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655B1 -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 Google Patents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655B1
KR100646655B1 KR1020050125893A KR20050125893A KR100646655B1 KR 100646655 B1 KR100646655 B1 KR 100646655B1 KR 1020050125893 A KR1020050125893 A KR 1020050125893A KR 20050125893 A KR20050125893 A KR 20050125893A KR 100646655 B1 KR100646655 B1 KR 10064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yarn
component
latent
latent crimp
polyester bi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환 이
현 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5012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과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이 복합방사에 의해 섬유 단면상에 3:7∼7:3의 단면적 비율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태 또는 편심된 심초형(Sheath/core type) 형태로 복합되어 있고, 비등수 수축율이 18%이하이고, 크림프 회복율이 4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합사를 구성하는 고분자 자체의 우수한 신축성으로 인해 다양한 방법 및 조직으로 직물 또는 편물을 제조시에도 신축성의 편차가 적어 적용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신축성을 발현한다.
잠재권축형, 2성분 복합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신축성.

Description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Latent crimping typed polyester conjugated yarn with two component}
도 1은 방사직접연신 방식으로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도 2(a) 내지 (d)는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의 단면 모식도.
도 3은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
도 4는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의 열처리전 상태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
도 5는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의 열수처리(100℃) 후 상태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 : 익스트루더 3 : 방사구금 4 : 보온부 5 : 냉각부
6 : 방사열처리구간 7 : 오일링 장치 8 : 제1고뎃로울러
9 : 제2고뎃로울러 10 : 와인더
본 발명은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직과 같이 신축성 발현이 어려운 원단 구조에서도 잠재권축성이 우수하여 열수처리시 자발적으로 나선형 구조가 되어 천연섬유와 같은 촉감과 신축성 등을 발현하는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합성섬유는 천연섬유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서 거듭되는 기술개발로 일부 특성에 있어서는 천연섬유에 못지 않은 수준에 도달 하였다. 그러나, 신축성은 합성섬유가 쉽게 발현할 수 없는 특성으로서 양모와 같은 천연섬유의 고유 특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합성섬유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ⅰ) 신장특성의 차이가 큰 2종의 합성섬유(원사)를 합사-가연-열고정하여 이수축 복합 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과, (ⅱ) 직편물 제조시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섬유와 기타 합성섬유를 혼용하는 방법과, (ⅲ) 2종의 폴리머를 복합방사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방법들 중에서 이수축 복합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신장특성의 차이가 큰 2종의 원사를 합사-가연-열고정하여 잠재적인 수축율 차이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즉, 가연영역에서의 변형율과 해연후 잔류 변형율의 차이를 최대한 이용하는 것으로 심사와 초사중 초사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변형되어 심사와 혼섬교락 된다.
상기 이수축 복합 가연사는 후처리 공정에서 열처리시 심사와 초사 간의 신장특성의 차이로 양호한 신축성을 발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방법은 권축의 발현상태가 불균일하고, 심사와 초사의 결합력이 공기교락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비교적 약해 후공정 중에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한 성분 원사가 이탈, 제거되거나 권축특성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이수축 복합 가연사 제조방법은 2종 이상의 원사들을 조합하기 때문에 세섬도화가 어렵고, 이미 생산된 2종 이상의 원사를 다시 해사, 합사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직편물 제조시 폴리우레탄 섬유와 기타 합성섬유를 혼용하는 방법은 폴리우레탄 섬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상이하여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하는 반면에 폴리우레탄 섬유는 분산염료로 염색시 세탁견뢰도가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산성염료나 함금속염료로 염색해야 한다.
