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961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961B1
KR101654961B1 KR1020127008123A KR20127008123A KR101654961B1 KR 101654961 B1 KR101654961 B1 KR 101654961B1 KR 1020127008123 A KR1020127008123 A KR 1020127008123A KR 20127008123 A KR20127008123 A KR 20127008123A KR 101654961 B1 KR101654961 B1 KR 10165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asing
side wall
transmis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257A (ko
Inventor
도루 오코시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4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thereof to the user, e.g. fogging prevention or anti-reflection arrangements
    • B60K35/415Glare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3Cover plate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기의 표시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편광판(2c, 2d)을 전면측과 배면측에 설치한 액정표시기(2)를 수납하는 케이싱(6)과, 케이싱(6)의 전면 개구부를 덮는 합성수지제의 투시판(7)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1)에 있어서, 투시판(7)에는 케이싱(6)의 전면 개구부의 선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측벽(7a)을 설치하고, 그 측벽(7a)에는 액정표시기(2)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투시판(7)의 수지성형시에서의 게이트구(7c)를 설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편광 안경 너머로 액정표시기(2)의 표시 내용을 보았다고 해도, 투시판(7)의 측벽(7a) 부분에 게이트구(7c)를 설치함으로써 게이트구(7c)로부터 떨어진 부분에서는 성형에 의한 굴절률 이방성을 갖지 않으므로 광이 통과하게 되어 액정표시기(2)의 표시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건설기계 등의 특수차량이나 선박, 또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광원으로부터의 조사 광선으로 액정표시기를 조명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등의 액정표시장치로서 한 쌍의 유리 기판간에 액정을 봉입하고 그 유리 기판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설치된 편광판에 의해 형성된 액정표시기와, 상기 액정표시기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기를 조명 표시하는 광원과, 상기 액정표시기와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 개구부를 덮으면서 상기 액정표시기를 보호하고 케이싱 내부에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으며 액정표시기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투시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합성수지제의 투시판에는 일반적으로는 강도적으로 우수하고 또한 성형시에 있어 복잡한 형상이어도 간단하게 성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있는 예를 들면 투과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케이싱의 전면측을 덮는 투시판을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복잡한 형상이어도 간단히 성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아크릴 수지 등을 이용함으로써 관찰자가 편광 안경을 착용한 경우에도 액정표시기(2)의 전면측에 편광 특성을 완화시키는 편광 특성 완화판이 되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된 투시판(합성수지제 기판)에 의해 실용상 필요한 액정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653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4036호
상술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보호 커버(투시판)에 있어서, 보호 커버인 투시판의 수지 성형시에, 게이트구 부근에서는 수지 분자의 배향 방향이 불균일해지는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편광 안경 너머로 액정표시부의 가시범위내에 나오는 경우가 있고 편광 안경 너머로 액정표시기를 보면 성형응력에 의한 분자 배향 방향의 흐트러짐이 가시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검은 그림자가 부분적으로 발생하여 표시 판독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즉, 게이트구 부근이 성형에 의해 생긴 성형응력부에 의해 굴절률에 이방성을 갖게 되고, 그 결과 편광 안경 너머로 본 경우 편광 안경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과 겹쳐진 부분이 부분적으로 검게 보이는 곳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보호 커버인 투시판의 수지 성형시에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한 부분에 투시판의 수지 성형시에서의 게이트구를 설치하여 형성함으로써 액정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서는 액정을 한 쌍의 유리 기판간에 봉입하고 그 유리 기판의 전면측과 배면측에 편광판을 설치한 액정표시기와, 상기 액정표시기를 수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 