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637B1 - 접이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접이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637B1
KR101659637B1 KR1020117002877A KR20117002877A KR101659637B1 KR 101659637 B1 KR101659637 B1 KR 101659637B1 KR 1020117002877 A KR1020117002877 A KR 1020117002877A KR 20117002877 A KR20117002877 A KR 20117002877A KR 101659637 B1 KR101659637 B1 KR 101659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leg
mount
hing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767A (ko
Inventor
쥘르 헨리
Original Assignee
베이비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3501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596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이비젠 filed Critical 베이비젠
Publication of KR2011006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sliding a bushing along a rod, e.g. like folding means of an umbrell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장, 등받이 및 세 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접이식 유모차에 있어서,
휠 수단(a wheeled means, 6)에 결합되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후단 다리(at least one rear leg, 5)를 포함하는 후단 연결부(a rear linkage, 4)와;
휠 수단(10)에 결합되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 다리(at least one front leg, 9)를 포함하는 전단 연결부(a front linkage, 8)와;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마운트(at least one backrest mount, 2)를 포함하는 등받이 연결부(a backrest linkage, 1); 및
전단과 후단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의 높이 보다 짧은 안장 지지부(a seat support, 20);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연결부(8), 후단 연결부(4), 등받이 연결부(1) 및 안장 지지부(20)는 서로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동시에 고정되는 구조이며,
상기 유모차는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때,
상기 후단 다리(5)의 하단이 전단 다리(9)의 상단까지 도달할 때까지,
상기 후단 다리(5)의 하단이 전진 힌지 동작(the forward hinging)을 하고,
상기 전단 다리(9)의 하단이 후단 다리(5)의 상단까지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단 다리(9)의 하단이 후진 힌지 동작(the backward hinging)을 하고,
상기 등받이 마운트(2)의 상단이 안장 지지부의 전단의 다음 그리고 전단 다리의 상단의 다음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안장에 대하여 등받이를 접는 동작(the folding of the backrest)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유모차{FOLDABLE STROLLER}
본 발명은 비접이식과 접이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접이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접이식 유모차가 있다.
상기 접이식 유모차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안장 및 휠과 결합되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다리를 포함한다.
인체공학적 어린이용 유모차는 안장의 종축 지지부의 길이는 등받이의 높이 보다 짧고 다리 길이 보다 짧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 때문에 종래기술에 의한 유모차는 접었을 때 예상했던 크기보다 크다.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해결책은 유아용 유모차의 특징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
특허출원 FR 2 553 362 는 종래기술에 의한 유모차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공개자료는 안장, 등받이 및 네 개의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유모차는 전단 연결부, 등받이 연결부 및 안장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료에 기재된 유모차는 접이식 일 때 예상했던 크기보다 크다.
실제로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은 안장 지지부의 전단에 대하여 접혀지고 전단 다리(a front leg) 상부에 대하여 접혀진다.
그러므로 접이식 구조에서 상기 자료에 의한 유모차의 가장 큰 면적은 손잡이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고, 예상했던 것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자료에서 후단과 전단 휠은 유모차를 접었을 때 서로 부딪히고, 휠수단 레벨에서(at the level of the wheeled means) 예상했던 크기 보다 크게 접히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접었을 때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하고 접거나 펴는 동작이 간단한 인체공학적인 유모차를 제안하여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장, 등받이 및 세 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접이식 유모차에 있어서,
휠 수단(a wheeled means, 6)에 결합되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후단 다리(at least one rear leg, 5)를 포함하는 후단 연결부(a rear linkage, 4)와;
휠 수단(10)에 결합되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 다리(at least one front leg, 9)를 포함하는 전단 연결부(a front linkage, 8)와;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마운트(at least one backrest mount, 2)를 포함하는 등받이 연결부(a backrest linkage, 1); 및
전단과 후단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의 높이 보다 짧은 안장 지지부(a seat support, 20);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 연결부(8), 후단 연결부(4), 등받이 연결부(1) 및 안장 지지부(20)는 서로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동시에 고정되는 구조이며,
상기 유모차는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때,
상기 후단 다리(5)의 하단이 전단 다리(9)의 상단까지 도달할 때까지,
상기 후단 다리(5)의 하단이 전진 힌지 동작(the forward hinging)을 하고,
상기 전단 다리(9)의 하단이 후단 다리(5)의 상단까지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단 다리(9)의 하단이 후진 힌지 동작(the backward hinging)을 하고,
상기 등받이의 상단이 안장 지지부의 전단의 다음 그리고 전단 다리의 상단의 다음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안장에 대하여 등받이를 접는 동작(the folding of the backrest)을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접이식 유모차는, 등받이 마운트의 길이와 거의 비슷한 컴팩트한 구조이다.
