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476B1 -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 Google Patents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476B1
KR102501476B1 KR1020220035627A KR20220035627A KR102501476B1 KR 102501476 B1 KR102501476 B1 KR 102501476B1 KR 1020220035627 A KR1020220035627 A KR 1020220035627A KR 20220035627 A KR20220035627 A KR 20220035627A KR 102501476 B1 KR102501476 B1 KR 10250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layer
film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욱
이진호
김기주
임종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상
Priority to KR102022003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1Thermoplastic elastomer p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제를 포함한 다층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 필름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인테리어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스킨층; 폴리프로필렌, 난연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코어층 및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실링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와 난연보조제로서 불소계 난연제 및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59.5 ~ 89.8 wt%, 하이드로탈사이트 10 ~ 40 wt% 및 불소계 난연보조제 0.2 ~ 0.5 wt%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및 정전기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Ethylene-Propylene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는 난연제가 첨가된 다층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인테리어용 시트에 비해 난연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난연성 부여시 가공성 및 투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 및 화재시 환경 유해 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이 있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층 상면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으로 인쇄가능한 장식층이 형성되어 원하는 인테리어가 가능하며, 장식미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FLAME RETARDANT CASTING-POLYPROPYLENE(CPP) FILM AND SHEET FOR INTERI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제를 포함한 다층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 필름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인테리어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용 시트는 일면에는 다양한 디자인이나 질감, 색상을 실현시켜주기 위해 인쇄가 되어 있고, 다른 일면에는 접착처리가 되어 있는 인테리어 마감재로서 실내의 문, 바닥, 벽 및 유리 등은 물론 가구나 가전제품 등의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인테리어용 시트는 염화비닐계 중 특히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l chloride)로 제조되고 있다.
하지만 PVC 수지를 가공할 때 첨가되는 가소제에는 대부분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로 규정되어 있어서 사람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PVC 수지는 물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나, 내구성이 떨어지고 화재 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등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올리핀계 특히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과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필름 등이 제안 되고 있다. 이 중에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제조방법에 따라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 등이 있으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보다 저렴하고, T-Die 공법으로 제조되어 두께가 균일하며 내열성, 내습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열접착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하여 실내 인테리어용 마감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2542호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에는 일정 수준의 불연성을 갖춘 방화 필름을 게재하고 있다.
하지만 준불연 방화필름 및 제조방법에 대한 대부분의 종래 기술은 난연제를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의 하면에는 프라이머를 통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표면 보호를 위한 바니쉬 처리가 된 단층구조의 필름으로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주변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능적 불량이 쉽게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8717호에는 알루미늄 박막층을 추가한 다층구조의 준불연 방화 필름을 게재하고 있으나, 중간층에 다른 수지 또는 다른 재질의 층이 형성되면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은 증가하지만 내층 사이의 접착성이 떨어지고, 이는 라미네이트의 제조 공정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용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 후 외관 품질이 우수하면서 환경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난연성이 우수한 인테리어용 시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2542호(2015년09월0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8717호(2020년12월02일)
본 발명은 환경 유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난연성을 갖는 다층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에 취약한 인테리어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형성하여 난연성이 우수한 인테리어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난연제를 포함하여도 투명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인테리어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스킨층; 폴리프로필렌, 난연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코어층 및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실링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와 불소계 난연제 및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59.5 ~ 89.8 wt%, 하이드로탈사이트 10 ~ 40 wt% 및 불소계 난연보조제 0.2 ~ 0.5 wt%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및 정전기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Ethylene-Propylene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킨층 및 실링층은 폴리프로필렌 70 ~ 100 wt%, 첨가제 0 ~ 10 wt%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 0 ~ 20 wt%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폴리프로필렌 50 ~ 95 wt%, 난연제 5 ~ 20 wt%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 0 ~ 30 w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는 난연제의 전체 중량 중 인계 난연제 85 ~ 95 wt%, 불소계 난연보조제 5 ~ 15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층은 백색 마스터 배치(White master ba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상부에 열부착되는 인쇄층과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하부에 도포되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인쇄층 상부에 인쇄층을 보호해주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보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는 난연제가 