개구부를 덮으면서 상기 액정표시기의 표시부 영역을 시인하기 위해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투시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에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 개구부의 선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연속하여 측벽을 설치하고 또한 그 측벽에는 상기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상기 투시판의 수지성형시에서의 게이트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광 안경 너머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내용을 보았다고 해도, 액정표시부의 가시 범위 내로부터 멀리 떨어진 투시판의 측벽 부분에 게이트구를 설치함으로써, 게이트구 부근만이 성형에 의해 발생한 성형응력에 의해서 굴절률에 이방성을 갖게 되고, 그 결과 편광 안경 너머로 본 경우 편광 안경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과 겹쳐지는 부분인 투시판의 측벽 부분만이 부분적으로 검게 보이는 곳이 발생하지만, 그 이외의 게이트구로부터 떨어진 부분에서는 성형에 의한 굴절률 이방성을 갖지 않으므로(방향성의 제한이 없음) 광이 통과하게 되어, 편광 안경 너머로 보았다고 해도 액정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먼쪽에 위치한 부분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 부분에 상기 투시판의 수지성형시에서의 상기 게이트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에서 먼쪽에 위치한 부분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 부분에 투시판의 수지성형시에서의 게이트구를 설치함으로써, 편광 안경 너머로 본 경우 편광 안경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과 겹쳐진 부분인 투시판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부분과 측벽의 일부분만이 부분적으로 검게 보이는 부분으로서 발생하지만, 그 이외의 게이트구로부터 떨어진 부분인 투시판의 전면측에서는 성형에 의한 굴절률 이방성을 갖지 않으므로(방향성의 제한이 없음) 광이 통과하게 되어, 편광 안경 너머로 보았다고 해도 액정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가 설치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게이트구를 기점으로 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태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투시판 측벽의 형상을 게이트구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태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재료의 성형시에서의 수지유동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수지성형시의 성형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성형응력에 의해 굴절률에 이방성을 갖는 영역을 좁아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광 안경 너머로 본 경우 편광 안경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과 겹쳐진 부분인 투시판의 측벽 부분의 좁은 영역만이 부분적으로 검게 보이는 부분이 된다. 이에 의해 액정표시기의 전면측에 위치한 투시판 부분에서는 성형에 의한 굴절률이방성을 갖지 않으므로(방향성의 제한이 없음) 광이 통과하게 되고 액정표시기의 표시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단면 부분에 대향하여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일체로 방진용 리브를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케이싱으로부터 일체로 방진용 리브를 투시판 측벽의 단면 부분에 대향하여 설치함으로써, 투시판에 설치된 측벽과 케이싱의 경계가 되는 간극 부분으로부터 들어가려고 하는 먼지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을 착색하고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투시판을 통하여 투과되는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의 색조가 투시판의 색조로 전체가 투과 조명되므로, 투시판에 대해서 들어간 위치에 액정표시장치가 배치되어, 깊이감이나 입체감을 강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6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의 전면측인 상기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을 원호형상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밖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반사되었다고 해도 관찰자의 시선 방향으로 반사 도광되는 광선을 투시판의 전면측인 표면을 원호 형상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시선 방향 이외로 인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현혹되지 않고 보기 쉬운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해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편광 안경 너머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내용을 보았다고 해도, 액정표시부의 가시범위내로부터 멀리 떨어진 투시판의 측벽 부분에 게이트구를 설치함으로써, 게이트구로부터 떨어진 부분에서는 성형에 의한 굴절률 이방성을 갖지 않으므로(방향성의 제한이 없음) 광이 통과하게 되어, 편광 안경 너머로 보았다고 해도 액정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게이트구 