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58B1 -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558B1
KR101658558B1 KR1020140190116A KR20140190116A KR101658558B1 KR 101658558 B1 KR101658558 B1 KR 101658558B1 KR 1020140190116 A KR1020140190116 A KR 1020140190116A KR 20140190116 A KR20140190116 A KR 20140190116A KR 101658558 B1 KR101658558 B1 KR 101658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ethylene
weight
layer
tetra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819A (ko
Inventor
김현철
전형진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5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 및 환경 유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가 개시된다. 상기 데코시트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50 중량%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64 내지 94 중량%,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 0.5 내지 5 중량%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001 내지 1 중량%을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쇄적성을 가지는 층으로써, 프로필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및 α-올레핀의 함량은 각각 10 내지 90 몰%)를 포함하는 제1 스킨층; 및 상기 코어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접착성을 가지는 층으로써, 프로필렌 및 2 내지 10의 α-올레핀 공중합체(α-올레핀 함량이 50 중량% 이하)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스킨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deco-sheet using the Polypropylene multilayer film}
본 발명은 데코시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 및 소각시 환경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난연성이 있으며, 가공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인테리어시트나 장식시트라고 불리는 다양한 문양이 인쇄된 데코시트는 인테리어의 목적으로 가구, 전자제품 또는 건축자재 등에 부착하기도 하고, 래핑 가공용, 유리창용 또는 각종 전자제품의 표면 마감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시트를 의미한다.
종래의 데코시트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필름을 원단으로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그라비아 인쇄기를 통해 잉크를 인쇄함으로써,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에 각종 다양한 문양이 표출되도록 착색층을 형성시킨 후, 원단의 하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고, 이형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주원료인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그 특성상 가공시에 가소제가 필수적으로 첨가되는데, 상기 가소제는 대부분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로 규정되어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다량 함유된 소재로 제조된 내장재를 주택에 사용할 경우, 그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폴리염화비닐 소재는 물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나, 내구성이 떨어지고 소각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등, 환경 유해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새집증후군 등의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한 데코시트가 개시 되고 있으나, 캘린더 성형이 어렵고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 때문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0011290호 및 2002-0011289호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수지에 무기충진제, 블로킹방지제, 활제 및 안정제 등을 혼합하여 캘린더 가공이 가능한 데코시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다량의 무기 충진제를 사용하여, 기재(Base Resin)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제품으로 성형시 데코시트의 물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취약하며 가연성으로 연소시 불에 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용성 및 가공 후 외관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환경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난연성이 있는 새로운 친환경 데코시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 및 소각시 환경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연성을 부여하고, 난연성 부여시 가공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50 중량%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64 내지 94 중량%,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 0.5 내지 5 중량%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001 내지 1 중량%을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쇄적성을 가지는 층으로써, 프로필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및 α-올레핀의 함량은 각각 10 내지 90 몰%)를 포함하는 제1 스킨층; 및 상기 코어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접착성을 가지는 층으로써, 프로필렌 및 2 내지 10의 α-올레핀 공중합체(α-올레핀 함량이 50 중량% 이하)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스킨층을 포함하는 데코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는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 및 소각시 환경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난연성을 가지며, 제조시 가공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는 옥외 및 야외에서의 사용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a) 및 실시예 4(b)에 따라 제조된 데코시트의 단층을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 촬영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는 난연성이 취약한 필름에 올리고머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oligomeric hindered alkoxy amine)를 혼입하면 난연성 및 가공성이 동시에 부여되는 특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상 폴리올레핀(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저분자량의 난연제를 첨가하거나, 불연성 물질로써 물, 실리카, 유리, 마이커, 기타의 규산염류, 칼슘염류 또는 알루미늄염류 등의 대량의 무기물을 충전시키는 방법, 고분자의 성분으로 난연성을 부여하는 원소를 갖고 있는 화합물을 삽입하여 난연성 단위체(monomer)를 중합하는 방법 또는 고온에서 열에 안정한 고분자나 분해 후에 고형 잔물이 많은 내열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첨가제로 사용되는 난연제는 할로겐계, 인계, 무기계 난연제 및 난연 상승제 등이 있다. 