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695B1 - 보온 방장 - Google Patents

보온 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695B1
KR101342695B1 KR1020120136886A KR20120136886A KR101342695B1 KR 101342695 B1 KR101342695 B1 KR 101342695B1 KR 1020120136886 A KR1020120136886 A KR 1020120136886A KR 20120136886 A KR20120136886 A KR 20120136886A KR 101342695 B1 KR101342695 B1 KR 10134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film
barrier
film
transparent windo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인
Original Assignee
문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인 filed Critical 문병인
Priority to KR102012013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4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suspended type, e.g. from trees or from cantilever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장치가 가동되고 있으나 열손실이 심한 실내에서, 상기 실내의 일정한 구획에 밀폐된 공간이 조성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구획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보온효과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온 방장에 관한 것으로서,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제1 방장막; 상기 제1 방장막의 상면 각 꼭지점에 고정된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방장막의 각 측면 중 하나에 구비되는 제1 투명창; 상기 제1 방장막의 각 측면 또는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통풍창; 및 상기 제1 방장막의 측면에 연장되어 실내 바닥면을 덮도록 구성된 하단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방장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하단이 실내 바닥면을 덮는 구조로 사용자의 잦은 출입으로 인한 하단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외부의 찬기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내부 공간의 축소 또는 확대를 통한 내부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온 방장 {WARMING ROOM SHIELD}
본 발명은 보온 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난방장치가 가동되고 있으나 열손실이 심한 실내에서, 상기 실내의 일정한 구획에 밀폐된 공간이 조성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구획된 내부공간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보온효과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온 방장에 관한 것이다.
보온 방장은 단열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추운 겨울에 웃풍 등으로 인하여 열손실이 심한 주택이나 가옥 등에서 일정 공간을 밀폐하여 내부에 해당공간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보온효과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기구물이다.
종래의 보온 방장은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의 형태로, 육면체 형태의 기구물 일측면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환기구를 설치하고, 육면체 형태의 기구물에 일정한 문(門)의 형태 또는 기구물 일측면에 일자(一字)형으로 지퍼를 설치한 형태의 출입구를 설치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구조는 형태가 고정되어, 사용자가 편의를 위해 기구물 의 내부 공간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 공간의 축소와 확대를 통한 온도조절이 불가능하고, 기구물 하단 끝이 실내 바닥면과 맞닿아 있어, 출입구를 통해 사용자가 출입할 경우 기구물 자체 또는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면 이외의 다른 면의 하단 일부가 들뜨는 현상으로 인하여, 외부의 찬기운이 유입되고 열이 방출되어 보온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고실용신안 KR20-1973-0000699(공고일 : 1973년 07월 20일) 국내공개실용신안 KR20-1985-0003712(공개일 : 1985년 07월 08일) 국내공개실용신안 KR20-2009-0007100(공개일 : 2009년 07월 13일)
본 발명에 따른 보온방장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온방장의 목적은 기구물 내부 공간의 높이조절을 통한 온도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기구물 내외부로 출입시, 내부의 열 방출과 외부의 찬기운의 유입을 최소화 시키는 보온 방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은 하면이 개방된 제1 방장막; 상기 제1 방장막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방장막의 각 측면 중 하나에 구비되는 제1 투명창; 상기 제1 방장막의 각 측면 또는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통풍창; 상기 제1 방장막의 측면에 연장되어 실내 바닥면을 덮도록 구성된 하단막; 상기 제1 방장막의 상면에서 제1 연결부재와 근접한 일측에 구비된 제1 관통구; 및 실내 천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된 도르래에 연결되어,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도르래를 거쳐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방장막의 내부로 들어온 높이 조절용 연결끈이 모음부재에서 모아질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은 상기 제1 방장막의 내측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방장막의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제2 