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942B1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및 직편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및 직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942B1
KR101651942B1 KR1020140080614A KR20140080614A KR101651942B1 KR 101651942 B1 KR101651942 B1 KR 101651942B1 KR 1020140080614 A KR1020140080614 A KR 1020140080614A KR 20140080614 A KR20140080614 A KR 20140080614A KR 101651942 B1 KR101651942 B1 KR 10165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polyamide
polyester
ratio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455A (ko
Inventor
김병일
호요승
강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4008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형 복합섬유에서, 한쪽이 나일론 6과 나일론 46으로 구성된 지방족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이며 함량은 20~50중량%이고, 다른 한쪽이 폴리아미드 공중합물과 친화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중에 1 이상이 포함된 중합체이며 50~80중량%인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및 직편물{Polyamide Polyester Split-type Fine Composite Fiber And Woven Knit Fabric}
본 발명은 소프트한 촉감과 이수축 효과가 있는 극세사에 관한 분할형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활제 첨가에 따른 분할율 및 균일성 증가와 동시에 핵제를 첨가하여 폴리아미드 부분의 결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여 인열 강도 및 염색 견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분할형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합성 섬유를 천연 섬유와 같은 감성을 발현하려는 시도는 1980년대 신 합성섬유의 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되어 지고 있다. 이런 섬유 중에서도 가장 천연의 촉감을 발현하는 소재라면 단연 폴리아미드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분할형 극세사를 꼽을 수 있다. 극세사가 주는 부드러운 촉감과 폴리에스테르에 나일론의 복합을 이용한 볼륨감이 우수하다. 하지만, 이런 분할 극세사의 경우 극세 분할되는 섬유의 촉감적 특성만을 강조하여 트렌치코트 및 다운 재킷 등의 아웃웨어 의류 쪽의 용도에 지나치게 치우친 경향이 있다. 최근 트렌드는 극세사를 장점인 부드러운 촉감을 활용하여, 생활 및 산업용 용도로의 시장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분할 극세사를 이용하여 의류용과 생활, 산업용 복합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물 및 편물의 밀도가 고밀도화되는 게 유리한데, 이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분할 극세사의 수축율을 극대화하여야 한다. 또한, 단순히 수축율만 극대화되어서는 안되며 균일하게 완전 분할이 이루어져야 한다. 완전 분할이 이루어질 경우 다수의 분할 극세사가 직편물의 경우 수축율의 불균일 및 모노 섬도의 세섬화로 인해 인열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데 인열강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폴리머의 제조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분할 극세사의 수축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으로 약품 처리를 통해 수축율을 높이는 방법과 원사의 조성을 변화시켜 수축율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먼저, 화학 약품으로 수축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은 특허 공개 10-2010-0084227에 나타나 있다. 이 방법은 벤질 알코올을 폴리아미드의 팽윤제로 사용하여 수축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이 기술은 생산량을 급격히 감소시키고, 생산 원가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벤질 알코올에 의한 공해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특허 공개 10-2010-0016043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원사상태에서 수축율을 높이기 위해 한쪽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지방족 나일론과 방향족 나일론이 혼합된 공중합물을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 특허의 경우는 고밀도 감 발현을 위한 고수축 효과는 우수하지만, 이 특허 역시 분할 및 수축을 30% 이상 발현을 위해서는 벤질 알코올을 사용한다는 단점과 나일론 함량이 높아 과수축으로 인해 원단상의 밀도 제어가 어렵고, 분할 수축 후의 원단의 인열 강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마찰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보 특허 제5012646에서는 폴리아미드 부분의 공중합체를 나일론 6을 기본으로 하여 나일론 66을 2~30%로 하여 사용하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 극세사 제조 방법에 대한 기술적 내용을 제안하고 있으나, 안정적인 약품 사용에 의한 탁월한 고수축 효과는 우수하지만, 원사 자체의 수축율이 높아 분할과 고수축이 동시에 진행되어 분할율과 분할의 불균일성 문제로 직물 및 편물로 사용시 많은 결점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수축율이 25% 초과할 경우, 분할된 폴리에스테르 부분과 나일론 부분의 수축율 차로 인한 인열 