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127B1 - 평행 구동 벌크 베드를 구비한 유체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평행 구동 벌크 베드를 구비한 유체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127B1
KR101652127B1 KR1020107012711A KR20107012711A KR101652127B1 KR 101652127 B1 KR101652127 B1 KR 101652127B1 KR 1020107012711 A KR1020107012711 A KR 1020107012711A KR 20107012711 A KR20107012711 A KR 20107012711A KR 101652127 B1 KR101652127 B1 KR 10165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material
bulk
bed
pipe
wa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368A (ko
Inventor
호르스트 그로초비스키
Original Assignee
호르스트 그로초비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705421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54212A1/d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8/00391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9138111A1/de
Application filed by 호르스트 그로초비스키 filed Critical 호르스트 그로초비스키
Publication of KR2010010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5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 B01J8/002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with a moving instru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01D53/0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according to the "moving bed"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03Removing sulfur compounds
    • B01D53/8609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 B01D53/8631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8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d flow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5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 B01J8/003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in a downwar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5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 B01J8/0035Periodical feeding or evac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 B01J8/1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moved by gravity in a downwar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 B01J8/1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moved by gravity in a downward flow
    • B01J8/125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moved by gravity in a downward flow with multiple sections one above the other separated by distribution aids, e.g. reaction and regeneration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43Feeding or discharging of solids
    • B01J2208/00752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43Feeding or discharging of solids
    • B01J2208/00761Dis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43Feeding or discharging of solids
    • B01J2208/00769Details of feed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153Plural noncommunicating flow paths

Abstract

유체 처리시스템은 서로 나란하게 정렬되어 평행하게 구동되는 복수의 벌크 베드(9)로 구성된다. 처리할 유체는 벌크 베드 또는 복수의 벌크 베드를 통해 아래에서 상방으로 유동하고, 벌크 재료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유동하는 상기 유체에 역류하는 방향으로 상기 벌크 베드를 통해 이동한다. 이는 벌크 재료의 일부를 벌크 베드의 하단부에서 제거하고 벌크 벌크 재료의 일부는 상기 벌크 베드의 상단의 벌크 재료로 운송함으로써 구현된다. 벌크 베드의 일부는 수평의 공유 적하 채널(1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밀봉가능한 벌크 재료 출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하 왜건(19)은 상기 벌크 베드 상부의 복수의 일부 벌크 베드 해제 위치와 적하 위치(28) 사이의 적하 채널(11)를 횡단가능하다.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가 적하 왜건(19)의 벌크 재료 밸브(23)와 벌크 재료 출구 아래에 제공되고, 벌크 재료 출구 마우스(51)는 그 하부의 벌크 베드(9)의 벌크 재료 원뿔(9K) 상의 단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평행 구동 벌크 베드를 구비한 유체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FLUID TREATMENT SYSTEM WITH BULK MATERIAL BEDS OPERATED IN PARALLEL,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병렬작동 벌크 베드를 구비한 유체 처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처리할 유체는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벌크 베드 중 각 벌크 베드를 통해 바닥에서 상향으로 유동하고, 이때 벌크 재료는 본질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유체 베드를 지나면서 상기 유체에 역방향으로 유동한다. 이를 위해, 벌크 베드의 하단부에서 벌크 재료의 일부가 제거되어, 많은 양의 벌크 재료가 벌크 베드의 상단부에 있는 벌크 베드로 이송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유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적재 위치와 벌크 베드 상의 다수의 벌크 베드 방출 위치 사이의 적재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적하 왜건(wagon)이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벌크 베드가 수평 공유 적재채널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또는 적재로 외에, 벌크 베드는 수평 공유 벌크 재료 방출채널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방출채널을 통해 유체 처리시스템에서 벌크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주행 드라이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류의 유체 처리시스템은 본 출원인의 국제출원 제 WO2001/01766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처리시스템 1’ 도 1의 단면에서 은 관형채널(2’)를 둘러싸고 길이방향 축을 가로질러 관형채널(2’) 내측의 탠덤에 복수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이 정렬되어 있다. 그 상부에 놓인 방출채널을 따라 하부에 위치되는 미처리 유체용 이송채널(4’) 관형채널(2’)의 측벽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처리할 유체는 밀폐가 가능한 경우 이송 플로어(8’) 아래의 기체 분배실(12’) 내에 측방으로 위치한 이송 윈도우(6’)를 통해 각각의 반응기 모듈로 유동한다. 유럽특허 제EP 0257654 B1호에 개시된 이송 플로어(8’)에 의해, 처리할 유체는 높이가 일정치 않은, 수평으로 연장하는 벌크 베드(9’)에 까지 닿게 되고, 예를 들어 흡착성, 흡수성, 또는 촉매성의 활성 벌크 입자로 구성된다. 연속 적재채널(11’)이 관형 채널 커버(10’) 하부의 벌크 베드(9’) 상부에 위치하고, 이때 처리된 유체는 밀폐가 가능한 경우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의 측방향 방출 윈도우(7’)를 통해 유출되기 전에 그리고 방출 채널(5’)을 통해 유체 처리시스템(1’)에서 제거되기 전에 모일 수 있다.
벌크 베드(9’)의 벌크 재료를 계속해서 공급하기 위해서는, 때로 소비된 벌크 재료를 하단부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벌크 재료를 상단부에서 다시 공급함으로써 베드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송 플로어(8’)를 통해 종래에 알려진 방식으로 벌크 재료를 더 제거하게 되고, 이때의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는 개방되어 종래에 알려진 벌크 재료 방출장치(15’)을 통해 다시 폐쇄된다. 이를 위해, 수평 격리판(baffle plate)(15A’) 상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핑거(15B’)가 격리판(15A’)과 대응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 사이의 공간을 통해 격리판(15A’)의 측방 가장자리 까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벌크 재료가 격리판에서 방출되고 이에 대응되는 양의 벌크 재료가 벌크 재료 방출통(13’)에서 상부로부터 미끄러져 내려온다. 제거된 벌크 재료는 벌크 재료 방출왜건(16’)에 또는 관형채널(2’)을 따라 움직이는 이송벨트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벌크 재료를 제거함과 동시에 베드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동일한 양의 새로운 벌크 재료를 추가로 공급하기 위해서 적하 왜건(19’)이 제공되고, 이는 후자 내에서 관형채널(2’)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주행기구(18’)를 이용한다. 도 1에서 적하 왜건(19’)은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 바로 위에 위치된다. 적하 왜건(19’)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리드 형상으로 정렬된 복수의 방출 깔대기(20’)를 구비하며, 이는 그 하단부에 있는 벌크 재료 출구관(14’)으로 연결된다. 벌크 재료 출구관(14’)의 하부 마우스(21’)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먼지판이 구비되어 벌크 재료 밸브(23’)의 기능을 하고 이를 위해 벌크 재료 출구관의 마우스 단부의 소정 위치에 홀이 형성된다. 먼지판은 홀의 하나의 폭만큼 그 주위로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제 2 슬라이딩 위치에서 벌크 재료 출구관(14’)의 마우스 단부를 밀봉하게 된다. 따라서 벌크 재료를 교환하기 위해, 적하 왜건(19’)이 관상채널(2’)의 탠덤에 정렬된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을 가로지를 수 있게 된다. 적하 왜건(19’)이 적하채널(11’)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먼지판이 벌크 베드(9’)의 상단부에서의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고, 이때 적하 왜건(19’)이 그 위로 이동하며, 벌크 베드(9’)의 상단을 리필할 때 형성되는 벌크 재료 콘의 단부를 연마한다.
