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950B1 -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950B1
KR101652950B1 KR1020150184179A KR20150184179A KR101652950B1 KR 101652950 B1 KR101652950 B1 KR 101652950B1 KR 1020150184179 A KR1020150184179 A KR 1020150184179A KR 20150184179 A KR20150184179 A KR 20150184179A KR 101652950 B1 KR101652950 B1 KR 10165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oth
work
shielding film
block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택
박길서
유기현
박종원
이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원
Priority to KR102015018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의 외벽을 개구하고 이 개구된 부분에 덕트를 시공할 때 배관으로부터 나오는 가스로 인해 작업 현장에서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배관 주변에 설치된 불특정 구조물이 기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덕트를 설치할 배관을 중심으로 작업부스를 간편하게 가설하여 덕트가 연결된 배관을 개구하여도 그 개구된 배관으로부터 나온 가스가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설치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flexible-type work-booth for prevention smell diffusion}
본 발명은 고압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의 외벽을 개구하고 이 개구된 부분에 덕트를 시공할 때 배관으로부터 나오는 가스로 인해 작업 현장에서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배관 주변에 설치된 불특정 구조물이 기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덕트를 설치할 배관을 중심으로 작업부스를 간편하게 가설하여 덕트가 연결된 배관을 개구하여도 그 개구된 배관으로부터 나온 가스가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가 이동하는 배관은 설비에 제공하는 가스가 이동하거나 설비로부터 사용된 가스가 드레인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설비의 추가나 설비의 구조 변경을 위해서 배관의 통로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기 설치된 배관에 덕트를 연결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보통은 배관에 고압의 가스가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덕트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관의 외벽을 천공하여야 한다. 이때 천공된 배관에서 가스가 나와 주변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배관에 덕트를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에는 천공 예정인 배관 주변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미리 가설부스를 설치한 후에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배관이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인 경우에는 고열로 천공하는 과정에서 배관 자체로부터도 유독성 냄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설부스 설치작업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그런데, 배관이 연결되는 설비들 주변에는 또 다른 배관이나 구조물들이 불특정하게 많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냄새 확산 방지를 위한 가설부스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그때그때 불특정한 공간에 특화된 맞춤제작을 제각각 해야 하고, 이로 인해 맞춤 가설부스에 대한 설치시간(예: 2~3일)과 설치비용(예: 대략 300만원)도 큰 부담이 된다.
그리고, 배관에 덕트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료되면 설치하였던 가설부스를 다시 철거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기존의 가설부스는 이중합판으로 이루어진 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철거비용도 소요되고 무엇보다도 폐자재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92979호 "작업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100712호 "어닝을 이용한 조립식 간이 부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27637호 "간이도장부스" 대한민국 실용출원 20-2003-0023467호 "자동차 도장용 간이 부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특정한 구조물이 설치된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거작업이 간편한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시간이 짧은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비용이 저렴한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특정하게 미리 설치된 구조물의 사이 공간에 장착하여 구조물의 작업시 발생하는 가스의 냄새가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부스로서,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을 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류 재질로 이루어져 내외부 기밀이 유지되도록 테두리부가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에 실링 연결되어 무정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막; 차단막의 내측에 연결되어 차단막의 골격을 형성함에 따라 차단막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는 하나이상의 지지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차단막의 외표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주변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차단막이 현재 펼쳐진 구조를 유지시키는 지지로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막에 연결되는 지지로프의 일단부에는 걸고리가 구비되어 차단막에 걸림 연결되고 지지로프의 타단부는 주변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로프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로프가 연결되는 차단막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지지로프에 구비된 걸고리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연결고리; 연결고리에 대응하는 차단막의 외표면 소정 부분에 적층 결합되어 차단막과 연결고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패드; 지지폴대가 차단막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차단막의 내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끼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단막은 투명한 합성수지류 재질로 구성되고, 지지폴대는 다관절 형태로 폴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에는 상하부 관통하는 작업자 출입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류 재질의 차단막을 채택하여 불특정한 구조물이 설치된 공간에서 설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작업도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설치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과 덕트 연결 작업에 가설되는 작업부스의 일례를 작업부스의 외부에서 촬영한 사진,
[도 2]는 [도 1]의 작업부스 내에서 촬영한 사진,
[도 3]은 일반적인 배관과 덕트 연결 작업에 가설되는 작업부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의 내측에 지지폴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의 외표면에 장착된 보강패드와 연결고리, 그리고 연결고리에 걸림 결합되는 지지로프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이 불특정 구조물이 위치한 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배관과 덕트 연결 작업에 가설되는 작업부스의 일례를 작업부스의 외부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작업부스 내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배관과 덕트 연결 작업에 가설되는 작업부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작업배관(20)과 덕트 연결 작업에 가설되는 작업부스는 작업배관(20)과는 별도로 구조물(31)이 불특정하게 미리 설치된 공간에 맞추어 부스프레임(10)을 만들게 된다.