따라서, 직편물 제조시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를 혼용하는 경우에는 염색시 클로로벤젠계 또는 메틸나프탈렌계 염색용 캐리어(Carrier)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최종 제품은 염소계 표백제에 취약하고 가성소오다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복합방사에 의한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으로는 (ⅰ) 서로 점도가 다른 두 종류의 폴리머를 이용하는 방법과 (ⅱ) 물에 의한 팽윤의 정도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권축을 발현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팽윤의 정도의 차이에 의한 잠재권축사는 물에 의한 팽윤의 정도가 서로 다른 동일계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방사하여 두 종류의 폴리머를 계면에서 접착시켜 원사를 제조한 후, 이를 물에 의해 팽윤시켜 팽윤 정도의 차이에 의해 권축을 발현하게 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물에 의한 팽윤 정도의 차이를 유발하는 수지를 따로 중합하여야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팽윤차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폴리머가 다른 폴리머보다 이온(Ion)화기를 더 많이 함유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서로 다른 점도를 가지는 동일계 폴리머를 이용하여 복합방사형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점도가 상이한 두 종류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방사하여 점도가 다른 두 폴리머를 길이 방향의 계면에서 서로 접착시켜 원사를 제조한 후, 이를 이완상태에서 열처리함으로써 2종의 폴리머의 점도차에 의한 수축응력의 차이에 의해 스프링 형태의 권축을 발현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복합방사에 의한 잠재권축사는 동일계의 폴리머를 사용함에 따라 염색 및 후가공이 용이하며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그 결과, 상기와 같이 점도가 상이한 두 종류의 폴리머를 복합방사하는 방법은 종래 여러 방법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고, 작업공정성의 단축, 원가의 절감과 더불어 우수한 신축성, 부드러운 촉감을 발현하는 장점을 가져 직물 뿐만아니라 편물에도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미국특허 6,673,443 등에서는 서로 종류가 상이한 수지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이(POY)방식으로 복합방사 및 권취하여 잠재권축형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제조된 잠재형 2성분 복합사의 비등수 수축율이 높아 큰 크림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편 및 제직 등의 후공정에서 사절 등이 많이 발생하며 조업성(후공정 통과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본특개평 11-64785호 등에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PTT"라한다)와 3관능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PTT 공중합체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복합방사 및 연신하여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3관능성 단량체의 반응성이 낮아 중합단계에서 PTT 공중합체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 조절이 어렵고, PTT 공중합체의 매트릭스 구조로 인해 점도차이가 극명해져 방사조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본 특개평 6-101116 등에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하"PEN"이라고 한다)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복합방사하여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PEN이 분자쇄의 강직성에 의해 부드럽지 못하고 가성소다 등으로 감량이 어려워 의류용 소재로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본 특개평 3-353252 등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복합방사하여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제직 또는 제편 방법에 의해 신축성 편차가 커지 고, 후공정중에 가해지는 열에 견딜 수 있도록 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융점을 높힐 경우 하드 세그멘트 함량이 높아져 신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잠재권축성이 우수하여 열수처리시 자발적으로 3차원 나선형 구조를 나타내며, 제직이나 제편 방식 및 조직 등의 차이에도 신축성의 편차가 적고, 신축성과 후공정 통과성이 우수한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 성분과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이 복합방사에 의해 섬유 단면상에 3:7∼7:3의 단면적 비율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태 또는 편심된 심초형(Sheath/core type) 형태로 복합되어 있고, 비등수 수축율이 18%이하이고, 크림프 회복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서로 종류가 상이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복합방사한 후, 연속해서 방사된 2성분 복합사를 연신하는 방사직접 연신방식이나 방사된 원사를 권취한 후 이를 별도 공정에서 연 신하는 포이(POY)방식으로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한 성분으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고 다른 한 성분으로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도 1과 같이 방사, 연신 및 열처리를 1개의 연속된 공정에서 실시하는 방사직접연신(Spin-Draw) 방식 또는 방사공정과 연신공정이 서로 분리된 포이(POY)방식으로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이하, 2성분 복합사"라고 한다)를 제조한다.
도 1은 방사직접연신 방식으로 본 발명의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이다.
본 발명의 2성분 복합사를 구성하는 2개의 성분, 다시 말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들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Side by Side type) 또는 심초형(Sheath/core type)으로 복합방사된다.