벌크 재료가 벌크 베드를 통과할 때의 균일함은 기술적 영향 및 역류 유체 처리과정 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각각의 벌크 베드 아래에 별도의 방출장치(15’)를 배치하여 각각의 작업시 주기적으로 가장 빈번히 이용되는 벌크 재료 제거 파이프로부터 출구당 동일한 양의 벌크 재료를 인출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상당히 적합한 벌크 재료 방출장치가 유럽특허 제EP 0 357 653 B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벌크 재료 방출장치에서, U 또는 T-캐리어의 횡각(transverse leg)의 형태로 일정한 폭을 갖는 줄무늬 연속 격리면이 인접하게 정렬된 벌크 재료 제어 파이프의 일련의 마우스 개구부 아래에 정렬된다. 상기 일련의 파이프에 평행하고 또한 직사각형의 격리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핑거형상의 로드(15B’)가 격리면과 관형 마우스 사이에서 소형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격리면의 측방 가장자리(15C’) 사이의 면으로부터 주기적으로, 그리로 가역적으로 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시, 격리면 상의 파이프 마우스 아래에 제공된 벌크 재료는 격리면의 측방 가장자리를 통해 하부에 배치된 수집탱크로 보내진다. 후자는 각각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9’)의 개별적인 깔대기 설비, 복수의 벌크 재료 반응기 모듈을 통해 벌크 재료 방출채널로 주행되는 벌크 재료 방출왜건(16’), 또는 이송벨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출장치는 20년 동안의 긴 기능적 능력을 갖고 있고 일반적인 유체 처리시스템의 무결함 기능을 보증한다. 재료의 특성에 의해 상기 방출장치의 길이가 제한되어 각각의 벌크 베드(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를 위해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방출장치를 일반적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횡단가능 적하 왜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종래 기술에 비해 일반적인 유체 처리시스템의 공정 가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공지의 유체 처리시스템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유체 처리시스템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가 벌크 재료 출구 및 적하 왜건의 벌크 재료 밸브 아래에 배치되고, 그 벌크 재료 출구 마우스는 그 하부에 위치한 벌크 베드의 벌크 재료 원뿔까지 연장한다. 이로써, 벌크 재료 밸브 바로 밑에 벌크 재료 출구가 위치되어 유체가 상기 적하 왜건 하부의 벌크 베드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아래”는 수직 하방은 물론 적하 왜건의 벌크 재료 출구 아래에 측방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다. 특히, 벌크 베드 상부에 소정의 체적을 갖는 기체 수집영역을 형성하여, 벌크 재료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때 적하 왜건을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로부터 하나씩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벌크 베드 상부의 압력변화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유체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특히 적하 왜건이 구동모드에 있을 때에서, 공급 및 방출 윈도우가 열린 상태에서 항상 최대 유체 처리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유체의 흐름이 균일해진다. 또한, 벌크 재료 밸브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벌크 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게 된다. 벌크 재료 보호의 최대 수준은 대략 균일한 크기의 벌크 재료 입자를 이용할 때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벌크 재료 입자에 해나 기계적인 손상에 의해 생성되는 소형 입자의 위험이 줄어든다.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 또는 하부 망원경형 관통 파이프 내에서 이동하는 상부 망원경형 관통 파이프가 제 1 공유 지지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먼지판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깔대기형상의 통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 하단부는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에 인접하게 된다.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 또는 그 깔대기형상의 단면을 갖는 확대 출구는 먼지판에 쌓이는 벌크 재료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먼지판에 용접된다.
유체 처리시스템을 잠재적으로 변화하는 유체 처리조건에 맞추기 위해,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승하는 벌크 베드의 높이를 공정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해법은 고유한 발명의 중요성을 갖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망원경형 관상부를 제공하는데,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대 위치에서 제 2 지지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승강장치를 통해 올려지거나 내려진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바람직하게 프레임 형상을 하고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의 안정화를 향상시킨다. 복수의 제 2 지지부재 또한 망원경형 파이프 상에 다양한 높이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약 2m, 바람직하게는 약 1m 까지 베드의 높이 차를 구현할 수 있고, 통시에 벌크 베드를 위해 일정하고 규칙적인 면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체 처리시스템 상에 대한 처리 요구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를 적하 왜건 상에 위치시키고 이를 적하 왜건과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를 적하 왜건 상의 벌크 베드의 이동불가능한 부품으로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의 경우, 적하 왜건의 벌크 재료 밸브와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 사이에 벌크 재료용 중간 벙커 기능을 하며 임의의 높이를 갖는 중간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곧 중간 플로어의 일부가 된다.
벌크 재료를 통과시키는 이러한 고정 중간 플로어가 적하 왜건 아래에 제공되어 적하 왜건에 의해 이용되는 적하 채널을 그 하부의 벌크 베드의 기체 배출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유체 처리시스템이 완전히 고장나지 않으면 필요한 경우 적하 왜건을 수리하거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중간 플로어는 유체 처리시스템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으로부터 적하 왜건을 분리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유체 처리시스템에 독립적으로, 보호기체를 이용한 세척 및 냉방기체를 이용한 냉방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유체 처리시스템은 청구항 1의 특징과는 별개의 고유한 발명의 중요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간 플로어는 적하 왜건에 의해 공급되는 중간 벙커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중간 플로어를 벙커 플로어로 이용하며 적하 왜건을 충진유닛으로 이용할 수 있다.
유체 처리시스템이, 적층되어 평행하게 구동하는 벌크 베드를 구비하고 적하 파이프가 최상부 베드 아래에 위치되고 최상부 벌크 베드 상의 적어도 하나의 벌크 재료 공급 벙커와 하부 베드를 연결하며 이를 벌크 재료에 공급하는 하부 베드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우, 적하 왜건이 최상부 베드 상부에 제공되어 최상부 및 하부 베드에 벌크 재료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각의 열에 별도의 적하 왜건을 구비할 필요 없이 벌크 재료를 원활하게 적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체 처리시스템은 청구항 1의 특징과는 별개의 고유한 발명의 중요성을 갖는다.