이때, 부스프레임(10)은 내부에서 작업자가 작업배관(20)과 덕트의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공간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작업배관(20)은 공중에 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작업배관(20)에 설치되는 부스프레임(10)도 공중에 뜬 상태로 제작되어야 하고 이렇게 공중에 뜬 상태의 부스프레임(10)을 만들기 위해서는 비계(40)를 미리 작업배관(20)의 하부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이 비계(40) 위에서 작업부스 설치작업을 진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배관(20)이 위치하는 공간의 불특정한 구조물(31)에 대응하여 협소한 비계(40) 위에서 매번 새로운 형태의 작업부스가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길어지고 설치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즉, 작업배관(40)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작업배관(40)에 덕트를 연결하는 본래의 작업전에 냄새 확산 방지를 위해 수행하는 부수적인 작업부스의 설치에 너무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하게 된다.
특히, 부스프레임(10)은 이중합판을 이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이 구조물이 지나가는 위치에는 그에 대응하여 개구부(11)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11)에 구조물이 통과하도록 배치한 후에는 다시 기밀이 유지되도록 그 개구부(11)를 실링 처리한다.
한편, 부스프레임(10)은 작업배관(20)의 천공 후 그 천공된 위치에 덕트를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스프레임(10)의 설치시 작업배관(20)이 지나가는 위치에는 그에 대응하여 개구부(13)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13)에 작업배관(20)이 통과하도록 배치한 후에는 다시 그 개구부(13)를 통한 공기소통이 차단되도록 실링 처리한다.
다른 한편, 도 2의 도면부호 21은 작업배관(20)의 측벽을 천공하여 형성된 관통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22는 덕트가 연결되는 덕트연결부로서 관통부(21)의 테두리에 연결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의 내측에 지지폴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의 외표면에 장착된 보강패드와 연결고리, 그리고 연결고리에 걸림 결합되는 지지로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이 불특정 구조물이 위치한 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불특정하게 미리 설치된 구조물(32,33,34,35,36)의 사이 공간에 장착하여 구조물의 작업시 발생하는 가스의 냄새가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부스로서, 베이스(100), 차단막(200), 지지폴대(300), 지지로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베이스(100)는 차단막(200)의 개구된 하부를 기밀이 유지되게 마감하며 작업자가 상면에 발을 딛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형태의 목재가 채택된다.
그리고, 베이스(100)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작업자 출입부(110)가 구성된다. 상세하게 프레임 형태의 비계(40) 상면에 작업자 출입부(110)가 형성된 베이스(100)를 안착하고 차단막(200)의 하단부 테두리가 베이스(100)의 테두리를 따라 베이스(100)의 상면에 기밀 유지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100)와 차단막(200)이 연결되면 차단막(200)은 내외부 기밀유지가 가능하여 차단막(200)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작업배관(20)의 외벽을 천공하여도 작업배관(20)에서 흘러나온 가스가 차단막(200)에 그대로 고여 있게 되고 외부로 냄새가 확산되지 않게 된다.