강도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나일론 부분이 폴리에스테르 분할 부분 밖으로 도출되는 비율이 높고, 분산염료로 염색시 나일론 부분의 오염도가 크기 때문에 일광 견뢰도 부분에 많은 개선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의류용으로의 전개는 용이하나, 생활용 및 산업용으로의 용도 전개에 한계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특허의 기술은 이와 같은 단점들을 개선하여 수축율을 극대화하고 균일한 분할 및 완전 분할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인열 강도 개선과 염색 견뢰도 증진 효과가 있는 원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인 분할형 복합섬유인 극세사의 장점인 부드러운 촉감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단점인 원단의 치밀성과 내구성, 내마찰성을 보완할 뿐 아니라 기존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가 가지고 있는 분할의 균일성, 인열강도 및 염색 견뢰도를 모두 만족시키는 원사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사를 사용하여 제조된 섬유 조성물들은 특수한 후공정 처리가 아닌 기존 폴리아미드와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와 동일한 염색 가공 공정을 통해, 의류용만이 아닌 생활 산업용 용도로의 우수한 상품 제조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할형 복합섬유에서, 한쪽이 나일론 6과 나일론 46으로 구성된 지방족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이며 함량은 20~50중량%이고, 다른 한쪽이 폴리아미드 공중합물과 친화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중에 1 이상이 포함된 중합체이며 50~80중량%인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과 나일론 46의 중량비가 80:20 내지 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아미드에 활제 또는 핵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제의 첨가 함량은 200~1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핵제의 첨가 함량은 200~1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제는 EBS wax, Stearic acid, Fatty acid ester, 및 Fatty acid amide계 금속 지방산 중에 1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핵제의 종류는 Talc, 알루미늄옥사이드, 및 실리콘다이옥사이드 중에 1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형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직편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의 장점인 부드러운 촉감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단점인 원단의 치밀성과 내구성, 내마찰성 보완을 목적으로 하는 복합섬유 극세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를 이용하여 특별한 후공정 처리를 하지 않고 종래의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와 동일한 염색가공 공정을 통해, 극도의 부드러운 촉감, 볼륨감, 고밀도 효과가 가능하며, 발색성, 내구성, 및 내마찰성이 우수한 직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성분을 모두 지방족 폴리아미드인 나일론 6과 나일론 46과의 공중합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부드러운 촉감 발현뿐만 아니라 고밀도 효과와 나일론 46과의 공중합에 의한 내구성과 마찰 저항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종래의 공정에서 이런 목적을 위해 시행해 오던 후 코팅 공정이 필요 없게 되고, 나아가 생산비 절감, 생산량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기존의 분할사를 고밀도화하기 위해 시행해 오던 벤질 알코올 가공을 생략함으로써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의 한쪽 지방산 폴리아미드에 활제를 첨가하여 분할의 균일성과 분할율을 증대시키기거나 핵제를 첨가하여 제품의 인열강도 및 색상, 일광 견뢰도를 향상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를 제조함에 있어 한쪽이 지방족 폴리아미드인 나일론 공중합물을 사용하는데 이때의 나일론 공중합물은 나일론 6과 나일론 46 공중합물이며, 나일론 46의 함량이 5~20%인 공중합체에 활제인 EBS WAX를 200~1000 ppm 첨가함과 동시에 Talc와 같은 핵제를 200~1000ppm 첨가하여 제조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다른 한쪽이 폴리아미드 공중합물과 친화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타이렌 중합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여 기존 분할 극세사가 가지는 대표적인 단점인 분할의 균일성, 인열강도 및 염색 견뢰도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지방족 폴리아미드 부분을 나일론 6을 기본으로 하여 여기에 적정비율의 나일론 46을 공중합하여 다른 한 성분인 폴리에스테르와의 분할형 복합섬유 극세사를 제조하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아미드 공중합물과 친화성이 없으며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스타이렌과 중합체로 사용할 수 있다.
