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06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06B1
KR101693206B1 KR1020150018243A KR20150018243A KR101693206B1 KR 101693206 B1 KR101693206 B1 KR 101693206B1 KR 1020150018243 A KR1020150018243 A KR 1020150018243A KR 20150018243 A KR20150018243 A KR 20150018243A KR 101693206 B1 KR101693206 B1 KR 10169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support portion
presen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504A (ko
Inventor
김중원
송복희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1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into the box-shap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 제1 바퀴 축 지지부 및 제2 바퀴 축 지지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캐리어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와 탈착이 가능한 제1 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바퀴 축 지지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와 동행할 경우에는, 유아를 등에 업거나 안은 상태로 외출하며, 또는 유아를 유모차에 태운 상태에서 이동한다.
여기서 유아는 유아기 때의 아기는 물론, 영아 및 유모차에 탑승할 수 있는 시기의 모든 어린 아이로 정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모차는 유아를 태울 수 있는 캐리어와 손잡이를 포함하며, 본체와 연결된 앞바퀴와 뒷바퀴 등으로 고정된다.
또한, 바퀴부분에는 유모차가 정지 했을 때 유모차를 운전하는 사람의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고정레버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유모차는 아이를 태우고 밀거나 끌고 다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유모차는 각각의 프레임에 힌지 부분을 설치해 접었다 폈다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프레임과 힌지 구조로 인해 접었다 폈다 할 때 심미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유모차의 전체적인 구조를 편하게 변경하는 유모차는 부족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가진 다양한 유모차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69767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모차 본 크기를 작게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본 발명은 캐리어, 제1 바퀴축 지지부 및 제2 바퀴 축 지지부가 구비된 본체, 캐리어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와 탈착이 가능한 제1 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하여 제1 바퀴 축 지지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은 곡선형태를 지니고, 상기 제1 프레임이 상기 본체를 통해 슬라이딩 하며 상기 캐리어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프레임이 고정 가능하도록 제1 본체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바퀴 축 지지부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딩 할 경우, 상기 제1 바퀴 축 지지부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임은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어치는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딩 할 경우, 상기 바퀴 축 지지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를 구성하는 제2 프레임이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제1 바퀴 축 지지부가 제2 프레임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1 바퀴 축 지지부,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기어부와 제1 바퀴 축 지지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2 프레임이 본체로 슬라이딩 하며 바퀴 축 지지부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1 바퀴 축 지지부가 회전한체 유모차 세워 보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캐리어(carrier)(100), 본체(200), 제1 프레임(300), 제2 프레임(400), 기어부(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캐리어(100)를 포함하고, 제1 바퀴 축 지지부(250) 및 제2 바퀴 축 지지부(270)가 본체(200)에 구비되며, 제1 프레임(300)은 캐리어(100)를 지지하며 본체(200)로부터 탈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200)는 제1 본체 구성부(200a) 및 제2 본체 구성부(200b)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본체 구성부(200a) 및 제2 본체 구성부(200b)는 제1 본체연결부재(205)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삽입공간(215)은 제1 본체연결부재(205), 제1 본체 구성부(200a) 및 제2 본체 구성부(200b)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제1 프레임(300) 이 슬라이딩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본체 구성부(200a, 200b)는 제1 고정홀(220a)과 제2 고정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홀(220a)과 제2 고정홀(220b)은 각각 제1 프레임(300)에 있는 제3 고정홀(300a)과 제2 프레임(400)에 있는 제4 고정홀(400a)과 교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핀(225a)을 서로 교차하는 제1 고정홀(220a)과 제3 고정홀(300a) 에 삽입함으로써 제1 프레임(300)이 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300)은 캐리어(1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사용자가 유모차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고정핀(225a)을 서로 교차하는 제1 고정홀(220a)과 제3 고정홀(300a)로부터 제거한 후 제1 프레임(300)을 제1 삽입공간(215)을 통하여 슬라이딩시켜 본체(200)로부터 분리 시킬 수 있다.
