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446B1 -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446B1
KR101657446B1 KR1020140143948A KR20140143948A KR101657446B1 KR 101657446 B1 KR101657446 B1 KR 101657446B1 KR 1020140143948 A KR1020140143948 A KR 1020140143948A KR 20140143948 A KR20140143948 A KR 20140143948A KR 101657446 B1 KR101657446 B1 KR 101657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handle arm
armrest
switched
restr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055A (ko
Inventor
웨이동 리우
환 닝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4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아암이 반전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 아암의 조작을 제한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동적으로 핸들 아암(40)에 장착되고,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10)과, 가동적으로 차체 프레임(30)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30)이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는 한, 걸어맞춤수단(10)을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2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LIMITING OPERATION IMPLEMENT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THEREWITH}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핸들이 반전 가능한 유모차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것이 있다.
상기 유모차는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좌석부와, 좌석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펼침/접음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과, 펼쳐지는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추지(樞支)되어 있는 핸들을 갖고, 핸들을 요동하여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유모차를 밀어 움직이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프레임을 접을 때에 있어서 핸들이 배치되어야 할 위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핸들을 그 바른 위치로 전환하지 않으면 지지 프레임을 접을 수 없다. 또한, 지지 프레임을 접음상태로부터 펼 때에 핸들을 먼저 요동시키면, 지지 프레임을 바르게 펼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지지 프레임의 펼침/접음과, 핸들의 요동위치를 기억해 두어야 하므로, 이러한 유모차를 이용하는데에 불편을 느끼는 사용자도 적지 않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179915호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핸들이 반전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펼침상태와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제1과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차체 프레임과,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延伸)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아암을 갖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로서, 가동(可動)적으로 상기 핸들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과, 가동적으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을 상기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펼침상태와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제1과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차체 프레임과,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간에 전환될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아암과, 상기 조작제한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는 가동적으로 핸들 아암에 장착되고, 핸들 아암의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과, 가동적으로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이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는 한, 걸어맞춤수단을 상기 제한 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유모차 차체 프레임이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는 한, 잠금수단 및 걸어맞춤수단을 개재하여 핸들 아암의 차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제한하므로,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을 펼 때에 있어서의 핸들 아암의 잘못된 요동조작을 제한하여 유모차의 펼침 조작을 알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의 펼침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의 접음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이 차체 프레임의 펼침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이 차체 프레임의 펼침상태에 있어서 허용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이 차체 프레임의 접음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이 차체 프레임의 접음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모차가 갖는 아암 레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30) 및 핸들 아암(4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30)은 도 1에 대응하는 펼침상태와, 도 2에 대응하는 접음상태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30)은 하단에 전륜 유닛(33)을 갖는 전륜 프레임(31)과, 하단에 후륜 유닛(34)을 갖는 후륜 프레임(32)과, 전륜 프레임(31)과 후륜 프레임(32) 사이에 추지되어 있는 지지판(35)과, 지지판(35)의 위쪽에 배치되는 아암 레스트(36)를 구비하고 있는데다가, 전륜 프레임(31)과 후륜 프레임(32) 각각의 상단부는 아암 레스트(36) 전단부에 추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차체 프레임(3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펼침상태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후륜 유닛(34)측에서 전륜 유닛(33)측으로 향하는 제1 방향과, 전륜 유닛(33)측에서 후륜 유닛(34)측으로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모차 차체 프레임(30)은 상단이 아암 레스트(36)의 후단부에 추지되고, 하단이 지지판(35)의 후단부에 추지되어 있는 장착좌(37)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장착좌(37)의 하단부에 핸들 아암(40)의 하단이 요동 가능하게 추지되어 있다. 즉, 핸들 아암(40)은 소정의 길이방향 R을 따라 연신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즉, 상기 유모차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조작에 적합한 위치. 도 1, 도 2 참조)와 제2 조작위치(즉, 상기 유모차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조작에 적합한 위치. 도시 생략) 간에 전환되는, 즉,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차체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유모차는 차체 프레임(30)이 접음상태에 배치될 때, 핸들 아암(40)이 상기 제1 조작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30)의 접음상태란 아암 레스트(36)가 장착좌(37)에 대하여 소정의 접음위치(도 2에 나타나 있는 비스듬히 배치되는 위치)로 전환된 상태이며, 차체 프레임(30)의 펼침상태란 아암 레스트(36)가 장착좌(37)에 대하여 소정의 펼침위치(도 1에 나타나 있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위치)로 전환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핸들 아암(40)이 반전(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사이의 전환) 가능한 유모차에 대하여, 핸들 아암(40)의 요동 조작을 제한하는 것이며, 가동적으로 핸들 아암(40)에 장착되고,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10)과, 가동적으로 차체 프레임(30)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30)이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는 동안은 걸어맞춤수단(10)을 상기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20)과, 핸들 아암(40)이 추지되어 있는 장착좌(37)에 배치되어 장착좌(37)로부터 돌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제한수단(371)과, 아암 레스트(36)에 배치되어 아암 레스트(36)로부터 돌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제한수단(361)을 갖고 있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가 갖는 걸어맞춤수단(10) 및 잠금수단(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걸어맞춤수단(10)이 차체 프레임(30)의 펼침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걸어맞춤수단(10)이 차체 프레임(30)의 펼침상태에 있어서 허용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걸어맞춤수단(10)이 차체 프레임(30)의 접음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걸어맞춤수단(10)이 차체 프레임(30)의 접음상태에 있어서 제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수단(10)은 제1 맞닿음면(11)과, 제1 맞닿음면(11)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맞닿음면(12)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수단(10)은 상기 소정의 길이방향 R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핸들 아암(40)에 장착되고, 소정의 길이방향 R을 따라 제2 맞닿음면(12)이 장착좌(37)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제한수단(371)에 걸어맞춤으로써, 핸들 아암(40)의 장착좌(37) 및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도 3 참조)와, 제2 맞닿음면(12)이 제1 제한수단(371)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핸들 아암(40)의 장착좌(37) 및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도 4 참조) 간에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다.
