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828B1 -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828B1
KR101657828B1 KR1020140188466A KR20140188466A KR101657828B1 KR 101657828 B1 KR101657828 B1 KR 101657828B1 KR 1020140188466 A KR1020140188466 A KR 1020140188466A KR 20140188466 A KR20140188466 A KR 20140188466A KR 101657828 B1 KR101657828 B1 KR 10165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toughness
comparative example
pwh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669A (ko
Inventor
김대우
엄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828B1/ko
Priority to JP2017531189A priority patent/JP6514777B2/ja
Priority to US15/538,887 priority patent/US10604817B2/en
Priority to CN201580070638.5A priority patent/CN107109589B/zh
Priority to EP15873502.7A priority patent/EP3239327B1/en
Priority to PCT/KR2015/012985 priority patent/WO2016104975A1/ko
Publication of KR2016007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석유화학 제조설비, 저장탱크, 열교환기, 반응로, 응축기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압력용기용 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후 열처리(PWHT) 후에도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STEEL PLATE FOR PRESSURE VESS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TOUGHNESS AFTER POST WELD HEAT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석유화학 제조설비, 저장탱크, 열교환기, 반응로, 응축기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압력용기용 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후 열처리(PWHT) 후에도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석유화학 제조설비, 저장탱크 등과 같은 설비의 대형화 및 대용량 저장의 요구로 인해, 이에 사용되는 압력용기용 강재에 대한 후물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한랭환경에서의 사용 증대로 인성을 보증하는 온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용접 등의 공정을 거쳐 대형구조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모재뿐만 아니라 용접부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탄소당량(Ceq)을 낮추고 불순물을 극한으로 제어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함께, 용접부 내부 건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PWHT(Post Weld Heat Treatment)를 실시하여 용접부위의 잔류 응력을 제거함으로써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고, 형상 및 치수 한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있다.
통상, PWHT는 구조물 전체를 대상으로 행해지나, 국부적으로 진행하더라도 용접부 이외의 모재 역시 열원에 노출되므로 모재의 물성 열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PWHT를 행하는 경우 그 이후의 모재 품질은 설비수명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한편, 주로 베이나이트(Bainite),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도상 마르텐사이트(MA) 등 경한 상(Hard Phase)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의 경우, 장시간 PWHT시 모재는 탄소의 재확산, 전위 회복, 결정립 성장(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계면이동) 및 탄화물 성장, 석출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강도가 하락할 뿐만 아니라, 연성-취성 천이온도(DBTT)도 증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장시간 PWHT 처리에 따른 물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첫째 Ceq가 높더라도 경화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합금원소의 첨가량을 높여 열처리 이후에도 템퍼드된(tempered) 저온상 분율을 증대시켜 강도가 저하되는 양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로는 Q(quenching)-T(tempering)강의 미세조직을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 또는 상기 조직에 더하여 일정의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3상 조직을 구현하면서, 열처리 후 조직 및 전위 밀도 변화가 없는 페라이트의 기지상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Mo, Cu, Si, C와 같은 고용강화 효과가 있는 원소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두 방법은 모두 Ceq의 증대로 인해 용접 열영향부(HAZ)의 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고, 고용강화 원소 첨가에 의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희토류 원소를 활용한 석출강화 방법으로서, 특정 성분 범위 및 적용 온도 조건하에서는 효과적이다.