상기 접이식에서 등받이 마운트의 상단은 안장 지지부와 등받이의 다른 치수이지만, 안장 지지부의 전단과 다음의 위치이고, 상기 전단 다리의 상단이, 다리의 길이가 등받이 높이 보다 짧고, 등받이 마운트의 상단 다음의 위치에 구비될 때, 접이식에서의 유모차의 가장 긴 치수는 등받이의 높이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의 높이는 등받이 자신의 높이이고, 연장될 가능성은 없다(예를 들면 손잡이는 등받이 마운트에 결합된다).
또한 접이식에서 유모차의 가장 큰 치수가 되는 등받이의 높이는, 비접이식의 후단 휠 수단의 림과 안장과 등받이의 교차하는 부분 사이의 거리 만큼의 후단 다리의 높이와 거의 비슷하다.
또한 상기 유모차는, 다리와 등받이의 움직임이 단일 단계로 결합되게 동작되는 것과 같이,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용이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단과 전단 다리는 접이식으로 유모차의 이동 동안에 서로 지나가고 휠이 접이식에서 유모차의 마주하는 단부에 구비된다. 접이식에서 전단과 후단 다리 사이에 결합되는 휠은 서로 다음의 위치에 구비되지 않으며, 휠 수단의 레벨에서 유모차의 공간을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다리의 특정 움직임은 접이식 유모차의 컴팩트함을 유도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 지지부의 후단은 적어도 2-자유도를 통해 등받이 마운트와 접혀지게(articulated)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안장 지지부는 등받이와 회전되게 연결되지 않으나, 등받이의 길이는 안장 지지부와 비교하여 길지만 안장의 전단이 등받이의 단부에 도달하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적어도 2-자유도를 통해 등받이와 접혀지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제1 보조조립부, 제2 보조조립부 및 제3 보조조립부의 세 개의 보조조립부(three sub-assemblies)를 포함하고,
제1 보조조립부는, 등받이 마운트(2) 및, 횡행회전축(a transverse rotation axis, A) 주변의 상기 등받이 마운트(2)와 힌지되는 등받이 종축형 로드(longitudinal rod,3)를 포함하는 등받이 연결부(1)를 포함하고,
제2 보조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단 다리(5) 및, 횡행회전축(a transverse rotation axis, C) 주변의 상기 후단 다리(5)와 힌지되는 후단 종축형 로드(longitudinal rod, 7)를 포함하는 후단 연결부(4)를 포함하고,
제3 보조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 다리(9) 및, 횡행회전축(a transverse rotation axis, B) 주변의 상기 전단 다리(9)와 힌지되는 전단 종축형 로드(longitudinal rod, 11)를 포함하는 전단 연결부(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모차는 후단 힌지와 전단 힌지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 힌지는, 상기 등받이 마운트(2)에 대하여 후단 다리(5)와 전단 종축형 로드(11)의 회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횡행힌지(13,14,15)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힌지는, 상기 전단 다리(9)에 대하여 후단 종축형 로드(7)의 등받이 종축형 로드(3)와 안장 지지부(20)의 회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횡행힌지(17,18,19,21)를 포함한다.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횡행힌지(21)는 상기 전단 다리(9)의 상단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때 간단하다. 예컨대 소정 축을 따라 두 개의 후단과 전단 힌지를 함께 가져오거나(bringing) 분리하면(separation) 다리, 안장 및 안장을 접거나 그들을 각각 펼치는 형태, 즉 접이식 또는 비접이식 형태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 지지부는 후단 종축 로드에 의해 운반된다.
또한 상기 후단 힌지는 등받이 마운트의 하부의 연장부이고, 상기 전단 종축형 로드를 갖는 등받이 마운트(2)의 힌지는, 상기 유모차가 비접이식일 때 안장 지지부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전단 종축형 로드는 유모차용 발판(a footrest)을 형성하는 적당한 거리에서 전단 다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a cross member)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모차의 연결부는 잠금상태에서 등받이 또는 후단 힌지와 서로 작용하는 안장(후단 로드, 안장 지지부 또는 안장부) 중의 하나의 구성요소에 따라 비접이식에서 유모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힌지와 후단 힌지는, 가이딩 마운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안장 지지부는 전단 힌지에 의해 운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유모차는 세 개 또는 네 개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유모차가 네 개의 다리를 포함할 때, 전단 다리 사이에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후단 다리는 접이식에서 상기 연결부재 주변에 도달하도록 유용하게 접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등받이 마운트는 가이딩 마운트에 의해 연속된다. 상기 가이딩 마운트는 등받이 마운트에 회전되게 또는 슬라이드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이딩 마운트는 접이식에서 유모차는 매우 작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안장 지지부의 전단은 전단 다리의 상단에 연결된다.