할로겐계 난연제의 할로겐계 화합물은 기체상에서 발생하는 라디칼을 안정화 시켜 난연 효과를 가지게 되며, 연소 시 ㆍOH 라디칼 등의 활성화 라디칼은 화학반응을 통하여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잠열은 주위 인화성물질이 연소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난연제는 상기 반응처럼 활성 라디칼인 ㆍOH 및 ㆍO의 농도를 줄이고 연쇄반응을 정지시켜 난연 효과를 부여하는데 연소시 C-X결합의 절단은 흡열반응으로 가연성물질의 연소열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분해시 불연성 기체를 발생시켜 산소를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실제적인 난연 효과는 HX가 부여하게 되는데, 상기 HX는 반응하여 저에너지원의 X라디칼로 전환되는 효과를 보이며, 고체상에서도 난연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HX는 가연성 물질의 산화촉매로 작용하여 산화된 물질은 환 구조화되어 결과적으로는 탄소화합물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X는 할로겐 원소로써 염소(Cl), 브롬(Br), 아이오딘(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화합물은 산소 및 잠열을 차단하여 가연성 물질이 연소영역 이하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염소는 액상 및 고상에서는 무거운 가스로써 표면을 덮어 열과 산소를 차단하는 효과 및 탄화하기 쉬운 이중결합을 가진 화합물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여 난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할로겐 난연제는 필름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성이 취약한 면이 있는 브롬계 난연제 및 염소계 파라핀 등의 경우는 가격 저렴하지만 열 안정성이 약하다. 상기 난연제는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과량을 첨가해야 한다. 그러나 60 내지 80 ㎛의 두께, 6 내지 8 m의 폭을 가지고, 5 내지 7배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MD), 9 내지 12배의 횡 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 연신 공정을 거치는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할 때, 난연제의 과량 첨가는 필름의 열 안정성을 떨어트린다. 열 안정성이 떨어지면 이축연신을 할 때, 즉 230 내지 270 ℃의 다이, 100 내지 150 ℃의 기계 방향(MD 방향)으로 연신 및 150 내지 200 ℃의 횡 방향(TD 방향)으로 연신을 할 때 필름이 불안정해져서 필름의 파단 등 가공의 어려움을 초래 한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제조에서 난연성을 보이기 위해서 상기 기존 난연제를 과량 첨가하면 물성의 저하가 일어나서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가공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필름의 물성을 유지 할 수 있고, 동일한 피페리딘 유도체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용성이 우수하며,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 및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Light Stabilizer)를 사용하여, 과량이 첨가하면 필름 가공을 어렵게 만들 수 있는 난연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면서, 필름 가공시 상기의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를 소량 첨가해도 일어날수 있는 필름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Light Stabilizer)를 첨가하여 열 안정성을 증가시켜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는 예를 들면,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1-헵틸-2-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및 1-펜틸-2-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유도체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ㆍ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는 과산화물 분해제와 라디칼 스케빈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자외선 안정제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고 정지시키는 라디칼 스케빈저의 역할을 함으로써, (여기서 라디칼 스케빈저란, 라디칼에 수소원자를 주어 분해시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고 정지하는 것을 말한다.)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및 데코시트 외벽 사용시 UV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어서, 플라스틱 및 고무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열 뿐만 아니라 빛에 의해서도 분해되어 플라스틱의 변색, 표면의 갈라짐 및 기계적 물성저하 등의 플라스틱 노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외선 안정제는 태양광선 중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열 에너지로 바꾸거나 자외선으로부터 분해되어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소멸시킴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 플라스틱이 분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외선 안정제 중 힌더드 아민 광 안정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는 광 분해반응 중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여 광 산화반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힌더드 아민 광 안정제는 쉽게 산화되어 니트록실(Nitroxyl) 라디칼로 전환되고 고분자 라디칼과 반응해서 하이드록시아민 에스터(Hydroxyamine Ether)를 생성한다. 그리고 과산화 라디칼과 반응하여 안정한 니트록실 라디칼을 다시 생성함으로써 광 산화반응를 정지시킨다. 힌더드 아민 광 안정제는 흡수제와는 달리 표면 보호작용이 우수하고 얇은 단면을 갖는 제품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산소와 대부분의 재료가 접촉시 표면에서 쉽게 산화반응이 일어나는데, 압출 및 성형 가공시 열 및 기계적 전단력 등에 의해 알킬 라디칼이 발생하고 산소 및 잔류금속성분 등에 의해 급속하게 산화되어 라디칼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대부분의 재료는 생성된 라디칼에 의해 가교반응으로 불안정(brittle)해지거나 용융지수(Melt Flow Index, MI)가 감소되거나, 분해되어 용융지수가 증가하는 등 본래의 물성을 잃고 변질되어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산화방지제는 플라스틱을 비롯한 수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화 열화반응을 억제 및 방지하는 방법은 연쇄 개시반응의 금지, 연쇄 성장반응의 금지, 과산화물의 분해 등 세 가지의 방법이 있다. 