이와 관련된 특허문헌 1에는 중량%로,C: 0.05~0.20%,Si: 0.02~0.5%,Mn: 0.2~2.0%,Al: 0.005~0.1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Cu,Ni,Cr,Mo,V,Nb,Ti,B,Ca,희토류 원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슬라브를 가열 및 열간압연한 후,실온으로 공냉하고,Ac1~Ac3 변태점에서 가열한 뒤 서냉하는 공정에 의해, PWHT 보증시간을 16시간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PWHT 보증시간은 강재의 후물화 및 용접부 조건이 가혹한 경우에는 매우 부족해지며, 그 이상 장시간 PWHT의 적용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재 후물화 및 용접후 조건의 가혹화에 동반되어, 장시간의 PWHT 후에도 강도 및 인성이 저하하지 않는 즉 PWHT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강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본특허 공개번호 제1997-256037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장시간의 용접 후 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PWHT) 후에도 강도 및 저온인성이 저하되지 않는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탄소(C): 0.02~0.15%, 실리콘(Si): 0.05~0.50%, 망간(Mn): 1.0~ 2.0%,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5%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1~0.03%, 바나듐(V): 0.01~0.03%, 티타늄(Ti): 0.01~0.03%, 크롬(Cr): 0.005%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 0.005% 이하(0%는 제외), 구리(Cu): 0.02~0.5%, 니켈(Ni): 0.05~0.60%, 보론(B): 0.0002~0.0010%, 질소(N): 0.0035~0.0065%,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면적분율 35~40%의 페라이트 및 잔부 베이나이트의 복합조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나이트는 패킷(packet) 사이즈가 15㎛ 이하인 PWHT 후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500MPa급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용접 후 장시간 열처리를 행한 이후에도 강도 및 저온인성이 열화되지 않아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압력용기용 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미세조직 관찰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가혹한 조건으로 용접이 행해지는 후물재에 대하여 장시간의 PWHT 후에도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강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깊이 연구한 결과, 강 성분조성과 더불어 제조조건을 최적화하는 경우 고온에서 장시간 열처리를 행한 이후에도 목표로 하는 기계적 물성 즉 저온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PWHT 후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는 중량%로, 탄소(C): 0.02~0.15%, 실리콘(Si): 0.05~0.50%, 망간(Mn): 1.0~ 2.0%,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5%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1~0.03%, 바나듐(V): 0.01~0.03%, 티타늄(Ti): 0.01~0.03%, 크롬(Cr): 0.005%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 0.005% 이하(0%는 제외), 구리(Cu): 0.02~0.5%, 니켈(Ni): 0.05~0.60%, 보론(B): 0.0002~0.0010% 질소(N): 0.0035~0.006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성분들을 제외한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압력용기용 강재의 합금성분을 위와 같이 제어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 성분들의 함량은 중량%를 의미한다.
C: 0.02~0.15%
탄소(C)는 강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로서, 그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2%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0.15%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 및 저온인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C의 함량은 0.02~0.1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0.05~0.50%
실리콘(Si)은 용강의 탈산 역할뿐만 아니라 고용강화에 의한 강도 향상에 유리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으로 Si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과다하여 0.50%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이 저하되고 강 표면에 두꺼운 산화 피막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Si의 함량은 0.05~0.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1.0~2.0
망간(Mn)은 고용강화 효과로 강의 강도를 확보하는데 유리한 원소이며,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0% 이상으로 Mn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2.0%를 초과하게 되면 S와 결합하여 연신된 비금속 개재물인 MnS를 형성하여 상온 연성 및 저온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Mn의 함량은 1.0~2.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0.005~0.1%
알루미늄(Al)은 상기 Si과 더불어 용강의 탈산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서, 이를 위해서는 0.005% 이상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 함량이 0.1%를 초과하게 되면 탈산 효과가 포화되고, 오히려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Al의 함량은 0.005~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015% 이하
인(P)은 강 제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함유되어 저온인성을 해치는 원소이므로,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P을 매우 낮은 함량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0.015%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015% 이하
황(S)은 강 제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서, Mn과 결합하여 연신된 비금속 개재물인 MnS를 형성하여 상온 연성 및 저온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S을 매우 낮은 함량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0.0015%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 0.01~0.03%
