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225A -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225A
KR20190044225A KR1020170136383A KR20170136383A KR20190044225A KR 20190044225 A KR20190044225 A KR 20190044225A KR 1020170136383 A KR1020170136383 A KR 1020170136383A KR 20170136383 A KR20170136383 A KR 20170136383A KR 20190044225 A KR20190044225 A KR 20190044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pylene
film
resin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363B1 (ko
Inventor
박노웅
한세수
김현철
전형진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3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8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connecting using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가구 외면에 사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 표면층(80);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상부에 위치하고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층(40);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인쇄되는 인쇄면(30); 및 상기 인쇄면(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층(5); 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5)은 상기 접착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폴리프로필렌층와 폴리에틸렌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10) 및 상기 보호필름(10) 하부에 가열 압착되어 적층되어 있는 접착층(20); 을 포함하는 것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Th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and a method for preparing wood patter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 외면으로 사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코시트용 필름은 가구 외면에 사용될 때, 인쇄면의 보호가 중요하다. 그러나 인쇄성능을 최대한 상승시키더라도 표면의 충격에 의해 인쇄면이 벗겨질 수도 있고, 가공 및 적재 시 충격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가 있어서 인쇄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상단에 투명필름을 접착하여, 충격에 의한 인쇄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부여해 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보호필름은 별도의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수분의 방어막(Barrier) 성능 등이 상대적으로 여타의 재질에 비해 우수하나, 접착을 위해 사용될 때에는 표면 저항이 낮은 편으로, 접착하는 데 있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접착력 문제 해결을 위해서, 종래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접착면에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여 표면을 개질 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인쇄필름과 접착했다. 이러한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 제10-0804826 B1호에 데코시트용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에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0622894 B1호에는 변성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하여, 인쇄필름과 보호필름을 열 합지를 통해 접착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4-0007639호에는 보호필름과 인쇄필름 간의 접착 시, 우레탄 접착제 도포 후 열간 압착을 통한 접착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 기술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전처리 방법과 그 접착방법에 의하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보호필름을 사용함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접착력, 강도 및 지속력이 낮아서 접착 표면에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호필름의 후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상기 전처리된 보호필름과 인쇄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간의 접착을 위해서 별도의 접착제 도포 공정 또는 별도의 폴리우레탄 수지나, 폴리우레탄 혼합 접착제의 선 도포 공정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보호필름과 인쇄필름 간의 접착을 위해, 보다 자세하게 종래의 방법인 보호필름 후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일정한 표면 접착력을 부여하고, 상기 프라이머로 도포된 보호필름 후면에 폴리우레탄 및 혼합 접착제 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필름에 도포하여 인쇄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를 접착하여 무늬목을 제작하였다. 상기 종래의 방법으로 무늬목을 제작할 때, 별도의 필름 전처리 공정이 소모되며, 보호필름과 인쇄필름 접착 시 별도의 접착제 도포 공정 및 열간 압착, 용매형 접착제의 휘발 공정을 별도로 수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2011-0075774호에는 종이에 인쇄된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다중 접착층을 가진 연신 공압출 필름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공압출한 후, 폴리올레핀 수지층 위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를 적층하여 접착 대상물과 접착하는 써멀 라미네이션(thermal lamination) 방법으로 대체 가능한 필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중 접착층을 가진 연신 공압출 필름은 종이와는 그 접착력이 우수하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인쇄용 데코시트필름과는 가열 접착만으로 접착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제조공정을 생략해 공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적이고, 가열 압착만을 통해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을 적용한 보호필름을 포함한 친환경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 표면층(80);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상부에 위치하고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층(40);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인쇄되는 인쇄면(30); 및 상기 인쇄면(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층(5); 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5)은 상기 접착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폴리프로필렌층와 폴리에틸렌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10) 및 상기 보호필름(10) 하부에 가열 압착되어 적층되어 있는 접착층(20);을 포함하는 것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수지와 폴리에틸렌수지로 공압출한 보호필름(10)의 하부에 접착층(20)을 적층하여 보호층(5)을 제조하는 단계;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 표면층(80),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상부에 위치하고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층(40)을 공압출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의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무늬목을 인쇄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보호층(5)을 열간압착하여 보호층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하부 표면층(80) 하부에 접착층(90)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90)이 적층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100)을 열간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늬목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을 포함한 친환경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은 기존의 프라이머 도포공정, 접착제 도포공정, 용매휘발 공정 등의 제조공정들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가열 압착(열간 압착)만을 통해 무늬목을 제조하며, 경제적이고 생산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이용한 무늬목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의 접착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면(3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10)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면(3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10)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상부 표면층(40), 하부 표면층(80), 중심층(60) 및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과 중심층(60) 사이의 중간층(50,7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인쇄되는 인쇄면(30)을 더욱 포함하고, 보호필름(10)과 인쇄면(30)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접착하는 접착층(20)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10)과 접착층(20)을 포함한 보호층(5)을 더욱 포함하여 3층 혹은 5층 또는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보호층(5)은 상부 표면층(40)의 일면에 위치하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에 인쇄된 인쇄면(30)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이다. 상기 보호층(5)은 보호필름(10)과 접착층(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필름(1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공압출되어 제조된다.