더 안쪽의 베드를 통해 이동하는 하부 파이프를 통해 더 높은 베드로부터 벌크 베드를 제거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할 때 다층 유체 처리시스템의 이 경우 및 다른 경우에 파손하중으로부터 벌크 재료를 더 보호하기 위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복수의 드롭 파이프를 결합한 후, 상기 하부 파이프는 그 하단부 영역에 벌크 재료 방출장치가 구비되고 이 영역은 드롭 파이프가 상기 제거 및 부분 제거시 소정의 높이까지 벌크 재료로 항상 채워지도록 활성화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체 처리시스템은 청구항 1의 특징과는 별개의 고유한 발명의 중요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팽행구동 벌크 베드 층에 있어, 적하 왜건이 최상부 베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더 안쪽의 베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갖는 경우, 벌크 베드에 다양한 높이로 벌크 재료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적하 왜건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른 벌크 재료 높이와 관계 없이 각각의 벌크 재료 높이에 대해 적용된다. 이를 위해, 경우에 따라, 다른 벌크 재료 높이를 위한 적하 왜건의 벌크 재료 출구를 서로 독립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유체 처리시스템의 벌크 베드의 이용가능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선 및 연장 또는 평평한 높이설정 부재를 벌크 베드의 상부 영역, 특히 벌크 재료 공급벙커에 수평이동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설정 부재의 수평, 특히 주기적인 이동으로 인해 축적된 보다 높은 벌크 재료가 보다 낮은 벌크 재료 표면 영역에 분배된다.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높이설정 부재는 구조적인 면에서 그리드의 갈퀴와 유사하고,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서는 나타나지 않는 고유한 발명의 중요성을 갖는 유체 처리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특징은 대형 시스템에서 벌크 재료를 다치지 않게 하고 작동을 단순화하기 위해 역류 유체 처리시스템에서 일부의 벌크 재료를 방출작업을 향상시키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유체 처리시스템의 벌크 재료 방출장치는 격리면을 구비한, 홈이 파인 하나 이상의 격리부재를 구비한다. 격리부재는 벌크 재료가 유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벌크 재료 부분 방출 파이프의 일렬의 인접한 마우스 개구부 아래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내의 격리면은 벌크 재료 부분 방출 파이프(마우스 개구부)의 마우스 개구부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상기 이격된 격리면 사이에 특히 플로어 개구부의 형태로 홈에 개구무가 제공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저장되어 있는 벌크 재료가 홈이 파인 격리부재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벌크 재료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에 의해 홈 내의 이격된 개구부에서 유출된다. 적어도 하나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각각의 격리 홈에 수용된다. 벌크 부재 입자가 상기 격리 홈에 연장된 기간 동안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벌크 재료 슬라이더를 홈의 형태로 조정한다. 벌크 재료 슬라이더의 적절히 형성된 가장자리는 벌크 재료에 노출된, 홈이 파인 격리부재의 모든 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격리 홈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축적된 벌크 재료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일부의 벌크를 제거하기 위해 홈의 길이방향 연장방향으로 벌크 재료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드라이브가 제공된다. 이러한 해법은 고유한 발명의 중요성을 갖는다.
새롭게 구성되는 격리부재, 새롭게 구성된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 및 그 드라이브는 완전히 새롭고 간단한 작동모드를 가능케 한다. 길이 30cm 의 비교적 짧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벌크 재료 방출핑거의 역작업 스트로크는 비교적 긴 스크로트, 특히 매우 긴 스트로크 운동으로 대체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출핑거의 긴 길이 및 열래핑 등의 위험이 노변에 의해 떨어지는데, 이는 격리 홈의 내측 폭의 길이에 방출 슬라이더의 기능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장치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는 벌크 재료 방출 채널에 홈이 파인 격리부재가 위치되는 경우, 복수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의 폭 이상으로 격리 홈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벌크 부재 슬라이더를 점차 이동시키고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방출채널의 타단에 도착하면 이를 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 이동방향으로 인접한 격리 홈의 플로어 구멍을 통해 복수의 축적된 일부 벌크 재료를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슬라이더가 플로어 구멍을 지난 후 다음 격리면을 치고 그 곳에 위치한 벌크 재료를 다음 플로어 구멍으로 쓸기 때문이다. 여기서 “플로어 구멍”, “플로어 개구부”, 또는 “개구부”와 같은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것은, 홈이 파인 격리부재의 벽에 형성된 어떠한 형태의 개구부가 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해 홈의 측면 상부 가장자리 중 하나 상에 추출된 제어되지 않은 양이 없이 홈을 따라 이동되는 벌크 재료가 후자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만약 탠덤 내에 위치된 복수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홈이 파인 격리부재 내에서 한꺼번에 이동될 수 있다면, 한 번의 작업 스트로크에서 벌크 재료의 일부를 방출하기 위한 여러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벌크 재료 슬라이더를 방출 개구부와 같은 방식으로 이격시킨다. 둘 또는 그 이상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의 동일한 방출 개구부가 순차적으로 횡단된다. 또한 모든 통로에 있어, 벌크 재료의 축적된 부분이 개구부를 통해 그 격리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탠덤에 위치된 벌크 재료의 홈당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유체 처리시스템의 요구에 맞게 작업 스트로크당 방출되는 벌크 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특히 평평한 벌크 재료 방출장치의 구현을 가능케 하고, 이 때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의 각 마우스 개구부와 홈이 파인 격리부재 상의 해당 격리면 사이의 거리는 매우 작다. 결과적으로, 벌크 재료의 각각의 축적된 양이 특히 작아진다. 따라서 벌크 재료 방출장치의 모든 치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작업 스트로크당 충분한 양의 벌크 재료를 각 방출 파이프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제거되는 벌크 재료의 양이 탠덤 내에 위치된 벌크 재료의 수의 함수로서 배가되기 때문이다. 특히, 홈의 복수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를 하나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왜건은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홈이 파인 격리부재에 걸릴 위험이 없다.
복수의 평행 홈이 파인 격리부재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기계적으로 조립되는 경우, 이들이 한꺼번에 움직일 수 있고, 따라서 이를 위해 필요한 드라이브의 수가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일렬의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의 모든 열의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를 한 번의 동작에서 벌크 재료의 일부와 교환할 수 있다. 이는 홈이 파인 각각의 격리부재가 탠덤 내에 위치한 복수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를 일체화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한다.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하나의 열에 나란히 정렬된 벌크 재료 슬라이더를 연속적인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신, 약간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를 나란히 이동하는 홈이 파인 격리부재 내에 하나의 부재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부재는 진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구조적인 부품으로서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 중 하나에 의해 관통된 중간 플로어와 홈이 파인 격리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종래에 필요했던 중간 플로어와 같이, 보강을 위한 부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홈이 파인 격리부재의 단면은 자유롭게 선택한다. 강구조에서 이용되는 종류의 표준화 U 캐리어가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표준 프로파일은 그 내측 단면에 있어 특히 높은 균일성을 갖고, 특히 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는 특히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유사한 불균일성을 막을 수 있다. 홈이 파인 격리부재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를 신뢰성있게 벽 근처로 안내하는 데 이용된다.