니오븀(Nb)은 재가열시 오스테나이트에 고용되어 후속하는 열간압연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탄소 및 질소와 결합하여 기지(Matrix)와 정합을 이루는 탄·질화물(Nb(C,N))을 형성함으로써 강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중요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N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그 함량이 0.03%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석출물이 형성하여 강의 인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Nb의 함량은 0.01~0.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 0.01~0.03%
바나듐(V)은 탄·질화물을 형성시켜 강의 강도 증가에 매우 유리한 원소로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V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의 함량이 0.01% 미만이면 미세한 V 탄화물이 형성되지 못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으며, 반면 그 함량이 0.03%를 초과하게 되면 조직 내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과도하게 증대외어 M23C7 조대 탄화물의 크기를 증대시켜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V의 함량은 0.01~0.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 0.01~0.03%
티타늄(Ti)은 상기 V와 더불어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Ti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0.03%를 초과하게 되면 연주시 조대한 석출물로 나타나 강의 인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Ti의 함량은 0.01~0.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0.005% 이하(0%는 제외)
크롬(Cr)은 강도를 증가시키데 유효한 원소이나, 과다 첨가시 Ceq 증대 대비 기대되는 강도 상승효과가 낮고,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는 조대 탄화물의 성장을 조장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0.005%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0.005%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은 상기 Cr과 마찬가지로 강의 강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일 뿐만 아니라, 황화물에 의한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Mo은 고가의 원소로서 제조비용의 상승을 고려하여 0.005%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 0.02~0.50%
구리(Cu)는 고용강화 원소로서 강의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2%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과다하여 0.50%를 초과하게 되면 강도 향상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Cu의 함량은 0.02~0.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0.05~0.60%
니켈(Ni)은 강의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도 후물재의 강도 확보 및 취성파괴 정지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으로 Ni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0.60%를 초과하게 되면 고가의 원소로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Ni의 함량은 0.05~0.6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0.0002~0.0010%
보론(B)은 연속냉각변태시 오스테나이트의 페라이트로의 변태를 지연시킴으로써 열연강판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02%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0.0010%를 초과하게 되면 조직 내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과도하게 증대되어 강도가 과하게 증가하고, 이로 인해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론 산화물을 형성하여 강판의 표면품질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B의 함량은 0.0002~0.00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35~65ppm
질소(N)는 Nb 및 V와 함께 Nb(C,N), V(C,N) 같은 탄·질화물을 형성하는 중요한 원소로서, Nb 및 V의 화학양론비를 고려하여 35ppm(0.0035중량%)~65ppm(0.0065중량%)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의 함량이 35ppm 미만이면 질화물 형성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반면 그 함량이 65ppm을 초과하게 되면 자유 질소(Free N)를 형성하여 강의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N의 함량은 35~65ppm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Fe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성분조성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압력용기용 강재는 그 미세조직으로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복합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페라이트는 면적분율 35~40%로 포함하고, 60~65%로 베이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페라이트의 분율이 35% 미만이거나 베이나이트 분율이 65%를 초과하게 되면 강의 인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반면 페라이트의 분율이 40%를 초과하거나 베이나이트 분율이 60% 미만이면 목표로 하는 강도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나이트는 패킷(packet) 사이즈가 15㎛ 이하인 것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베이나이트의 패킷 사이즈가 15㎛를 초과하게 되면 미세조직 내 크랙(crack)이 전파될 때 전파길이가 길어져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용기용 강재는 탄·질화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탄·질화물을 Nb(C,N), V(C,N) 및 M7C3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탄·질화물들은 미세한 크기를 가지면서, 일정 분율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중 Nb(C,N)은 평균 크기가 100nm 이하이고 0.01~0.05%의 분율로 포함하고, 상기 V(C,N)은 평균 크기가 30nm 이하이고 0.01~0.03%의 분율로 포함하고, 상기 M7C3는 평균 크기가 25nm 이하이고 0.01~0.02%의 분율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미세한 탄·질화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의도하는 기계적 물성 특히 PWHT 후에도 우수한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상기 탄·질화물들의 크기가 각각의 한정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탄·질화물이 형성되어 오히려 강도 및 인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압력용기용 강재는 하기 관계식 1로 나타내는 탄소당량(Ceq)이 0.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eq 값이 0.42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열영향부(HAZ)가 경화되고 인성이 열화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관계식 1]