방장막;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방장막의 상면 외측에 고정된 제3 연결부재; 상기 제1 투명창 및 제1 통풍창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장막의 각 측면 또는 상면에 구성된 제2 투명창 및 제2 통풍창; 및 상기 제1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의 연결끈이 제2 방장막을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방장막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제2 관통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은 하단이 실내 바닥면을 덮는 구조로 사용자의 잦은 출입으로 인한 하단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외부의 찬기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내부 공간의 높이조절을 통한 내부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 방장막과 제2 방장막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창 및 통풍창을 가리는 가림막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방장막 내부에 모아진 높이 조절용 연결끈과 모음부재의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온 방장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온 방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온 방장의 제1 방장막(100)과 제2 방장막(200)의 결합과정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은 상기 제1 방장막(100)의 상면(150) 일측에는 실내의 천장면이나 벽면 등과 밧줄 또는 끈 등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가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 방장막(100)의 한 측면(110) 일측에는 외부의 상황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제1 투명창(1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다른 측면(120)과 상면(150)에는 내부와 외부와의 환기를 위한 제1 통풍창(125,155)이 구비되어 있고, 외부의 찬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방장막(100)의 각 측면(110,120) 하부에 하단막(190)이 연장되어, 실내 바닥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방장막(100)의 상면(150)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는 실내의 천정면 또는 벽면의 일부와 밧줄 또는 노끈 등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투명창(115)은 충격에 강한 비닐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통풍창(125,155)은 망사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장막(100) 내부에 설치되어, 2중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방장막(200)은 도 2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장막과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 크기를 제1 방장막(100) 보다 작게 구성한다.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측 상면 일측에는 제2 방장막(200)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고정된 제2 연결부재(156,157,158,15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장막의 상면(250) 일측에는, 제2 연결부재(156,157,158,159)와 대응하는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제3 연결부재(251,252,253,25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156,157,158,159)와 제3 연결부재(251,252,253,254)는 등산용품 등에 사용하는 연결고리 등과 같이 서로 탈부착이 가능한 부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방장막(100)에 상기 제2 방장막(200)을 탈부착 하므로서, 상기 제2 방장막(20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장막(200)의 상면(250)과 각 측면(210, 220)에는 상기 제1 방장막(100)에 구비된 상기 제1 투명창(115) 및 상기 제1 통풍창(125,155)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창들과 크기가 동일한 제2 투명창(215)과 제2 통풍창(225,255)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방장막(200)이 제1 방장막(100)의 내부에 부착되었을 경우에도, 시야확보 및 환기,통풍 등의 효과를 동일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 내측에 구비되는 가림막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장막(100) 내측에는 상기 제1 투명창(115)과 상기 제1 통풍창(125,155)이 위치하는 곳에 상기 제1 투명창(115) 및 상기 제1 통풍창(125,155)을 내부에서 막을 수 있는 가림막(300)이 구비되고, 상기 가림막(300)의 테두리는 밸크로(Velcro)(305)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가림막(300)으로 상기 제1 투명창(115) 및 상기 제1 통풍창(125,155)을 막거나, 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투명창(215)과 제2 통풍창(225,255)의 내측에도, 상기 가림막(300)과 동일한 구성으로 가림막을 구비한다.
제1 투명창(115)과 제2 투명창(215)에는 OPP 필름이 설치된다.
제1 투명창(115)과 제2 투명창(215)의 가장자리와 OPP 필름의 결합은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제를 하여야 쉬우나 재봉틀 바늘이 지나가는 곳에서 OPP 필름이 t쉽게 찢어지고 튿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OPP 필름을 사각으로 자르고 가장자리에 스카치테이프를 위,아래 붙이고 봉제를 하여 OPP 필름을 제1 투명창(115)과 상기 제2 투명창(215)의 가장자리에 부착한다.
PP(Poly prophylene)를 일축 또는 이축으로 연신을 하여 제조한 필름을 OPP필름이라 한다.