부분을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게이트구 부분을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투시판에 설치된 게이트구 부분을 도시한 주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로서, 차량용으로 적용된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상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는 한쌍의 유리기판(2a, 2b) 사이에 액정을 봉입하고, 그 유리기판(2a, 2b)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설치된 편광판(2c, 2d)에 의해 형성된 액정표시기(2)와, 상기 액정표시기(2)를 구동하는 구동회로(3a)를 장착된 회로기판(3)과, 상기 회로기판(3)상에 설치되고 액정표시기(2)를 조명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 광원(4)과, 액정표시기(2)와 회로기판(3)을 유지하는 홀더(5)와, 액정표시기(2), 회로기판(3) 및 홀더(5)를 수납하는 케이싱(6)과, 상기 케이싱(6)의 전면 개구부를 덮으면서 액정표시기(2)의 전면측에 배치한 편광판(2c)을 보호하여 케이싱(6) 내부에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액정표시기(2)의 표시부 영역을 시인하는 영역이 설치된,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투시판(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싱(6)으로서 액정표시기(2), 회로기판(3) 및 홀더(5)를 수납하는 케이싱 부재(60)와, 상기 케이싱 부재(60)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액정표시기(2)의 표시부 영역을 시인하기 위한 개구부(61a)가 설치된 후드 형상의 케이싱 부재(61)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6)의 일부를 구성하는 후드 형상의 케이싱 부재(61)의 전면측에는 상술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투시판(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투시판(7)에는 케이싱(6)(후드 형상의 케이싱 부재(61))의 전면 개구부의 선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액정표시기(2)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연속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7a)이 설치되고, 그 측벽(7a)에는 액정표시기(2)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먼쪽에 위치한 부분에 돌출부(7b)를 설치하고, 그 돌출부(7b) 부분에 투시판(7)의 수지성형시에서의 게이트구(7c)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구(7c)가 설치된 측벽(7a)의 돌출부(7b)의 형상으로서, 게이트구(7c)를 기점으로 하여 거의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시판(7)의 전면측인 액정표시기(2)를 시인하는 영역은 관찰자가 액정표시기(2)를 표면측으로부터 시인했을 때 현혹되지 않도록 원호 형상의 곡면 형상(R)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6)의 일부를 구성하는 후드 형상의 케이싱 부재(61)와 투시판(7) 사이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싱 부재(61)에는 투시판(7)의 측벽(7a)의 단면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방진용 리브(61b)가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에서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광원(4)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액정표시기(2)의 표시 내용(표시 정보)이 배후로부터 투과 조명되어 비추어 나온다. 이 때, 투시판(7)의 게이트구(7c)로부터 떨어진 부분인 투시판(7)의 전면측에서는 성형에 의한 굴절률 이방성을 갖지 않으므로(방향성의 제한이 없음) 광이 그대로 통과하게 되고 편광 안경 너머로 보았다고 해도 액정표시기(2)의 표시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즉, 편광 안경 너머로 액정표시기(2)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고자 한 경우, 액정표시기(2)의 가시범위내로부터 멀리 떨어진 투시판(7)의 측벽(7a) 부분인 돌출부(7b) 부분에 게이트구(7c)를 설치함으로써 게이트구(7c) 부근만이 성형에 의해 생긴 성형응력에 의해 굴절률에 이방성을 갖게 되고, 그 결과 편광 안경 너머로 본 경우 편광 안경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과 겹쳐지는 부분인 투시판(7)의 돌출부(7b) 및 측벽(7a) 부분만이 부분적으로 검게 보이는 영역으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그 이외의 게이트구(7c)로부터 떨어진 부분인 액정표시기(2)를 시인하는 영역인 투시판(7)의 전면측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에 의한 굴절률 이방성을 갖지 않으므로(방향성의 제한이 없음) 광이 그대로 통과하게 되어 편광 안경 너머로 보았다고 해도 액정표시기(2)의 표시내용을 양호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구(7c)가 설치된 측벽(7a)으로부터 돌출되어 성형된 돌출부(7b)의 형상은 게이트구(7c)를 기점으로 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시판(7) 측벽(7a)의 돌출부(7b) 형상을 게이트구(7c)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재료의 성형시에서의 수지유동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수지성형시에서의 성형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고 성형응력에 의해 굴절률에 이방성을 갖는 영역을 좁아지게 할 수 있다.