만약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틈이 거의 없는 격리부재의 내부의 홈이 파인 벽에 인접하게 되면, 벌크 재료 입자가 벌크 재료 슬라이더의 외주 가장자리와 홈이 파인 격리부재의 내측면 사이에 끼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열팽창에 의해 걸릴 위험이 없이 이와 같은 인접성을 줄이기 위해,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중력에 의해 저절로 홈이 파인 격리부재의 플로어에 인접하게 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그 드라이버에 대해 독립적이된다. 따라서, 해당 유지기가 슬릿과 같은 수직 안내부 또는 적어도 직사각형의 구멍을 구비한다
벌크 재료를 원활하게 처리하는 방식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홈이 파인 격리부재에 접촉하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의 가장자리를 슬라이더의 나머지부분 이외의 재료로 만들 수 있고, 이때 브러시 형태로 할 수 있다.
벌크 재료 슬라이더의 작동은 가능한 가장 느린 속도로 주행할 때, 특히 0.2 m/min,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min의 속도로 주행할 때 벌크 재료상에서 특히 원활하다.
요컨데,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 구조적 높이, 벌크 재료 입자의 파괴 및/또는 필요한 구동장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방법에 대해 구현할 수 있다. 후자에 의해, 유체 처리시스템의 특정 작동조건에 맞게 벌크 베드의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적하 왜건 및/또는 벌크 재료 공급벙커 내의 벌크 베드의 벌크 재료 파이프 또느 별크 재료 출구 파이프를 함께 그리고 균일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실시예에 기술한 상기 및 청구범위의 구성요소는 그 크기, 형상, 재료선택, 및 기술적 개념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따라서 적용분야에 알려진 선택범위를 무제한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추가적인 상세한 내용, 특징, 및 이점을 첨부되는 도면 및 표에 기재된 하기의 내용은 물론 종속항들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고, 이는 유체 처리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관형채널을 따른 유체 처리시스템의 단면도(도 1의 선II-II를 따른 단면도). 3);
도 3은 관형채널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도 2의 유체 처리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 도2의 선 III-III를 따른 단면도). 2);
도 4A는 도 2 및 3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의 적하 왜건을 위에서 본 사시도.
도 4B는 동일한 적하 왜건을 밑에서 본 사시도.
도4C는 동일한 적하 왜건을 옆에서 본 도면.
도4D는 동일한 적하 왜건을 밑에서 본 도면.
도 4E는 동일한 적하 왜건을 위에서 본 확대 상세도.
도 5는 동일한 적하 왜건의 확대 상세도.
도 6은 유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수직도.
도 7A는 유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대응하는 수직도. 2;
도 7B는 적하 왜건이 필 세팅된 상태의, 동일한 유체 처리 시스템의 적재채널의 상세도.
도 8은 방출장치가 구비된 유입 플로어를 나타내는 유체 처리 시스템의 단일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유입 플로어 및 배출 벌크 재료 이송왜건이 생략된 상태의, 동일한 유체 처리시스템 내의 벌크 제품 방출장치의 제 1 실시예.
도 10은 도 9의 선 IV-IV를 따른 도 9의 방출장치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11은 도 8, 9, 및 10에 따른 벌크 재료 출구장치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8 and 9, 10;
도 12는 중간 플로어가 생략된 상태의, 도 11에 따른 벌크 재료 방출장치의 확대 상세도.
도 13은 격리홈이 생략된 상태의, 도 8에 따른 유체 처리시스템의 벌크 재료 출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벌크 재료 배출장치의 격리홈이 구비된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3에 도시한 유체 처리 시스템(1)은 3층 구조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되는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의 이중의 3열(3A,3A',3A”)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평행한 쌍을 이루어 정렬되어 처리할 도는 처리된 유체를 위해 유출채널(5)과 유입채널(4)로부터로만 이격되어 있다. 유입 윈도우(6) 및 유출 윈도우(7)는 각각의 이동 베드 반은기 모듈(3)을 해당 유입채널(4) 또는 유출채널(5)에 연결한다.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 일곱 개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이 수직 분리벽(3C)에 의해 부분적인 높이로 서로 이격되어 정렬되어 있고, 벌크 재료 공급기(적재채널(11)) 및 벌크 재료 제거기(이송 벨트(27)) 영역에서 막혀있다. 따라서, 벌크 재료 공급기(아래에 자세히 설명)의 재료 관통 파이프(50)가 최대 길이를 갖지 않는 다면, 다양한 높이로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에 일렬(3A,3A’,3A”)로 배치된 벌크 베드(9)가 그 상부 영역에서 서로 연결된다.
도 2에는 적하 타워(28)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제 1 벌크 재료 리프트(29) 및 적층된 세 개의 공급 사일로(24)를 이용하여 적하 왜건(19)(아래에 자세히 설명)에 3층 구조 상의 벌크 재료를 적재할 수 있다. 도 2의 왼쪽에는 사용된 벌크 재료의 수집 및 배출 운반 장치(6)가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 축을 따라 이동하는 벌크 재료 수집 깔대기(27A) 하부의 이송벨트가 일곱 개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의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 중 반응기 모듈 열의 왼쪽 끝에는, 여섯 개의 모든 이송벨트가 빈 상태로 제 2 벌크 재료 리프트(26)로 이동하고, 이 리프트는 대형 사일로(31)에 모든 벌크를 수집한다. 상기 대형 사일로는 예를 들어 재생 시스템으로 사용된 벌크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 밸브(33)를 공급하는 진동 공급기(32)에 의해 진공상태로 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다.
여섯 개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은 상부 영역은 각각 연속 적재채널(11)을 구비하고 있고 이를 통해 주행기구가 구비된 적하 왜건(19)이 동일 열(도 5의 이중화살표 C) 의 모든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 상의 적하 타워(28) 내의 적재 위치에서 적절한 안내수단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식으로 운송될 수 있다. 5).
도 2및 3에 도시한 총 42개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에 대한 유입 플로어(8)는 바람직하게 유럽특허 제EP 257653 B1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벌크 재료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때 요구되는 조건으로 측정량을 쉽게 조정하고 시스템의 무게를 동일하게, 또는 가능하면 보다 적게 유지하기 위해, 진동 스트립 또는 진동 박스형태와 같이 진동할 수 있는 직각 밀봉부재에 의해 유럽특허 제EP 257653 B1호의 측정핑거를 벌크 재료 배출장치(15)로 대체할 수 있다. 진폭이나 진동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진동 내구성에 관계 없이 벌크 재료를 부분적으로 교체하는 동안 쉬운 방법으로 측정량 또한 변경할 수 있다.
