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078B1 - 난연성 출력용 필름 - Google Patents

난연성 출력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078B1
KR101912078B1 KR1020180007190A KR20180007190A KR101912078B1 KR 101912078 B1 KR101912078 B1 KR 101912078B1 KR 1020180007190 A KR1020180007190 A KR 1020180007190A KR 20180007190 A KR20180007190 A KR 20180007190A KR 101912078 B1 KR101912078 B1 KR 10191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ilm
weight
parts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율
김지성
최성환
이문선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Forming flame retardant coatings or fire resista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출력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잉크 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흡수층은, 바인더 100 중량부, 난연제 30 내지 60 중량부, 첨가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무기물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난연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출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연성 출력용 필름{Flame retardant output film}
본 발명은 난연성 출력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용 필름 중 잉크를 흡수하는 잉크 흡수층에 직접 난연성을 부여한 난연성 출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난연성은 가연성과 불연성의 중간으로 스스로 불꽃을 내면서 연소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여 연소하기 어려운 성질을 말한다. 즉, 스스로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의 전파 능력을 상실하게 하여 스스로 소화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의 난연성을 지닌 난연제는, 연소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플라스틱을 물리, 화학적으로 개선하여 연소가 어렵도록 첨가하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난연제는, 구성성분에 따라 유기계와 무기계로 분류되며, 유기계는 할로겐계와 인계로 분류되고, 무기계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안티몬계 등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할로겐계 난연제의 경우, 기체상에서 발생되는 OH 라디칼을 안정화 시켜 난연성을 가지며, 크게 브롬계와 염소계로 나눌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고 난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인계 난연제는 연소 시, 인 화합물의 열분해로 생성된 폴리메타인산의 보호층과 탈수작용에 의해 생성된 탄소피막이 산소를 차단하여 기상과 고상에서 난연성을 가지며, 환경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난연제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무기계 난연제는 연소 시, 열에 의해 분해되어 물,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염화수소 등 불연성기체를 방출하여 가연성기체를 희석시킴으로 산소의 접근을 방지하고, 흡열반응에 의해 냉각 및 열분해 생성물의 반응을 억제시키며,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이 쉬운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출력용 소재를 사용한 광고 및 인테리어와 같은 건축 내외장재가 디지털 소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여 시장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출력용 소재는 지하철, 백화점, 대형마트 등 사람들이 밀집해 있는 장소에서는 다양한 크기와 그 사용량이 많아 화재사고 발생 시 화염의 전파요인으로 작용하여 대형 화재사고를 일으켜, 인명피해는 물론 경제적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를 억제하고 치명적 유독가스를 적게 발생시키는 난연성 출력용 소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별도의 난연제가 포함되어 있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추가적인 난연처리를 하였으나, 할로겐계 난연제는 환경문제 및 발암문제 등으로 할로겐 물질의 많은 규제가 있어 사용에 어려움이 있고, 무기계 난연제는 낮은 분해온도와 난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많은 양이 투입되어야 함으로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인계 난연제는 용액 내 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적용이 쉽지 않고, 특히 난연성을 가지는 출력용 소재와 그 코팅조성물에 직접 적용한 기술보다는 상대적으로 내장 부품에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력용 필름 중 잉크를 흡수하는 잉크 흡수층에 직접 난연성을 부여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더불어 공정비용 절감을 할 수 있는 난연성 출력용 필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출력용 필름은,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잉크 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흡수층은 바인더 100 중량부, 난연제 30 내지 60 중량부, 첨가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무기물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난연성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필름은 플라스틱 필름, 발포 필름, 부직포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폴리염화비닐, 아크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라텍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할로겐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및 레벨링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물은 카올린 클레이, 알루미나,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새틴화이트,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 흡수층은 두께가 약 10㎛ 내지 6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이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비될 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세라믹 및 상용화제와 8:1:1 내지 5:4: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NVP(비닐피롤리돈)과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출력용 필름은, 잉크 흡수층의 무기물 구성으로 우수한 기재 밀착성, 잉크 흡수성, 칼라 재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환변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난연성을 얻기 위해 별도의 난연제가 포함되어 있는 소재로 사용하거나 추가적인 난연처리를 해야했으나, 잉크 흡수층 자체에 난연성을 직접 부여함으로써 공정비용 절감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제를 비할로겐계 물질을 사용하므로 환경 및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소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최소화하여 인명 피해 또는 환경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출력용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출력용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출력용 필름은 기재필름(100) 및 잉크 흡수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흡수층(200)은 기재필름(10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필름(100)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탈크릴레이트, 폴리카노베이트, 트리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다이아세틸렌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셀룰로오스, 아크릴나이트릴 등의 필름일 수 있으며, 기재되지 아니한 플라스틱 필름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100) 다수의 에어도트(air dot)층이 형성된 발포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도트(air dot)는 7mm 내지 25mm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m 일 수 있다. 이는, 충격흡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에어도트(air dot)가 7mm 미만이면 너무 작아 충격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25mm를 초과하면 필름 넓이 대비 직경이 너무 커 균형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100)은 부직포로 구비될 수 있다. 부직포는, 여과가 뛰어나며, 보온성, 성형성, 흡수성, 절연성, 방전성 등의 성질을 지니는 장점이 있어, 기재필름(100)으로 쓰기에 적합하다.