도1a와 도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1 실시예로서 비접이식과 접이식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2a와 도2b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2 실시예로서 비접이식과 접이식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비접이식일 때의 연결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중간단계일 때의 연결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접이식일 때의 연결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에 따라 비접이식일 때의 접이식 유모차 연결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7과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중간단계일 때의 접이식 유모차 연결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9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접이식일 때의 접이식 유모차 연결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에 따라 비접이식일 때의 접이식 유모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에 따라 비접이식일 때의 접이식 유모차 연결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에 따라 중간단계일 때의 접이식 유모차 연결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에 따라 접이식일 때의 접이식 유모차 연결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a와 도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1 실시예로서 비접이식과 접이식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모차의 연결부는 측면도를 참고하면 등받이 마운트(2), 안장 지지부(20) 및 전단 다리(9)를 포함한다. 상기 안장 지지지부(20)는 축 D의 등받이 마운트(2) 및 축 J 주변의 전단 다리(9)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유모차의 연결부는 후단 다리(5)를 포함한다. 각 다리(5,9)는 휠 수단(6,10)으로 구비된다.
상기 유모차의 평평하게 접기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장 지지부(20)는 등받이 마운트(2)와 접하고, 상기 전단 다리(9)는 상기 안장 지지부(20)와 접한다.
이러한 제1 타입의 구조는 유아용 유모차의 매우 컴팩트한 접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인체공학적인 유아용 유모차는, 종형 안장 지지부(20)의 길이는 등받이 마운트(2)의 높이 보다 짧고 전단 다리(9)의 길이 보다 짧은 것이 요구된다(축 J 와 휠 수단(10) 사이의 거리). 접이식에서 안장 지지부(20)의 전단은 등받이 마운트(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a point distant)을 두고 접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단 다리(9)의 하단(the lower end)은 등받이 마운트(2)에 닿지 않게 연장한다. 상기 접이식 유모차의 전체 길이는 등받이 마운트(2)의 높이 보다 현저하게 길다.
도2a와 도2b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2 실시예로서 비접이식과 접이식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모차의 연결부는 측면도를 참고하면 등받이 마운트(2), 안장 지지부(20), 전단 다리(9) 및 등받이 종축형 로드(3)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 종축형 로드(3)는 축 A 주변의 등받이 마운트(2) 및 축 G 주변의 전단 다리(9)의 상단과 회전되게 결합된다.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전단은 축 J 주변의 전단 다리(9)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축 G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후단은 유모차 연결부의 다른 부분(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등받이 종축형 로드(3)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 상기 안장 지지부(20), 상기 등받이 마운트(2) 및 전단 다리(9)는 왜곡될 수 있는 평행사변형 또는 가상 평행사변형(pseudo-parallelogram)이다.
또한 상기 유모차 연결부는 후단 다리(5)를 포함한다.
상기 유모차는 유아용 유모차일 때, 각 다리(5,9)는 휠 수단(6,10)으로 구비된다.
상기 유모차(도2b)의 평평하게 접기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등받이 종축형 로드(3)는 등받이 마운트(2)와 접한다. 상기 안장 지지부(20)와 전단 다리(9)는 등받이 마운트(2)와 평평하게 접한다.
이러한 제2 타입의 구조는 유아용 유모차의 매우 컴팩트한 접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등받이 종축형 로드(3)가 상기 등받이 마운트(2)의 상단과 접하지 않더라도, 안장 지지부(20)의 전단은 등받이 마운트(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접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단 다리(9)의 하단은 등받이 마운트(2)에 닿지 않게 연장하고 상기 접이식 유모차의 전체 길이는 등받이 마운트(2)의 높이 보다 현저하게 길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3 내지 도5는 접었을 때 매우 컴팩트하게 이루어지는 유아용으로 형성되는 자가 운전용 유모차의 접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모차의 연결부는 측면도를 참고하면 세 개의 보조 조립체(1,4,8)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보조조립부는, 등받이 마운트(2)와, 등받이 종축형 로드(3)를 포함하는 등받이 연결부(1)를 포함하고, 제2 보조조립부는, 전단 다리(9)와, 전단 종축형 로드(11)를 포함하는 전단 연결부(8)를 포함하고, 제3 보조조립부는, 후단 다리(5)와, 후단 종축형 로드(7)를 포함하는 후단 연결부(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장 연결부는 안장 지지부(20)를 포함하며, 경식(rigid) 또는 반경식(semi-rigid)가 될 수 있다.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길이는 등받이의 높이 보다 짧다. 상기 안장의 길이는 등받이 높이 보다 70% 낮고 바람직하게는 등받이 높이 보다 60% 낮고 상기 등받이 높이의 약 55%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모차는 접이식 일 때 전단 다리(9)와 후단 다리(5)는 수직이고 교차하지 않는다.
상기 전단 다리(9)와 상기 후단 다리(5)의 길이는 등받이(2)의 높이와 거의 비슷하다.