상기 접착층(20)은 상기 보호필름(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의 인쇄면(30)과 접착되는 층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보호필름(10) 하부에 무용제형 접착제(Hot-melt Lami, 20)를 적층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면(30)과 가열 접착(열간 접착)으로 상기 인쇄면(30)을 보호한 무늬목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EVA)로 이루어진 무용제형 접착제를 사용하며, 무용제형 접착제뿐만 아니라, 기존의 용제형 접착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초산비닐계(PVA), 라텍스계, 아크릴(Acryl)계, EVA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사용량은 0.1 ㎛ 내지 5 ㎛이고,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2 ㎛이다. 상기 접착제가 너무 적으면 층간 박리 문제가 있고, 너무 많으면 눌려서 옆면으로 접착제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보호필름(10)이 기존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만 이루어져, 보호필름(10)과 인쇄면(30) 사이의 접착능력이 감소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면(30)과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보호필름(10)의 하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면(30)과 접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에틸렌 수지를 공압출하여 보호필름(10)을 제조하고, 에틸렌초산비닐 수지가 포함된 접착층(20)을 적층하여 보호층(5)을 제조하였다. 기존에는 상기 인쇄면(30)과 보호필름(10) 사이의 접착성능이 낮아서 별도의 전 처리 작업을 해야 했으나, 본 발명은 열간 압착만으로 인쇄면(30) 위에 보호층(5)을 접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기존의 프라이머 도포공정, 접착제 도포 공정 및 접착제 용매 휘발 공정 등의 단계를 생략한 비교적 단순한 공정으로, 보호필름(10)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인쇄면(30)은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무늬목이 인쇄되어 형성된다. 상기 인쇄면(30)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층간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별도의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를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인쇄면(30)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가열 압착(열간 압착)만으로 보호필름(10)과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인쇄면(30)은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인쇄기를 사용하여 무늬목이 인쇄된다. 상기 인쇄면(30)은 열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필름으로써, 인쇄적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부 표면층(40)의 재질이 폴리올레핀 수지들과의 표면과 인쇄성에 유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표면층(40)은 중심층(60)의 일면으로 인쇄면(30)과 중심층(60)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층으로써, 용도에 따라 인쇄적성, 평활성, 내마모성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에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융점 피크온도가 80 내지 135℃이며, 용융지수(ASTM D 1238, 190℃, 2.16Kg)가 0.2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일반 폴리프로필렌층 또는 접착력이 있는 수지 또는 화합물(Matte Compound)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표면층(40)은 프로필렌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표면층(40)은 열합지가 잘되는 인쇄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EVA)를 적층하여 상기 인쇄면(30)과 보호층(5)의 접착이 가열 접착만으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다중 접착층을 가진 연신 공압출 필름으로써,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BOPP,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표면에 아크릴계 또는 유성접착제 등과 같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접착 대상물과 접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션(Dry Lamination)공정에서, 표면층에 프라이머를 대체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공압출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층 위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를 적층하여 접착 대상물과 접착하는 써멀 라미네이션(Thermal Lamination)공정으로 대체 가능한 필름이다. 상기 다중 접착층을 가진 연신 공압출 필름을 써멀 라미네이션하기 위해서는 기재가 종이 등과 같이 일정한 기공을 형성하여야 가열 접착(열간 접착)이 가능하였고, 특히 프로필렌계 데코시트 기재는 가열 접착만으로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한 면을 에틸렌 수지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에틸렌초산비닐 수지의 라미네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뛰어난 접착력을 갖는 에틸렌 초산비닐수지는 종이 등과 같이 일정한 기공을 형성하지 않은 기재들과 가열 접착만으로 접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틸렌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를 적층하게 되면, 상기 인쇄면(30)과 보호층(5)의 접착이 가열 접착만으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표면층(80)은 중심층(60)의 다른 일면으로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층이다.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인 것으로 에틸렌 함량이 5 내지 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에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융점 피크 온도가 80 내지 135℃이며, 용융지수(ASTM D 1238, 190, 2.16Kg)가 0.2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하부 표면층(80)의 하부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를 적층하여 접착층(90)을 형성하면 열접착 온도와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작할 때, 하부 표면층(80)의 하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공정과 합판의 상부에 용매형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에서 필요한 경우 두 표면층(40,80) 모두 폴리에틸렌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 혹은 양쪽 표면층 모두는, 필요로 하는 특성에 따라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충진제, 방담제, 가소제, 이들의 혼합물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은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을 구성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첨가제의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너무 많으면 표면층의 물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표면층(40,80) 혹은 양면의 표면층의 필요에 따라 코로나 등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쇄 적성 개선 및 접착력 개선 등의 추가 특징을 부여할 수 있으며, 30 내지 60 dyne/cm의 표면장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중심층(60)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고,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를 연신하여 가공할 때, 입자 형태를 유지하는 무기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층(60)은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및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분산되어 있다.