도 4A 내지 5에 도시하고, 또한 국제출원 제WO/2001/01766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하 왜건은 구조적으로 플로어 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된 출구 깔대기(20)를 구비한 이동 용기 박스로 설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출구 깔대기 아래에는 망원 벌크 재료 출구 파이프(50)가 배치되어 출구 깔대기(20)의 출구 마우스(20A) 아래의 소정 거리에서 시작된다. 출구 마우스(20A)는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고 벌크 관통 파이프(50)의 입구 개구부(14B)에 대한 스페이서 갭은 판상의 수평 슬라이딩 (이중 화살표 B) 벌크 재료 밸브(23)를 스페이서 갭으로 삽입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크다. 이는 국제특허 제WO 2001/01763호에 개시된, 대응되게 천공된 판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그리고 모드 벌크 재료 출구를 개방 또는 밀봉하기 위해 구멍(23A)의 지름을 다소 지나는 방향으로 상기 판 전체를 이동시켜야 한다. 측방 틈새를 갖는 출구 깔대기(20)의 출구 마우스(20A) 상으로 짧은 관형부(20B)가 미끄러져 벌크 재료 밸브(23)의 판 상에 이완상태로 놓임으로써, 그 구멍(23A)을 감싸 벌크 재료가 벌크 재료 밸브의 플레이트 상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벌크 재료 밸브(23)는 지지 롤러(36)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롤러는 브라켓과 같이, 상부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를 운반하는 지지수단(3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모든 상부 벌크 재료 출구 파이프(50’)에 대한 (제 1) 지지 부재(34A)가 벌크 재료 밸브의 아래에서 이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부재는 샌드위치(미도시) 구조를 갖는 두 개의 수직 이격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적하 왜건(19)의 바닥판을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상부 또는 하부 깔대기 단부가 제 1 지지부재(34A)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벌크 재료 출구 파이프(50’)의 깔대기형 확장부(50A)를 수용할 수 있다. 상부 벌크 재료 출구 파이프(50’)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상기 깔대기형 연장부의 하부 마우스 단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상부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를 이용하여 상기 적하 왜건을 작동시킬 수 있다.
베드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를 기계적으로 짧게 할 수 있고, 또는 그 길이를 늘이기 위해 파이프 연장부재와 연결할 수 있다. 망원경(상부 벌크 재료 출구 파이프(50’))와 같이 증가하는)처럼 하부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를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며 이를 상부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m이 마우스 단부를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부재(34B)를 구비함으로써 베드의 높이 조정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베드의 높이는 유체 처리시스템의 작동시 적하 왜건(19)(이중 화살표 A)과 관련된 제 2 지지부재(34B) 전재를 올리거나 낮춰서 조정한다.
하부 망원경형 파이프는 제 2 지지부재로서 대면전 그리드 정렬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중량이 작은 어레이 형태로, 특히 망원경형 파이프(상기한 바와 같은) 사이의 대면적 전반에 걸쳐 천공된 금속판의 형태로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처리된 유체의 유출경로는 기체 배출 영역(37)에서 심각한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기체 배출 영역은 내장된(self-contained) 제 1 지지부재(34A) 및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의 높이에 의해 형성된다.
도 2 내지 3에 따른 실시예는 1단 벌크 베드용 3층 유체 처리시스템을 도시하고 있고, 이때 예를 들어 스모크(DESOX)에서 SO2 를 제거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과정이 각각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에서 진행되며, 도 6은 2층 유체 처리시스템을 도시하고 있고, 여기서 일곱 개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이 각 층에 일렬로 정렬되고 처리할 유체 또는 처리된 유체를 위해 그들 사이에 배치된 유입채널(4)과 유출채널(5)에 의해 두 개의 평행한 열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두 개의 층에서 동일한 과정이 실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류에서 스모크로부터 Sox를 제거하여 NOx 를 제거하기 위한 국제특허 제WO/....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2단 유체 처리과정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각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은 제 2 유입 플로어(8A)를 나타낸다는 점에서2층 구조이다.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적하 왜건 뿐만 아니라 설계면에서 적하 왜건(19)에 대응될 수 있는 벌크 재료 방출왜건(16)이 벌크 재료 공급기에 대해 제공되고, 이때 이 왜건들의 형태는 도 4A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할 수 있다.
도 7A 및 7B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2 및 3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벌크 재료 공급벙커(40A,40B)가, 적층되는 벌크 베드(9D,9C,9B,9A) 상의 각 벌크 베드(9D,9B) 상에 배치된 중간 벙커로서 위치된다. 중간 플로어(41A,41B)가 벌크 재료 공급벙커 아래에 위치되어 이를 통해 벌크 재료가 상부 공급벙커를 나와 하부 벌크 베드로 이동하도록 벌크 재료 분배 플로어로서 기능한다. 중간 플로어는, 반드시 중간 플로어만 도시하지는 않지만, 도 1 및 3과는 반대로 해당 벌크 베드의 기체 배출영역(37)의 커버를 구성한다. 따라서, 공급벙커가 실질적으로 밀봉될 수 있어 처리된 유체가 이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벌크 베드에서 처리된 유체는 상부 벌크 재료 벙커의 벌크 재료와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유일한 적하채널이 필히 기밀이 유지되는 공간 내에서 상부 중간 플로어 위 및 커버(3D) 아래에 위치된다.
도 2 및 3에 따른 실시예와는 반대로, 적하 왜건(19)은 벙커영역(19A,19B)로 나누어지고, 이 중 하나는 최상부 벌크 베드를 채우고 다른 하나는 그 밑의 벌크 베드를 채우는 데 이용된다. 도 5에 일반적으로 도시한 형상을 갖고 아래에 기술하는 벌크 재료 밸브(23)가 벙커영역(19A,19B)의 출구 마우스(20A,20A’’) 아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것이 주행기구(18)에도 적용된다. 벙커영역(19A)의 출구 마우스(20A’) 아래에는 그 하부 벌크 재료 공급벙커(40A)에 중간 개재된 벌크 재료의 벌크 재료 원뿔단이 위치된다. 따라서, 벌크 재료 공급벙커(40A)(중간 벙커)는 벌크 재료 보(sluice)와 같은 기능을 하지만 하부 벌크 재료 밸크가 없는데, 이는 비작동시 벌크 베드(9)의 벌크 재료 원뿔(9K)이 벌크 재료가 벌크 재료 공급벙커(40A)에서 아래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적하 왜건(19)의 [제 1] 또는 제 2 벙커영역(19B)의 벌크 재료 출구 마우스(20A’’)는 필요시 원뿔형상으로 상향 연장하고 적하 왜건이 벌크 베드 상의 적하위치에 있는 경우 중간 플로어(41A) 상으로 상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마우스 개구부(42A)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벙커(40A)는 상부 벌크 베드(9D)를 위해 남아있게 되고 하부 벌크 베드(9B) 또한 벌크 재료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때 단일 적하 왜건에 의해 새로운 벌크 재료를 공급받게 된다. 이는 도 1과 관련한 예를 통해 기술되고 본 출원인의 유럽특허 제EP 0357653 B1호에 공지된 종류의 벌크 재료 방출장치(15) 또는 벌크 재료 방출장치(이송벨트(27))를 통해 벌크 재료가 제거될 정도의 양으로, 자동으로 실시된다. 1. 공지의 중간 벙커(40B)가 적하 파이프(42)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상부 중간벙커(40A)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사용된 적하 왜건의 벌크 재료 밸브(23)는 천공되 이동 판이고,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도 5와 관련하여 기술된 종류이다. 5. 출구 마우스(20A’,20A’’)을 개폐하기 위한 판의 이동은 도 5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5. 상기 판이 개방설정된 경우, 벌크 재료는 벙커영역(19A,19B)에 존재하고, 벌크 재료가 해당 벌크 베드의 하단에서 제거되는 경우에는 적하 왜건에서 해당 중간벙커(40A,40B)로 하향 이동한다. 벌크 재료 밸크(23)가 닫힌 상태에서, 적하 왜건은 임의의 위치에서 옆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와는 반대로,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의 옆에 적하타워(28)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대신, 적하 왜건(19)가 이동 베드 반응기 시스템의 지붕 상의 기밀 공급 사일로(24)를 통해 충진된다. 이동 베드 반응기 시스템의 커버를 통해 공급 사일로(24)와 적하 왜건(19) 사이에 위치하는 유출 개구부는 기밀가능 수단, 특히 보와 같은 수단을 통해 제공된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특징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임의로 결합할 수 있다.