성가 등받이 종형 로드(3)는 축 A 주변에서 등받이 마운트(2)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상기 전단 종축형 로드(11)는 축 B에 대하여 전단 다리(9)에 결합된다. 상기 후단 종축형 로드(7)는 축 C 주변에서 후단 다리(5)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유모차는 전단 힌지와 후단 힌지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 힌지는 회전축 D 주변의 등받이(2)용 힌지(13), 회전축 E 주변의 전단 종축형 로드(11)용 힌지(15) 및 회전축 F 주변의 후단 다리(5)용 힌지(14)를 운반하는 후단 경화성 지지부(a rear rigid support, 12)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 힌지는, 회전축 G 주변의 등받이 종축형 로드(3)용 힌지(13), 회전축 H 주변의 전단 다리(9)용 힌지(19), 회전축 I 주변의 후단 종축형 로드(7)용 힌지(18), 회전축 J 주변의 안장 지지부(20)용 힌지(21)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19)는 전단 다리(9)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안장 지지부(20)는 전단 다리(9)에 연결되고 상단과 가깝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전단 다리(9)는 전단 힌지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전단 힌지에 안장 지지부(20)의 힌지(21)와 가깝게 된다.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후단(22)은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유모차 연결부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상기 유모차를 접기 위해서 상기 안장 지지부(20)는 등받이 마운트(2)의 하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경화성 부재(a rigid body)이다.
상기 유모차는 비접이식(도3)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때, 상기 전단 지지부(16)와 하단 지지부(12)는 X-X' 축에 구비되고 상기 축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전단 지지부(16)와 상기 후단 지지부(12)는 잠금수단(미도시)으로 구비된다. 상기 비접이식에서 상기 잠금수단은 X-X' 축을 따라 전단 지지부(16)에 대해 하단 지지부(12)의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잠금수단이 분리될 때 상기 유모차는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전단 지지부(16)와 후단 지지부(12)는 X-X' 축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이것은 왜곡을 초래하고 연장된 등받이(2)를 지지하는 힌지된 등받이 연결부(1), 연장된 후단 다리(5)를 지지하는 힌지된 후단 연결부(4), 연장된 전단 다리(9)를 지지하는 힌지된 전단 연결부(8)는 평평해진다.
상기 전단 지지부(16)와 후단 지지부(12)는 X-X' 축을 따라 서로 이격될 때, 전단 다리(9)의 하단은 전단 종축형 로드(11)의 동작 때문에 후방으로 접혀지고 후단 다리(5)의 하단은 후단 종축형 로드(7)의 동작 때문에 전방으로 접혀지고 등받이 마운트(2)는 등받이 종축형 로드(3)의 동작 때문에 안장부에 대해 전방으로 접혀진다. 또한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후단(22)의 X-X' 축의 돌기는 후단 지지부(12)로부터 이격된다.
비접이식과 접이식 사이에서 유모차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전단 다리(9)와 후단 다리(5)는 서로 교차한다. 그러므로 접이식에서 전단 다리(9)의 하단은 후단 다리(5)의 상단의 다음 위치까지 도달하고 상기 후단 다리(5)의 하단은 전단 다리(9)의 상단의 다음 위치까지 도달한다. 상기 전단 다리(9)와 후단 다리(5)가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전단과 후단 다리는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단 다리(5)는, 상기 전단 다리(9)가 누워졌을 때(lying), 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측면에서 신장하고(expand), 상기 후단 다리(5)는, 상기 유모차가 접이식으로 이용될 때, 전단 다리(9) 사이로 작동한다.
상기 후단 다리(5)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휠의 회전축에 가깝게 연장하며, 이러한 구조가 경화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후단 다리(5)는, 상기 유모차가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될 때 전단 다리(9)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 다리(9)가 발판을 형성하는 연결부재(28)에 의해 상호연결될 때, 상기 유모차가 접이식으로 이용될 때, 연결부재를 에워싸도록 상기 후단 다리(5)는 굽어진다.
상기 유모차가 접이식일 때(도5), 상기 등받이 마운트(2), 후단 다리(5), 전단 다리(9) 및 안장 지지부(20)는 X-X'와 거의 평행하게 구비되고 축과 가까워지며, 상기 전체 연결부는 줄어든 공간을 차지한다.
상기 전단 다리(9)와 후단 다리(5)에 결합되는 휠은 접이식 유모차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전단 다리(9)의 휠 수단은 접이식 유모차의 후단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후단 다리(5)의 상기 휠 수단은 접이식 유모차의 전단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접이식에서 유모차의 컴팩트함을 개선하기 위해 연결부의 다양한 힌지와 전단 다리(9)의 상단은 안장 지지부(20)의 전단이 등받이(2)의 상단에 대해 거의 접혀지도록 바람직하게 구비된다.