탄소당량(Ceq) = C + Mn/6 + (Cr+Mo)/5 + (Ni+Cu)/15
(여기서, C, Mn, Cr, Mo Ni, Cu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상술한 성분조성 및 미세조직을 모두 만족하는 본 발명의 압력용기용 강재는 PWHT 후의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특히 라손 밀러 파라미터(P; Larson-Miller parameter) 기준 최대 20.2(×1,000)이 되는 열처리를 행한 후에도 380MPa 이상의 항복강도, 515~655MPa의 인장강도 및 -46℃에서의 충격인성이 50J 이상으로서 강도뿐만 아니라, 저온인성을 모두 우수하게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력용기용 강재는 상기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요구되는 석유화학 제조설비, 저장탱크, 열교환기, 반응로 및 응축기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엔 PWHT 후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성분조성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 후, 이를 재가열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때, 상기 재가열은 가열로 균열대 내 1140~115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재가열 온도가 1140℃ 미만이면 연주 중에 슬라브 내 생성된 탄·질화물 등의 재고용이 어려우며, 반면 그 온도가 1150℃를 초과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너무 조대해져 강판의 물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재가열 온도는 1140~11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온도범위로 재가열한 후에는 1120~1140℃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무리 열간압연은 재결정 온도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920~95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이때 패스(pass)당 압하율을 10%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시 온도가 950℃를 초과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성장 속도가 증대되어 압연 후에도 결정립 미세화가 불가능하며, 반면 그 온도가 920℃ 미만이면 열간압연성이 곤란해지고, 품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패스당 압하율이 10% 미만이면 중심부까지 스트레인(strain)이 인가되지 않아 슬라브 내의 공극이 압착되지 않고, 중심부 내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미세화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에 따라 제조된 열연강판을 상온까지 공냉한 다음, 890~910℃ 온도범위로 20~40분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가열된 열연강판을 전 두께방향의 1/4t(t: 두께(mm)) 지점을 기준으로 3℃/s 이상의 냉각속도로 450℃ 이하까지 냉각하는 퀀칭(quenching)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시 냉각속도가 3℃/s 미만이거나 냉각종료온도가 450℃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페라이트 결정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부 베이나이트(upper bainite)의 패킷 크기가 조대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냉각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나, 냉각설비를 고려하여 70℃/s 이하로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은 상온까지 실시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한 바에 따라 냉각된 열연강판을 610~640℃에서 20~60분간 열처리하는 템퍼링(tempering)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610℃ 미만에서는 미세한 석출물이 형성이 어려워 강도 확보하는데에 불리해지며, 반면 그 온도가 640℃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석출물이 형성되어 강도 및 저온인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되는 온도범위에서의 열처리 시간이 20분 미만이면 조직의 균질화가 어려워지고, 반면 그 시간이 60분을 초과하게 되면 탄화물 및 탄·질화물이 조대해져 충격인성이 저하되고, 생산성 또한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템퍼링 공정은 610~640℃에서 20~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에 따라 열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강재는 압력용기의 제작시 부가되는 용접공정에 의해 잔류응력의 제거 등의 목적으로 PWHT(post weld heat treatment) 공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PWHT 공정 이후에는 강도 및 인성의 열화가 발생되는데, 상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강재는 라손 밀러 파라미터(P; Larson-Miller parameter) 기준 최대 20.2(×1,000)이 되는 열처리를 실시하더라도 강도 및 인성의 큰 저하없이 용접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강재는 상기 PWHT 이후에도 항복강도가 380MPa 이상, 인장강도가 515~655MPa, -46℃에서 충격인성이 50J 이상을 만족하여 우수한 강도와 인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1140~1150℃에서 재가열한 후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건으로 마무리 압연을 실시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각각의 열연강판을 상온까지 공냉한 후, 890~910℃의 온도범위로 20~40분간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된 각각의 열연강판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건으로 퀀칭(quenching) 및 템퍼링(tempering) 열처리를 행하여 최종 강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각의 강재에서 시편을 채취하여 항복강도(YS), 인장강도(TS) 및 충격인성(CVN)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충격인성은 -46℃에서 샤르피 V-노치(Charpy V-notch) 충격시험을 실시하여 측정하였으며, 총 3회 측정 후 그 평균 값을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강도 및 인성의 측정은 라손 밀러 파라미터(P; Larson-Miller parameter) 기준 20(×1,000)이 되는 열처리 조건으로 PWHT 전·후에 대해 측정하였다.