나일론 46을 공중합 시키는 목적은 분할 후의 수축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볼륨감 및 코팅감 발현을 부여하여 생활용 용도로의 적합성을 기본적으로 부여하기 위함이다. 이때 사용하는 공중합 나일론의 경우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MXD 6등의 소재들이 있지만, 나이론 46은 나일론 6과 66에 비해 점도가 높고 내열성, 내마모성 및 염색성이 우수하며 소프트하고 더 얇게 가공이 용이하며 융점이 매우 높아 폴리에스테르와의 방사 흐름성 면에서 유리함과 동시에 강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나일론 46을 기존의 나일론 66과 대체재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 나일론 46의 함량이 높을수록 수축, 코팅, 볼륨 효과 등은 증가 하지만, 20중량% 초과하면 함유될 경우 제사 공정성 불량 및 분할률이 급격히 불량해지고 반면에 5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내구성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분할 극세사의 폴이 아미드 부분을 공중합하여 분할 극세사의 수축율을 증가시킬 경우 수축율이 급격히 높아져, 분할성과 인열 강도가 불량해 지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수축율이 높을 경우는 원단의 인열 강도가 증가하지만, 분할 사의 경우는 반대로 감소 된다. 이것은 분할된 폴리에스테르 부분과 폴리아미드 부분의 급격한 수축율 편차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분할 사의 한쪽 부분인 나일론 공중합 물에 활제 또는 핵제를 첨가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의 가공성은 모 노모의 변경, 분자량의 조절 및 분자구조의 변화를 통하여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 가공성 향상을 위해서는 가공 기기의 선택뿐 아니라 용융물의 점성가동에 영향을 미치는 활제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활제는 최종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런 활제는 수축율이 높아 분할을 저해하는 것을 제어함을 목적으로 한다. 핵제의 종류로는 EBS wax, Stearic acid, Fatty acid ester, 또는 Fatty acid amide계 금속 지방산 등 있다.
핵제는 고차구조를 제어하는 처방으로 널리 사용되며 제품의 용도에 맞는 성능,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분자량, 분자량 분포, 조성분포, 입체규칙성 등의 고분자 일차구조와 결정구조, 비정구조, 분자배향, 상(相)구조 등 최종가공품의 고차구조의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전자는 촉매나 중합공정, 후자는 가공기술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핵제의 역할은 핵제를 처방함으로써 인열 강도 저하 및 염색 견뢰도, 색상의 투명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강성, 투명성, 광택의 향상 및 성형 사이클 단축의 성능향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결정화 속도를 빠르게 하여 성형시의 냉각시간을 단축시킨다.
핵제의 종류로 Talc, 알루미늄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다이옥사이드 등이 사용되며 특히 Talc은 첨가량에 비례해 강성, 열변형온도가 향상되고 수축률 이방성도 유기계 핵제에 비해 적기 때문에 성형품의 Wraping 불량현상이 작다.
활제와 핵제의 경우 함량이 높을수록 효과는 목적하는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활제와 핵제 모두 1000ppm 이상이 넘게 방사할 경우 급격히 제사 공정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상업화가 힘들다. 반대로 200ppm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여 큰 의미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을 종래의 분할 극세사 제조법에 응용하여, 의류용에 한정되었던 분할 극세사의 용도를 생활용까지 확대 가능하게 하여 분할 극세사의 시장을 더 크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 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과 동시에 활제인 EBX WAX 500ppm, 핵제인 Talc를 500ppm 첨가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 TiO2: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 비율이 30:70로 해서, 방사온도 290℃, 방사속도 3500m/min에서의 SPIN DRAW PROCESS로 원사를 방사한다. 이때의 DRAW RATIO는 2.6, 고젯 롤러의 온도는 고젯1이 60도, 고젯2 온도는 120도로 한다. 원사의 섬도는 75데니아로 하고 filament수는 24개로 하여 제사한다.
이렇게 제조된 원사를 사용하여, 사이징(sizing) 작업을 해서 경사 제직 준비 작업을 한다. 사이징은 일본의 Suzuki 사에서 제조한 소형 기기를 사용하였고, 호제는 PVA 호제를 사용하였다. 사이징 작업 후 역시 같은 회사에서 제조한 1본 정경기를 사용하여 정경 작업을 하였다. 총경사본수는 15000본으로 하고 성폭은 63"해서 제직 준비를 한다. 제직은 도요다에서 제조한 700 type 에어제트 직기를 사용하였고, 위사의 사종도 경사와 동일한 본 개발품 원사를 사용하였다. 위사 밀도는 90본/inch 조직은 plain 조직으로 하여 제직을 완료하였다. 이렇게 제직된 직물을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상온에서 침지 후 패더를 사용하여 스퀴징 작업후 원단을 소형 롤러에 감은 후 밀봉 후 12시간 정도 에이징 룸에서 숙성 작업을 한다. 숙성 공정 후 수세, 건조 후, 130℃에서 염색을 한다. 이때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부분만을 염색한다.