즉, 기재필름(100)은 플라스틱 필름, 발포 필름, 부직포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필름(100)은, 30㎛ 내지 2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재필름(100)의 두께가 30㎛ 미만일 경우, 난연성 출력용 필름의 강도가 지나치게 저하되어 후술하는 잉크 흡수층(200)의 형성이 어려울뿐더러 필름의 기대수명이 급격히 낮아질 수 있고, 두께가 250㎛를 초과할 경우, 효과 대비 무게 및 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하며, 부피로 인해 작업 시의 불편함을 초래하여 난연성 출력용 필름의 완성도가 오히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기재필름(10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비될 시 세라믹, 상용화제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표면이 수분을 배척하는 소수성을 형성하며, 통기성이 좋지 못한 플라스틱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에 세라믹을 첨가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은 이산화규소, 이산화 타이타늄, 운모, 점토, 황토, 제올라이트 중 하나의 입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 세라믹, 상용화제의 비율은 8:1:1 내지 5:4:1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용화제는 항상 1의 비율을 유지하며, 5:4:1의 중량비율로 근접할수록 친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또한, 혼합은 플라스틱을 약 200 내지 210로 용융한 후, 세라믹 입자와 상용화제를 혼합기에서 소정의 RPM (60 RPM이 바람직함)으로 8분 내지 12분간 회전시켜 혼합할 수 있으며, 혼합된 복합재료를 필름으로 제조하여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의 용융온도는 플라스틱의 점도를 고려한 용융온도의 실시예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혼합 RPM과 혼합시간도 실시예로서 실시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세라믹의 경우, 향균성을 가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의 혼합전에 은이 함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세라믹과 혼합하여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향균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재필름(10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시에 잉크 흡수층(200)이 보다 잘 접착될 수 있다.
잉크 흡수층(200)은 기재필름(100)의 상하면에 각각 코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흡수층(200)의 코팅은 그라비아코터, 슬롯다이코터, 바코더 등의 방법으로 기재필름(100)에 코팅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은 것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실시 예의 코팅 기술로써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코팅 후에는 오븐 등으로 가열하도록 건조하여 잉크 흡수층(200)이 기재필름(100)에 최종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흡수층(200)은 잉크가 흡수되어 이미지 등을 형성하는 층으로서, 잉크의 정착성, 칼라 재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황변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잉크 흡수층(200)은 바인더, 무기물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난연성을 더 형성하기 위하여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아크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라텍스 등의 고분자 수지일 수 있으며, 기재되지 아니한 고분자 수지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는 상기의 고분자 수지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혼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코올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의 바인더는 NVP(비닐피롤리돈)과 중합될 수 있다. 여기서, NVP(비닐피롤리돈)은 친수성 물질로서, 잉크 흡수층(200)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잉크가 표면에 보다 잘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무기물은 카올린 클레이, 알루미나,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새틴화이트,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재되지 아니한 다른 무기물들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물이 이산화티탄을 포함할 경우에는 난연성 출력용 필름에 자외선 차단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무기물은 바인더 100 중량부 대비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이는,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무기물에 비해 바인더의 함량이 많아져 잉크가 차단될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할 여지가 있고, 인쇄 시 인쇄장치의 중송, 막힘 및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무기물이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잉크 흡수층(200)과 기재필름(100)간의 분리되는 박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쇄 시에 인쇄 장치의 중송, 막힘 및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및 레벨링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산제는 무기물을 잉크 흡수층(200)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난연제 중 인계 난연제 사용 시 일반적으로 분산의 어려움이 있는데, 분산제는 유기용제와 수계에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습윤제 및 라벨링제는 잉크 흡수층(200) 코팅 시 표면장력을 낮추거나, 잉크 흡수층(200)의 코팅액의 흐름성을 개선시켜 기재필름(100)에 잉크 흡수층(200)의 코팅액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줄무늬, 분화구 등 모양 공정시에 모양이 퍼지는 등의 이상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첨가제는 0.5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잉크 흡수층(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출력용 필름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할로겐계로 형성될 수 있다.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기체상에서 발생되는 OH 라디칼을 안정화 시켜 난연성을 가지며, 크게 인계 난연제와 무기계 난연제로 나눌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고 난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할로겐계 난연제의 환경문제 및 발암문제를 보완한 것으로서, 브로민화물(bromide), 염화물(chloride)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친환경 난연제이다.