이때, 베이스(100)의 작업자 출입부(110)에 대응하는 관통공에는 별도의 덮개를 마련하여 작업자가 비계(40)의 하부로부터 관통공을 통해 베이스(100)의 상면으로 오른 후 덮개를 덮어 베이스(100)의 상하부를 통한 기밀유지가 되도록 완전히 차단한다.
여기서, 차단막(200)의 내부에 축적되는 가스는 별도의 드레인배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드레인배관도 작업배관(20)과 같이 차단막(200)의 일측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막(200)은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작업배관(20) 주변의 불특정한 구조물(32,33,34,35,36)에 유연성 있게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막(200)은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류 재질로 이루어져 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실링이 간편하도록 한다.
또한, 차단막(20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작업부스의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불의의 질식사고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를 대비하여 외부에서도 차단막(200)의 내부를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지지폴대(300)는 차단막(200)의 내측에 연결되어 무정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플렉시블한 차단막(200)의 골격을 담당하여 차단막(200)의 내부 공간을 유지할 수 있고, 주변의 구조물(32,33,34,35,36)에 의해 눌린 부분을 각 구조물(32,33,34,35,36)의 사이 공간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폴대(300)는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지지폴대(300)가 설치되는 차단막(200)의 내벽에는 복수 개의 끼움부(미도시)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차단막(200)이 무정형으로 눌린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폴대(300)를 차단막(200)의 내벽과 천장 부분에 여러 개 설치함으로써 차단막(200)의 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폴대(300)는 다관절 형태로 폴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지지폴대(300)가 다관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차단막(200)이 설치되는 공간이 무정형이고 또한 협소한 경우 지지폴대(300)를 차단막(200)의 내벽에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차단막(200)의 틀을 잡기 위해서 차단막(200)의 외부로부터 차단막(200)을 당기는 지지로프(400)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로프(400)는 차단막(200)의 외표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주변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차단막(200)이 현재 펼쳐진 구조가 찌그러지거나 눌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차단막(200)에 지지로프(400)의 일단부에는 걸고리(410)가 구비되어 차단막(200)에 걸림 연결됨에 따라 차단막(200)이 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단막(200)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걸고리(410)가 연결된 지지로프(400)의 타단부는 주변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로프(400)의 텐션을 유지한다. 이때, 지지로프(400)를 주변의 구조물에 연결할 때에는 지지로프(400)의 소정 부분을 구조물에 묶음 매듭으로 연결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와 같이 구조물에 간단히 걸쳐서 고정 연결하도록 구조물에 연결되는 지지로프(400)의 타단부에도 별도의 걸고리(42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차단막(200)의 외표면에는 지지로프(400)의 걸고리(4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연결고리(21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고리(210)에 대응하는 차단막(200)의 외표면 소정 부분에 적층 결합되어 차단막(200)과 연결고리(210)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패드(22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 보강패드(220)는 지지로프(400)의 텐션에 따라 지지로프(400)의 걸고리(410)가 차단막(200)의 국소부분을 당길 때 플렉시블한 차단막(200)이 찢어지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도록 소정 넓이로 차단막(200)의 외표면에 부착된다.
