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542B1 -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542B1
KR101552542B1 KR1020110037199A KR20110037199A KR101552542B1 KR 101552542 B1 KR101552542 B1 KR 101552542B1 KR 1020110037199 A KR1020110037199 A KR 1020110037199A KR 20110037199 A KR20110037199 A KR 20110037199A KR 101552542 B1 KR101552542 B1 KR 10155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parts
polypropylene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340A (ko
Inventor
김동희
이동형
홍순견
Original Assignee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스타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스타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54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피부착물에 부착성을 높이도록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가공된 필름 형태를 갖되, 상기 난연성 폴리프로펠렌 조성물은 용융흐름지수(MFI, 230℃/2.16㎏)가 0.1 내지 4g/10min이고, 평균밀도가 0.8~1.0g/㎤이며, 분자량이 560,000 내지 1,200,000mol/g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30 중량부, 용융강도를 증가시켜 캘린더 가공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충진제 0~100중량부(0은 제외), 점착성을 낮추고 슬립성을 증가시키도록 블록킹 방지제 0.4-5중량부, 조성물의 분산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활제 0.2-3 중량부, 안정제 0.1-1 중량부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필름층과;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 상부에 형성되어 보호 및 난연성 강화 기능을 수행하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목재, 철판 등의 표면을 마감할 수 있어 인체에 무해하며, 특히 선박과 같이 밀폐된 공간상에서 인테리어 마감재로 활용됨으로써 화재시 잘 타지 않아 안전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고,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형태로 인테리어가 가능하여 장식미도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SHEET FOR FINISHING SURFACE USING POLYPROPYLENE FILM HAVING A FUNCTION OF RESISTANCE TO FLAME}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경호르몬 및 발암물질 등 유해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할로겐 프리(Free)의 친환경 소재이면서 불에 쉽게 타지 않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용 또는 철판이나 선박용 내장재, 즉 인테리어를 위해 표면 마감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표면 마감재는 보통 PVC 필름 표면에 장식무늬를 직접 인쇄하거나 혹은 PET 필름 전사지에 인쇄한 후 PVC 필름 표면에 전사시키고 전사된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해 투명하면서 내구성 있는 PVC 스킨층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PVC 수지는 연질의 염화비닐 수지로서 가소제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의 촉감이 끈적거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PVC 필름이 적용된 선박용 인테리어 마감재의 경우 화재시 환경 호르몬 및 발암물질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선박의 경우에는 세계적으로 규제 대상이 되고 있으며, 나아가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용 인테리어 마감재의 경우 규정된 표면 연소성 시험을 만족하는 난연성능의 형식승인을 득 할 경우에만 설치를 인정하도록 규정을 강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는 친환경적이면서 무해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PET가 대체 소재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환경 호르몬을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PET 보다도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효과있게 응용하여 국제해사기구의 규정을 만족하면서 난연성을 갖는 시트형 마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난연성이 구현됨은 물론 환경 호르몬 및 발암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여 목재, 철판 등의 표면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과 같은 밀폐된 공간의 내장재로 활용하기에 적당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부착물에 부착성을 높이도록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가공된 필름 형태를 갖되, 상기 난연성 폴리프로펠렌 조성물은 용융흐름지수(MFI, 230℃/2.16㎏)가 0.1 내지 4g/10min이고, 평균밀도가 0.8~1.0g/㎤이며, 분자량이 560,000 내지 1,200,000mol/g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30 중량부, 용융강도를 증가시켜 캘린더 가공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충진제 0~100중량부(0은 제외), 점착성을 낮추고 슬립성을 증가시키도록 블록킹 방지제 0.4-5중량부, 조성물의 분산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활제 0.2-3 중량부, 안정제 0.1-1 중량부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필름층과;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 상부에 형성되어 보호 및 난연성 강화 기능을 수행하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을 구성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멜라민 난연제, 금속수산물계(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난연제, 안티몬계(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으로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을 구성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충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을 구성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블로킹 방지제는 실리카, 메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 또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을 구성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활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산 중 어느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과 상기 표면보호층 사이에는 문자, 글씨, 문양, 무늬를 표현하는 패턴인쇄층이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목재, 철판 등의 표면을 마감할 수 있어 인체에 무해하며, 특히 선박과 같이 밀폐된 공간상에서 인테리어 마감재로 활용됨으로써 화재시 잘 타지 않아 안전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고,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형태로 인테리어가 가능하여 장식미도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의 구성을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의 구성을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는 기저부를 이루는 프라이머층(1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머층(100)은 목재 혹은 철판 등의 피부착물에 잘 붙을 수 있도록 하는 층으로서,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피부착물은 목재(MDF, PB), 철판(EGI, GI, CR, CI) 외에도 석고보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층(100)의 상부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층(110)이 형성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110)은 난연성을 갖는 친환경 소재층으로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등록특허 제0220892호, 등록특허 제0493573호, 등록특허 제0544398호에 개시된 캘린더 가공이 가능한 조성물이다.
일반적으로 캘린더 가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 230℃/2.16㎏, ASTM D-1238; MFI)는 2 내지 10g/10min 정도이고 분자량이 100,000 내지 700,000 정도를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분자량이 560,000 내지 1,200,000mol/g이고, MFI(230℃/2.16kg)는 0.1 내지 4g/10min이며, 평균밀도는 0.8~1.0g/㎤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한 용융흐름지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은 등록특허 제0220892호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계 난연제, 멜라민 난연제, 금속수산물계(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난연제, 안티몬계(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으로 혼합된 난연제를 5~30중량부 포함한다.
이 경우, 기준은 용융흐름지수(MFI, 230℃/2.16㎏)가 0.1 내지 4g/10min이고, 평균밀도가 0.8~1.0g/㎤이며, 분자량이 560,000 내지 1,200,000mol/g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이다.
다시 말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난연제가 5~30중량부 포함된다.
여기에서, 중량부는 절대적인 개념인 중량%와는 다른 개념으로, 중량%가 전체 100에 대해 어떤 물질의 중량을 절대적인 수치로 표시한 것이라면, 중량부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어떤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나머지 물질의 중량을 기준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이때, 난연제는 다음 표 1과 같이 구별된다.
사용법에 의한 구분 구성 성분에 의한 구분 비고