2성분 복합사를 구성하는 상기 2종류의 폴리머에는 소광제, 자외선 차단제 등의 첨가제를 소량첨가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는 한 성분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85몰% 이상인 수지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른 한 성분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는 하드 세그멘트와 소프트 세그멘트의 공중합체, 보다 구체적으로 랜덤 블록형 공중합체이다.
하드 세그멘트는 탄소 수가 2∼8인 지방족 글리콜 또는 포화지환족 글리콜과 분자량 500이하의 저분자량 디카르복실산의 축중합체이다. 지방족 또는 포화지 환족 글리콜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등이 가능하며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테레프탈산(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올드프탈산, 아디픽산, 서베릭산, 아제라익산, 세바식산,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이나 이들의 저 알킬 에스테르 생성물 등이 될 수 있는 에스테르 형성성 성분이 사용 가능하다.
소프트 세그멘트는 폴리(알칼렌 옥사이드)와 디카르복실산의 축중합체이다.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로는 분자량이 300∼400 정도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글리콜 등을 단독으로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디카르복실산은 앞서 설명한 하드 세그멘트에서의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는 상기의 하드 세그멘트와 소프트 세그멘트의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에 있어 하드 세그멘트가 전체의 50내지 30중량%가 되도록 하고, 소프트 세그멘트가 전체의 70∼5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드 세그멘트의 비율이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분자쇄 간의 크로스 링크의 밀도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변형이 쉽게 일어나게 되며 융점이 낮아 고온에서 열처리시 용융되어 신축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또, 하드 세그멘트의 비율이 5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고온에서 형태안정성은 극히 우수하여지나 지나치게 많은 하드 세그멘트로 인해 결합이 강화되어 신축성을 나타내지 못하게 된다.
2성분 복합사를 구성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과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들의 단면적 비율(2성분 복합사의 전체 단면적 대비)은 3:7 내지 7:3, 보다 바람직 하기로는 4:6 내지 6:4이다.
다시 말해, 2성분 복합사의 전체 단면적 대비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의 단면적 비율과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단면적 비율 모두가 30% 내지 70%가 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2개 성분들중 1개 성분의 단면적 비율이 30% 미만이거나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들 성분간의 수축차가 적절하지 못해서 미세 크림프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결국 2성분 복합사의 권축성능이 나빠져 원단 제조시 신축성과 반발탄력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복합방사하기 때문에 종래 잠재권축사 제조시 발생되는 심한 곡사현상을 완화할 수 있어서 반드시 포이(POY)방식을 채택해야 하는 공정상의 제한이 없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서는 포이(POY)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고, 방사직접연신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복합사를 구성하는 2개 성분의 신축율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미세크림프를 형성하는 동시에 2개 성분 모두 고유의 분자구조로 인해 양호한 신축성을 갖고 있어서 평직과 같이 신축성 발현이 어려운 원단 구조에서도 양호한 신축성을 발현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는 비등수 수축율이 18% 이하이고, 비등수 처리 후 측정한 크림프 회복율이 40% 이상이다.