연쇄개시 반응이 빛, 열, 방사선 중금속의 접촉작용 등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산화방지제에는 자외선 흡수제, 금속 불활성제 등이 있고, 발생한 라디칼을 포착하고 라디칼 연쇄반응의 진행을 막는 작용을 하는 산화방지제를 라디칼 연쇄 금지제라고 하고, 생성된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라디칼이 발생하지 않는 형으로 분해하는 작용을 하는 산화방지제를 과산화물 분해제라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100)은 난연성을 가지는 필름으로써, 코어층(104), 제1 스킨층(102) 및 제2 스킨층(106)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층(104)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100)에 있어서, 난연성을 부여하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층으로써,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의 함량이 50 중량%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 0.1 내지 5 중량%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001 내지 1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층(104)은 고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이루어지거나,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5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0.1 내지 5 중량%의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 및 0.001 내지 1 중량%의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및 5 내지 30 중량%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층(104)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TBBA),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DBDPO),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HBCD), 옥타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OBDPO),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BTBPE), 트리브로모페놀(TBP),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TBA폴리카보네이트올리고머, 브롬화폴리스티렌, TBA에폭시올리고머, 폴리머, TPA비스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에틸렌비스펜타브로모디페닐, 폴리브로모페닐옥사이드, 헥사브로모벤젠 등의 브롬계 난연제, 염소화파라핀, 퍼클로르시클로펜타데칸, 클로렌드산 등의 염소계 난연제, TPP,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방향족인산에스테르, 2에틸헥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TCP, 크레질페닐포스페이트, 레졸디페닐포스페이트, 클로르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β-클로르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르프로필포스페이트, 할로겐함유축합인산에스테르, 방향족축합인산에스테르, 폴리인산염, 적린 등의 인계 난연제, Mg(OH)2, Al(OH)2, Sb2O3, 구아니딘염, Sb2O5, 붕산아연, 몰리브덴 화합물, 주석산아연, 브롬화방향족트리아딘, 복합형 난연제 등의 무기계 및 실리콘계 난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104)은 1 내지 5 중량%의 산화방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di-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2-6-디-터-부틸-4-메틸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옥타데실-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코어층(104)에 포함되는 난연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상기 코어층(104)으로부터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의 난연성이 저하되며, 코어층(104)에 포함되는 난연제의 함량이 3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코어층(104)으로부터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의 연신강도가 저하되어 연신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
상기 코어층(104)의 무기물은 1 내지 3 ㎛의 입도를 가지는 탄산칼슘과 및 0.1 내지 1.0 ㎛의 입도를 가지는 이산화티타늄이 사용될 수 있는데, 탄산칼슘의 입도가 1 ㎛ 이하인 경우에는 미세기공의 생성이 불충분하므로 밀도 및 은폐력이 낮게 되고, 3 ㎛ 이상인 경우에는 기공이 너무 크게 되어 은폐력은 증가하나 무기물의 분산이 어렵고, 분산이 안될 경우 표면 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탄산칼슘과 이산화티타늄의 합계가 3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균일한 기공의 발생이 어렵고, 4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연신성이 나쁘게 되어 강도가 낮아진다. 상기 코어층(104)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리나이트(kalinite), 마이카(mica), 헥토라이트(hectorite), 불화헥토라이트(fluoro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스티븐사이트(stevens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할로사이트(hallosite), 볼콘스코이트(volkonskoite), 석코나이트(suconite), 마가다이트(magadiite), 케냐라이트(kenyai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기물은 종이의 특성인 재질과 느낌을 내거나, 내부의 마이크로 보이드를 유도하는 불투명 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층(104)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PE-g-MA),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PP-g-M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PR-g-M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PDM-g-M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아크릴 산(PE-g-A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EPR-g-A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EPDM-g-A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 개질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102)은 상기 코어층(104)의 일면(도면 1에서는 상부)에 형성되어 인쇄적성을 가지는 층으로써, 상기 제1 스킨층(102)은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 수지 및 1종 이상의 무기물을 압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102)의 수지는 프로필렌-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i) 프로필렌, (ii) 에틸렌 및 (iii)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등)의 공중합체, 즉 터폴리머(terpolymer, 삼원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102)의 수지가 터폴리머인 경우 열접착성이 더욱 부여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 프로필렌 및 에틸렌 함량은 각각 10 내지 90 몰%, 바람직하게는 각각 20 내지 8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40 내지 60 몰%이고, 예를 들면, 동일한 몰비율로써 각각 50 몰%이다. 여기서, 각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인쇄적성의 성능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의 굴곡탄성률(ASTM D790)은 2,000 내지 15,000 kg/cm2,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10,000 kg/cm2이다.