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는 프로필렌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이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다. 여기서 프로필렌 함량은 전체 중합체 중량에 대한 프로필렌 단위의 중량을 나타낸다. 상기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고, 상기 α-올레핀은 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열접착성 및 점착성 등의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중심층(60)에 분산되는 무기 첨가제는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가 연신될 때, 내부 스페이서로 작용하여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기공 또는 공극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가 연신될 때, 폴리프로필렌과 상용성이 낮고 연신이 안 되는 무기물이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기공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크기, 물성 등에 따라 기공크기 및 중심층(60)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고, 중심층(60)성분들의 굴절률 차이에 따라 중심층(60)의 은폐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로는 프로필렌 중합체와 상용성이 낮은 비폴리프로필렌계 유기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융점(약 157℃) 보다 높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높은 융점(Tm)을 가지거나, 프로필렌 중합체와의 표면 저항(Surface tension, 폴리프로필렌의 표면 저항: 약 30 내지 31 mN/m) 차이가 2 mN/m 이상, 바람직하게는 3 m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N/m 이상인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등의 무기계 백색 안료, 유기계 백색 안료,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충진제, 방담제, 가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탄산칼슘(CaCO3),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리나이트(kalinite), 마이카(mica), 헥토라이트(hectorite), 불화헥토라이트(fluoro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스티븐사이트(stevens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할로사이트(hallosite), 볼콘스코이트(volkonskoite), 석코나이트(suconite), 마가다이트(magadite), 케냐라이트(kenyalite) 등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는,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드(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미드(Nylon, 4/6, 6/6, 6/10,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PET-G), 폴리페닐렌설파이트(PPS), 폴리메틸펜탄(PMP), 폴리이미드(PI),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마스터배치(M/B) 형태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사용량은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이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상기 중심층(60)에 기공이 불충분하게 형성되어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밀도를 충분히 조절하지 못하며, 상기 무기 첨가제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중심층(60)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입자 크기는 통상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이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입자 크기가 너무 작으면, 충분한 크기의 기공이 형성되지 못할 우려가 있고, 너무 크면 기공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져, 중심층(60)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중심층(60)에 유기 개질제를 첨가하여 상기 무기 첨가제와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의 상용성 및 기공 크기를 더욱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중심층(60)에 기공이 필요치 않으면, 상기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 안료만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와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의 상용성 증가시키는 유기 개질제로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E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PE-g-MA),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PP-g-M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EPR-g-M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EPDM-g-M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아크릴산(PE-g-A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아크릴산(EPR-g-A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그래프트아크릴산(EPDM-g-AA),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개질제의 사용량은,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 개질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상용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너무 많으면, 특별한 이익이 없이 중심층(60)의 물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중간층(50,70)은 표면층(40,80) 또는 중심층(60)만으로 부족한 은폐력, 두께부족 등의 특성을 더욱 보조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중간층(50,70)은 표면층(40,80) 또는 중심층(60)과 성분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3층 구조로 제작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3층 이상의 다층구조로 제작할 경우에는 은폐력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등의 무기계 백색 안료, 유기계 백색 안료,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충진제, 방담제, 가소제 등이 추가로 처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50,70)의 조성물로는.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로써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프로필렌이 중합된 중합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다. 