구분 성분조성(중량%)
C Si Mn P S Al Ni Cu Mo Cr Nb V Ti B* N*
발명강1 0.107 0.27 1.15 0.0055 0.0015 0.026 0.17 0.274 0.001 0.001 0.015 0.017 0.010 6 38
발명강2 0.125 0.35 1.26 0.0057 0.0012 0.021 0.18 0.249 0.003 0.001 0.021 0.015 0.012 5 42
발명강3 0.134 0.41 1.51 0.0062 0.0011 0.035 0.18 0.254 0.002 0.002 0.011 0.018 0.013 8 39
비교강1 0.051 0.33 0.73 0.006 0.0012 0.010 0.18 0.249 0.001 0.001 0.022 0.016 0.011 7 35
비교강2 0.127 0.31 1.91 0.0052 0.0014 0.015 0.17 0.261 0.002 0.002 0.013 0.018 0.012 1 21
비교강3 0.046 0.121 1.89 0.0075 0.0013 0.012 0.17 0.248 0.002 0.001 0.018 0.067 0.010 5 41
비교강4 0.105 0.31 1.32 0.0058 0.0013 0.031 0.01 0.017 0.001 0.002 0.015 0.016 0.012 5 45
(상기 표 1에서 B* 및 N*는 성분 함량의 단위를 'ppm'로 나타낸 것이다.)
강종 마무리 열간압연 퀀칭(quenching) 템퍼링(tempering) 구분
T4(℃) T5(℃) 패스당
압하율(%)
속도
(℃/s)
종료온도
(℃)
온도
(℃)
유지시간
(min)



1
931 912 13 3.8 218 610 26 발명예 1
620 발명예 2
630 발명예 3
640 발명예 4
971 941 7 1.2 223 610 29 비교예 1
620 비교예 2
630 비교예 3
640 비교예 4



2
943 918 12 3.9 390 610 26 발명예 5
620 발명예 6
630 발명예 7
640 발명예 8
943 918 12 3.9 612 610 26 비교예 5
620 비교예 6
630 비교예 7
640 비교예 8



3
930 914 12 12.5 298 610 25 발명예 9
620 발명예 10
630 발명예 11
640 발명예 12
931 912 13 12.3 218 570 26 비교예 9
590 비교예 10
660 비교예 11
680 비교예 12



1
932 911 13 4.2 312 610 26 비교예 13
620 비교예 14
630 비교예 15
640 비교예 16



2
935 913 14 3.5 219 610 26 비교예 17
620 비교예 18
630 비교예 19
640 비교예 20



3
932 915 13 3.3 168 610 26 비교예 21
620 비교예 22
630 비교예 23
640 비교예 24



4
931 912 13 3.7 218 610 26 비교예 25
620 비교예 26
630 비교예 27
640 비교예 28
(상기 표 2에서 T4는 마무리 열간압연 개시온도, T5는 마무리 열간압연 종료온로를 의미한다.)