실시예2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부분인 폴리아미드 부분의 RV 2.8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을 95:5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3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부분인 폴리아미드 부분의 RV 2.8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을 85:15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4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과 동시에 활제인 EBX WAX 200 ppm, 핵제인 Talc를 200ppm 첨가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 TiO2 :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30:70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5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과 동시에 활제인 EBX WAX 1000 ppm, 핵제인 Talc를 1000ppm 첨가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TiO2: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30:70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6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과 동시에 활제인 EBX WAX 500 ppm, 핵제인 Talc를 500ppm 첨가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TiO2: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20:80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7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과 동시에 활제인 EBX WAX 500 ppm, 핵제인 Talc를 500ppm 첨가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TiO2: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50:50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1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부분인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 46 단독으로 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 TiO2 :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55:45로 해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2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부분인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 6과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70:30으로 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TiO2: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55:45로 해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과 동시에 활제인 EBX WAX 2,000 ppm, 핵제인 Talc를 2,000ppm 첨가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TiO2: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55:45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4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하고, 활제와 핵제를 첨가하지 않은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TiO2: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60:40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5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과 동시에 활제인 EBX WAX 500ppm, 핵제인 Talc를 500ppm 첨가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 TiO2 :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60:40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6
분할형 극세사의 한쪽 폴리아미드 부분을 RV 3.3의 나일론6와 RV 3.3의 나일론 46을 중량 비율 80:20으로 혼합과 동시에 활제인 EBX WAX 500 ppm, 핵제인 Talc를 500ppm 첨가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부분을 IV 0.62의 폴리에스테르 SEMI DULL (TiO2: 0.3%)로 하고,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10:90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염색후 핀텐터를 이용하여 최종 직물 폭을 고정한 후, 원단 및 원사의 각종 품질을 측정하였다.
1. 원단의 수축율 측정
상기 개발 되어진 분할형 극세사를 이용한 직물의 가공 전후 길이를 측정하여 수축율을 측정한다.
W (%) = L0 -L1 / L0 x 100
LO: 원단의 가공처리전 길이
L1: 원단의 가공 처리후 길이
2. 분할율 측정: Leica Laborlux 12 pol s
염색가공 후 (분할 공정 후) 처리된 직편물의 시료를 채취하여, 편광 현미경 (Leica사 제품, Laborlux 12 pol s)으로 섬유 횡단면을 관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층이 완전히 폴리아미드층에서 분리된 상태를 비교하는 것으로, 24 filament가 8개로 분할되어 192가닥이 될 경우를 100%로 환산해서 계산한다.
3. 원단의 인열강도는 KSK 0536으로 측정한다.
4. 염색 견뢰도: 세탁 견뢰도ksk 0430 방식으로 Launder O meter를 사용하였으며, 시험편은 5 x 10cm 로 하고, 세제 5g/l, 액량은 100ml, 온도는 50도, 30분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5. 일광견뢰도는 KSK0700 카본아크법으로 진행하였다. 아크전압 125V, 아크 전류 15A, 카본 아크 가동 20시간 후 결과를 확인하여 측정하였다.
6. 원단의 인열강도는 KSK 0536으로 측정하였고, 코팅 촉감 발현은 KES-FB 태측정기 및 판정단의 감성 평가를 종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7. 제사 공정성 평가는 1주일간 작업시의 LP1A율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특정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폴리머
조성
폴리아미드전체비율(중량%)