즉, 게이트구(7c) 주위의 형상을 끝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함으로써, 수지성형시에서의 성형응력이 가해지고 있는 영역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편광 안경 너머로 본 경우, 검게 보이는 부분으로서는 편광 안경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과 겹쳐진 부분인 투시판(7)의 측벽(7a) 부분의 좁은 영역(성형시에서의 성형응력이 가해지고 있는 영역)만이 부분적으로 검게 보이는 부분이므로, 이에 의해 측벽(7a)의 안길이 치수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투시판(7)의 전면측인 액정표시기(2)를 시인하는 영역은 관찰자가 액정표시기(2)를 표면측에서 시인했을 때 현혹되는 일이 없도록 원호형의 곡면 형상(R)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광이 외부로부터 액정표시기(2)의 전면측에 들어와도 투시판(7)을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곡면 형상(R)에 의해 투시판(7)에서 반사된 광선이 시선방향으로 되돌아오지 않고 횡방향(시선방향 이외)으로 반사되므로, 현혹되지 않고 액정표시기(2)의 표시내용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6)에는 투시판(7)의 측벽(7a)의 단면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방진용 리브(61b)가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투시판(7)의 측벽(7a)의 단부측으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고자 해도 케이싱(6)으로부터 세워져 형성된 방진용 리브(61b)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즉, 후드 형상의 케이싱 부재(61)로부터 일체로 방진용 리브(61b)를 투시판(7) 측벽(7a)의 단면 부분에 대향하여 설치함으로써, 투시판(7)에 설치된 측벽(7a)과 케이싱 부재(61)의 경계가 되는 간극 부분으로부터 들어가려고 하는 먼지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균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동일한 도면에서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하고 액정표시장치(1)는 액정표시기(2), 광원(4)을 장착한 회로기판(3) 및 홀더(5)를 케이싱(6) 내에 수납하고, 상기 케이싱(6)의 전면 개구부를 덮으면서 액정표시기(2)의 전면측에 배치한 편광판(2c)을 보호하여, 케이싱(6) 내부에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액정표시기(2)의 표시부 영역을 시인하는 영역이 설치된,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투시판(7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싱(6)으로서 액정표시기(2), 회로기판(3) 및 홀더(5)를 수납하는 케이싱 부재(600)와, 상기 케이싱 부재(600)에 수납된 액정표시기(2)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액정표시기(2)의 표시영역 밖과 케이싱 부재(600)의 내벽부측의 간극 부분을 막으면서 액정표시기(2)의 표시부 영역을 시인하기 위한 개구부(610a)가 설치된 틀형상의 케이싱 부재(610)로 구성되어 있고, 케이싱(6)의 일부를 구성하는 케이싱 부재(600)의 전면측에는 상술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투시판(7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부재(600)와 투시판(70) 사이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싱 부재(600)에는 투시판(70) 측벽(70a)의 단면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방진용 리브(600a)가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게이트구(70c)가 설치된 측벽(70a)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70b)의 형상으로서 게이트구(70c)를 기점으로 하여 거의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게이트구(70c)의 두께 치수를 중앙 부분이 얇은 부분(T1)으로서 형성되고, 거의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양단부측이 두꺼운 부분(T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7을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시판(70)을 흑색계 또는 브라운계의 안료를 혼합하여 형성함으로써 투시판(70) 자체가 소정의 색조로 착색되어 성형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2 실시예에서의 액정표시장치(1)에서는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하고, 광원(4)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액정표시기(2)의 표시 내용(표시 정보)이 배후로부터 투과 조명되어 비추어지는 것이고, 투시판(70)의 게이트구(70c)로부터 떨어진 부분인 투시판(70)의 전면측에서는 성형에 의한 굴절률 이방성을 갖지 않으므로(방향성의 제한이 없음) 광이 그대로 통과하게 되고, 편광 안경 너머로 보았다고 해도 액정표시기(2)의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구(70c)가 설치된 측벽(70a)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70b)의 형상으로서는 게이트구(70c)를 기점으로 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게이트구(70c)의 두께 치수를 중앙부분이 얇은 부분(T1)으로서 형성되고,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양단부측이 두꺼운 부분(T2)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게이트구(70c)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재료의 성형시에서의 수지유동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수지성형시에서의 성형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성형 응력에 의해 굴절률에 이방성을 갖는 영역을 좁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게이트구(70c)의 두께 치수로서 중앙 부분을 얇은 부분(T1), 양단부측을 두꺼운 부분(T2)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수지의 성형시의 흐름을 중앙부의 흐름에 대해서 양사이드측의 