또한, 제1 스킨층(102)은 인쇄성을 부여하기 위해 표면처리가 될 수 있으며, 30 내지 60 dyne/cm의 필름표면 젖음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는 코로나 표면처리를 할 수도 있는데, 상기 코로나 표면처리의 측정은 포름아마이드(HCONH2) 및 메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C2H5OCH2OH)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액에 0.03 % 이하의 비토리어퓨어블루(BO(C33H32N3Cl)) 착색제를 소량 첨가하여 표준액을 제조하고, 가는 봉으로 상기 표준액을 적셔 시험편에 횡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도포한 후 표준액의 형태가 머무는 상태(약 2 내지 3초)로 젖음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킨층(102)은 인쇄적성의 향상을 위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PE-g-MA),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PP-g-M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PR-g-M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PDM-g-M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아크릴 산(PE-g-A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EPR-g-A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EPDM-g-A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 개질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킨층(106)은 상기 코어층(104)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인쇄 및 코팅 등의 후공정이 가능한 층으로써, 표면 착색, 접착제 및 프라이머 코팅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상기 제2 스킨층(106)은 표면 개질 수지 및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PE-g-MA),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PP-g-M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PR-g-M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PDM-g-M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아크릴 산(PE-g-A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EPR-g-A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EPDM-g-A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 개질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 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리나이트(kalinite), 마이카(mica), 헥토라이트(hectorite), 불화헥토라이트(fluoro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스티븐사이트(stevens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할로사이트(hallosite), 볼콘스코이트(volkonskoite), 석코나이트(suconite), 마가다이트(magadiite), 케냐라이트(kenyai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물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킨층(106)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수지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이다.
상기 제2 스킨층(106)의 수지는 프로필렌-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i) 프로필렌, (ii) 에틸렌 및 (iii)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등)의 공중합체, 즉 터폴리머(terpolymer, 삼원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제2 스킨층(106)의 수지가 터폴리머인 경우 열접착성이 더욱 부여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에 있어서, 프로필렌 및 에틸렌 함량은 각각 10 내지 90 몰%, 바람직하게는 각각 20 내지 8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40 내지 60 몰%이고, 예를 들면, 동일한 몰비율로써 각각 50 몰%이다. 여기서, 각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표면처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킨층(106) 수지의 굴곡탄성률(ASTM D790)은 2,000 내지 15,000 kg/cm2,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10,000 kg/cm2이다.
또한, 상기 제2 스킨층(106)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PE-g-MA),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PP-g-M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PR-g-M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PDM-g-M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아크릴 산(PE-g-A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EPR-g-A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EPDM-g-A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 개질 성분을 더욱 포함하여 인쇄적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스킨층(102, 106)은 용도에 따라 광택을 조절하여 유광(Gloss) 및 무광(Matte) 등의 다양한 광택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용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용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200)은, 코어층(104)과 제1 스킨층(102)의 사이 및/또는 코어층(104)과 제2 스킨층(106) 사이에 제1 및 제2 인터층(202, 204)이 더욱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1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인터층(202, 204)은 코어층(104)과 제1 및 제2 스킨층(102, 106)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박리 현상을 방지하거나, 은폐력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인터층(202, 204)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2 중량%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10의 다른 α-올레핀(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등, α-올레핀 함량: 5 내지 50 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몰%)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인터층(202, 204)은 고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터층(202, 204)은 고내열 수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내열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바람직하게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다.