여기서, 프로필렌 함량은 전체 중합체 중량에 대한 프로필렌 단위의 중량을 나타낸다. 상기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고, 이들은 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열접착성 및 점착성 등의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접착층(90)은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의 접착을 도와주는 층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하부에 무용제형 접착제(Hot-melt Lami)를 적층하여, MDF 또는 PB 등의 합판과 가열 접착으로 무늬목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무용제형 접착제로는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1, 2액형 반응형 우레탄 접착제(PU) 등이 있다. 또한, 무용제형 접착제로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용제형 접착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초산비닐계(PVA), 라텍스계, 아크릴(Acryl)계, EVA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사용량은 0.1 내지 5 ㎛ 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 이다. 상기 접착제가 너무 적으면 층간 박리 문제가 있고, 너무 많으면 눌려서 옆면으로 접착제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인쇄면(30), 상부 표면층(40), 중심층(60), 하부 표면층(80) 및 중간층(50,70)으로 구성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전체 두께는 제품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생산성, 가격 경쟁력, 물성 등을 고려하면 5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중심층(60)의 두께는 통상 전체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두께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상기 중심층(6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압출 및 연신 과정에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형성이 곤란할 우려가 있다. 상기 표면층(40) 및 중간층(50,70)의 두께도 제품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나, 은폐력 조절, 인쇄적성, 내열성 등을 고려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은 중심층(60)의 두께 대비 0.01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중간층(50,70)은 중심층(60)의 두께 대비 0.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인쇄면(30)의 두께는 통상 1㎛ 또는 그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90)은 상기 중심층(60)의 두께 대비 통상 10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 중간층(50,70) 및 중심층(60)은 기능 및 용도에 따라, 단층뿐만 아니라 2층, 3층 등의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최소 3층의 다층 구조를 가지며, 설계에 따라 5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10)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0.1 내지 70 %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보호필름(10)의 하부에 위치한 접착층(20)은 일반적으로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0.1 내지 70 %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보호층(5)의 두께는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두께의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각 수지 성분들을 각기 다른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한다. 상기 용융된 수지는 적층된 폴리프로필렌 필름형태로 공압출한 후, 연신시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층(60) 형성 수지,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 형성 수지,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중간층(50,70) 형성 수지를 필름 형태로 공압출하여, 상기 상부 표면층(40), 중심층(60), 중간층(50,70) 및 하부 표면층(8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적층체를 형성하고, 이를 연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적층체는 기계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축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BOPP,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더욱 상세하게 표현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의 접착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하부 표면층(80)에 별도의 무용제형태의 접착제를 적층(90)하여, 기존의 프라이머 공정과 합판 상부에 접착제 도포 없이 합판(100)과 데코시트 필름 간에 가열 압착만으로 무늬목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의 접착을 통한 무늬 목 제조공정이 열간 압착 롤(Roll)에 의해서만 제조할 수 있어, 기존의 일회용 배치(Batch)식 접착방식에서 연속생산(Contiguous)방식으로 접착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접착제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기 휘발물(VOCs)의 저감을 이끌며, 접착 시 필요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하부 표면층에 프라이머(Primer)도포 공정 및 합판 표면상의 접착제 도포 공정과 상기 접착제의 건조공정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무늬목을 보다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하기 표 1에서 나타낸 조성의 수지를 각기 다른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하였다. 용융된 수지를 T-다이로 공합출하여 시트를 형성한 다음, 형성된 시트를 냉각하고 기계방향으로 5배, 폭 방향으로 8배 연신하여 이축연신된 백색 불투명 필름 (White Opaque Film) 형태의 5층구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50 ㎛)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틸렌 수지가 공압출된 상부 표면층(40) 일면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를 적층하여 인쇄용 필름(60 ㎛)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보호필름(10)은 프로필렌 수지와 에틸렌 수지를 공압출한 필름의 하부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가 적층된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면(30)과 접착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쇄필름 60 ㎛ 및 보호필름 30 ㎛으로 구성된 전체 90 ㎛로 구성된 인쇄면(30)이 보호된 데코시트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구분 사용수지 및 조성 두께
(㎛)
실시예1 보호
보호필름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85wt% 20
(1)에틸렌수지(용융온도: 124℃) 100wt%
접착층 (1)에틸렌초산비닐 수지(용융온도:83℃) 100wt% 10
인쇄
필름
접착층 (1)에틸렌초산비닐 수지(용융온도:83℃) 100wt% 10
상부표면층 (1)에틸렌수지(용융온도: 124℃) 100wt% 3
중간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