잠금수단(20)은 차체 프레임(30)이 접음상태 및 접음상태로부터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걸어맞춤수단(10)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도록(즉, 걸어맞춤수단(10)을 제한위치에 잠근다) 구성된 것이다. 그 구체적 구성으로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36)의 장착좌(37)에 추지되어 있는 후단부에 배치되어 걸어맞춤수단(10)의 제1 맞닿음면(11)에 맞닿을 수 있도록, 아암 레스트(36)의 장착좌(37)에 대한 회전운동방향에 대응하는 커브형상으로 만곡하여 연신하는 제한 캠 돌기(21)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한 캠 돌기(21)는 차체 프레임(30)의 펼침상태와 접음상태의 전환에 있어서 회전운동하는 아암 레스트(36)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30)이 접음상태 및 접음상태로부터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걸어맞춤수단(10)의 상기 제한위치와 상기 허용위치 사이에 진입하여 걸어맞춤수단(10)의 제1 맞닿음면(11)에 맞닿음으로써 걸어맞춤수단(10)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잠금수단(20)이 갖는 제한 캠 돌기(21)는 아암 레스트(36)의 장착좌(37)에 추지되어 있는 후단부에 장착되고, 아암 레스트(36)가 상기 접음위치(도 2 참조) 및 상기 접음위치부터 상기 펼침위치로 전환되는 도중(도 1, 도 2 및 도 6 참조)에 걸어맞춤수단(10)의 제1 맞닿음면(11)에 맞닿아 걸어맞춤수단(10)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고, 아암 레스트(36)가 상기 펼침위치에 도달하면, 제한 캠 돌기(21)가 제1 맞닿음면(11)으로부터 떨어져서 걸어맞춤수단(10)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퇴피(退避)위치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36)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제한수단(361)은 걸어맞춤수단(10)에 대응하고, 핸들 아암(40)이 제2 조작위치로 전환되면, 걸어맞춤수단(10)을 아암 레스트(36)의 제2 제한수단(361)에 걸어맞추어 핸들 아암(40)을 제2 조작위치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는 가동적으로 핸들 아암(40)에 장착되고,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10)과, 가동적으로 차체 프레임(30)에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30)이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걸어맞춤수단(10)을 상기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20)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유모차 차체 프레임(30)이 펼침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한, 잠금수단(20) 및 걸어맞춤수단(10)을 개재하여 핸들 아암(40)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제한하므로,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30)을 펼칠 때의 핸들 아암(40)의 잘못된 요동 조작을 제한하여 유모차의 펼침조작을 알기 쉽게 할 수 있다.
10 : 걸어맞춤수단 11 : 제1 맞닿음면
12 : 제2 맞닿음면 20 : 잠금수단
21 : 제한 캠 돌기 30 : 차체 프레임
31 : 전륜 프레임 32 : 후륜 프레임
33 : 전륜 유닛 34 : 후륜 유닛
35 : 지지판 36 : 아암 레스트
361 : 제2 제한수단 37 : 장착좌
371 : 제1 제한수단

Claims (10)

  1. 펼침상태와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제1과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차체 프레임과,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사이로 전환할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아암을 구비한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로서,
    가동(可動)적으로 상기 핸들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제한하는 제한위치와, 상기 요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어맞춤수단과,
    가동적으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 걸어맞춤수단을 상기 제한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잠금수단을 갖되,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핸들 아암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장착좌, 및
    상기 장착좌에 추지되어 있는 아암 레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제1 외측 맞닿음면, 및
    상기 제1 외측 맞닿음면에 대향하는 제2 외측 맞닿음면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아암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장착좌에 추지되어 있는 상기 아암 레스트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장착좌에 추지되어 있는 상기 아암 레스트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제한 캠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 캠 돌기는,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장착좌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접음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아암 레스트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걸어맞춤수단의 상기 제1 외측 맞닿음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핸들 아암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상승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제한 캠 돌기는,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장착좌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아암레스트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걸어맞춤수단의 상기 제1 외측 맞닿음면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핸들 아암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상승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소정의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핸들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위치와 상기 허용위치 간에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접음상태 및 상기 접음상태로부터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접음상태 및 상기 접음상태로부터 상기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의 상기 제한위치와 상기 허용위치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접음상태에 배치될 때, 상기 핸들 아암이 상기 제1 조작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좌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제1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한수단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핸들 아암이 상기 제1 조작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제한위치에 진입하여 상기 장착좌의 상기 제1 제한수단에 걸어맞추어 상기 핸들 아암을 상기 제1 조작위치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레스트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아암의 상기 제2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제2 제한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핸들 아암이 상기 제2 조작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아암 