상기 제1 및 제2 인터층(202, 204)은 무기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무기물은 상기 코어층(104)에서 상술한 무기물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인터층은 기능 및 용도에 따라, 단층뿐만 아니라, 2층, 3층 등의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은 5층, 7층, 9층 등의 다양한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용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104), 제1 및 제2 스킨층(102, 106), 제1 및 제2 인터층(202, 204)은 난연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활제, 블로킹방지제, 충진제, 방담제 및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은 첨가제의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각 층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은 각 수지 성분들을 적층된 필름 형태로 공압출한 후, 공압출된 필름을 이축연신시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층(104)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상기 제1 및 제2 스킨층(102, 106)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터층(202, 204)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를 필름 형태로 공압출하여, 상기 제1 스킨층(102), 제1 인터층(202), 코어층(104), 제2 인터층(204) 및 제2 스킨층(10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를 연신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적층체는 기계 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축연신될 수 있으며, 이축연신에 의해 강도 및 열수축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코팅 공정 혹은 라이네이션 공정이 불필요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축연신 장치에서 110 내지 140 ℃의 온도로 열처리 하면서 기계 방향(MD 방향)으로 5 내지 7배 연신하고, 140 내지 180 ℃의 온도로 열처리 하면서 횡 방향(TD 방향)으로 9 내지 12배 연신하는 이축연신에 의하여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이 형성된다. 횡 방향으로 열처리 하는 온도가 140 ℃ 미만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유연성이 부족하여 제대로 이축연신 되지 않고, 열처리 하는 온도가 180 ℃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불규칙하게 연신되거나, 필름의 파단 등이 발생하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의 물성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코시트용 이축연신 공압출 다층 필름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인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가공성 향상을 위해 광 안정성을 지니고 있는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산화방지제로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di-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1,3,5-Trimethyl-2,4,6-tris (3,5-di-t-butyl-4-hydroxybenzyl)benzene)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를 첨가함으로써,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난연성을 부여하며, 광 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가공성을 개선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데코시트의 제조
93.49 중량%의 에틸렌 함량이 50 %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2 중량%의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0.5 중량%의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0.01 중량%의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0.5 중량%의 아민계 대전방지제, 4.5 중량%의 4 내지 5 ㎛의 입도를 가지는 실리카계 블로킹방지제 및 폴리 프로필렌 수지 안정제를 포함하는 제1 스킨층(102) 형성용 수지 조성물,
72.49 중량%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2 중량%의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0.5 중량%의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0.01 중량%의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및 50%의 이산화 티타윰이 함유되어 있는 25 중량%의 마스터배치를 포함하는 제1 인터층(202) 형성용 수지 조성물, (여기서 마스터 배치란 투입하고자 하는 첨가제를 고농도로 농축하여 분산시켜 놓은 원료를 뜻한다.)
84.49 중량%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2 중량%의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0.5 중량%의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0.01 중량%의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 벤젠, 70 %의 탄산칼슘이 함유되어 있는 3 중량%의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및 50 %의 이산화 티타늄이 함유되어 있는 10 중량%의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를 포함하는 코어층(104) 형성용 수지 조성물,
72.49 중량%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2 중량%의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0.5 중량%의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0.01 중량%의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및 50%의 이산화 티타윰이 함유되어 있는 25 중량%의 마스터배치를 포함하는 제2 인터층(204)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및
93.49 중량%의 에틸렌 함량이 50 %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2 중량%의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0.5 중량%의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0.01 중량%의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 벤젠, 0.5 중량%의 아민계 대전방지제, 4.5 중량%의 4 내지 5 ㎛의 입도를 가지는 실리카계 블로킹방지제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안정제를 포함하는 제2 스킨층(106)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5개의 서로 다른 압출기에 각각 주입 및 용융시키고, T-Die를 이용하여 시트 형태로 공압출 하였다. 공압출된 시트를 냉각 시킨후, 이축연신하여 기계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8.5배 연신하여, 제1 스킨층(102), 제1 인터층(202), 코어층(104), 제2 인터층(204) 및 제2 스킨층(10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200)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스킨층(102), 제1 인터층(202), 코어층(104), 제2 인터층(204) 및 제2 스킨층(106)의 두께는 각각 2 ㎛, 8 ㎛, 40 ㎛, 8 ㎛ 및 2 ㎛ 였다.