여기서, 인계 난연제는 적인, 인산에스테르 또는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포스핀옥사이드, 포스파젠 중 하나 일 수 있으며, 연소 시, 인 화합물의 열분해로 생성된 폴리메타인산의 보호층과 탈수작용에 의해 생성된 탄소피막이 산소를 차단하여 기상과 고상에서 난연성을 가지며, 환경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기계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삼산화, 오산화), 수산화마그네슘, 주석산아연, 구아니딘계, 몰리브덴산염, 지르코늄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연소 시, 열에 의해 분해되어 물,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염화수소 등 불연성기체를 방출하여 가연성기체를 희석시킴으로 산소의 접근을 방지하고, 흡열반응에 의해 냉각 및 열분해 생성물의 반응을 억제시키며,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이 쉬운 장점이 있다.
이러한 난연제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출력용 필름은 보다 친환경적으로 형성되어 연소를 억제하고, 치명적 유독가스를 적게 발생시키면서도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연제는 30 내지 60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이는, 3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시 난연성의 효과가 적게 형성되며, 60 중량부가 초과할 시 난연 효과의 상승은 얻을 수 있으나, 인쇄 품질에 영향을 주며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의 잉크 흡수층(200)은 두께가 약 10㎛ 내지 60㎛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잉크 흡수층(200)에 잉크 접착성이 떨어져 출력 후 이미지의 번짐, 박리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고, 60㎛ 두께를 초과할 경우, 두께에 비해 효과는 증가되지 않으나 비용이 증가하므로 경제성이 낮아지고, 잉크의 컬러 재현성, 즉 색구현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잉크 흡수층(200)은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선형 구조를 가지며,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15일 수 있다.
이러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단량체인 비닐아세테이트(Vinyl <21> acetate)에, 비닐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에틸렌(Ethylene) 등의 공단량체를 중합하여 선형의 중합구조를 지니도록 합성된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잉크 흡수층(200)의 점도를 조절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잉크 흡수층(200)의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코팅 후 또는 인쇄 후 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5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이는, 유리전이온도(Tg)가 -5 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잉크 흡수층(200)의 경화 및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를 초과할 경우 컬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10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가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현상 방지 기능이 미미하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 흡수층(200)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잉크 흡수층(200)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중 하나의 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이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가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용성 향상 후 안전성이 떨어지며,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는 이유에서이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잉크 흡수층(200)은 바인더, 무기물, 첨가제 및 난연제로 형성되어, 기재 밀착성이 높고, 잉크에 의해 프린팅될 때, 잉크의 흡수성, 칼라 재현성, 내스크래치성, 내황변성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잉크 흡수층의 조성물의 성분비를 나타낸다. 두께 200㎛인 기재필름 위에 하기의 조성물을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오븐(110, 1분 30초)에서 건조시켜 두께 10~60㎛의 잉크 흡수층을 형성하는 난연성 출력용 필름을 제작하였다.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아크릴 87.5 62.5 0 0 0 0 0 87.5 87.5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72.1 72.1 72.1
폴리비닐 알코올 27.9 27.9 27.9
폴리염화비닐 12.5 37.5 100 100 0 0 0 12.5 12.5
무기물 6.3 50.0 8.0 4.4 88.9 88.9 88.9 6.3 6.3
난연제 37.5 37.5 44.4 44.4 58.2 0 25 0 25
분산제 1.3 1.3 2.2 2.2 1.2 1.2 1.2 1.3 1.3
레벨링제 2.2 2.2 1.4 1.4 1.4
습윤제 0.1 0.1 0.1 0.1 0.1 0.1 0.1 0.1 0.1
[실험 예]
하기 표 2는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난연성 출력용 필름을 국제난연규격인증인 UL-94에 준거한 VTM, HB법으로 평가한 후 나타내었다.
Ul-94 VTM 테스트는 시편을 13mm 직경의 봉에 말아서 윗 부분을 테이핑하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 후, 시편에 3초간 2회의 접염을 실시한 후 제품의 연소 양상 및 주위로의 화염전파 정도를 측정 후 난연등급을 평가한다. 난연등급은 VTM 0 > VTM 1 > VTM 2의 순이며 등급 외는 난연성능이 없는 것으로 한다.