흐름을 높임으로써 투시판(7) 전체에 가로지르는 수지성형시의 흐름을 균등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합성수지재료의 성형시에서의 수지유동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수지성형시의 흐름을 균등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결과 성형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고 수지분자의 배향 방향이 불균일해지는 영역을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액정표시기의 편광판의 편광축 방향에 대해서 적정한 배향방향에 의한 수지의 성형시에서의 분자 배향 방향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투시판(70)을 흑색계 또는 브라운계의 안료를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투시판(70) 자체가 소정의 색조로 착색되어 형성됨으로써, 투시판(70)을 통하여 투과되는 액정표시기(2) 표시부의 색조가 투시판(70)의 색조로 전체가 투과 조명되므로, 투시판(70)에 대해서 들어간 위치에 액정표시기(2)가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시인되므로, 깊이감이나 입체감을 강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정표시기(2)의 외주 부분을 덮는 틀형상의 케이싱 부재(610)는 착색된 투시판(70)을 통하여 시인하게 되므로, 배경이 어둡게 보이고 액정표시기(2)만이 떠올라 보이는 상태가 되어 외관이 양호한 액정표시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투시판(70)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곡면 형상(R)으로 형성함으로써, 투시판(70)에 반사된 광선이 시선 방향으로 되돌아오지 않고 시선 방향 이외인 횡방향으로 반사되므로 액정표시기(2)의 표시내용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케이싱(600)에는 투시판(70) 측벽(70a)의 단면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방진용 리브(600a)가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투시판(70)의 측벽(70a)의 단부측으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려고 해도, 케이싱 부재(600)로부터 세워져 형성된 방진용 리브(600a)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투시판(7, 70)의 상측에 위치한 측벽(7a, 70a)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7b, 70b)로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었지만, 대략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호 형상의 돌출부이어도 좋은 것이고, 그 돌출부 부분에 게이트구(7c, 70c)를 설치하는 위치관계로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의 단부측에 게이트구(7c, 70c)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게이트구(7c, 70c)의 설치 위치는 단부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 위치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투시판(7, 70)에 설치되는 측벽(7a, 70a)의 안길이 치수 등에 따라서 돌출부(7b, 70b)의 안길이나 폭 치수를 설정하면 좋은 것이고, 그 돌출부(7b, 70b) 부분에 맞추어 게이트구(7c, 70c)의 설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은 것이며, 또한 투시판(7, 70)의 합성수지재료로서 실시예에서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 다른 투시 가능한 수지에 의해 형성해도 좋은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또한, 상술한 실시예 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등의 차량용 지시계기를 예로 들어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했지만, 차량용 계기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용 계기 또는 농업용 기계나 건설 기계 등의 특수 차량의 계기 또는 급탕기 등의 리모컨 조작 패널에 설치된 액정표시장치, 비디오데크나 오디오 기기 등 민생 기기 등에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R: 곡면 형상 T1: 두께가 얇은 부분
T2: 두께가 두꺼운 부분 1: 액정표시장치
2: 액정표시기 2a, 2b: 유리 기판
2c, 2d: 편광판 3: 회로기판
3a: 구동회로 4: 광원(발광 다이오드)
5: 홀더 6: 케이싱
7: 투시판 7a: 측벽
7b: 돌출부 7c: 게이트구
60: 케이싱 부재 61: 후드 형상의 케이싱 부재
61a: 개구부 61b: 방진용 리브
70: 투시판 70a: 측벽
70b: 돌출부 70c: 게이트구
600: 케이싱 부재 600a: 방진용 리브
610: 틀형상의 케이싱 부재 610a: 개구부

Claims (6)

  1. 편광판을 전면측과 배면측에 설치한 액정표시기와, 상기 액정표시기를 수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 개구부를 덮으면서 상기 액정표시기의 표시부 영역을 시인하기 위해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투시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에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 개구부의 선단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연속하여 측벽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측벽에는 상기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으로부터 먼쪽에 위치한 부분에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 부분에는 상기 투시판의 수지성형시에서의 게이트구가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구가 설치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게이트구를 기점으로 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단면 부분에 대향하여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일체로 방진용 리브를 돌출시켜 설치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은 착색하여 성형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판의 전면측인 상기 액정표시기를 시인하는 영역을 원호 형상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27008123A 2009-09-16 2010-08-19 액정표시장치 KR101654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3971 2009-09-16