여러 층 상에 형성된 여러 쌍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로 인해 매우 작은 시스템을 구현하게 되고, 이로써 주어진 공간 조건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열 및 유동의 면에서 유리하다. 전체 유체 처리면은 비교적 경량의 시스템에서 상당히 크고, 또한 예를 들어 백반 단위 제곱미터 이상의, 시간당 매우 많은 양의 기체를 포함하는, 기체 제거에 적합하다.
도 8의 실시예에서, 탠덤에 연속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여러 개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에는 다른 위치 중에서, 예를 들어 유럽특허 제EP 0 257 653 B1호에 개시된 종류의 유입 및 벌크 재료 제거 플로어(8)가 제공된다. 벌크 재료 출구 홈에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는 망원형 형상으로 곡선처리된 고정판을 구비한 그리드처럼 중간 플로어(8B) 상에 위치된다. 상기 파이프는 중간 플로어(8B)의 구멍(8C)를 통과하여 그 하부의 소정 거리까지 연장된다(도 14). 중간 플로어(8)는 벌크 재료 방출장치(15)로 설계된 구조체에 의해 이송된다. 벌크 재료 방출왜건(16)은 하부 영역에 직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을 벌크 재료 유지기에 연결하는 벌크 재료 출구채널을 통과하면서 벌크 재료 방출장치(15) 아래에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도 9 및 10에 자세히 도시한 벌크 재료 방출장치(15)는 C 형상 또는 반응기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유사한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의 상면은 벌크 재료 방출파이프(13)의 마우스가 그것을 통하는 단면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방식으로 그리드 형상의 간격으로 천공된다. 상부 프로파일 레그(100A)는 중간 플로어(8B)용 지지부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 폐쇄되는 측방 수직 프로파일 레그(100B)는 상부 프로파일 레그(100A)의 측면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하부 레그는 수평 하부 프로파일 레그(100C)에 인접한다. 후자는 일정간격으로 제공되는 벌크 재료 격리면(110)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개구부(120)(플로어 개구부)로 구성된다. 격리면(110)은 그 상부의 벌크 재료 방출 플로어(8)의 각각 할당된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 아래 중앙부에 위치한다. 하부 프로파일 레그(100C)에서, 측면 프로파일 레그(100B)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는 대략 수직하게 측면 벽(100D)에 인접하고, 측면 프로파일 레그(100B)에 대향하는 상부 프로파일 레그(100A)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인접하는 측면 벽(100E)과 동일 높이에 있게된다. 이에 따라 C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상이 갖춰지고, 여기서 동일 높이의 상부 및 하부 측면 벽(100D,100E)의 자유 가장자리 사이에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용 대향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측면 프로파일 레그(100B), 하부 프로파일 레그(100C), 및 하부 측변 프로파일 벽(100D)가 격리면(110) 사이에 위치되는 방출 개구부(120)을 갖는 격리 홈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열에 배치되는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많은 프로파일이 적절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한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은 프로파일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트래버스(210)는, 인접한 프로파일 측방 사이를 통과하여 각각 도면에 도시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 휠로 설계된 구름 또는 미끄럼 가이드 부재(220A)를 구비한 주행기구(220)를 이송하는 수직 암(210A)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기구는 하부 측면벽(100D)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부 측면벽(100E)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레일 위를 주행하며 가이드한다. 주행기구(220)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이 공유 드라이부에 의해 프로파일의 길이방향 연장부(T)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프로파일의 길이를 가로지르면서 격리홈의 단면을 스치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에 인접한다. 따라서, 홈 당 하나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격리면(110)과 방출 개구부(120)를 교대로 통과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고 비교적 느린 2.0 m/min이하까지의 속도를 갖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의 주행속도로 인해 벌크 재료를 보호하는 데 상당히 유리하다.
도 11 및 12에 따른 실시예는, 홈이 파인 격리면을 형성하는 프로파일이 쌍을 이루어 측방으로 서로 이격되고 다소 비대칭적인 U자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외측에 놓인 대약 U자 형상의 레그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중간 플로어(8B)를 수용, 이송, 및 고정하기 위한 상부 프로파일 레그(100A)가 제공된다. 벌크 재료 슬리이더(230)는 쌍을 이루어 연결되고 각각의 프로파일 쌍의 중간 공간의 영역에 홀더(230A)에 의해 약간 진동하도록 유지되어, 프로파일이 덜 굴곡되더라도 상기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는 벌크 재료 홈을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은, 여러 개(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 쌍(230)이 인접한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에 서 이격되어 탠덤 내에 정렬되고, 따라서 벌크 재료 슬라이더가 한 번에 홈이 파인 격리부재(100)를 통과하는 경우, 격리 재료가 각각의 격리면에서 네 번 연속해서 쓸려 제거된다. 도시한 본 실시예에서, 모드 인접한 홈이 파인 격리부재(100)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시 연결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리부재(100)의 홈이 파인 벽을 스치는 밸브(230)의 가장자리는 특정 방식으로 설정되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형상으로 형성된다(가장자리 스트립 (230B)).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크 재료 방출왜건(16)은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과 구동연결되어, 양측 왜건 모두 하나의 드라이브와 함께 방출채널을 통해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는 벌크 재료 원뿔(110A)가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의 마우스와 격리면(110) 사이에서 어떻게 형성되는 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 및 14에 도시한 실시예는, 서로를 향해 개방된 두 개의 U자형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홈이 파인 각각의 격리부재(100)에는 상하로 안내되는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이 제공되고, 이는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탠덤 내에 배치된 네 개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 및 슬롯이 형성된 유지기 내에서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를 안내하는 홀더(230A)를 구비하여 중력으로 인해 이들이 홈 바닥에 안착된다는 점에서 상기 두 개의 실시예와 다르다.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의 가장자리 스트립(230B)이 다른 재료로 구성되어, 예를 들어 브러쉬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는 홀더(230A)(미도시)의 후면 또는 전면 상에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왜건(200)이 전후방으로 주행할 때 벌크 재료를 보다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인접한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이 공유 드라이버에 의해 추진되고, 이때 트래버스(210)는 각각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에 측면 또는 중앙에서 맞물리는 수직암(210A)에 다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은 서로에 대해 임의의 틈을 두고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홈이 파인 격리부재(100)가 변형하더라도 밸브가 걸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도 14의 우측에 도시된 홈이 파인 격리부재(100)에서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가 생략되고, 중간 플로어 또한 도면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 레그(100B)는 연결부재(100F)의 형태로 부분적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유지기능은 단지 하부 U자형 프로파일 스틸에 따라 달라진다.