[실시예 2] 데코시트의 제조
제1 스킨층, 제1 인터층, 코어층, 제2 인터층 및 제2 스킨층에 1 중량%의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및 0.3 중량%의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3] 데코시트의 제조
제1 스킨층, 제1 인터층, 코어층, 제2 인터층, 제2 스킨층에 3 중량%의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및 0.7 중량%의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4] 데코시트의 제조
제1 스킨층을 93.49 중량%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수지, 2 중량%의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0.5 중량%의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0.01 중량%의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0.5 중량부의 대전방지제 및 4.5 중량부의 기타 블로킹방지제 및 안정제등의 첨가제로 형성하였고, 제1 스킨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5] 데코시트의 제조
전체 두께를 60 ㎛에서 50 ㎛로 줄였고, 나머지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6] 데코시트의 제조
전체 두께를 60 ㎛에서 80 ㎛로 늘렸고, 나머지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데코시트의 제조
제1 스킨층(102), 제1 인터층(202), 코어층(104), 제2 인터층(204) 및 제2 스킨층(106)에 함유된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 벤젠을 첨가하지 않았고, 나머지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같다.
[실험예 1] 물성 평가 결과
하기 표 1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데코시트 각각의 물성을 평가해 나타낸 것이다. 열 안정성은 신뢰성 평가 시험법인 RS M 0042에 따라 진행 하였다. 열 안정성은 산화유도시간으로 측정하며, 산화유도시간 측정 시 표준조건은 온도 200 ℃ 상압에서 시험하고, 시차주사 열분석기(DSC)를 사용하며, 질소 및 산소의 가스선택 스위치와 유량조절기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고, 표준보정용 인듐 및 주석의 융점을 측정하여 각각 156.63 ℃, 231.97 ℃ 인지 확인한 후 필요시 보정한다. 저울은 시료 무게 0.1 mg까지 측정 가능한 분석용 화학천칭을 사용한다. 시험편 팬은 6.0 내지 7.0 mm의 직경 및 1.5 mm의 높이를 가지는 탈지된 알루미늄 팬 또는 산화된 구리 팬을 사용한다. 가스, 용제 산소 및 질소는 고순도 등급을 사용하고 용제는 시험편 팬의 탈지용으로 사용한다. 질소 기류 하에서 시험편을 가열하기 전에 유량계로 공급되는 질소의 유량을 측정하여 조절한다. 잔류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5분간 질소를 (50 ± 5) mL/min의 유속으로 흘려준 다음 동일한 질소분위기에서 20 ℃/min 의 가열속도로 실온부터 200 ℃까지 가열하고, 200 ℃에서 5분간 평형을 유지시킨 다음 질소는 차단하고 산소로 바꾸어 (50 ± 5) mL/min의 유속으로 흘려주고 이 때를 산화유도시간의 초기 점으로 한다. 산화가 진행되다가 발열반응에 의해 급격한 기울기가 나타나더라도 최소한 2분 이상을 등온상태로 계속 유지시킨다. 다만,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최소한 60분 이상은 등온상태를 유지시킨 후 산화유도시간의 종료 점은 발열반응곡선의 베이스라인과 발열반응에 따른 급격한 기울기선의 외 접선이 만나는 점으로 하며, 총 산화유도시간은 초기 점으로부터 종료 점까지의 시간(분)을 측정하여 표시한다.
Figure 112014126088127-pat00001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 예 1의 산화유도시간(Oxidation induction time)을 보면, 난연제를 첨가한 제품은 38.5 min이며, 첨가하지 않은 필름은 2.3 min의 결과를 보인다. 이는 난연제, 광 안정제 및 산화방지제가 혼입된 난연제가 데코시트 제품의 난연성을 향상시킨 영향으로 보인다. 또한, 도 3은 실시예 1(a) 및 실시예 4(b)에 따라 제조된 데코시트의 단층을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a)은 미세기공의 형성이 실시예 4(b) 보다 적고, 실시예 4(b)는 미세기공의 형성이 실시예 1(a)보다 스킨층이 깔끔하게 형성되어 있다.