첨가형


유기계

유기계

인계
비할로겐계
질소계(멜라민계)

무기계
인계+할로겐계
할로겐계
할로겐계+브로화합물,염소화합물


반응형

비닐기를 갖는 것

무기계

금속수산화물계

비할로겐계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기를 갖는 것 안티몬계
에폭시기를 갖는것 기타(몰리브덴계,징크브레이트계)
그리고, 난연성 폴리프로필렌에 적용되는 난연제 중에서 인계 난연제는,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할로알킬 포스테이트 등이 있으며, 열분해에 의해 인산 메타인산 폴리메타 인산을 생성하여 인산층에 의한 보호층의 형성과 폴리메타 인산에 의한 탈수 작용으로 생성된 층에 의한 차단 효과가 주로 작용한다. 주로 고상에서 난연효과를 나타내지만 기상에서도 H원자를 H2로 안정화시킨다.
결과적으로, 화재시 산소, 열, 화염 등을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멜라민계 난연제는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열이 가해지면 멜라민이 분해되면서 흡열반응과정과 응축상에서의 메커니즘 등에 기인한다.
금속수산화물계는 주로 탈수반응에 의한 흡열에 의한 연소를 지연한다.
2Al(OH)3 → Al2O3 + 3H2O - 298KJ/mol
Mg(OH)2 → MgO + H2O - 328cal/mol
3CaO·Al2O3· 6H2O → Al2O3 + CaO + H2O - 340cal/mol
또한, Al2O3 의 생성과 함께 단열층이 형성되어 난연작용을 한다.
뿐만 아니라, 안티몬계 난연제는 난연성은 극히 제한적이기는 하나 부수산물에 대한 시너지 효과로 난연성을 부여한다. 즉, 연소시 불연성 중질가스를 생성시켜서 연소를 진행시키는 가스들끼리의 반응을 억제시킴으로써 자기소화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난연제에 따라 과량사용시 가공성 저하로 발생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량은 5~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용융강도를 증가시켜 캘린더 가공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충진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충진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00중량부(0은 제외)가 첨가되는데, 10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물성을 급격히 떨어뜨리므로 상기 범위로 제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충진제로는 탄산칼슘, 탈크,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이 경우, 탄산칼슘은 평균입자 크기가 5-10㎛범위이고, 평균밀도는 2.5-2.9g/cm3의 범위이고, 이산화티타늄은 평균입자크기가 0.1-0.22㎛ 범위이고, 평균밀도는 평균밀도는 4.0-4.2g/cm3의 범위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충진제가 기존 본 출원인이 보유한 특허(제0220892호, 제0493573호)와 다른 이유는 난연제가 포함됨으로써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점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슬립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리카, 메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 또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블록킹 방지제(anti-blocking agent)로 첨가한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0.4-5중량부로 첨가되어야 하는데, 0.4 중량부 미만이면 캘린더 롤에 용융물이 점착되어 가공이 불가능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실리카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시트의 표면이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의 분산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제를 더 첨가하는데, 그 사용량은 0.2-3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칼슘 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안정제도 포함되는데, 상기 조성물의 열안정성, 광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며 과량 사용시 가공성 저하 등으로 시트(Sheet) 뭉침, 두께편차 심화, 투명도 저하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량은 0.1-1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필름 형태로 제조할 때 스타트 온도를 들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단순한 캘린더 가공에 맞는 단순 생산조건으로 세팅하여 가공할 경우 상술한 조성물이 배합 스티키(Sticy) 현상을 일으켜 캘린더 롤에 달라 붙어버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가공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합 스티키 현상을 극소화 혹은 완전히 배제시키기 위해 스타트 온도를 생산 셋팅온도보다 10℃ 