30


30


30


30


30


20


50


55


55


55


60


60


10
나일론 6(중량비)
80

95

85

80

80

80

80

100

70

80

80

80

80
나일론 46(중량비)
20

5

15

20

20

20

20

0

30

20

20

20

20
활제함량(ppm) 500 500 500 200 1000 500 500 500 500 2000 0 500 500
핵제함량(ppm) 500 500 500 200 1000 500 500 500 500 2000 0 500 500
방사공정성 LP1A율(%)
96

97

96

96

95

96

96

87

70

45

97

85

80
원단분할률 경사(%) 98 95 95 94 100 95 92 96 85 100 75 90 92
위사(%) 96 96 97 96 100 94 90 95 82 100 70 90 92
인열강도 경사(N) 22 20 21 21 22 22 21 14 23 23 16 24 12
위사(N) 20 19 20 21 20 20 20 15 21 20 15 22 11
원단 수축율 경사(%) 30 26 28 30 29 29 30 12 40 31 28 28 10
위사(%) 28 24 26 28 28 27 28 10 38 29 26 26 8


견뢰도
일광견뢰도(급) 6 6 6 6 6 6 5 3 6 6 4 2 5
세탁견뢰도(급) 4~5 4~5 4~5 4~5 4~5 4~5 4~5 2~3 4~5 4~5 3~4 2~3 4~5
코팅감 감성평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위 표1에 나타난 데이터를 검토해보면,
비교예 1은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이 상한선 50중량%을벗어나 55중량%와 나일론 46의 함유량은 실시예들의 5~20중량%의 하한선을 벗어난 0중량%을 한 것으로 표에서 인열강도(경사, 위사), 원단 수축율(경사, 위사), 견뢰도 수치에서 실시예 1, 2, 3과 비교시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코팅감도 감성평가에서 불량함을 보이고 있다.
비교예 2는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이 상한선 50중량%을 벗어난 55중량%와 나일론 46의 함유량이 실시예들의 5~20중량%의 상한선을 벗어난 30중량%로 한 것으로 표에서 방사공정성, 원단 분할율 값은 실시예 1, 2, 3보다 수치가 낮으나 원단수축율은 오히려 수치가 높게 나왔다. 다만, 코팅감은 변함이 없다.
비교예 3은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이 상한선 50중량%을 벗어난 55중량%와 활제와 핵제의 함유량이 실시예 4, 5의 200~1000ppm의 상한선을 벗어난 2000ppm인 경우 방사공정성이 45%로 실시예 4, 5의 수치보다 낮은 값을 나타낸다. 다만, 코팅감은 변함이 없다.
비교예 4는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이 상한선 50중량%을 벗어난 60중량%와 활제와 핵제의 함유량이 실시예 4, 5의 200~1000ppm의 하한선을 벗어난 0 ppm인 경우 원단분할율, 인열강도, 견뢰도가 실시예 4, 5의 수치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코팅감도 감성평가에서 불량함을 보이고 있다.
비교예 5는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이 상한선 50중량%을 벗어난 60중량%를 사용한 경우 방사공정성과 견뢰도에서 실시예 6, 7과 비교시 낮은 값을 나타낸다. 다만, 코팅율은 변함이 없다.
비교예 6는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폴리아미드의 함유량이 하한선 20중량%을 벗어난 10중량%를 사용한 경우 실시예 6, 7과 비교시 방사공정성, 인열강도, 원단수축율이 낮은 값을 나타내고 코팅감도 감성평가에서 불량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폴리아미드의 전체 함량비율과 폴리아미드내에서 나일론 46의 적정중량비을 벗어난 비교예1, 2와 폴리아미드의 전체 함량비율과 활제와 핵제의 적정함량을 벗어난 비교예3, 4 및 폴리아미드 전체 함량비율이 벗어난 비교예 5, 6의 측정값은 실시예의 일반적인 효과범위를 벗어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분할형 복합섬유에서, 한쪽이 나일론 6과 나일론 46으로 구성된 지방족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이며 함량은 20~50중량%이고, 다른 한쪽이 폴리아미드 공중합물과 친화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중에 1 이상이 포함되되,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에 200~1000ppm의 활제 및 200~1000ppm의 핵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첨가하며,
    상기 활제는 EBS wax, Fatty acid ester, 및 Fatty acid amide계 금속 지방산 중에 1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핵제는 실리콘다이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 중에 1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과 나일론 46의 중량비가 80:20 내지 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섬유.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상기 분할형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직편물.
KR1020140080614A 2014-06-30 2014-06-30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및 직편물 KR10165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14A KR101651942B1 (ko) 2014-06-30 2014-06-30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및 직편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14A KR101651942B1 (ko) 2014-06-30 2014-06-30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및 직편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55A KR20160002455A (ko) 2016-01-08
KR101651942B1 true KR101651942B1 (ko) 2016-09-12