Claims (9)

  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50 중량%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64 내지 94 중량%,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 0.5 내지 5 중량%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001 내지 1 중량%을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쇄적성을 가지는 층으로써, 프로필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및 α-올레핀의 함량은 각각 10 내지 90 몰%)를 포함하는 제1 스킨층; 및
    상기 코어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접착성을 가지는 층으로써, 프로필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 공중합체(α-올레핀 함량이 50 중량% 이하)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스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킨층은 인쇄성을 부여하기 위해 표면처리를 하고, 필름 표면의 젖음도가 30 내지 60 dyne/cm이고, 굴곡탄성률(ASTM D790)이 2,000 내지 15,000 kg/cm2인 것인, 데코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 알콕시 아민계 난연제는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1-시클로헥세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1-헵틸-2-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및 1-펜틸-2-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ㆍNN-비스(2,2,6,6- 테트라메틸-4-피페리딘)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데코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di-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2-6-디-터-부틸-4-메틸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옥타데실-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방지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데코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의 수지는 (i) 프로필렌, (ii) 에틸렌 및 (iii)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 공중합체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i) 프로필렌, (ii) 에틸렌 및 (iii)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의 함량은 각각 5 내지 90몰%인 것인, 데코시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아크릴 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 무수말레익산,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 그래프트 아크릴 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 개질 성분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데코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과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 사이의 어느 하나 이상에는 인터층이 더욱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터층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50 중량% 이하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α-올레핀 함량: 5 내지 50 몰%)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데코시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 및 인터층은 탄산칼슘, 이산화 티타늄,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마이카, 헥토라이트, 불화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스티븐사이트, 버미큘라이트, 할로사이트, 볼콘스코이트, 석코나이트, 마가다이트, 케냐라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데코시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층은 상기 코어층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가 사용되는 것인, 데코시트.
KR1020140190116A 2014-12-26 2014-12-26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KR101658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116A KR101658558B1 (ko) 2014-12-26 2014-12-26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116A KR101658558B1 (ko) 2014-12-26 2014-12-26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19A KR20160080819A (ko) 2016-07-08
KR101658558B1 true KR101658558B1 (ko) 2016-09-22

Family

ID=5650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116A KR101658558B1 (ko) 2014-12-26 2014-12-26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5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425A (ko) * 2017-10-18 2019-04-26 대림산업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20190044225A (ko) * 2017-10-20 2019-04-30 대림산업 주식회사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169B1 (ko) * 2018-01-16 2019-08-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102127492B1 (ko) * 2018-04-17 2020-06-29 대림에프엔씨 주식회사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322B1 (ko) * 1990-11-01 1999-07-15 간디 지오프리 에이치 프로필렌 중합체 필름 및 적층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5565A1 (en) * 2003-06-30 2004-12-30 Fischer Patrick J. Microporous article containing flame retardant
JP2007231036A (ja) * 2006-02-27 2007-09-13 Prime Polymer:Kk 耐放射線性を有する高透明ポリプロピレンシート形成用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耐放射線性及び電子線滅菌性に優れた包装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322B1 (ko) * 1990-11-01 1999-07-15 간디 지오프리 에이치 프로필렌 중합체 필름 및 적층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425A (ko) * 2017-10-18 2019-04-26 대림산업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102013168B1 (ko) * 2017-10-18 2019-08-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20190044225A (ko) * 2017-10-20 2019-04-30 대림산업 주식회사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101996363B1 (ko) * 2017-10-20 2019-07-04 대림산업 주식회사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19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9403B2 (en) Polyolefin compositions for building materials
JP6675331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TWI672333B (zh) 難燃劑組合物及難燃性合成樹脂組合物
KR101658558B1 (ko)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JP6328564B2 (ja) 難燃剤組成物及び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TWI450921B (zh) 阻焰組成物
WO2015162982A1 (j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5363195B2 (ja) 成形加工性に優れた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JP6901467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6482405B2 (ja) 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WO2015025701A1 (ja) 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WO2020203374A1 (ja) 難燃剤組成物および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TW201920426A (zh) 包含苯并呋喃酮及受阻胺光穩定劑之安定化聚烯烴組合物
KR101791562B1 (ko) 난연 에어쿠션 복합필름 및 그 제조 방법
EP1814724A2 (en) Flame retardant metallized polyester films having anti-dripping properties
JP2006249306A (ja) 難燃性フィルム
KR102501476B1 (ko)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WO2021002192A1 (ja) 耐熱安定助剤および耐熱安定剤組成物
JP2004131590A (ja) ポリエチ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
WO2021193883A1 (ja) 難燃剤組成物、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5611442B2 (ja) 多孔質フィルム
KR20200075017A (ko) 폴리올레핀용 신규 난연제 조성물
JP2015212339A (ja) ポリ乳酸系樹脂を含むフィルム
JP2003334910A (ja) 白色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MXPA00000239A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