JP2009213971A JP5311048B2 (ja) 2009-09-16 2009-09-16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257A KR20120073257A (ko) 2012-07-04
KR101654961B1 true KR101654961B1 (ko) 2016-09-06

Family

ID=4375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123A KR101654961B1 (ko) 2009-09-16 2010-08-19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81287B2 (ko)
EP (1) EP2479602B1 (ko)
JP (1) JP5311048B2 (ko)
KR (1) KR101654961B1 (ko)
CN (1) CN102498433B (ko)
WO (1) WO2011033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1767B (zh) * 2011-11-04 2015-07-15 博世汽车多媒体(芜湖)有限公司 一种应用于汽车仪表的lcd屏模组件
JP5938333B2 (ja) * 2012-11-06 2016-06-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5962719B2 (ja) * 2013-09-17 2016-08-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US9757354B2 (en) * 2015-06-08 2017-09-1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herapeutic formulations and methods
CN106143155A (zh) * 2016-07-08 2016-11-23 吕冬芳 一种双屏叠加组合彩色全液晶显示汽车仪表
JP6933002B2 (ja) * 2017-06-06 2021-09-08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7376444B2 (ja) * 2020-09-17 2023-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構造
JP7436414B2 (ja) * 2021-03-26 2024-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060A (ja) 1999-01-29 2000-08-08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JP2001260168A (ja) 2000-03-14 2001-09-25 Yoshida Industry Co Ltd 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291718A (ja) 2004-03-31 2005-10-20 Nippon Seiki Co Ltd 発光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5319A (ja) 1990-07-04 1992-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化物超伝導材料の製造方法
JPH0465319U (ko) 1990-10-17 1992-06-05
JPH10214036A (ja) 1997-01-29 1998-08-11 Denso Corp 表示装置
JPH11240355A (ja) * 1998-02-26 1999-09-07 Nippon Seiki Kk 車両用計器装置
US6411216B1 (en) * 1999-01-25 2002-06-25 Nippon Seiki Co., Ltd. Display device with indicators having increased brightness
JP5094331B2 (ja) * 2007-10-22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060A (ja) 1999-01-29 2000-08-08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JP2001260168A (ja) 2000-03-14 2001-09-25 Yoshida Industry Co Ltd 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291718A (ja) 2004-03-31 2005-10-20 Nippon Seiki Co Ltd 発光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257A (ko) 2012-07-04
EP2479602A1 (en) 2012-07-25
WO2011033893A1 (ja) 2011-03-24
JP2011064840A (ja) 2011-03-31
EP2479602A4 (en) 2013-03-13
EP2479602B1 (en) 2014-04-02
JP5311048B2 (ja) 2013-10-09
US8681287B2 (en) 2014-03-25
US20120162571A1 (en) 2012-06-28
CN102498433A (zh) 2012-06-13
CN102498433B (zh)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961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5182664A1 (ja) 表示装置
TW20083929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display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shift plate, and the phase shift plate thereby
WO2010092705A1 (ja) 表示装置
WO2018061676A1 (ja) 車両用モニターインナーミラー
JP7207162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653299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100004A (ko) 표시 장치
CN209746312U (zh) 显示装置
JP2013228440A (ja) 液晶表示装置
US10859827B2 (en) Combiner and head-up display device
JP6293839B2 (ja) 液晶表示装置
JP6504127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30122148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518828B1 (ko) 표시장치 및 차량
KR101601267B1 (ko) 액정 표시 장치
JP5305087B2 (ja) 計器装置
JP3736536B2 (ja) 光電センサ
TWI569065B (zh) 液晶顯示元件
JP2019113322A (ja) 車両用計器
WO2021210258A1 (ja) 面状照明装置
JP2008203487A (ja) 照明付電子機器
JP6933002B2 (ja) 表示装置
KR102573084B1 (ko) 액정표시장치
JP5713812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