또한 모든 연결 보조조립부에 직접적으로 작동하여 유모차의 간단한 접기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단 경화성 지지부(16) 방향으로 등받이(2)를 하방으로 접거나, 등받이 방향으로 전단 다리(9)를 접거나 전단 방향으로 후단 다리(5)를 접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이루도록 한 손의 전단 다리(9)와 전단 종축형 로드(11), 다른 한 손의 후단 다리(5)와 후단 종축형 로드(7)가 동일한 측면에 구비되면 안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다리(5,9)는 유모차를 지지하도록 다리(5,9)의 하단에 고정되는 휠 수단(6,10)과 같이 구비된다.
도3과 도4의 평면의 수직 축에 따라 상기 유모차가 제3 면(the third dimension)으로 펴질 때(developed), 등받이 마운트(2)는 유모차의 등받이를 지지하고 유모차의 스티어링 수단으로 제공하도록 이중(double) 구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상기 유모차는 두 개의 평행한 후단 다리(5)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 다리(9)와 상기 전단 다리의 휠 수단(10)은 세 개의 휠을 갖는 유모차를 제작하도록 또는 네 개의 휠을 갖는 유모차를 제작하도록 하나 또는 두 개가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는 한 쌍의 전단 종축형 로드(11), 한 쌍의 후단 종축형 로드(7) 및/또는 구조의 강성을 위해 등받이와 시트의 양측면으로 연장하는 등받이 종축형 로드(3)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등받이 종축형 로드(3)는 탑승자의 측면 제한(lateral restraint)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후단 경화성 지지부(12)는 등받이 마운트(2)의 하부의 연장으로 구비되고 등받이 마운트(2)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후단 지지부(12)는 후단 다리(5)의 힌지(14)와 전단 종축형 로드(11)의 힌지(15)를 운반한다.
또한 전단 힌지의 레벨에서, 상기 등받이 종축형 로드(3), 상기 후단 종축형로드(7) 및 전단 다리(9)는 도6 내지 도8의 평면에 대해 수직면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 지지부(20)는 상기 후단 종축형 로드(7)와 같이 모아진다(merged).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등받이 종축형 로드(3)의 길이는 축A와 등받이 마운트(2)의 상단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상기 등받이(25)는 등받이 마운트(2)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안장(26)은 상기 안장 지지부(2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장(26)과 등받이(25)는 단일의 탄력적인 직물 또는 복합 탄력적인, 경화성 또는 일부 경화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마운트(2,2')는 등받이 연결부재(27,도10)에 의해 교차연결된다.
상기 연결부는 비접이식에서 유모차가 잠가지도록(the locking), 하나의 잠금수단 또는 다수의 잠금수단(24)으로 구비된다. 상기 잠금수단(24)은 마찰시스템(a friction system) 또는 캐치구조(a catch mecanism)로 구성된다. 도6 내지 도10에 따르면 상기 잠금수단(24)은 후단 지지부(12)를 운반하는 등받이 마운트(2)의 하단에 후단 종축형 로드(7)를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금수단(24)은 후단 종축형 로드(7)와 결합될 수 있거나 후단 지지부(12)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장(26)의 등받이 연결부재(27)를 차단하거나 안장(26)의 후단 지지부(12)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모차의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상기 유모차의 발판을 지지하고 전단 다리(9)를 연결하는 도10에 도시된 횡형 연결부재(28, a horizontal cross member)를 포함한다. 측면도에서 상기 발판은, 상기 유모차가 접이식일 때, 거의 횡형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단 종축형 로드(11)는 상기 연결부재(28)와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6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힌지는, 상기 유모차가 접이식일 때, 상기 전단 종축형 로드(11)와 등받이 마운트(2)를 연결하는 힌지(15)가 등받이 마운트(2)의 하단에 구비될 때, 상기 안장 지지부(20) 하부의 등받이 마운트(2)의 하부 연장부이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부재(28)는 발판을 지지하는 적절한 높이에 구비된다.
도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힌지와 후단 힌지는 상기 전단 지지부(16)와 후단 지지부(12)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상기 전단 지지부(16)는 등받이 종축형 로드(3), 후단 종축형 로드(7) 및 전단 다리(9)의 회전을 위해 횡행힌지(17,18,19)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 지지부(12)는 상기 등받이 마운트(2), 상기 후단 다리(5) 및 전단 종축형 로드(11)의 회전을 위한 횡행힌지(13,14,15)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 지지부(16) 및 상기 후단 지지부(12)는 서로 슬라이드되게 결합된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 지지부(20)는 상기 전단 지지부(16)와 모아진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지지부(16) 및 후단 지지부(12)는 서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는 두 개의 절반 프레임(two half frames)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상기 전단 지지부(16)의 내부는, 상기 후단 지지부(12)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잇점으로, 상기 연결부는 당김수단(drawback means)으로 구비되고 연결부가 자동으로 접이식 또는 비접이식으로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당김수단은 탄력적이며 견인을 위해 압축(compression) 또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s)으로 구성된다.