구분 PWHT 전 PWHT 후
YS(MPa) TS(MPa) CVN(J) YS(MPa) TS(MPa) CVN(J)
발명예 1 472 634 394 439 601 348
발명예 2 462 621 368 428 611 339
발명예 3 454 611 385 440 592 365
발명예 4 441 604 390 421 588 351
비교예 1 466 587 37 413 545 54
비교예 2 450 577 34 401 540 42
비교예 3 448 571 39 398 538 42
비교예 4 438 550 76 377 524 13
발명예 5 475 634 394 448 617 348
발명예 6 468 621 379 437 610 336
발명예 7 450 611 370 431 581 369
발명예 8 442 604 377 430 591 353
비교예 5 465 614 49 466 581 18
비교예 6 486 601 32 452 577 33
비교예 7 446 598 50 448 568 47
비교예 8 441 594 37 440 545 27
발명예 9 492 645 375 462 631 351
발명예 10 482 633 370 459 592 343
발명예 11 458 618 362 440 580 348
발명예 12 462 608 342 437 577 359
비교예 9 598 753 15 572 703 34
비교예 10 607 766 10 583 725 35
비교예 11 423 511 314 401 481 363
비교예 12 405 489 379 389 480 362
비교예 13 386 512 371 356 489 379
비교예 14 375 508 380 342 487 340
비교예 15 360 498 370 330 470 361
비교예 16 345 476 366 315 465 357
비교예 17 395 513 338 365 477 336
비교예 18 384 507 350 354 465 351
비교예 19 372 486 352 351 469 265
비교예 20 351 481 349 322 458 326
비교예 21 521 706 35 503 687 28
비교예 22 508 704 38 498 695 33
비교예 23 489 700 57 477 670 25
비교예 24 479 689 53 465 669 19
비교예 25 371 608 30 350 570 55
비교예 26 362 607 150 331 573 58
비교예 27 354 589 43 326 559 42
비교예 28 331 570 51 307 539 43
상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 성분조성 및 제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9는 PWHT 전·후 모두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강 성분조성이 본 발명을 만족함에도 불구하고, 제조조건이 본 발명을 만족하지 아니한 비교예 1 내지 12의 경우 PWHT 후 강도 또는 인성이 열위하였다.
특히, 비교예 1 내지 4는 패스당 압하율 및 퀀칭 속도가 본 발명을 만족하지 아니하고, 비교예 5 내지 8은 퀀칭 종료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로서,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 조대한 페라이트가 형성됨에 따라 대체적으로 충격인성이 매우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9 및 10은 템퍼링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로서, PWHT 후 강도가 크게 증가한 반면, 인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1 및 12는 템퍼링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로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었다.
한편, 비교예 13 내지 28은 제조조건은 본 발명을 만족하는 한편, 강 성분조성이 본 발명을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PWHT 후 강도 또는 인성이 열위하였다.
특히, 비교예 13 내지 16은 Mn의 함량이 불충분한 경우로서, 고용강화 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강도가 열위하였다.
비교예 17 내지 20은 B 및 N의 함량이 불충분한 경우로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었다.
비교예 21 내지 24은 V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로서, 조직 내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한편, 충격인성이 열위하였다.
비교예 25 내지 28은 Ni 및 Cu 함량이 불충분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었으며, 충격인성도 열위하였다.
또한, 발명강 3을 이용한 비교예 9의 미세조직(A)과, 상기 비교예 9와 동일한 조건을 제조하되 템퍼링 열처리시 620℃에서 실시한 경우에 대한 미세조직(B)을 관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두 강재는 퀀칭 후 면적분율 45%의 페라이트와 55%의 베이나이트를 포함하였으나, 후속하는 템퍼링시 570℃에서 실시한 비교예 9의 경우 베이나이트 내 카바이드의 확산이 일어나지 않아 기지의 강도가 매우 높고 인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중량%로, 탄소(C): 0.02~0.15%, 실리콘(Si): 0.05~0.50%, 망간(Mn): 1.0~ 2.0%,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5%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1~0.03%, 바나듐(V): 0.01~0.03%, 티타늄(Ti): 0.01~0.03%, 크롬(Cr): 0.005%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 0.005% 이하(0%는 제외), 구리(Cu): 0.02~0.50%, 니켈(Ni): 0.05~0.60%, 보론(B): 0.0002~0.0010%, 질소(N): 0.0035~0.0065%,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면적분율 35~40%의 페라이트 및 잔부 베이나이트의 복합조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나이트는 패킷(packet) 사이즈가 15㎛ 이하이고,
    상기 미세조직 내 탄·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탄·질화물은 Nb(C,N), V(C,N) 및 M7C3이고, 상기 Nb(C,N)은 평균 크기가 100nm 이하이고 0.01~0.05%의 분율로 포함하고, 상기 V(C,N)은 평균 크기가 30nm 이하이고 0.01~0.03%의 분율로 포함하고, 상기 M7C3는 평균 크기가 25nm 이하이고 0.01~0.02%의 분율로 포함하는 PWHT 후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하기 관계식 1로 나타내는 탄소당량(Ceq)이 0.42 이하인 PWHT 후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관계식 1]
    탄소당량(Ceq) = C + Mn/6 + (Cr+Mo)/5 + (Ni+Cu)/15
    (여기서, C, Mn, Cr, Mo Ni, Cu는 각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5. 중량%로, 탄소(C): 0.02~0.15%, 실리콘(Si): 0.05~0.50%, 망간(Mn): 1.0~ 2.0%, 알루미늄(Al): 0.005~0.1%, 인(P): 0.015% 이하, 황(S): 0.0015% 이하, 니오븀(Nb): 0.01~0.03%, 바나듐(V): 0.01~0.03%, 티타늄(Ti): 0.01~0.03%, 크롬(Cr): 0.005%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 0.005% 이하(0%는 제외), 구리(Cu): 0.02~0.5%, 니켈(Ni): 0.05~0.60%, 보론(B): 0.0002~0.0010%, 질소(N): 0.0035~0.0065%,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1140~1150℃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920~950℃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단계;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 후 상온까지 공냉하는 단계;