벌크 재료 방출왜건(16)을 수용하는 대신, 일련의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들(3)을 연결하는 벌크 재료 채널이 설계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벌크 재료를 시스템의 전면에서 멀어지도록 이송하기 위한 운송 밴드, 진동 공급기등 길이방향 이송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종래 기술
1’: 유체 처리시스템
2’: 관상채널
3’: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
4’: 유입채널
5’: 유출채널
6’: 유입 윈도우
7’: 유출 윈도우
8’: 유입 플로어
9’: 벌크 베드
10’: 관상 채널 커버
11’: 적하채널
12’: 기체 분배실
13’: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
14’: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
15’: 벌크 재료 방출장치
15A’: 격리판
15B’: 방출 핑거
15C’: 측면 가장자리
16’: 벌크 재료 방출왜건
18’: 주행기구
19’: 적하 왜건
20’: 방출 깔대기
21’: 하부 마우스
23’: 벌크 재료 밸브
37’: 기체 배출실
본 발명
1: 유체 처리시스템
2: 관상채널
3: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
3A: 열
3A’: 열
3A”: 열
3B: 열
3C: 분리벽
3D: 모듈 커버
4: 유입채널
5: 유출채널
6: 유입 윈도우
7: 유출 윈도우
8: 유입 및 벌크 재료 방출 플로어
8A: 유입 플로어
8B: 중간 플로어
8C: 구멍
9: 벌크 베드
9K: 벌크 재료 원뿔
10: 관상 채널 커버
11: 적하채널
12: 기체 분배실
13: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
15: 벌크 재료 방출장치
17: 이송벨트
18: 주행기구
19: 적하 왜건
19A: 벙커영역
19B: 벙커영역
20: 출구 깔대기
20A: 출구 마우스
20A’: 출구 마우스
20A”: 출구 마우스
20B: 관상부
22: 먼지판
23: 벌크 재료 밸브
23A: 구멍
24: 공급 사일로
25: 가이드 수단
26: 제 2 벌크 재료 리프트
27: 이송벨트
27A: 벌크 재료 수집 깔때기
28: 적하 타워
29: 제 1 벌크 재료 리프트
30: 수집 및 배출 운반장치
31: 대형 사일로
32: 진동 공급기
33: 회전 밸브
34A: 제 1 지지부재
34B: 제 2 지지부재
34C: 개구부
35: 지지부재
36: 롤러
37: 기체 배출실
38: 벌크 재료 방출왜건
40A,B: 벌크 재료 공급벙커
41A,B: 중간 플로어
42A: 마우스 개구부
42: 적하 파이프
42A: 상부 마우스 개구부
45: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
46: 벌크 재료 방출부재
50: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
50’: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
50”: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
50A: 확장부
50B: 입구 개구부
51A,B: 벌크 재료 출구 마우스
100A: 상부 프로파일 레그
100B: 측면 프로파일 레그
100C: 하부 프로파일 레그
100D: 하부 측면벽
100E: 상부 측면벽
100F: 연결부재
110: 격리면
100A: 벌크 재료 원뿔
120: 개구부
200: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
210: 트래버스
210A: 아암
230: 벌크 재료 슬라이더
230A: 홀더
230: 가장자리 스트립
A: 이중 화살표
A’: 이중 화살표
A”: 이중 화살표
B: 이중 화살표
C: 이중 화살표
T: 주행방향

Claims (32)

  1. 서로 나란하게 정렬되어 평행하게 구동되는 복수의 벌크 베드(9)로 구성되는 유체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처리할 유체는 벌크 베드를 통해 아래에서 상방으로 유동하고,
    벌크 재료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상기 유체에 역류하는 방향으로 상기 벌크 베드를 통해 이동하며,
    벌크 재료의 일부는 상기 벌크 베드의 하단에서 제거되고,
    벌크 재료의 일부가 상기 벌크 베드의 상단에 제공되며,
    상기 벌크 베드들은 수평의 공유 적하채널(1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벌크 재료 밸브(23)에 의해 밀봉되는 벌크 재료 출구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적하 왜건(charging wagon)(19)이 상기 벌크 베드 상부의 복수의 부분적인 벌크 베드의 해제 위치와 적하 타워(28)의 적하 위치 사이의 적하 채널을 가로지르며,
    복수의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가 벌크 재료 출구와 벌크 재료 밸브(23) 아래에 제공되고,
    각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의 벌크 재료 출구 마우스(mouth)(51)는 그 하부 벌크 베드(9)의 벌크 재료 원뿔(9K)에서 끝나는, 유체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들(50)은 제 1 지지부(34A)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지지부(34A)는 상기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의 입구 개구부(50B)의 영역에서 상기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들만큼 천공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짧은 관상부(20B)가 측면 틈이 형성된 상기 적하 왜건(19)의 출구 깔대기(20)의 출구 마우스(20A) 상에서 미끄러지고 판형상의 벌크 재료 밸브(23) 상에 안착되어 그 구멍(23A)를 덮는, 유체 처리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천공된 벌크 재료 밸브(23)가 롤러(36)를 구비하는 지지부재(35)에 의해 유지되어 벌크 재료 하역 파이프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수평으로 이동되는, 유체 처리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는 텔레스코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는 상부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 및 하부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로 구성되며,
    상기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의 벌크 재료 출구 마우스(51)는 상기 벌크 베드(9)의 높이 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변위되고(shifted)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는 상기 적하 왜건의 부품 또는 각각의 벌크 베드(9)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인, 유체 처리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나란하게 정렬된 복수의 벌크 베드와, 하부 벌크 베드를 적재하기 위해 상기 벌크 베드들을 관통하는 적하 파이프(42)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하 왜건(19)은 최상부 벌크 베드 위에 제공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 왜건은 벌크 재료 벙커 영역(40A,40B)들을 구비하며,
    상기 벌크 재료 벙커 영역들은 상기 최상부 벌크 베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마우스(20A’) 및 상기 하부 벌크 베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마우스(20A”)를 구비한, 유체 처리 시스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벌크 재료를 통과시키는 중간 플로어(41A)가 상기 적하 왜건(19) 아래에 제공되어 상기 적하 채널(11)을 그 하부의 벌크 베드의 기체 배출실(37)로부터 분리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로어(41A)는 상기 적하 왜건에 의해 공급되는 벌크 재료 공급 벙커(40A)를 구획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베드의 상부 영역에 선형 또는 평평한 부재가 수평 이동가능하게 정렬되는, 유체 처리시스템.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 개의 평행 측방 이격형 열들(3A, 3B)로 배치된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들(3)을 더 포함하고,
    각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3)은 적어도 하나의 벌크 베드(9)를 감싸며,
    상기 이동 베드 반응기 모듈들(3)은 일련의 벌크 베드 상부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적하 채널(1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18. 삭제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벌크 재료 방출 장치(15)는 격리면(110)를 갖는 홈이 파인 적어도 하나의 격리 부재(100)를 구비하고,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로부터 상기 벌크 재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벌크 재료 방출 파이프(13)의 바로 인접한 마우스 개구부의 열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격리 부재는 격리 부재 외부로 축적된 벌크 재료의 통로를 위한 파이프 마우스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격리면들(110) 사이에 위치되는 개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 부재는 홈으로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횡단 가능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를 구비하며,
    상기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가 격리 부재(100)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서 적층된 벌크 재료를 방출하도록 상기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를 길이 방향 연장부의 방향을 향해 홈이 파인 플로어 상에서 이동시키는 드라이브를 제공함으로써 벌크 재료의 부분적인 방출이 실시되는, 유체 처리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9 항에 있어서,
    복수의 벌크 재료 슬라이더(230)가 결합되어 벌크 재료 슬라이더 왜건(200)을 형성하는, 유체 처리시스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벌크 재료 관통 파이프(50”)는 공유 그리드 형상의 제 2 지지부재(34B)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는, 유체 처리시스템.