상기 당김수단은 유모차 열결부의 회전축 레벨에서 구비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토션 스트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 또는 제2 실시예에서 후단 지지부(12)에 대해 전단 지지부(16)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유도하는 압축 또는 견인 스프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유모차용 가이딩 마운트를 포함한다. 도6,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모차가 비접이식일 때, 상기 가이딩 마운트(23)는 등받이 마운트(2)에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유모차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이 가이드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딩 마운트(23)는 상기 등받이 마운트(2)의 상단과 근접하게 위히하고 잇는 축 K 주변에 등받이 마운트(2)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수단(pivot)은 상기 유모차를 가이드하는 사람의 키에 적합하도록 차단 위치에 따라 가이딩 마운트(23)의 차단 수단으로 구비된다.
도7 내지 도9 그리고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딩 마운트(23)는 등받이 마운트(2)에 대해 후방으로 접힌다. 그러므로 상기 접이식에서 유모차의 길이는 상기 등받이 마운트(2)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등받이 마운트(2)에 대해 슬라이드되게 결합되는 가이딩 마운트(23)와 동일한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캐치시스템(a catch system)과 같이, 상기 잠금수단은 등받이 마운트(2)에 대해 가이딩 마운트(23)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의 컴팩트한 연결부를 갖는 구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연결부는 등받이 마운트(2)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접혀진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는 용이하게 접혀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는 다른 형태의 유모차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쌍둥이 유모차, 장난감 유모차, 사람이 사용하지 않는 유모차 또는 자가 운반 카트(self-carrying carts)에 적용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Claims (18)

  1. 안장, 등받이 및 세 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접이식 유모차에 있어서,
    휠 수단(a wheeled means, 6)에 결합되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후단 다리(at least one rear leg, 5)를 포함하는 후단 연결부(a rear linkage, 4)와;
    휠 수단(10)에 결합되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 다리(at least one front leg, 9)를 포함하는 전단 연결부(a front linkage, 8)와;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 마운트(at least one backrest mount, 2)를 포함하는 등받이 연결부(a backrest linkage, 1); 및
    전단과 후단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의 높이 보다 짧은 안장 지지부(a seat support, 20);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연결부(8), 후단 연결부(4), 등받이 연결부(1) 및 안장 지지부(20)는 서로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동시에 고정되는 구조이며,
    상기 유모차는 비접이식에서 접이식으로 이용할 때,
    상기 후단 다리(5)의 하단이 전단 다리(9)의 상단까지 도달할 때까지,
    상기 후단 다리(5)의 하단이 전진 힌지 동작(the forward hinging)을 하고,
    상기 전단 다리(9)의 하단이 후단 다리(5)의 상단까지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단 다리(9)의 하단이 후진 힌지 동작(the backward hinging)을 하고,
    상기 등받이 마운트(2)의 상단이 안장 지지부의 전단의 다음 그리고 전단 다리의 상단의 다음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안장에 대하여 등받이를 접는 동작(the folding of the backrest)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후단은 적어도 2-자유도(at least two degrees of freedom)를 통해 등받이 마운트와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유모차는, 제1 보조조립부, 제2 보조조립부 및 제3 보조조립부의 세 개의 보조조립부(three sub-assemblies)를 포함하고,
    제1 보조조립부는, 등받이 마운트(2) 및, 횡행회전축(a transverse rotation axis, A) 주변의 상기 등받이 마운트(2)와 힌지되는 등받이 종축형 로드(longitudinal rod,3)를 포함하는 등받이 연결부(1)를 포함하고,
    제2 보조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단 다리(5) 및, 횡행회전축(a transverse rotation axis, C) 주변의 상기 후단 다리(5)와 힌지되는 후단 종축형 로드(longitudinal rod, 7)를 포함하는 후단 연결부(4)를 포함하고,
    제3 보조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 다리(9) 및, 횡행회전축(a transverse rotation axis, B) 주변의 상기 전단 다리(9)와 힌지되는 전단 종축형 로드(longitudinal rod, 11)를 포함하는 전단 연결부(8)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는 후단 힌지와 전단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 힌지는, 상기 등받이 마운트(2)에 대하여 후단 다리(5)와 전단 종축형 로드(11)의 회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횡행힌지(13,14,15)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힌지는, 상기 전단 다리(9)에 대하여 후단 종축형 로드(7)의 등받이 종축형 로드(3)와 안장 지지부(20)의 회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횡행힌지(17,18,19,21)를 포함하고,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횡행힌지(21)는 