Family

ID=5517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614A KR101651942B1 (ko) 2014-06-30 2014-06-30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및 직편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996A (ja) * 2002-11-28 2004-06-24 Ube Ind Ltd ポリアミド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アミド成形物
JP2006111991A (ja) * 2004-10-13 2006-04-27 Toyobo Co Ltd 耐熱性に優れた高吸湿性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8938A (ja) 2010-02-22 2011-09-01 Asahi Kasei Fibers Corp エアバック用ナイロン66繊維およびエアバック
KR101408540B1 (ko) * 2013-07-23 2014-06-17 주식회사 효성 분할형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996A (ja) * 2002-11-28 2004-06-24 Ube Ind Ltd ポリアミド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アミド成形物
JP2006111991A (ja) * 2004-10-13 2006-04-27 Toyobo Co Ltd 耐熱性に優れた高吸湿性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8938A (ja) 2010-02-22 2011-09-01 Asahi Kasei Fibers Corp エアバック用ナイロン66繊維およびエアバック
KR101408540B1 (ko) * 2013-07-23 2014-06-17 주식회사 효성 분할형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55A (ko)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132B1 (ko) 제전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68516A1 (en) Thermoplastic fiber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fabric comprising the same
WO2018034160A1 (ja) 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からなる仮撚加工糸
WO2020158530A1 (ja) 撥水性織編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衣料
KR101594290B1 (ko)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 단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스트레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7332693B2 (ja) 導電性複合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
CN105164324B (zh) 具有优异的弹性以及凉爽感的尼龙潜在卷缩性纱线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04930A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1942B1 (ko)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복합섬유 및 직편물
KR100646655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3858515B2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の製造方法
JP5543748B2 (ja) ナイロン11糸条を用いてなる織編物及びその染色方法
JPH04272218A (ja) 防汚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
JP2007332476A (ja) ナノファイバー布地
KR20060087684A (ko) 멜란지 효과를 가진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복합사
JP2510745B2 (ja) 易染性高強度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2019026991A (ja) 黒原着ポリエステル繊維
JP2019147927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有する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を配する繊維
TW201012992A (en) Dyeable and hydrophobic bi-component fibers comprising a polyolefin exterior surface and articles made terefrom
JP7201395B2 (ja) グローブ用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6858686B2 (ja) 高収縮性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布帛
JP2009074188A (ja) 丸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2813368B2 (ja) 制電性複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