제2 고정핀(225b)은 서로 교차하는 제2 고정홀(220b)과 제4 고정홀(400a) 에 삽입하여 제2 프레임(400)을 본체(20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본체 구성부(200a) 및 제2 본체 구성부(200b)는 제2 본체연결부재(207)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 본체 연결부재(207)는 제1 본체 연결부재(205)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 구성부(200a), 제2 본체 구성부(200b) 및 제2 본체연결부재(207)는 제2 삽입공간(2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400)은 제2 삽입공간(225)을 통과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부(450)는 제2 프레임(400)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하여 제1 바퀴 축 지지부(250)가 제2 프레임(40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300)은 곡선형태를 지니고, 제1 프레임(300)이 본체(200)을 통해 슬라이딩 하며 캐리어(10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300)은 캐리어(100)를 지지하는 반원 형태를 지니지만 그 형태는 반원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서 본체(200)는 상기 제1 프레임(300)이 고정 가능하도록 제1 본체 연결부재(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캐리어(100)의 배치 각도를 그대로 사용할 때는 본체(200)에 있는 제1 삽입공간(215)를 구성하는 제1 본체연결부재(205)로 인해 제1 프레임(300)이 본체(200)로부터 고정될 수 있다.
즉, 본체(200)는 제1 본체연결부재(205)를 포함함으로써, 제1 프레임(300)이 슬라이딩 할 때 본체(200)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 본체연결부재(205)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서 기어부(450)는 제1 바퀴 축 지지부(250)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255)를 포함하며, 제2 프레임(400)이 본체(200)의 내부로 슬라이딩 할 경우, 제1 바퀴 축 지지부(25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는 제1 돌출부(210a)와 제2 돌출부(210b)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4에는 제1 돌출부(210a)와 제2 돌출부(210b)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기어부(450), 연결부(255)와, 제1 바퀴축 지지부(250)와 경계선을 형성하는 제1 돌출부(210a)와 제2 돌출부(21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서 제2 프레임(400)은 복수의 기어치(430)을 포함하며, 복수의 기어치(430)는 기어부(450)와 치합되어 제2 프레임(400)이 본체(200)의 내부로 슬라이딩 할 경우, 제1 바퀴 축 지지부(250)가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 유아를 태우지 않고 보관할 때, 제2 프레임(400)이 제2 삽입공간(225)으로 슬라이딩 되면, 제2 프레임(40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기어치(430)가 기어부(450)와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부(450a, 450b, 450c) 와 기어치(430)의 형태와 연결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기어부(450)는 제1 부분 기어(450a), 제2 부분 기어(450b) 및 제3 부분 기어(45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기어(450a)는 연결부(255)를 축으로 한다.
제2 부분 기어(450b)는 본체(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프레임(400)의 기어치(430)와 치합된다.
제3 부분 기어(450c)는 제1 부분 기어(450a)와 제2 부분 기어(450b)와 치합되며 본체(200)와 축연결 되어있다.
제2 프레임(400)이 제2 바퀴(230)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때, 제2 프레임(400)의 기어치(430)가 제2 부분 기어(450b)와 치합되어 제2 부분 기어(450b)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부분 기어(450b)와 치합되는 제3 부분 기어(450c)는 제2 부분 기어(450b)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3 부분 기어(450c)와 치합되는 제1 부분 기어(450a)도 제3 부분 기어(450c)의 회전에 따라 제3 부분 기어(450c)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부분 기어(450a)의 회전으로 제1 부분 기어(450a)와 연결된 연결부(255)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255)와 연결된 제1 바퀴 축 지지부(250)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퀴 축 지지부(250)와 제1 부분 기어부(450a)를 연결하는 연결부(255)는 고리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기어부의 개수와 방향은 제1 바퀴 축 지지부(2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제한을 두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400)은 위에서 설명한 본체(200)의 제2 삽입공간(225)로 삽입되어 유모차를 보관할 때의 크기가 유모차를 사용할 때보다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서 제2 프레임(400)의 상단부에 손잡이(410)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1 바퀴 축 지지부(250)가 회전한 체 유모차를 세워 보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사용자가 유모차를 보관할 때 제2 프레임(400)을 본체(200)로 슬라이딩 하면 제2 프레임(400)에 있는 기어치(430)와 기어부(450)의 치합으로 제1 바퀴 축 지지부(250)가 회전한다.