    상기 공냉 후 열연강판을 890~910℃ 온도범위로 20~40분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열연강판을 전 두께방향의 1/4t(t: 두께(mm)) 지점을 기준으로 3℃/s 이상의 냉각속도로 45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열연강판을 610~640℃에서 20~60분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WHT 후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은 패스(pass)당 10% 이상의 압하율로 실시하는 PWHT 후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의 제조방법.
KR1020140188466A 2014-12-24 2014-12-24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466A KR101657828B1 (ko) 2014-12-24 2014-12-24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7531189A JP6514777B2 (ja) 2014-12-24 2015-12-01 Pwht後の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圧力容器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5/538,887 US10604817B2 (en) 2014-12-24 2015-12-01 High-strength steel plate for pressure vessel having excellent toughness after post weld heat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580070638.5A CN107109589B (zh) 2014-12-24 2015-12-01 Pwht后的韧性优异的高强度压力容器用钢材及其制造方法
EP15873502.7A EP3239327B1 (en) 2014-12-24 2015-12-01 High-strength steel plate for pressure vessel having excellent toughness after post weld heat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5/012985 WO2016104975A1 (ko) 2014-12-24 2015-12-01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466A KR101657828B1 (ko) 2014-12-24 2014-12-24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669A KR20160078669A (ko) 2016-07-05
KR101657828B1 true KR101657828B1 (ko) 2016-10-04

Family

ID=5615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466A KR101657828B1 (ko) 2014-12-24 2014-12-24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04817B2 (ko)
EP (1) EP3239327B1 (ko)
JP (1) JP6514777B2 (ko)
KR (1) KR101657828B1 (ko)
CN (1) CN107109589B (ko)
WO (1) WO201610497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638B1 (ko) 2015-12-23 2017-05-30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유기 균열 (hic)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31499B1 (ko) 2018-08-07 2019-10-11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0414A (ko) * 2017-10-24 2020-05-29 난징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박용 철강 및 이의 일강다단 열처리 공정
KR20210079848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피팅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0045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피팅부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492A1 (ja) * 2015-07-28 2017-02-0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隅肉アーク溶接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98991B1 (ko) * 2017-12-15 2019-07-10 주식회사 포스코 인장강도 및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98501B1 (ko) * 2018-10-18 2020-04-07 주식회사 포스코 방진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망간 강재
KR102131533B1 (ko) * 2018-11-29 2020-08-05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강도가 우수한 중고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39184B1 (ko) * 2019-09-04 2021-04-12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0641B1 (ko) * 2019-10-22 2021-07-22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 용접후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6743996B1 (ja) * 2019-11-13 2020-08-19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材
JP2021179414A (ja) * 2020-05-14 2021-11-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間圧延鋼帯の蛇行量測定装置及び熱間圧延鋼帯の蛇行量測定方法
KR102487759B1 (ko) * 2020-12-18 2023-01-12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열연강판, 열연 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3774279B (zh) * 2021-08-20 2022-07-01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核反应堆合金材料,其制备方法、部件及焊接方法
CN115125457B (zh) * 2022-05-26 2023-06-16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连铸大圆坯生产的耐-50℃低温石化热交换器管板用钢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8675B2 (ja) * 1989-06-05 1998-10-0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微細粒ベイナイト鋼材
JP3569314B2 (ja) 1994-08-31 2004-09-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継手の疲労強度に優れた溶接構造用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56037A (ja) 1996-03-22 1997-09-30 Nippon Steel Corp 応力除去焼鈍処理用の厚肉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5194572B2 (ja) * 2007-06-07 2013-05-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耐溶接割れ性が優れた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EP2240618B1 (en) * 2007-12-04 2013-01-23 Posco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586080B2 (ja) 2008-03-28 2010-11-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応力除去焼鈍特性と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