첨가된 다층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인테리어용 시트에 비해 난연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난연성 부여시 가공성 및 투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 및 화재시 환경 유해 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이 있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층 상면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으로 인쇄가능한 장식층이 형성되어 원하는 인테리어가 가능하며, 장식미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기반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다층 필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기반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다층 필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40)은 크게 스킨층(10), 코어층(20) 및 실링층(3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부"는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의 바깥쪽 방향에 있는 면을 의미하고, "하부"는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의 안쪽 방향에 있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스킨층(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상부의 외부 표면에 해당하며, 상기 실링층(30)은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의 제일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스킨층(10) 및 실링층(30)은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킨층(10) 및 실링층(30)은 폴리프로필렌 70 ~ 100 wt%, 첨가제 0 ~ 10 wt%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 0 ~ 20 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킹방지제는 필름간 접촉면의 접착강도를 줄임으로써 밀착을 방지하는 첨가제로서 실리카계(SiO2등), 제올라이트(Zeolite)계, 탄산칼슘(CaCO3)계 및 탈크(Talc)계 등의 무기물 분말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블로킹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립제는 표면에 윤활막을 형성함으로써 작용하고, 필름 및 시트의 접촉면의 마찰계수를 낮춤으로써 슬립성을 부여하는 첨가제로서 에루카미드(Erucamide), 올리아미드(Oliamide) 및 스테아라미드(Stearam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정전기방지제는 정전기 방지성능을 가지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에스테르계,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GMS)계, 아민계 및 아마이드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전기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및 정전기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상기 스킨층(10) 및 실링층(30)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 10 wt%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용도에 맞게 3종의 첨가제 모두를 적절히 혼합하여 전체 중량의 5 wt%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플라스틱 제품의 성형 과정에서 생산속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정전기를 제거하여 폭발, 화재 등의 위험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첨가제의 함량이 10 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내층 상에 열접착 온도가 높아져 저온 열접착을 방해하고 필름의 투명도 저하 및 증착 후 광택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킨층(10) 및 실링층(30)에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기반으로 인테리어용 시트로 사용시 접거나 늘릴 때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Polyolefin Elastome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Ethylene-Propylene Copolymer),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등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엘라스토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성과 고광택을 갖기 위해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부타디엔과 스타이렌을 유화중합하여 만든 공중합체로 내마모성,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과 가황이 평탄하고 안정된 스코치(Scorch)성과 용이한 가공성 등 폭넓게 사용이 가능한 물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는 프로필렌모노머와 에틸렌의 공중합체로 내오존성, 내후성, 내화학성, 직사광선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고, 저온에서 유연성이 좋으며 전기 절연물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스킨층 및 실링층의 조성물로 엘라스토머 대신 폴리에틸렌을 첨가하여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명성 및 고광택을 위해서는 폴리에틸렌 보다 엘리스토머를 첨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엘라스토머가 사용되는 경우 스킨층의 조성물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10 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wt% 이상에서는 필름에 스티키(Sticy) 현상으로 인한 블로킹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코어층(20)은 스킨층(10) 및 실링층(30)사이에 위치하며, 폴리프로필렌, 난연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층(20)은 폴리프로필렌 50 ~ 95 wt%, 난연제 5 ~ 20 wt%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 0 ~ 30 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층(20)은 필름의 기재로서 역할을 하고 인장 및 신장율, 필름의 스티프니스에 영향을 주며 고객이 원하는 스티프니스에 따라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고,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어층(20)에 포함되는 엘라스토머는 상기 스킨층(10) 및 실링층(30)에 언급한 엘라스토머의 종류와 동일하고, 상기 스킨층(10) 및 실링층(30)에 사용한 엘라스토머와 상기 코어층(20)에 사용한 엘라스토머는 동일한 성분일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성분의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기반으로 한 인테리어용 시트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코어층에 난연제를 첨가하였다. 연소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 재료에 물리, 기계, 화학적으로 개선하여 잘 타지 못하도록 첨가하는 물질을 난연제라고 한다. 또한, 난연제는 원재료와의 혼합성이 좋아야 하고, 최종제품의 기계적인 성질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며, 연소시 발연 및 독성의 발생이 적어야 한다.
이러한 상기 코어층(20)에 함유되는 난연성 성분(난연제, frame retardant)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화합물 난연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코어층(20) 전체 중량의 난연제 5 ~ 20 wt%가 바람직하며, 5 wt% 이하는 난연효과가 떨어지고, 20 wt% 이상은 난연제 함량이 너무 높아 접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유연성 또한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상기 코어층(20) 전체 중량의 난연제 10 ~ 15 wt%가 난연효과 및 투명성 유지에 바람직하다.
한편, 할로겐 난연제는 난연화가 뛰어나나, 다이옥신 발생 가능성으로 환경문제에 큰 압박을 받고 있다. 또한 난연제의 탈할로겐화와 더불어 재활용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유럽에서는 할로겐계 난연제 중 일부를 사용금지 시키고, 수입제품에 대해서도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계 난연제인 인 화합물은 연소 시 생성되는 폴리메타인산이 보호층을 형성하거나 폴리메타인산의 탈수 작용으로 인해 생성되는 탄소 피막이 보호층을 형성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연소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인계 난연제의 예로는, 적인, 인산 암모늄 등의 Phosphates, Phosphine oxide, Phosphine oxide diols, Phosphites, Phosphonates, Triaryl phosphate, Alkyldiaryl phosphate, Trialkyl phosphate, Resorcinaol bisdiphenyl phosphate (RDP) 등을 들 수 있다.