낮게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즉, 가공할 세팅온도보다 10℃ 낮은 온도에서 스타트하여 정상온도, 즉 셋팅온도 조건까지 서서히 상승시켜 작업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조성물을 플레네터리 압출기나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 또는 버스 니이더에서 용융시키는데, 이때의 압출기의 온도는 180-26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용융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압출기 다이를 통과하여 워밍롤로 이송되고, 워밍롤은 150-170℃로 유지되면서 용융물을 혼련시켜 주거나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워밍롤에서 혼련된 용융물은 3-7cm의 폭으로 권취된 이송장치를 따라 필름으로 제조되며 캘린더 롤의 표면온도는 160-22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제조된 필름은 70-100℃로 급속 냉각된다.
한편,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110)의 상부에는 표면보호층(120)이 형성된다.
상기 표면보호층(120)은 투명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110)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이를 통해 난연성을 강화하게 된다.
이러한 표면보호층(120)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상기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투명 혹은 반투명 필름층 또는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바니쉬층을 형성한다.
다른 한편,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110)과 표면보호층(120) 사이에 패턴인쇄층(200)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패턴인쇄층(200)은 원하는 무늬, 문양, 글씨, 그림 등이 들어 가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즉 장식미를 갖도록 구현하는데 활용된다.
그리고, 상기 패턴인쇄층(200)은 전사, 그라비아 등 다양한 인쇄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용융흐름지수(230℃/2.16kg)가 3g/10min, 평균밀도가 0.90g/㎤, 평균분자량이 600,000mol/g인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130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20 중량부, 메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 0.8 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8 중량부 및 안정제(Irganox-B225, 시바가이기) 0.5 중량부의 배합물을 240℃로 유지된 플레네터리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다음, 캘린더 롤 표면온도가 230℃로 유지된 캘린더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형성된 필름은 80℃로 급속히 냉각(0-3℃ 냉각수 70m/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150㎛두께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난 것으로 난연제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이며 비교를 위한 예이다.
[실시예 2]
용융흐름지수(230℃/2.16kg)가 3g/10min, 평균밀도가 0.90g/㎤, 평균분자량이 600,000mol/g인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난연제 5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1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4 중량부, 탄산칼슘 20 중량부, 메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 0.8 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8 중량부 및 안정제(Irganox-B225, 시바가이기) 0.5 중량부의 배합물을 230℃로 유지된 플레네터리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다음, 캘린더 롤 표면온도가 210℃로 유지된 캘린더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인장강도(Kg/㎟), 신장율(%), 인열강도(Kg/mm) 및 캘린더 가공성, 난연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인장
강도
MD 3.05 3.08
TD 3.01 2.93

MD 515 506
TD 20.3 38.7

MD 18.76 8.57
TD 5.76 8.96
캘린더 가공성 양호 양호
난연성 미흡 양호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난연성을 갖는 인테리어 시트, 즉 표면 마감재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선박용 실내 마감재로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 프라이머층 110 : 폴리프로필렌층
120 : 표면보호층 200 : 패턴인쇄층

Claims (6)