OPP 필름은 투명하며 광택이 있고 우수한 방습성을 지니고 있어 포장재료도 사용되고 있다.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에 비하여 인장강도, 충격강도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투명성 광택이 양호하다. (Haze : 2이하)
또한 우수한 방습성을 가지고 있고, 필름표면이 견고하고 마찰에 의한 흠집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방장막 내부에 모아진 높이 조절용 연결끈과 모음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온 방장에 상기 제1 방장막의 상면(150)에서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에 근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관통구(416,417,418,419)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구(416,417,418,419)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로 들어오는 높이 조절용 연결끈(412a, 414a)과, 상기 내부로 들어온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을 모아서 묶어놀 수 있는 모음부재(500)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방장막(200)의 상면 일측에도, 상기 제1 방장막(100)과 부착되었을 시에 제1 관통구(416,417,418,419)를 관통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의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이 상기 제2 방장막(200)의 내부로 들어올 수있도록 하는 제2 관통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방장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천정면 또는 벽면에 도르래(411,412,413,414)를 설치하고, 상기 도르래(411,412,413,414)에 높이 조절용 연결끈(412a, 414a)을 연결하고,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2a,414a)의 일단은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에 연결한다. 상기 제1 방장막(100)에는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2a,414a)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의 위치와 근접한 상기 제1 방장막의 상면(150) 일측에 제1 관통구(416,417,418,419)를 만들어,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2a,414a)이 상기 제1 방장막(10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로 들어온 높이 조절용 연결끈(412a,414a)은 모음부재(500)를 통하여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에서 모아진다.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2a,414a)의 일단은 상기 제1 방장막(1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에 모아진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을 사용자가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당기면, 사용자의 힘이 도르래(411,412,413,414)를 지나 상기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측으로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 방장막(100)이 상측으로 올라감으로써,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 높이가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내부 공간의 크기가 적절하다고 판단할 시에는 상기 모음부재(500)의 하측에 모아진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을 매듭형태로 묶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을 놓았을 경우,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으로 묶은 매듭이 상기 모음부재(500)에 접촉 고정되어, 상측으로 올라간 상기 제1 방장막(100)이 다시 하측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음부재(500)는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방장막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방장막을 부착할 경우,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을 제1 방장막(400)을 제1 관통구를 통해 관통시킨 후, 제2 방장막에 구비된 제2 관통구를 통해 상기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을 제2 방장막의 내부로 들어오게 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제1 방장막만 사용했을 경우와 같은 단계를 거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방장막(100)과 상기 제2 방장망(200)은 8자 고리로 연결할 수도 있다.
제1 방장막(100)의 상단 코너에 8자고리를 연결하고 연결하여 리본을 8 자 만든 다음 반은 밖으로 반은 안으로 돌출 되게 하고 재봉으로 박아서 여기에 연결 부위를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1 방장막 115 : 제1 투명창
125, 155 : 제1 통풍창 190 : 하단막
200 : 제2 방장막 215 : 제2 투명창
225,255 :제2 통풍창
300 : 가림막 305 : 밸크로(Velcro)
411,412,413,414 : 도르래 411a,412a,413a,414a : 높이 조절용 연결끈
416,417,418,419 : 관통구
500 : 연결끈 모음부재

Claims (4)

  1. 하면이 개방된 제1 방장막(100);
    상기 제1 방장막(100)의 상면(150) 일측에 고정된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
    상기 제1 방장막(100)의 하나이상의 측면(110)에 구비되는 제1 투명창(115);
    상기 제1 방장막(100)의 각 측면(110,120) 또는 상면(150)에 구비되는 제1 통풍창(125,155);
    상기 제1 방장막(100)의 측면에 연장되어 실내 바닥면을 덮도록 구성된 하단막(190);
    상기 제1 방장막(100)의 상면(150)에서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와 근접한 일측에 구비된 제1 관통구(416,417,418,419); 및
    실내 천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된 도르래(411,412,413,414)에 연결되어,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부재(151,152,153,154)와 연결되고, 상기 도르래(411,412,413,414)를 거쳐 상기 관통구(416,417,418,419)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로 들어온 높이 조절용 연결끈(411a,412a,413a,414a)이 모음부재(500)에서 모아질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측 상면 일측에 고정된 제2 연결부재(156,157,158,159);
    상기 제1 방장막(100)의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제2 방장막(200);
    상기 제2 연결부재(156,157,158,159)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방장막의 상면 외측에 고정된 제3 연결부재(251,252,253,254);
    상기 제1 투명창(115) 및 제1 통풍창(125,155)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방장막(200)의 각 측면(210,220) 또는 상면(250)에 구성된 제2 투명창(215) 및 제2 통풍창(225,255); 및
    상기 제1 관통구(416,417,418,419)를 관통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의 연결끈(411a,412a,413a,414a)이 제2 방장막을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방장막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제2 관통구;
    를 더 포함하는 보온 방장.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창(115)과 상기 제2 투명창(215)은 OPP 필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방장.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장막(100)과 상기 제2 방장망(200)은 8자 고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방장.