중심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탄산칼슘(CaCO3) 70wt% 함유 Master Batch 10wt%
38
중간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
하부표면층 (1)프로필렌과 α-올레핀공중합체 (용융온도:125℃) 100wt% 3
[실시예 2]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하기 표 2에서 나타낸 조성의 수지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구분 사용수지 및 조성 두께
(㎛)
실시예1 보호
보호필름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85wt% 20
(1)에틸렌수지(용융온도: 124℃) 100wt%
접착층 (1)에틸렌초산비닐 수지(용융온도:83℃) 100wt% 10
인쇄
필름
접착층 (1)에틸렌초산비닐 수지(용융온도:83℃) 100wt% 10
상부표면층 (1)에틸렌수지(용융온도: 124℃) 100wt% 3
중간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
중심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8
중간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
하부표면층 (1)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용융온도: 125℃) 100wt% 3
[실시예 3]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하기 표 3에서 나타낸 조성의 수지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구분 사용수지 및 조성 두께
(㎛)
실시예1 보호
보호필름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85wt% 20
(1)에틸렌수지(용융온도: 124℃) 100wt%
접착층 (1)에틸렌초산비닐 수지(용융온도:83℃) 100wt% 10
인쇄
필름
상부표면층 (1)에틸렌수지(용융온도: 124℃) 100wt% 3
중간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
중심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탄산칼슘(CaCO3) 70wt% 함유 Master Batch 10wt%
38
중간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
하부표면층 (1)에틸렌수지(용융온도: 124℃) 100wt% 3
[비교예 1]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보호필름과 인쇄필름면에 아크릴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그 사이에 EVA계 용제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두 필름을 접착시켰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5층구조의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인쇄필름의 두께는 실시예의 필름과 동일하게 60 ㎛로 설정하였고, 보호필름의 두께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30 ㎛로 구성하였으며, 전체 데코시트층의 두께는 90 ㎛로 제조하였다. 액상으로 구성된 프라이머 층과 접착제층은 도포부위에 따라 건조되는 시간 또는 분포에 따라 일부 두께에 편차가 있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구분 사용수지 및 조성 두께
(㎛)
실시예1 보호
보호필름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85wt% 30
프라이머층 (1)아크릴계 프라이머(표면처리 층) 1내지2
접착제층 (1)에틸렌초산비닐(EVA)계 용제형 접착제 6내지8
인쇄
필름
프라이머층 (1)아크릴계 프라이머(표면처리 층) 1내지2
상부표면층 (1)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용융온도: 125℃) 100wt% 3
중간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
중심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탄산칼슘(CaCO3) 70wt% 함유 Master Batch 5wt%
38
중간층 (1)프로필렌수지(용융온도: 157℃) 90wt%
(2)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10wt%
3
하부표면층 (1)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용융온도: 125℃) 100wt% 3
상기 기술된 실시예와 비교예의 데코시트 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간 접착 후 접착력 평가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밀도
(g/cm3)
은폐력, 투광도
(열간접착 110 내지 120℃)
연필경도
(하중 0.3, 각도45°)
실시예1 0.85 18 2H
실시예2 0.95 22 2H
실시예3 0.85 18 2H
비교예1 0.85 18 2H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밀도는 ASTM D 150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신공정 중 내부에 미세공극(Micro Void)을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은폐력 및 투광도는 ASTM D 1003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상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공극(void)이 형성되어 공극면과 수지면의 굴절률 차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은폐력 및 투광도가 향상되었다.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110 내지 120의 온도 사이에서 합판과 압착하였고, 그 접착 강도를 필름을 직접 떼어서 접착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필름과 합판 접착부위에서 합판의 톱밥 및 나무 등이 떨어져 나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연필경도(Pencil hardness)는 하중 0.3 ㎏, 각도 45°로 연필을 고정 시킨 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연필 경도 별로 긁어 육안으로 긁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보호필름 없이 연필경도 측정 시 일반적으로 H 이하가 측정되는 결과와 비교해보면, 보호필름으로 인해 표면 내스크래치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5에서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기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동일한 물성과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공정단계를 생략하고도 좋은 물성의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이고 공정 또한 단순화되므로 향상된 생산력을 가진 무늬목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0)

  1.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 표면층(80);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상부에 위치하고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층(40);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인쇄되는 인쇄면(30); 및