  1. 피부착물에 부착성을 높이도록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가공된 필름 형태를 갖되, 상기 난연성 폴리프로펠렌 조성물은 용융흐름지수(MFI, 230℃/2.16㎏)가 0.1 내지 4g/10min이고, 평균밀도가 0.8~1.0g/㎤이며, 분자량이 560,000 내지 1,200,000mol/g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난연제 5~30 중량부, 용융강도를 증가시켜 캘린더 가공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충진제 0~100중량부(0은 제외), 점착성을 낮추고 슬립성을 증가시키도록 블록킹 방지제 0.4-5중량부, 조성물의 분산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활제 0.2-3 중량부, 안정제 0.1-1 중량부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필름층과;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 상부에 형성되어 보호 및 난연성 강화 기능을 수행하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을 구성할 때 첨가되는 충진제는 평균입자 크기가 5-10㎛이고 평균밀도는 2.5-2.9g/cm3인 탄산칼슘 또는 평균입자 크기가 0.1-0.22㎛ 이고 평균밀도는 4.0-4.2g/cm3인 이산화티타늄 중 하나이고;
    상기 안정제는 시바가이기사(社)에서 생산한 Irganox-B225를 사용하며;
    캘린더링시 스타트 온도를 생산 셋팅온도보다 10℃ 낮게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을 구성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멜라민 난연제, 금속수산물계(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난연제, 안티몬계(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을 구성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블로킹 방지제는 실리카, 메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 또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을 구성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활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층과 상기 표면보호층 사이에는 문자, 글씨, 문양, 무늬를 표현하는 패턴인쇄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KR1020110037199A 2011-04-21 2011-04-21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KR10155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199A KR101552542B1 (ko) 2011-04-21 2011-04-21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199A KR101552542B1 (ko) 2011-04-21 2011-04-21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340A KR20120119340A (ko) 2012-10-31
KR101552542B1 true KR101552542B1 (ko) 2015-09-15

Family

ID=4728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199A KR101552542B1 (ko) 2011-04-21 2011-04-21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476B1 (ko) 2022-03-22 2023-02-27 주식회사 유상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686B1 (ko) * 2017-03-02 2018-06-11 박정배 마이크로 캡슐 기반의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 캡슐 모듈
KR102407503B1 (ko) * 2020-12-30 2022-06-13 장우희 열 압착 기법을 활용한 비닐 가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73B1 (ko) 2000-08-01 2005-06-1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캘린더가 가능한 데코시트용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폴리에틸렌 필름 및 시이트의 제조방법
KR100642284B1 (ko) 2005-10-12 2006-11-02 새한미디어주식회사 비할로겐계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73B1 (ko) 2000-08-01 2005-06-1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캘린더가 가능한 데코시트용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폴리에틸렌 필름 및 시이트의 제조방법
KR100642284B1 (ko) 2005-10-12 2006-11-02 새한미디어주식회사 비할로겐계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476B1 (ko) 2022-03-22 2023-02-27 주식회사 유상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340A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252B1 (ko) 적층시트
KR19990083569A (ko) 방염성수지조성물및그로부터제조된성형물
KR101552542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JP2000127305A (ja) 化粧シート
JP2002029010A (ja) 発泡壁紙
EP3381672B1 (en) Non-polyvinylchloride surface covering
JP2002192669A (ja) 化粧シート
KR102310678B1 (ko) 점착력과 방염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1476B1 (ko) 난연성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및 이를 포함한 인테리어용 시트
KR101857850B1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선박용 난연 타일
KR20160131059A (ko) 복합 쉬트 및 피브이씨와 가소제가 없는 발포 장식 쉬트의 제조방법
JP4061724B2 (ja) 熱着色の抑制された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07016192A (ja) 不燃性樹脂組成物及び不燃性樹脂フィルム積層体
JP3499175B2 (ja) 着色性に優れた実質的に無色のノンハロゲン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積層シート
JP4734810B2 (ja) 化粧シート
JPH0948083A (ja) 低発煙性を有する難燃性装飾材
JP4592877B2 (ja) 化粧シート
KR101912078B1 (ko) 난연성 출력용 필름
JP2002067247A (ja) 化粧シート
JP2004160818A (ja) 化粧シート
JP2004027149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4780358B2 (ja) 化粧シート
JP5611442B2 (ja) 多孔質フィルム
JP4864192B2 (ja) 化粧シート
JP2004137757A (ja) 非ハロゲン系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