10 : 부스프레임
11,12 : 개구부
13 : 작업자 출입부
20 : 작업배관
21 : 관통부
22 : 덕트 연결부
31,32,33,34,35,36 : 구조물
40 : 비계
100 : 베이스
110 : 작업자 출입부
200 : 차단막
210 : 연결고리
220 : 보강패드
300 : 지지폴대
400 : 지지로프
410,420 : 걸고리

Claims (8)

  1. 불특정하게 미리 설치된 구조물의 사이 공간에 장착하여 구조물의 작업시 발생하는 가스의 냄새가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부스로서,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부를 관통하는 작업자 출입부(110)가 구비된 베이스(100);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류 재질로 이루어져 내외부 기밀이 유지되도록 테두리부가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에 실링 연결되어 무정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막(200);
    상기 차단막의 내측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막이 설치되는 주변의 불특정한 구조물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막이 무정형으로 구부러진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차단막의 골격이 주변의 불특정한 구조물 형태에 대응하여 틀을 형성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폴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외표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주변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막이 현재 펼쳐진 구조를 유지시키는 지지로프(4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에 연결되는 상기 지지로프의 일단부에는 걸고리(410)가 구비되어 차단막에 걸림 연결되고 상기 지지로프의 타단부는 주변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프의 텐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프가 연결되는 상기 차단막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로프에 구비된 상기 걸고리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연결고리(210);
    상기 연결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차단막의 외표면 소정 부분에 적층 결합되어 상기 차단막과 상기 연결고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패드(22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폴대가 상기 차단막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상기 차단막의 내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끼움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투명한 합성수지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폴대는 다관절 형태로 폴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8. 삭제
KR1020150184179A 2015-12-22 2015-12-22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KR10165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179A KR101652950B1 (ko) 2015-12-22 2015-12-22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179A KR101652950B1 (ko) 2015-12-22 2015-12-22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950B1 true KR101652950B1 (ko) 2016-08-31

Family

ID=5687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179A KR101652950B1 (ko) 2015-12-22 2015-12-22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9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467A (ko) 2002-07-05 2003-03-19 서희동 전해부상 및 침전에 의한 폐수중 부유고형물질의 제거방법
KR20080027637A (ko) 2006-09-25 200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90053024A (ko) * 2007-11-22 2009-05-27 최호경 유해 분진 비산 방지용 텐트 구조물
KR20100100712A (ko) 2009-03-06 2010-09-15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장치용의 전극
KR20110092979A (ko) 2010-02-11 2011-08-18 리노공업주식회사 켈빈 테스트용 소켓
KR101342695B1 (ko) * 2012-11-29 2013-12-16 문병인 보온 방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467A (ko) 2002-07-05 2003-03-19 서희동 전해부상 및 침전에 의한 폐수중 부유고형물질의 제거방법
KR20080027637A (ko) 2006-09-25 200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90053024A (ko) * 2007-11-22 2009-05-27 최호경 유해 분진 비산 방지용 텐트 구조물
KR20100100712A (ko) 2009-03-06 2010-09-15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장치용의 전극
KR20110092979A (ko) 2010-02-11 2011-08-18 리노공업주식회사 켈빈 테스트용 소켓
KR101342695B1 (ko) * 2012-11-29 2013-12-16 문병인 보온 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3198A1 (ja) シェルター換気システム、シェルター換気システムで使用する壁ユニット、シェルター換気システムを使用したシェルター、シェルター換気システムの構築方法
KR20150115738A (ko) 가용성 도관용 식별 슬리브
KR101652950B1 (ko)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US6283144B1 (en) Ceiling water leak damage collector unit
JP5714440B2 (ja) シェルター付建物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101828318B1 (ko)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
KR101627238B1 (ko)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KR102031735B1 (ko) 담수용 수조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 우회공법
JP2013217181A (ja) 清掃工場の解体工法
DE102013013795B4 (de) Flexibles Hochwasserschutzsystem für ein Gebäude
KR20160100435A (ko) 정합식 맨홀
JP2016204978A (ja) 止水材の耐水圧性能を評価する方法
JP2017082392A (ja) 排水配管構造、該排水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新規取付部材、及び排水配管方法
KR102112848B1 (ko) 안전 배관공사용 배관설치장치
AU2011100824A4 (en) Modular Platform
JP4727508B2 (ja) 天井改修方法および膜天井構造
JP6251537B2 (ja) 漏水処理方法
EP3683371B1 (en) Liner drain for repairing concrete drain
JP4551829B2 (ja) マンホール筒状体
KR102037249B1 (ko) 하수관 물막이장치
KR102526362B1 (ko) 하향식 콘크리트 타설 방식을 이용한 수직구 구조물의 시공 장치 및 방법
JP2013040518A (ja) 地下入口の止水装置
JP2009263911A (ja) 作業中のマンホールの開口部落下防止用安全器具、及び開口部落下防止用安全器具設置方法
DE2914207A1 (de) Rueckstau-warnvorrichtung fuer ablaufrohre in abwasseranla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