JP5509654B2 (ja) 2009-03-30 2014-06-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pwht特性および一様伸び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20110543A (ko) * 2011-03-29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2207237A (ja) * 2011-03-29 2012-10-25 Jfe Steel Corp 多層盛溶接部の靭性に優れた降伏強さ500MPa級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141220A1 (ja) * 2011-04-12 2012-10-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変形性能及び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高強度鋼管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317275B1 (ko) * 2011-11-03 2013-10-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JP5958428B2 (ja) * 2012-07-30 2016-08-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大入熱溶接用鋼板の製造方法
KR20140056760A (ko) * 2012-10-31 2014-05-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력용기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5261B1 (ko) * 2013-01-31 2015-03-24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3108B1 (ko) * 2013-05-31 2015-09-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638B1 (ko) 2015-12-23 2017-05-30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유기 균열 (hic)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0414A (ko) * 2017-10-24 2020-05-29 난징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박용 철강 및 이의 일강다단 열처리 공정
KR102222958B1 (ko) 2017-10-24 2021-03-05 난징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박용 철강 및 이의 일강다단 열처리 공정
KR102031499B1 (ko) 2018-08-07 2019-10-11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32493A1 (ko) 2018-08-07 2020-02-13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79848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피팅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0045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피팅부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9327A1 (en) 2017-11-01
JP6514777B2 (ja) 2019-05-15
EP3239327A4 (en) 2017-11-22
KR20160078669A (ko) 2016-07-05
JP2018504519A (ja) 2018-02-15
WO2016104975A1 (ko) 2016-06-30
EP3239327B1 (en) 2019-05-08
WO2016104975A8 (ko) 2016-08-04
CN107109589B (zh) 2018-11-30
US10604817B2 (en) 2020-03-31
CN107109589A (zh) 2017-08-29
US20190100818A1 (en)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828B1 (ko)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890B1 (ko) 중심부 물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극후물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98991B1 (ko) 인장강도 및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22067B1 (ko)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3395984B1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wht resistance for low-temperature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17231B1 (ko) 저온인성 및 인장특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극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8368591B (zh) 具有优异的焊后热处理耐性的压力容器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908818B1 (ko) 저온에서의 파괴 개시 및 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67701B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09581B1 (ko)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8227B1 (ko) 구리를 함유한 복합 베이나이트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116B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888B1 (ko)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71968B1 (ko)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중고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730B1 (ko) 고온 항복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7906A (ko)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5828B1 (ko)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2341B1 (ko)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546888B2 (ja) 溶接性、靭性の優れた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KR101908804B1 (ko)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973B1 (ko) 저온 변형시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8532B1 (ko) 고온 항복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8531B1 (ko) 고온 항복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553169A (ja) 高温pwht抵抗性に優れた圧力容器用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967373B2 (ja) 非調質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