상기 전단 다리(9)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지지부(20)는 후단 종축형 로드(7)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힌지는, 상기 유모차는 비접이식일 때 안장 하부에서 등받이 마운트(2)의 하부 연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종축형 로드(7)는, 유모차가 접이식일 때 적어도 하나의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잠금상태에서 후단 힌지와 서로 작용하는 것(interacting)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종축형 로드(longitudinal rod, 11)를 갖는 등받이 마운트(2)의 힌지는, 상기 유모차가 비접이식일 때 안장 지지부(20)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힌지와 후단 힌지는 가이딩 마운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안장 지지부(20)는 전단 힌지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네 개의 다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전단 다리(9)를 연결하는 연결부재(a cross member)를 포함하고 발판(a footrest)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다리(9)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8)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종축형 로드(11)는 상기 연결부재(28)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세 개의 다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가이딩 마운트(guiding mount, 23)에 의해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마운트(guiding mount, 23)는 회전되게 또는 슬라이드되게 등받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길이는 등받이 높이 보다 70%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전단은 전단 다리(9)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지지부(20)의 길이는 등받이 높이 보다 60%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지지부(20)는 등받이와 회전되게 연결되지 않으나, 적어도 2-자유도를 통해 등받이 마운트와 접혀지게(articulated)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KR1020117002877A 2008-07-04 2009-07-03 접이식 유모차 KR101659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4570A FR2933362B1 (fr) 2008-07-04 2008-07-04 Poussette pliable
FR08/54570 2008-07-04
PCT/FR2009/000831 WO2010000987A1 (fr) 2008-07-04 2009-07-03 Poussette pli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767A KR20110069767A (ko) 2011-06-23
KR101659637B1 true KR101659637B1 (ko) 2016-09-23

Family

ID=4035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877A KR101659637B1 (ko) 2008-07-04 2009-07-03 접이식 유모차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360461B2 (ko)
EP (3) EP2307257B1 (ko)
JP (1) JP5516906B2 (ko)
KR (1) KR101659637B1 (ko)
CN (1) CN102083675B (ko)
AU (1) AU2009265538B2 (ko)
BR (1) BRPI0915707B1 (ko)
CA (1) CA2729691C (ko)
DK (2) DK2684767T3 (ko)
ES (3) ES2620004T3 (ko)
FR (1) FR2933362B1 (ko)
MX (1) MX2010014563A (ko)
NZ (1) NZ590814A (ko)
PL (2) PL2684767T3 (ko)
PT (2) PT2684767T (ko)
RU (1) RU2506187C2 (ko)
WO (1) WO2010000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3362B1 (fr) * 2008-07-04 2011-01-21 Gilles Henry Poussette pliable
CN102416974B (zh) * 2010-09-27 2013-08-14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可收合式婴儿车
FR2990919B1 (fr) * 2012-05-25 2014-12-26 Patrick Herbault Structure de pliage a antiparallelogramme, poussette
US9227648B2 (en) 2012-10-09 2016-01-05 Dorel Juvenile Group, Inc. Compactible stroller
FR3010682B1 (fr) 2013-09-13 2015-10-23 Babyzen Poussette pliable adaptable au transport des nouveau-nes
KR101693206B1 (ko) 2015-02-05 2017-01-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ITUB20152212A1 (it) 2015-07-15 2017-01-15 Linglesina Baby S P A Telaio ripiegabile per passeggini, carrozzine e simili.
RU2651228C2 (ru) * 2015-11-13 2018-04-18 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 Объедков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коляска
CN105691435B (zh) * 2016-01-26 2018-02-16 昆山捷宝儿童用品有限公司 可折叠婴儿车
KR200482231Y1 (ko) 2016-06-17 2017-01-02 주식회사 쭈쭈베베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
US10882546B2 (en) 2018-03-07 2021-01-05 Zhongshan Kingmoon Children Products Co. Ltd. Stroller
CN108297927B (zh) * 2018-04-08 2024-01-23 徐亮 一种应用于便携式儿童手推车上的折叠车架结构
IL271897B2 (en) 2019-01-14 2023-07-01 Babyzen Stroller accessories and double stroller assembly
FR3100520B1 (fr) 2019-09-06 2022-05-13 Babyzen Accessoire pour poussette, ainsi qu’ensemble formant poussette double