또한, 비등수 수측율이 1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사의 수축율이 높아져 원단 제조시 원단이 두꺼워져 촉감이 나빠진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4-부탄디올을 축합반응시킨 하드 세그멘트 45중량%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을 공중합시킨 소프트 세그멘트 55중량%가 공중합 되어 있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한 성분으로 사용하고,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95몰%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다른 한 성분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포이(POY) 방식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복합방사 하고 연신한 후 권취하여 75데니어/24필라멘트의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2성분 복합사 전체 단면적 대비 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단면적 비율과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단면적 비율을 각각 50%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2성분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으로 직물을 제직한 후, 정련, 축소, 알칼리 감량(감량율 : 15%), 수세, 염색 및 가공하여 가공 직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2성분 복합사 및 가공 직물의 물성들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 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내의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 몰%와 각 성분의 단면적 비율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내 하드 세그멘트와 소프트 세그멘트의 중량%를 아래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2성분 복합사 및 가공직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2성분 복합사 및 가공직물의 물성들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제조조건
구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 함량(몰%) 각 성분의 단면적 비율(%)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하드 세그멘트 함량 (중량%) 소프트 세그멘트 함량 (중량%)
실시예 1 95 50 50 45 55
실시예 2 92 40 60 45 55
실시예 3 85 50 50 45 55
실시예 4 95 70 30 45 55
실시예 5 95 30 70 45 55
실시예 6 95 50 50 30 70
실시예 7 95 50 50 50 50
비교실시예 1
한 성분으로 고유점도가 0.53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다른 한 성분으로 고유점도가 0.67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2성분 복합사 및 가공직물의 물성들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비교실시예 2
한 성분으로 고유점도가 0.85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다른 한 성분으로 고유점도가 1.05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2성분 복합사 및 가공직물의 물성들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비교실시예 3
한 성분으로 폴리에틸렌테르프탈레이트에 이소프탈릭 애시드 13몰%가 공중합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다른 한 성분으로는 통상의 의류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2성분 복합사 및 가공직물의 물성들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2성분 복합사 및 가공 직물의 물성평가 결과
구분 2성분 복합사 물성 가공 직물 물성
비등수 수축율 (%) 크림프 회복율 (%) 위사방향 신도(%) 위사 방향 신장회복율(%) 열처리후 신장회복율(%)
실시예 1 10 55 48 88 84
실시예 2 12 52 45 83 79
실시예 3 11 52 45 83 79
실시예 4 12 44 38 70 67
실시예 5 9.5 44 38 70 67
실시예 6 10 47 41 75 71
실시예 7 9 45 39 72 68
비교실시예 1 6 10 47 86 70
비교실시예 2 21 21 47 85 75
비교실시예 3 35 35 35 78 73
본 발명에 있어서, 잠재권축형 2성분 복합사의 각종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비등수 수축율(Sr) 및 크림프 회복율(CR)
먼저, 데니어 크릴에서 권회수 10회로 하여 타래를 만든다(권취시 장력은 표시섬도×1/10g). 제작한 실타래에 초하중(표시섬도×1/20g)과 정하중(표시섬도× 2g)을 달고 길이 L0 를 측정한다. 이 타래를 100℃의 수중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 끄집어내어 흡습지로 물을 제거한 후 실내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초하중과 정하중을 달고 길이를 측정한다(L1). 이것을 물(20℃±2℃) 속에서 2분 방치후 시료의 길이를 측정한다(L2). 정하중을 제거하고 3분간 방치 후 시료의 길이를 측정한다(L3). 이와 같이 측정된 값들을 아래식에 대입하여 비등수 수축율(Sr)과 크림프 회복율(CR)을 계산한다.
Figure 112005074360212-pat00001
Figure 112005074360212-pat00002
직물의 신도(%)
직물의 신도는 한국공업규격KS K 0352의 "스트레치 직물의 신축성 시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다. 즉, 정속 신장법으로써 직물에 대한 인장 시험이 가능한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실시하되 직물의 파지 간격은 20cm가 되도록 하여 정속으로 신장시켜 하중이 1.5kgf 가 되는 곳의 신도(%)를 구한다.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 모두 실시하되 각 5회 측정하고 평균을 한다.
직물의 신장회복율(%)
직물의 신장회복율은 직물의 신도에서와 같이 KS K 0352에 의하여 측정한다. 즉, 상기의 방법으로 구한 신도의 80%가 되는 길이까지 정속 신장시킨 후 1분간 방치하고 같은 속도로 회복시키고 다시 3분간 방치하고 다시 신도의 80%가 되는 길이까지 같은 속도로 신장시킨다. 이러한 신장을 10회 실시하고 하중을 제거하였을 때의 길이를 측정하고 이를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직물의 신장회복율을 구한다. 경사 및 위사 방향으로 모두 실시하며 각 5회 측정하여 평균한다
Figure 112005074360212-pat00003
단, L5 : 직물 시험편의 신도의 80%까지 당긴 길이.
L6 : 반복하중 10회 준 다음 하중을 제거하고 3분간 방치한 길이.