Ul-94 HB 테스트는 시편의 길이 방향으로 한 쪽 끝에서부터 25mm, 100mm 거리에 마킹 후 시편의 한쪽 끝에 불꽃을 30초 동안 가하고, 불꽃이 25mm 마킹 표시를 지날 때부터 100mm 마킹선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속도를 계산 후 3mm 미만 두께의 시편이 연소속도가 75mm/min이거나 연소거리가 75mm미만일 때 난연기준을 만족하며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난연성능이 없는 것으로 한다.
난연
시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VTM
테스트
VTM
1
VTM
1
VTM
1
VTM
1
VTM
1
등급
등급
등급
등급
HB
테스트
Pass Pass Pass Pass Pass 등급
등급
등급
등급
표 2를 참조하여 난연성 출력용 필름의 평가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5가 비교예 1 및 4와 달리 난연등급을 VTM 1 및 Pass를 받음으로써 난연성능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난연성 출력용 필름은 기재필름(100)과 잉크 흡수층(200)의 밀착성이 우수하며, 잉크 흡수층(200)에 잉크 흡수력, 칼라 재현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여, 인쇄 시 우수한 인쇄품질과 더불어 난연성 우수하여 연소를 억제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기재필름
200 : 잉크 흡수층

Claims (5)

  1.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잉크 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흡수층은,
    바인더 100 중량부, 난연제 30 내지 60 중량부, 첨가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무기물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난연성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비되며,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세라믹 및 상용화제와 8:1:1 내지 5:4: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 세라믹 및 상용화제의 혼합은,
    플라스틱을 200 내지 210℃로 용융한 후, 세라믹 입자와 상용화제를 혼합기에서 60 RPM으로 8분 내지 12분간 회전시켜 혼합하며,
    상기 세라믹은 혼합전에 은이 함유되고,
    상기 기재필름은 두께가 30㎛ 내지 250㎛ 이며,
    상기 잉크 흡수층은 두께가 10㎛ 내지 60㎛ 이고,
    상기 잉크 흡수층은,
    선형 구조를 가지며,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15℃인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할로겐계로 형성되며,
    상기 무기물은,
    카올린 클레이, 알루미나,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새틴화이트,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코올이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잉크 흡수층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 10 내지 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출력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출력용 필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및 레벨링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난연성 출력용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NVP(비닐피롤리돈)과 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출력용 필름.
KR1020180007190A 2018-01-19 2018-01-19 난연성 출력용 필름 KR10191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90A KR101912078B1 (ko) 2018-01-19 2018-01-19 난연성 출력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90A KR101912078B1 (ko) 2018-01-19 2018-01-19 난연성 출력용 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80 Division 2017-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078B1 true KR101912078B1 (ko) 2018-10-30

Family

ID=6410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190A KR101912078B1 (ko) 2018-01-19 2018-01-19 난연성 출력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0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452A (ja) 2001-02-15 2002-11-05 Hiraoka & Co Ltd 難燃性印刷用膜材
JP2004181948A (ja) * 2002-11-22 2004-07-02 The Inctec Inc 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材料
JP2004182957A (ja) * 2001-12-11 2004-07-02 Osaka Gas Co Ltd プラスチック材料、再生プラスチック材料及び成形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452A (ja) 2001-02-15 2002-11-05 Hiraoka & Co Ltd 難燃性印刷用膜材
JP2004182957A (ja) * 2001-12-11 2004-07-02 Osaka Gas Co Ltd プラスチック材料、再生プラスチック材料及び成形体
JP2004181948A (ja) * 2002-11-22 2004-07-02 The Inctec Inc 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材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7832B2 (ja) 機能性発泡壁紙
KR100784442B1 (ko) 난연성을 가지는 피이티지 필름
KR101912078B1 (ko) 난연성 출력용 필름
JP2003073492A (ja) 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2310678B1 (ko) 점착력과 방염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11189A (ja) 抗菌性難燃ポリマー部材
KR101552542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
JP2012111188A (ja) 断熱性難燃ポリマー部材
CN113710740B (zh) 树脂组合物和树脂片
JP2012143930A (ja) 防湿性難燃ポリマー部材
JP2004160818A (ja) 化粧シート
JP4592877B2 (ja) 化粧シート
KR20160112516A (ko) 난연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물
WO2019087982A1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シート
JP2012106401A (ja) 防汚性難燃ポリマー部材
JP2004149664A (ja) シート状成形体及び化粧シート
WO2023032865A1 (ja) 積層体
JP7322455B2 (ja) 難燃シート
JP6690274B2 (ja) 積層シート及び発泡壁紙の製造方法
JP2005212385A (ja) 化粧シート
JP4864192B2 (ja) 化粧シート
JP2005181868A (ja) 不燃性表示体または不燃性看板
WO2022157594A1 (en) Article with a film adhered and laminate
JP2012153083A (ja) 光選択透過性難燃ポリマー部材
JP2005212386A (ja) 化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