인계 난연제의 난연효과는 인의 함유량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인의 함유량이 높으면 난연효과가 상승하나 탄화막의 형성에 있어 급격한 뭉침 현상으로 불똥이 발생하여 2차적인 화재 위험을 가지게 되며 특히 고온고습에서 표면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난연보조제로서 불소계 난연제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불소계 난연제는 브롬계와 할로겐족에 속하는 유해 난연제를 대체할 수 있으며, 제품의 투명성 유지와 물성 유지가 탁월하다. 이 때 난연제의 전체 중량 중 인계 난연제 85 ~ 95 wt%, 불소계 난연보조제 5 ~ 15 wt%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난연제의 전체 중량에서 불소계 난연보조제의 함량을 낮추고 친환경 무기계 난연보조제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이드로탈사이트 난연보조제는 난연성이 낮고 첨가량이 많지만 분산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하며 유해성이 낮고 연기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하이드로탈사이트 난연보조제를 사용할 경우 난연제의 전체 중량 중 인계 난연제 59.5 ~ 89.8 wt%, 하이드로탈사이트 10 ~ 40 wt% 및 불소계 난연보조제 0.2 ~ 0.5 wt%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은 투명 필름으로 제조되고, 백색 필름으로 제조시 상기 코어층(20)에 폴리프로필렌 35 ~ 90 wt%, 난연제 5 ~ 20 wt%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 0 ~ 30 wt%, 백색 마스터 배치(White master batch) 5 ~ 15 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백색 마스터 배치는 10 wt%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은 두께가 20 내지 150 ㎛이고, 두께를 기준으로 상기 스킨층은 10~40 %, 상기 코어층은 20~80 %, 상기 실링층은 10~40 %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의 두께는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20 ㎛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 미만의 두께를 갖는 필름은 그 제조에 비용 증가를 야기하여 경제적인 생산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의 두께는 그 상한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내층을 적용함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만, 상기 필름의 두께가 150 ㎛를 초과하는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하여 인테리어용 시트로 제품에 부착할 때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은 20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 것이 제조 용이성 및 고속 포장성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을 기반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시트로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의 상부에는 원하는 무늬, 문양, 그림, 글씨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인쇄층(70)을 포함하고,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40)의 하부에는 특정 설치 대상에 부착하기 위해 점착제층(6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6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제층(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70)은 직접 인쇄 방식에 의한 직접 인쇄층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전사 인쇄 방식에 의한 전사 인쇄층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50) 상부에는 인쇄층을 보호해주는 표면보호층(8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표면보호층(8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층(60)은 시중에서 이용되는 어떠한 점착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여, 특히 투명성 및 점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형제층(50)에 사용되는 이형지의 종류, 형성 방법,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이형지는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설치 대상에 요구되는 추가적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이와 다른 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압출 라미네이션(T-Die) 공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제조공정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원료 조성물을 각각의 사일로(1)에 넣고, 압출기(2)로 압출하게 되는데, 이때, 용융되지 않은 수지가 통과하지 못하도톡 필터링(3)하면서 압출기(2)를 통해 T-Die(4)로 공압출하여 스킨층/코어층/실링층의 3층 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T-Die(4)로 압출된 용융된 수지를 35℃로 급속히 냉각시켜 결정을 형성하여 캐스팅(5)함으로써 필름으로 형성한다.
