스부(345)는 그 둘레면의 일부에 평탄면(345a)을 가진다. 보스부(345)에 끼워지는 와셔부재(300)는, 보스부(345)의 평탄면(345a)에 상보적인 직선둘레부(300a)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덮개부재(340)의 회전과 동시에 와셔부재(300)도 함께 회전한다. 도 36에 나타난 상태에서 탄성부재(301)가 보스부(345) 바깥쪽에 끼워지고, 더욱이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301)는 베어링 부재(302)에 형성된 보유 오목부(303) 내에 압입된다(도 37).
덮개부재(340)를 개폐하면, 와셔부재(300)의 단면과 탄성부재(301)의 단면 사이, 및 보스부(345)의 외주면과 탄성부재(301)의 내주면 사이에서 큰 마찰이 발생한다. 이들 마찰에 마찰저항이 덮개부재(34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그래서, 이들 마찰저항을 덮개부재(340)의 자중에 의하여 덮개부재(240)가 회전하지 않고,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되는,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덮개부재(340)를 개폐하고 있을 때에만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그 결과, 덮개부재(340)의 폐쇄동작이 제한되어, 영유아가 덮개부재(340)에 의하여 옷 등이 끼일 가능성이 저감된다.
덮개부재의 페쇄동작을 제한하여 영유아의 옷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재의 개폐기구의 그 밖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어 덮개부재의 급격한 개폐동작을 완화하는 댐퍼 기능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최종적으로 덮개부재와 변기 본체 등과의 사이에 옷 등이 끼이지 않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덮개부재가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의 위치, 예를 들어 변기 본체로부터 5~15mm 정도의 간격을 남긴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과 같은 기계적 기구를 가져도 좋다.
1: 영유아용 변기
10: 변기 본체
20: 중통
30: 변기시트(보조변기시트)
40: 덮개부재
41: 천판
50: 보조스텝부재
51: 천판
10: 변기 본체
20: 중통
30: 변기시트(보조변기시트)
40: 덮개부재
41: 천판
50: 보조스텝부재
51: 천판
Claims (6)
- 제 1 천판을 가지며 변기 본체에 씌워지는 덮개부재와,
폐쇄상태의 상기 덮개부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 2 천판을 가지는 보조스텝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천판만을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1단 스텝상태와, 상기 제 1 천판과 상기 제 2 천판 양쪽을 스텝으로서 사용 가능한 2단 스텝상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부재가 상기 제 2 천판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변기 본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부재가, 변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부재가 후방으로 휘어진 앞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스텝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판과 상기 보조스텝부재가 이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부재를 변기 본체 내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51557A JP6099366B2 (ja) | 2012-11-15 | 2012-11-15 | 乳幼児用便器 |
JPJP-P-2012-251557 | 2012-11-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421A true KR20140063421A (ko) | 2014-05-27 |
KR102024671B1 KR102024671B1 (ko) | 2019-09-24 |
Family
ID=5075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4755A KR102024671B1 (ko) | 2012-11-15 | 2013-11-07 | 영유아용 변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99366B2 (ko) |
KR (1) | KR102024671B1 (ko) |
CN (1) | CN103815821A (ko) |
TW (1) | TWI59933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05925A (zh) * | 2014-10-16 | 2015-01-28 | 陈菊芳 | 一种抽屉式婴儿坐便器 |
CN105212819A (zh) * | 2015-11-04 | 2016-01-06 | 胡健强 | 一种适宜成人儿童的旱厕坐便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12026A (en) * | 1990-09-26 | 1996-04-30 | Wilkinson; William T. | Method of using a modular step exercise unit |
JP2006026333A (ja) * | 2004-07-22 | 2006-02-02 | Showa Prod:Kk | 幼児用便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19898B2 (ja) * | 1995-04-11 | 1998-02-25 | コンビ株式会社 | 幼児用便器 |
IL116403A (en) * | 1995-12-14 | 1998-10-30 | Litaf Ind 1994 Ltd | Lavatory seat assembly |
US20080263756A1 (en) * | 2007-04-26 | 2008-10-30 | Marsden Andrew W | Child training potty |
US8459410B2 (en) * | 2009-09-11 | 2013-06-11 | Kinder Pal, Llc |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step stool |
CN201814496U (zh) * | 2010-05-19 | 2011-05-04 | 谢明轩 | 一种儿童马桶 |
US20120255108A1 (en) * | 2011-04-11 | 2012-10-11 | Litchmore Daisy V | Potty steps |
-
2012
- 2012-11-15 JP JP2012251557A patent/JP6099366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11-04 TW TW102139938A patent/TWI599337B/zh active
- 2013-11-07 KR KR1020130134755A patent/KR10202467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1-14 CN CN201310566474.8A patent/CN103815821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12026A (en) * | 1990-09-26 | 1996-04-30 | Wilkinson; William T. | Method of using a modular step exercise unit |
JP2006026333A (ja) * | 2004-07-22 | 2006-02-02 | Showa Prod:Kk | 幼児用便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099366B2 (ja) | 2017-03-22 |
TWI599337B (zh) | 2017-09-21 |
JP2014097245A (ja) | 2014-05-29 |
TW201434426A (zh) | 2014-09-16 |
CN103815821A (zh) | 2014-05-28 |
KR102024671B1 (ko) | 2019-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04698C2 (ru) | Сборный высокий детский стул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ысоты | |
KR20140063424A (ko) | 영유아용 변기 | |
EP1870009B1 (en) | Auxiliary Toilet Stool Seat | |
US20140259338A1 (en) | Child's Potty Ring | |
JP3197900U (ja) | チャイルドシート | |
KR20140063421A (ko) | 영유아용 변기 | |
KR20140063422A (ko) | 영유아용 보조변기시트 및 영유아용 변기 | |
KR20140063423A (ko) | 영유아용 보조변기시트 및 영유아용 변기 | |
JP6436614B2 (ja) | 乳幼児用便器 | |
JP7393789B2 (ja) | 補助便座 | |
KR200196479Y1 (ko) | 유아겸용 좌변기의 좌판 | |
JP5674981B2 (ja) | ポータブルトイレ | |
JP5674980B2 (ja) | ポータブルトイレ | |
JP5674978B2 (ja) | ポータブルトイレ | |
JP6148919B2 (ja) | 軸保持構造およびポータブルトイレ | |
JP2015027597A (ja) | ポータブルトイレ | |
JP2015044047A (ja) | ポータブルトイレ | |
JP2015110158A (ja) | ポータブルトイ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