    상기 인쇄면(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층(5); 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5)은 상기 접착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폴리프로필렌층와 폴리에틸렌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10) 및 상기 보호필름(10) 하부에 가열 압착되어 적층되어 있는 접착층(20); 을 포함하는 것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20)은 무용제형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20)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1,2액형 반응형 우레탄 접착제(P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공압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데코시트 보호필름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하부에 형성되어 합판과 접착이 되는 접착층(90)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폴리에틸렌 수지는 융점 피크온도가 80 내지 135℃이며, 용융지수(ASTM D 1238, 190℃, 2.16Kg)가 0.2 내지 10.0인 것을 포함하는 것인, 보호필름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과 중심층(60)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층(50,70)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50,70)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것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60)의 두께는 10 내지 150 ㎛이고, 보호필름(10)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0.1 내지 70 %이고, 접착층(20)은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0.05 내지 40 %이고, 상부 표면층(40)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0.01 내지 20 %이고, 하부 표면층(80)은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0.01 내지 20 %인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9. 폴리프로필렌수지와 폴리에틸렌수지로 공압출한 보호필름(10)의 하부에 접착층(20)을 적층하여 보호층(5)을 제조하는 단계;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 표면층(80),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상부에 위치하고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층(40)을 공압출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의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무늬목을 인쇄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보호층(5)을 열간압착하여 보호층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하부 표면층(80) 하부에 접착층(90)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90)이 적층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100)을 열간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늬목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공압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무늬목 제조방법.
KR1020170136383A 2017-10-20 2017-10-20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10199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83A KR101996363B1 (ko) 2017-10-20 2017-10-20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83A KR101996363B1 (ko) 2017-10-20 2017-10-20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25A true KR20190044225A (ko) 2019-04-30
KR101996363B1 KR101996363B1 (ko) 2019-07-04

Family

ID=6628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383A KR101996363B1 (ko) 2017-10-20 2017-10-20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990A (ko) 2020-07-02 2022-01-11 최창근 저온융착이 가능한 접착 수지층을 포함하는 친환경 데코시트의 제조방법
KR20230030372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피엔씨코리아 내구성을 개선한 데코시트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162B2 (ja) * 1998-01-21 2010-07-21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5256722B2 (ja) * 2007-12-12 2013-08-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1658558B1 (ko) * 2014-12-26 2016-09-22 대림산업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162B2 (ja) * 1998-01-21 2010-07-21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5256722B2 (ja) * 2007-12-12 2013-08-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1658558B1 (ko) * 2014-12-26 2016-09-22 대림산업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을 이용한 데코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990A (ko) 2020-07-02 2022-01-11 최창근 저온융착이 가능한 접착 수지층을 포함하는 친환경 데코시트의 제조방법
KR20230030372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피엔씨코리아 내구성을 개선한 데코시트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363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0300B (zh) 压花的和热熔层压的多层复合膜
US6333094B1 (en) Multilayer thermoformable composite synthetic veneer film for furni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S2483994T3 (es) Procedimiento para la laminación de láminas de plástico sobre sustratos de material derivado de la madera, en particular para la generación de superficies de alto brillo
CN110494525B (zh) 高频介电加热粘接片、以及使用高频介电加热粘接片的粘接方法
US8613824B2 (en) Multi-layer, substantially polyvinyl chloride- and polyolefin-free composite film
JP6487127B1 (ja) 化粧板、その使用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積層体、床仕上げ材
JP7052731B2 (ja) 積層延伸フィルム、化粧シート用基材、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102013169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CN111770838B (zh) 使用低温热层压形成瓷砖的方法
KR101996363B1 (ko)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102013168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RU2747150C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ластиковая несущая пласти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127492B1 (ko)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제조방법
JP6900733B2 (ja) 外装用化粧シート
US11325361B2 (en) Multilayered polyolefin films
JP4154767B2 (ja) 化粧シート
KR101763823B1 (ko) 이축연신 백색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4428643B2 (ja) 横柄エンボス化粧板の製造方法
JP4601783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87238Y1 (ko) 요철이 형성된 이축연신된 불투명한 백색필름
JP4478305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255186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01088257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複合化粧材
JP4629749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絵付け成形品、及び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4022231A (ja) 鏡面化粧シート及び鏡面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