B-ray(두께측정기, 6)를 통해 목표로 하는 두께로 형성된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고 균일하게 조절한 후, 얻어진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기(7)로 처리하고, 필름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출기(8)를 통해 검출 제거하고, 얻어진 필름을 와인더(winder)(9)로 권취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한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하여 상부에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해 인테리어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고, 특정 설치 대상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난연제를 포함한 필름 구성별 Test
다음과 같이 표 1에 나타낸 바의 필름 조성 및 함량의 원료를 준비하여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3lay 공압출(Coextrusion)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스킨층(10): 폴리프로필렌 + (엘라스토머 or 폴리에틸렌) + 첨가제
코어층(20): 폴리프로필렌 + (엘라스토머 or 폴리에틸렌) + 난연제
실링층(30): 폴리프로필렌 + (엘라스토머 or 폴리에틸렌) + 첨가제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스킨층
(10~40%)
폴리프로필렌 100 95 95 85 85 95 100
엘라스토머 10
폴리에틸렌 10
첨가제 5 5 5 5 5
코어층
(20~80%)
폴리프로필렌 90 90 75 75 75 65 100
엘라스토머 15 15 15
폴리에틸렌 15
난연제 10 10 10 10 10 10
White M/B 10
실링층
(10~40%)
폴리프로필렌 100 95 95 85 85 95 100
엘라스토머 10
폴리에틸렌 10
첨가제 5 5 5 5 5
상기 표 1과 같이 난연제를 포함한 구성별 필름 제조 후 이들의 난연등급, 인장강도(kg/㎟), 신장율(%) 및 Haze(%)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난연등급 VTM 2 2 2 2 2 2 없음
인장강도 MD 3.0 3.0 2.7 2.2 2.3 4.3 2.7
TD 2.8 2.8 2.5 2.0 2.1 2.2 2.1
신장율 MD 700 700 720 780 760 770 800
TD 900 900 890 820 850 810 850
Haze - 39 39 39 39 45 90 10
이와 같이, 비교에 1과 실시예 1 내지 6의 난연등급을 비교해보면 필름의 코어층에 난연제를 첨가함으로써 난연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살펴보면 필름에 난연제,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 및 폴리에틸렌을 첨가하여도 비교예 1와 비슷한 물성을 확인할 수 있고, 스킨층, 코어층 및 실링층 모두 엘라스토머와 폴리에틸렌을 넣은 실시예 4, 6보다 실시예 1, 2, 3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대체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을 살펴보면 폴리에틸렌을 넣은 실시예 5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투명성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코어층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성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엔 등 필름의 구성에 따라 인장강도, 신장율 및 투명성의 차이가 있지만 용도에 맞게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2: 난연제 변경을 통한 필름 Test
다음과 같이 표 3에 나타낸 바의 난연제 조성 및 함량의 원료를 준비하여 표 4에 나타낸 바의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3lay 공압출(Coextrusion)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난연제1 난연제2
난연제 인계 85~95 % 59.5~89.8 %
난연보조제 hydrotalcite 10~40 %
불소계 5~15 % 0.2~0.5 %
항목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2
스킨층
(10~40%)
폴리프로필렌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코어층
(20~80%)
폴리프로필렌 95 90 85 80 85 80 98
닌연제1 5 10 15 20 2
난연제2 15 20
실링층
(10~40%)
폴리프로필렌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4와 같이 난연제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필름 제조 후 이들의 난연등급, 및 Haze(%)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2
난연등급 VTM 2 2 1 1 1 1 없음
Haze - 30 39 46 51 32 37 20
상기의 표 5의 결과를 통해 난연제의 함량이 5 wt% 미만의 경우는 난연효과가 없는 것을 알 수 있고, 난연제의 함량이 15 ~ 20 wt%일 때 난연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양의 난연제를 사용할 때 난연제 1보다 난연제 2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사용하면 투명성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코어층에 인계 난연제와 불소계 난연제 및 하이드로탈사이트 (hydrotalcite)를 첨가하여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인테리어용 시트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10: 스킨층
20: 코어층
30: 실링층
40: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50: 이형제층
60: 점착제층
70: 인쇄층
80: 표면보호층

Claims (6)

  1.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화합물을 포함한 스킨층(10);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화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화합물을 포함한 코어층(20) 및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화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첨가제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화합물을 포함한 실링층(30)으로 이루어지되,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와 불소계 난연제 및 하이드로탈사이트 (hydrotalcite)를 포함하고,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59.5 ~ 89.8 wt%, 하이드로탈사이트 10 ~ 40 wt% 및 불소계 난연보조제 0.2 ~ 0.5 wt%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및 정전기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Ethylene-Propylene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스킨층의 상기 제1 화합물 및 상기 실링층의 상기 제1 화합물은 각각 폴리프로필렌 70 ~ 100 wt%, 첨가제 0 ~ 10 wt% 및 엘라스토머 0 ~ 20 wt%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의 상기 제2 화합물 및 상기 실링층의 상기 제2 화합물은 각각 폴리프로필렌 70 ~ 100 wt%, 첨가제 0 ~ 10 wt% 및 폴리에틸렌 0 ~ 20 wt%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의 상기 제1 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 50 ~ 95 wt%, 난연제 5 ~ 20 wt% 및 엘라스토머 0 ~ 30 wt%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의 상기 제2 화합물은 폴리프로필렌 50 ~ 95 wt%, 난연제 5 ~ 20 wt% 및 폴리에틸렌 0 ~ 30 wt%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난연제의 전체 중량 중 인계 난연제 85 ~ 95 wt%, 불소계 난연보조제 5 ~ 15 wt%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백색 마스터 배치(White master batch)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방지제는 필름간 접촉면의 접착강도를 줄임으로써 밀착을 방지하는 첨가제로서 실리카계(SiO2등), 제올라이트(Zeolite)계, 탄산칼슘(CaCO3)계 및 탈크(Talc)계의 무기물 분말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슬립제는 표면에 윤활막을 형성함으로써 작용하고, 필름 및 시트의 접촉면의 마찰계수를 낮춤으로써 슬립성을 부여하는 첨가제로서 에루카미드(Erucamide), 올리아미드(Oliamide) 및 스테아라미드(Stearamide)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정전기방지제는 에스테르계,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GMS)계, 아민계 및 아마이드계 화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첨가제는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및 정전기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상기 스킨층 및 상기 실링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 10 wt%로 사용하고,
    상기 코어층은 필름의 기재로서 역할을 하고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또는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상부에 열부착되는 인쇄층과
    상기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하부에 도포되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인테리어용 시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상부에 인쇄층을 보호해주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보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시트.