이는, 유모차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여 보관이 용이 하도록 하는 것인데, 제2 바퀴 축 지지부(270)와 제2 바퀴(230)가 연결되는 부분에 지지대(290)를 포함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를 사용하지 않을 때 유모차를 눕히거나 세워서 보관할 수 있고, 세워서 보관할 때는 제2 바퀴 축 지지부(270)에 포함되어 있는 지지대(290)를 사용하여 지면에 유모차가 세워질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0 : 본체
200a : 제1 본체 구성부
200b : 제2 본체 구성부
205 : 제1 본체연결부재
207 : 제2 본체연결부재
220a : 제1 고정홀
220b : 제2 고정홀
215 : 제1 삽입공간
225 : 제2 삽입공간
225a : 제1 고정핀
225b : 제2 고정핀
210 : 제1 바퀴
210a : 제1 돌출부
210b : 제2 돌출부
230 : 제2 바퀴
250 : 제1 바퀴 축 지지부
255 : 연결부
260 : 접합부
270 : 제2 바퀴 축 지지부
290 : 지지대
300 : 제1 프레임
300a : 제3 고정홀
400 : 제2 프레임
400a : 제4 고정홀
410 : 핸들
430 : 기어치
450 : 기어부
450a : 제1 부분 기어
450b : 제2 부분 기어
450c : 제3 부분 기어

Claims (5)

  1. 캐리어;
    제1 바퀴 축 지지부 및 제2 바퀴 축 지지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캐리어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와 탈착이 가능한 제1 프레임;
    상기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하여 제1 바퀴 축 지지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기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바퀴 축 지지부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딩 할 경우, 상기 제1 바퀴 축 지지부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곡선형태를 지니고, 상기 제1 프레임이 상기 본체를 통해 슬라이딩 하며 상기 캐리어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프레임이 고정 가능하도록 제1 본체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어치는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딩 할 경우, 상기 제1 바퀴 축 지지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150018243A 2015-02-05 2015-02-05 유모차 KR10169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243A KR101693206B1 (ko) 2015-02-05 2015-02-05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243A KR101693206B1 (ko) 2015-02-05 2015-02-05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04A KR20160096504A (ko) 2016-08-16
KR101693206B1 true KR101693206B1 (ko) 2017-01-05

Family

ID=5685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243A KR101693206B1 (ko) 2015-02-05 2015-02-05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89Y1 (ko) 2007-02-02 2007-12-13 박태규 휴대용 보행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3362B1 (fr) 2008-07-04 2011-01-21 Gilles Henry Poussette pliable
KR20140045464A (ko) * 2014-01-27 2014-04-16 주식회사 유진로봇 유아용 세발 자전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89Y1 (ko) 2007-02-02 2007-12-13 박태규 휴대용 보행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04A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146472A (ja) 折畳み式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を有するベビーカー
US10449987B2 (en) Tandem stroller with sliding carriage
TWI657000B (zh) 嬰兒車
US20190185038A1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EP2799308A3 (en) Folding travel stroller latch and wheel positioning mechanism
KR20120030621A (ko) 유모차
EP2851264B1 (en) Chassis for baby pushchairs
US20170190349A1 (en) Folding stroller
US10575656B2 (en) Carrying device and folding method thereof
KR101643938B1 (ko) 접을 수 있는 바퀴,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EP2700559B1 (en) Foldable stroller frame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KR101693206B1 (ko) 유모차
EP2363334B1 (en) Articulated joint with locking means
KR102319131B1 (ko) 유모차
CN104149836A (zh) 儿童推车
CN205010293U (zh) 一种联动式折叠手推车
CN203864749U (zh) 一种折叠儿童推车
GB2560550B (en) Improved basket and stroller incorporating the same
CN103359144A (zh) 折叠式婴儿车
EP2386461A2 (en) Lockable articulation
JP6374749B2 (ja) ベビーカー
CN207449998U (zh) 可单双人转换的婴儿推车
CN203581045U (zh) 一种可折叠推车
TWM486332U (zh) 兩用式兒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