레스트의 상기 제2 제한수단에 걸어맞추어 상기 핸들 아암을 상기 제2 조작위치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접음상태란,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장착좌에 대하여 소정의 접음위치로 전환된 상태이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펼침상태란,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장착좌에 대하여 소정의 펼침위치로 전환된 상태이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아암 레스트의 상기 장착좌에 추지되어 있는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접음위치 및 상기 접음위치부터 상기 펼침위치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며,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펼침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캠 돌기는, 상기 아암 레스트의 상기 장착좌에 대한 회전운동방향에 대응하는 커브형상으로 만곡하여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이 갖는 상기 제한 캠 돌기는,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장착좌에 대하여 상기 접음위치부터 상기 펼침위치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아암 레스트와 함께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펼침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제한위치부터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퇴피(退避)위치에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10. 펼침상태와 접음상태 간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펼침상태에 있어서는 제1과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차체 프레임과, 소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신하고, 상기 제1과 제2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조작위치와 제2 조작위치 간에 전환될 수 있도록 요동 가능하게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아암과,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작제한기구를 갖되,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핸들 아암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장착좌, 및
    상기 장착좌에 추지되어 있는 아암 레스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140143948A 2013-10-25 2014-10-23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KR101657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511496.4 2013-10-25
CN201310511496.4A CN104554409A (zh) 2013-10-25 2013-10-25 防车架误用机构及具有该防车架误用机构的婴儿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55A KR20150048055A (ko) 2015-05-06
KR101657446B1 true KR101657446B1 (ko) 2016-09-19

Family

ID=5304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948A KR101657446B1 (ko) 2013-10-25 2014-10-23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42523B2 (ko)
KR (1) KR101657446B1 (ko)
CN (1) CN104554409A (ko)
TW (1) TWI5949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4971B (zh) * 2016-07-06 2018-08-03 中山盛加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提拉收合式折叠手推车
GB2553802B (en) * 2016-09-14 2019-08-07 Stroller Tech Ltd A s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645A (en) * 1987-01-30 1988-08-23 Louis Shamie Safety spreader bar lock for umbrella stroller
JP3376120B2 (ja) * 1994-08-05 2003-02-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押棒ロック機構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812948B2 (ja) * 2001-03-05 2011-11-0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583742B2 (ja) * 2003-09-24 2010-11-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TWM319208U (en) * 2007-01-22 2007-09-21 Link Treasure Ltd Collapsible stroller frame
GB0818605D0 (en) * 2008-10-10 2008-11-19 Scs London Ltd Apparatus and method
US8210563B2 (en) * 2008-12-19 2012-07-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Reversible stroller handle
JP5498810B2 (ja) * 2009-02-03 2014-05-21 明門香港股▲フェン▼有限公司 反転可能ハンドルベビーカー用のベビーカー部品アセンブリ
JP5410312B2 (ja) * 2010-01-22 2014-02-05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CN102275608B (zh) * 2010-06-14 2013-01-3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防意外收合的安全防护装置及幼儿推车
CN202574330U (zh) * 2012-05-16 2012-12-05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载具及其托架装置
CN202863511U (zh) * 2012-08-25 2013-04-10 东莞宜宸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双管滑动收展车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42523B2 (ja) 2019-07-10
JP2015083458A (ja) 2015-04-30
KR20150048055A (ko) 2015-05-06
TWI594911B (zh) 2017-08-11
TW201515897A (zh) 2015-05-01
CN104554409A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976B2 (en) Stroller
US20160101802A1 (en) Infant Carrier and Stroll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297643B2 (en) Stroller
JP6209100B2 (ja) 折畳式乳母車
KR101786779B1 (ko)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CN110386182B (zh) 婴儿载具、婴儿座具及其连动收折机构
US8348340B2 (en) Seat structure
JP2016014310A (ja) スライドアームレストコンソール開閉装置
EP3444143B1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JP5093683B2 (ja) 車両座席
US20140375087A1 (en) Seat back interlocking ottoman device and vehicle seat
JP2010234988A (ja) ベビーカー
JP6378991B2 (ja) 乳母車
KR101657446B1 (ko) 유모차에 이용되는 조작제한기구 및 그 조작제한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JP4269824B2 (ja) シート装置
TW201817625A (zh) 嬰兒車
JP5356682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CN107139782B (zh) 一种带有自锁与复位功能的选择手柄机构
JP5798890B2 (ja) ベビーカー用の制動機構、ベビーカー用の車輪保持機構、および、ベビーカー
JP4693478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5963630B2 (ja) 手押し車のロック機構
JP654263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771990B2 (ja) 手押しカート
JP5796044B2 (ja) ダイブダウンシート
JP5691774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