KR1020220035627A 2022-03-22 2022-03-22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KR10250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627A KR102501476B1 (ko) 2022-03-22 2022-03-22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627A KR102501476B1 (ko) 2022-03-22 2022-03-22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476B1 true KR102501476B1 (ko) 2023-02-27

Family

ID=8532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627A KR102501476B1 (ko) 2022-03-22 2022-03-22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0157A (zh) * 2023-06-29 2023-09-22 华鼎国联四川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聚乙烯和膨胀阻燃剂的阻燃保护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3033A (ja) * 2007-12-12 2009-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KR101552542B1 (ko) 2011-04-21 2015-09-15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KR102188717B1 (ko) 2020-06-04 2020-12-09 이광원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KR102286459B1 (ko) * 2020-11-26 2021-08-05 주식회사 유상 용이한 개봉성을 갖는 무연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
KR20210107664A (ko) * 2018-12-20 2021-09-01 란세스 코포레이션 인-함유 난연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중합체 조성물에서의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3033A (ja) * 2007-12-12 2009-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KR101552542B1 (ko) 2011-04-21 2015-09-15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KR20210107664A (ko) * 2018-12-20 2021-09-01 란세스 코포레이션 인-함유 난연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중합체 조성물에서의 그의 용도
KR102188717B1 (ko) 2020-06-04 2020-12-09 이광원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KR102286459B1 (ko) * 2020-11-26 2021-08-05 주식회사 유상 용이한 개봉성을 갖는 무연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0157A (zh) * 2023-06-29 2023-09-22 华鼎国联四川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聚乙烯和膨胀阻燃剂的阻燃保护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790157B (zh) * 2023-06-29 2024-05-07 华鼎国联四川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聚乙烯和膨胀阻燃剂的阻燃保护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0278B2 (j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KR102128081B1 (ko) 친환경 생분해성 다층 랩 필름
US9951206B2 (en) Halogen-free plastic floor tile and modified polyester composition for use in producing the same
EP2703158B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deco sheet having outstanding moulding properties and glossiness
KR101677942B1 (ko) 데코타일 표층용 친환경수지 조성물 및 이를 구비한 데코타일
KR101816875B1 (ko) 폴리프로필렌 친환경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69358B1 (ko) 향상된 내열성, 침투차단성 및 차광성을 갖는 생분해성 연질 다층 식품포장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01476B1 (ko)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KR102157101B1 (ko)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2479A (ko) 친환경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30286198A1 (en) Eco-friendly thermoplastic polyurethane floor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6021813A1 (ko)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지의 제조방법
US20030134106A1 (en) Polyolefin film for use as a non-staining masking film
JP2011236703A (ja) 壁装材用抗菌防汚フィルム及びそれを積層して成る壁装材
US10538070B2 (en) Non-polyvinylchloride surface covering
KR101791562B1 (ko) 난연 에어쿠션 복합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04513812A (ja) 熱可塑性により成形可能なポリカーボネート複合材料、その製法、その使用ならびに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成形品
US20110223387A1 (en) non-pvc type calendered polyolefin sheet and the process thereof
KR20160080819A (ko)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JP5712836B2 (ja) 積層体及び建装材
KR101552542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KR102207972B1 (ko) 논슬립성이 우수한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논슬립 필름
KR101857850B1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선박용 난연 타일
CN100595228C (zh) 阻燃性聚烯烃配混料及其在表面覆盖物中的应用
JP2007131766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れらを熱成形して得られる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