KR1020120136886A 2012-11-29 2012-11-29 보온 방장 KR101342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86A KR101342695B1 (ko) 2012-11-29 2012-11-29 보온 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86A KR101342695B1 (ko) 2012-11-29 2012-11-29 보온 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695B1 true KR101342695B1 (ko) 2013-12-16

Family

ID=4998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886A KR101342695B1 (ko) 2012-11-29 2012-11-29 보온 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6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665A (ko) * 2014-11-17 2016-05-25 문병인 화물차의 수면공간용 난방텐트
GB2533947A (en) * 2015-01-08 2016-07-13 Denness Peter Indoor heated chair tent
KR101652950B1 (ko) * 2015-12-22 2016-08-31 주식회사 코원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KR20170031524A (ko) * 2015-09-11 2017-03-21 정혜진 이중 보온 실내용 난방텐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837Y1 (ko) 1998-12-01 2001-12-13 지상철 햇빛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837Y1 (ko) 1998-12-01 2001-12-13 지상철 햇빛 차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665A (ko) * 2014-11-17 2016-05-25 문병인 화물차의 수면공간용 난방텐트
KR101654542B1 (ko) * 2014-11-17 2016-09-06 문병인 화물차의 수면공간용 난방텐트
GB2533947A (en) * 2015-01-08 2016-07-13 Denness Peter Indoor heated chair tent
KR20170031524A (ko) * 2015-09-11 2017-03-21 정혜진 이중 보온 실내용 난방텐트
KR101721329B1 (ko) * 2015-09-11 2017-03-30 정혜진 이중 보온 실내용 난방텐트
KR101652950B1 (ko) * 2015-12-22 2016-08-31 주식회사 코원 플렉시블 타입의 냄새 확산방지용 작업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695B1 (ko) 보온 방장
JP2010133215A (ja) 防水及び通気性を具備した窓構造
US20110108204A1 (en) Retractable cover for screened enclosures and patios
CN206035253U (zh) 钢木质隔热防火双扇门
US20130232880A1 (en) Insulation for attic access
CN207460729U (zh) 一种计算机机房通风设备
JPH09105268A (ja) 通気窓
JP2007014221A (ja) 温室の換気装置
KR20170065247A (ko) 자연통풍이 가능한 보조도어
JP6785479B2 (ja) 窓開口部の省エネルギー方法
JP2018003569A (ja) 窓開口部の省エネルギー方法
JP3137612U (ja) クローゼットの扉の構造
KR20130138385A (ko) 방풍 겸용 방충문
CN218484295U (zh) 封阳台装置
KR20210015727A (ko) 공간 분리 구조체
JP3167431U (ja) 熱取入戸
JP2006316423A (ja) 窓構造用断熱シート
JP5144824B1 (ja) 網戸用換気装置
CN208310618U (zh) 多功能门体及防盗门
CN207892503U (zh) 一种手拉式防盗窗
JP3004814U (ja) 換気用窓障子
JP2019196700A5 (ko)
JP2022032573A (ja) 建具
CN208473579U (zh) 一种安全透气铜门结构
CN202325104U (zh) 多功能节能防盗通风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