KR1020107012711A 2007-11-12 2008-11-12 평행 구동 벌크 베드를 구비한 유체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652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4212A DE102007054212A1 (de) 2007-11-12 2007-11-12 Fluidbehandlungsanlage mit parallel betriebenen Schüttgutbett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Anlage
DE102007054212.9 2007-11-12
PCT/EP2008/003910 WO2009138111A1 (de) 2008-05-15 2008-05-15 Vorrichtung zum austragen von schüttgütern aus mündungsenden von fallrohren
WOPCT/EP2008/003910 2008-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368A KR20100106368A (ko) 2010-10-01
KR101652127B1 true KR101652127B1 (ko) 2016-08-30

Family

ID=4029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711A KR101652127B1 (ko) 2007-11-12 2008-11-12 평행 구동 벌크 베드를 구비한 유체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6886B2 (ko)
JP (1) JP5777883B2 (ko)
KR (1) KR101652127B1 (ko)
CN (2) CN101909737B (ko)
WO (1) WO20090626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5861A1 (ja) * 2008-11-14 2010-05-20 ジェイパワー・エンテック株式会社 ロックホッパ
FR2974739B1 (fr) 2011-05-03 2016-03-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odule de reacteur solide / gaz caloporteur comprenant des diffuseurs de gaz a risques d'obturation reduits
CN109529527A (zh) * 2018-11-06 2019-03-29 威海威高海盛医用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空气吸附分离的非等温颗粒床模型
CN109647157A (zh) * 2019-02-20 2019-04-19 武汉华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净化烟气的活性炭移动床对流吸附装置
CN112871122B (zh) * 2020-12-31 2022-11-29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大批量制备纳米硅改性钢纤维的反应釜与制备方法
CN113828112B (zh) * 2021-09-02 2023-05-09 中国华能集团有限公司 移动床吸附塔和烟气净化系统
CN216457869U (zh) 2021-11-05 2022-05-10 霍斯特·格罗霍夫斯基 用于净化燃烧工艺的废气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8212A (ja) * 1999-09-06 2003-03-04 グロコウスキー、ホルスト 少なくとも1つのバルク材料層により流体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設備
JP7094010B2 (ja) * 2018-08-09 2022-07-01 森村金属株式会社 ペット用のドア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3411A (en) * 1944-01-19 1947-07-01 Socony Vacuum Oil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 form solids
US2491446A (en) * 1946-05-08 1949-12-13 Socony Vacuum Oil Co Inc Distribution of solids to moving compact beds thereof
JPS6338648U (ko) 1986-08-29 1988-03-12
DE3732567A1 (de) 1987-05-07 1988-11-24 Horst Dr Grochowski Anstroemboden fuer wanderbettreaktor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ieser vorrichtung
DE3844422A1 (de) 1988-12-30 1990-07-05 Ste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trennen unerwuenschter bestandteile aus einem abgas
DE3916325A1 (de) * 1989-05-19 1990-11-22 Grochowski Horst Wanderbettreaktoranlage
US5289954A (en) * 1990-01-05 1994-03-01 Steag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metered removal of flowable solid material
DE4004911C2 (de) 1990-02-16 1999-09-23 Horst Grochowsk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wenigstens einem Fluid mittels eines als Schüttgut vorliegenden Feststoffes in einem Wanderbettreaktor
DE19631650A1 (de) * 1996-08-05 1998-02-12 Christoph Schmid Adsorbersystem
GB0207767D0 (en) * 2002-04-04 2002-05-15 Glaxo Grou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tablet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8212A (ja) * 1999-09-06 2003-03-04 グロコウスキー、ホルスト 少なくとも1つのバルク材料層により流体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設備
JP7094010B2 (ja) * 2018-08-09 2022-07-01 森村金属株式会社 ペット用のドア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02772A (ja) 2011-01-27
US8496886B2 (en) 2013-07-30
CN101909737B (zh) 2013-11-06
US20120216873A1 (en) 2012-08-30
KR20100106368A (ko) 2010-10-01
WO2009062695A2 (de) 2009-05-22
CN103551088B (zh) 2016-12-07
WO2009062695A3 (de) 2009-10-08
CN101909737A (zh) 2010-12-08
CN103551088A (zh) 2014-02-05
JP5777883B2 (ja)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127B1 (ko) 평행 구동 벌크 베드를 구비한 유체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CN102230718B (zh) 控制西林瓶自动进出冻干机的装置
CN104973412B (zh) 一种带式输送转载装置
CN202267324U (zh) 控制西林瓶自动进出冻干机的装置
CN104340697A (zh) 一种物料仓及其平出仓装置
GB2073122A (en) Air bed conveyors
CN204162120U (zh) 物料仓及其平出仓装置
CN111619866A (zh) 一种产品多层垛叠排列包装设备
US8641358B2 (en) Apparatus for placing battery plates in a line
US20100284870A1 (en) Fluid treatment system with bulk material beds operated in parallel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CN115196271A (zh) 一种曲块调隙拢堆装置及并曲装框系统和方法
CN212580249U (zh) 一种产品多层垛叠排列包装设备
CN114590611B (zh) 一种升降码包自动装车机
CN201961822U (zh) 移动卸料式皮带输送机
CN108147312A (zh) 专用移载小车自动升降装置
CN212655151U (zh) 一种密封除尘式可逆配仓输送机系统
CN115352689B (zh) 一种袋状物料整理机构和系统
CN216686639U (zh) 一种自动装车机的输送装置
CN217497501U (zh) 一种堆料系统
CN204777523U (zh) 一种带式输送转载装置
CN210610954U (zh) 具有输送功能的马铃薯堆储场
CN110857154B (zh) 一种移液吸头排列机器人
CN218707292U (zh) 一种笼盒垫料添加机
CN220351088U (zh) 一种马铃薯储料池
CN216660482U (zh) 一种条烟收集与储放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