FR3091684B1 (fr) 2019-01-14 2021-01-22 Babyzen Accessoire pour poussette, ainsi qu’ensemble formant poussette double
CN109927771B (zh) * 2019-04-19 2024-02-23 昆山爱果儿童用品有限公司 用于婴儿车车架的支架及设有该支架的婴儿车车架
US11679796B2 (en) 2020-01-22 2023-06-20 Jacob Morrise Foldable baby stroller
CN116476904A (zh) * 2022-01-13 2023-07-25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辅助收折或展开手推车的车架的辅助机构和手推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6916A1 (en) 2006-04-25 2007-10-25 Link Treasure Limited Baby stroller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3309A (en) * 1945-12-13 1949-09-27 Amaducci Mario Combination folding chair and table
US3453023A (en) * 1968-02-01 1969-07-01 Lorraine Ind Inc Foldable chair
JPS5318787B2 (ko) * 1973-03-07 1978-06-16
JPS5135903Y2 (ko) * 1973-01-25 1976-09-03
DE3337493C2 (de) * 1983-10-14 1986-05-15 Peg Perego Pines GmbH, 8060 Dachau Zusammenfaltbarer Kindersportwagen
US5246265A (en) * 1992-09-18 1993-09-21 Nagan Karen A Lounge chair
CN1047758C (zh) * 1995-02-15 1999-12-29 好孩子集团公司 摇篮式童车
CN2483285Y (zh) * 2001-05-22 2002-03-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
TWM257304U (en) * 2003-05-06 2005-02-21 Link Treasure Ltd Framework structure for baby carriage
US7328953B2 (en) * 2003-09-12 2008-02-12 Columbia Medical Manufacturing, Llc Customized articulating anatomical support
TWM257306U (en) * 2003-11-12 2005-02-21 Link Treasure Ltd Framework structure for baby carriage
CN100387469C (zh) * 2005-04-30 2008-05-1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KR101368447B1 (ko) * 2005-09-30 2014-02-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FR2972990A1 (fr) * 2008-05-26 2012-09-28 Dorel France Sa Chassis de poussette pour enfant a deux positions pliees, et poussette correspondante
FR2933362B1 (fr) * 2008-07-04 2011-01-21 Gilles Henry Poussette plia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6916A1 (en) 2006-04-25 2007-10-25 Link Treasure Limited Baby stroller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65538B2 (en) 2013-09-05
EP3173308A1 (fr) 2017-05-31
BRPI0915707B1 (pt) 2019-04-09
KR20110069767A (ko) 2011-06-23
CA2729691C (en) 2016-02-02
ES2439007T3 (es) 2014-01-21
PL3173308T3 (pl) 2019-03-29
EP2307257A1 (fr) 2011-04-13
ES2700124T3 (es) 2019-02-14
EP2684767A1 (fr) 2014-01-15
EP2684767B1 (fr) 2016-12-21
DK3173308T3 (da) 2019-01-02
DK2684767T3 (en) 2017-04-03
US8360461B2 (en) 2013-01-29
WO2010000987A1 (fr) 2010-01-07
EP3173308B1 (fr) 2018-08-29
CN102083675A (zh) 2011-06-01
FR2933362B1 (fr) 2011-01-21
PT3173308T (pt) 2018-12-06
JP5516906B2 (ja) 2014-06-11
CA2729691A1 (en) 2010-01-07
BRPI0915707A2 (pt) 2015-10-27
EP2684767B8 (fr) 2017-03-15
ES2620004T3 (es) 2017-06-27
US20110089670A1 (en) 2011-04-21
EP2307257B1 (fr) 2013-09-11
FR2933362A1 (fr) 2010-01-08
CN102083675B (zh) 2013-03-27
AU2009265538A2 (en) 2011-02-24
AU2009265538A1 (en) 2010-01-07
PL2684767T3 (pl) 2017-07-31
RU2506187C2 (ru) 2014-02-10
NZ590814A (en) 2013-05-31
PT2684767T (pt) 2017-03-29
MX2010014563A (es) 2011-03-29
JP2011526506A (ja) 2011-10-13
RU2011103912A (ru) 201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637B1 (ko) 접이식 유모차
US7390012B2 (en) Folding baby buggy
EP1671869B1 (en) A foldable chassis for prams
US4681340A (en) Child's folding pushchair
EP1741614B1 (en) A foldable chassis for baby carriages
KR20020002238A (ko) 베이비-카
CN103201157B (zh) 用于支撑儿童的设备
US6877762B2 (en) Stroller
US20020093177A1 (en) Stroller capable of carrying a baby basket
KR20220052306A (ko) 푸시-풀 왜건
JP2015058930A (ja) ベビーカー用シャーシ
GB2616533A (en) Child support apparatus and juvenile support assembly
TW201348046A (zh) 手推桿滑動式嬰兒車
EP1972522B1 (en) A foldable pushchair for babies and small children
GB2426231A (en) Pushchair or stroller with scissor folding action
CN211663319U (zh) 便携推车车架及儿童手推车
CN113264099A (zh) 儿童推车
TWI805154B (zh) 車架鎖定機構及具有該車架鎖定機構的手推車
CN216002743U (zh) 一种儿童推车
CN211442450U (zh) 一种可折叠的支架及设有该支架的婴儿车架
CN219056333U (zh) 一种儿童推车
CN213199878U (zh) 用于童车的车架和童车
KR101806067B1 (ko) 하나의 축으로 접혀지는 유모차
CN114572291A (zh) 儿童车的车架和使用该车架的儿童车
CN116923520A (zh) 折叠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