·열처리 후의 신장회복율 (%)
열처리 후의 직물의 신장회복율은 직물에 다람질 등의 열처리를 실시 하였을 때의 신축성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의 직물을 180℃×15분의 조건으로 열풍처리한 후 상기 직물의 신장회복을 측정 방법으로 신장회복율을 평가한 것이다. 열처리는 마티스 건열기(스위스) 등을 사용하여 처리가능하나 다른 열풍 열처리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는 직편물 제조시 특유의 미세 크림프를 발현하여 양호한 신축성을 부여하고 부드러운 촉감과 반발탄력성도 발현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성분 복합사를 구성하는 고분자 자체의 우수한 신축성으로 인해 제직 또는 제편 방법이나 원단의 조직 변화시에도 신축성의 편차가 적어 적용성이 우수하다.

Claims (7)

  1.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 성분과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이 복합방사에 의해 섬유 단면상에 3:7∼7:3의 단면적 비율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태 또는 편심된 심초형(Sheath/core type) 형태로 복합되어 있고, 비등수 수축율이 18%이하이고, 크림프 회복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권축사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2. 1항에 있어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85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3. 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는 30∼50중량%의 하드 세그멘트와 70∼50중량%의 소프트 세그멘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4. 3항에 있어서, 하드 세그멘트는 탄소수 2∼8의 지방족 글리콜 또는 포화 지환족 글리콜과 분자량 500이하의 저분자량 디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5. 3항에 있어서, 소프트 세그멘트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 디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6. 1항의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포함하는 직물.
  7. 1항의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포함하는 편물.
KR1020050125893A 2005-12-20 2005-12-20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KR10064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893A KR100646655B1 (ko) 2005-12-20 2005-12-20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893A KR100646655B1 (ko) 2005-12-20 2005-12-20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655B1 true KR100646655B1 (ko) 2006-11-23

Family

ID=3771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893A KR100646655B1 (ko) 2005-12-20 2005-12-20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6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538A (ko) * 2011-12-30 2013-07-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복합중공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4774B1 (ko) 2013-04-17 2014-03-17 주식회사 송이실업 심초형 잠재권축 혼섬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KR101874844B1 (ko) * 2016-08-23 2018-07-06 신동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20190122311A (ko) * 2018-04-20 2019-10-30 조대현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538A (ko) * 2011-12-30 2013-07-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복합중공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6369B1 (ko) 2011-12-30 2020-09-16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복합중공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4774B1 (ko) 2013-04-17 2014-03-17 주식회사 송이실업 심초형 잠재권축 혼섬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KR101874844B1 (ko) * 2016-08-23 2018-07-06 신동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20190122311A (ko) * 2018-04-20 2019-10-30 조대현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
KR102100140B1 (ko) 2018-04-20 2020-04-13 조대현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88008A1 (ja) 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及び繊維
KR20010049484A (ko) 소프트 스트레치사 및 제조 방법
KR100667624B1 (ko) 고신축성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필라멘트 및 그의제조방법
JP6080986B2 (ja) C型複合繊維、それによるc型中空繊維、それを含む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6655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4290B1 (ko)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 단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스트레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4122582B2 (ja) 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CN114008255B (zh) 具有良好伸缩性的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JP3692001B2 (ja) 伸縮性織物
JP3858515B2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の製造方法
KR20060087684A (ko) 멜란지 효과를 가진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복합사
US20070055043A1 (en)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r low temperature dyeability, controlled shrinkage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tensile properties
JP2013209785A (ja) 潜在捲縮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糸条
JP6948048B2 (ja) 潜在捲縮性複合繊維
KR101136694B1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0804044B1 (ko)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02950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ity 복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6900B1 (ko) 다엽형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 하이 엣지를 가지는 다엽형의 유사 실크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원단
KR100462501B1 (ko)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KR100839516B1 (ko)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6858686B2 (ja) 高収縮性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布帛
KR20060035886A (ko)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의 직편물
JPH05311567A (ja) 伸縮性布帛の製造法
JP2001003239A (ja) 高伸縮性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