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시차주사열량계(DSC, First Run)상의 용융점도가 서로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을 아래와 같은 조건하에서 방사직접연신(Spin-draw) 공정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단면 형태로 복합방사, 연신 및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방사온도 :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의 용융온도(Tm)]+[10∼25℃]
● 제1고뎃로울러(7)의 속도 : 1,000∼3,000 미터/분
● 제1고뎃로울러(7)의 온도 : 55∼85℃
● 제1고뎃로울러(7)에서의 원사 접촉 길이(열처리구간) : 1∼8 미터
● 제2고뎃로울러(8)의 속도 : 2,000∼5,000 미터/분
● 제2고뎃로울러(8)의 온도 : 110∼160℃
● 제1고뎃로울러 속도(7)에 대한 제2고뎃로울러(8)의 속도비 : 2.0∼4.0배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시차주사열량계(DSC, First Run)상의 용융온도(Tm)가 서로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이 방사직접연신(Spin-draw) 공정에 의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되어 있는 단면을 갖고, 상기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간의 용융점도 차이[△MV :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의 용융온도(Tm)보다 10∼50℃ 높은 온도에서 1,000/sec의 쉬어 레이트(Shear rate)로 측정]가 50∼800포아제(Poise)이고, 클림프회복율이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서로 종류가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단면 형태로 복합방사한 후, 연속해서 방사된 2성분 복합사를 방사직접연신(Spin-draw) 방식으로 연신 및 열처리하여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시차주사열량계(Dsc, First Run)상의 용융온도(Tw)가 서로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을 사용하여 도 1과 같이 방사, 연신 및 열처리를 1개의 연속된 공정에서 실시하는 방사직접연신(Spin-draw) 방식으로 사이 드 바이 사이드 형태의 단면을 갖는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이하, "신축성 복합사" 라고 한다)를 제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이다.
신축성 복합사를 구성하는 상기 2종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에는 소광제, 자외선 차단제 등의 첨가제를 소량첨가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2종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중 한성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다른 한 성분으로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간의 용융점도 차이(△MV)는 50∼800 포아제(Poise)이다. 상기 용융점도 차이(△MV)는 2종의 폴리머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 은 용융점도를 갖는 1종의 폴리머의 용융점도 보다 10∼50℃ 높은 온도에서 1,000 쉬어 레이트(Shear Rate)로 측정한 것이다.
용융점도 차이(△MV)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방사성이 나빠지거나, 신축성 복합사의 신축성이 저하된다.
한편, 미건조 펠렛 상태에서 측정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간의 고유점도 차이는 0.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유점도 차이가 0.5를 초과하게 되면 곡사현상으로 인해 방사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복합사를 구성하는 성분들중 한성분으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건조 펠렛 상태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0.9∼1.2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공정성 등에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복합방사하는 경우 신축성 복합사의 전체 단면적 대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단면적 비율이 20∼7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단면적 비율이 20% 미만인 경우에는 2성분 복합사의 권축성능이 나빠져 원단 제조시 신축성과 반발탄력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단면적 비율이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수축 성분의 부족으로 권축 발현이 어렵고, 고가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사용량이 많아져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될 수 있다.
신축성 복합사를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들의 섬도는 0.1∼10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방사 및 냉각/고화된 복합사를 제1고뎃로울러(8)와 제2고뎃로울러(9) 사이에서 로울러 간의 선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연신되고, 제2고뎃로울러(9)의 온도에 의해 열처리 되어 미세 구조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온도를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이하 "고온의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라고 한다.)의 용융온도(Tm)보다 10∼25℃ 높은 온도로 설정한다.
상기 고온의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는 100∼700포아제(Poise)의 용융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용융온도는 고온의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의 용융온도(Tm)보다 10∼25℃ 높은 온도에서 1,000/sec의 쉬어 레이트(Shear rate)로 측정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온의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는 50∼500포아제(Poise)의 용융점도 차이(△MV)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용융점도 차이(△MV)는 고온의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의 용융온도(Tm)보다 10℃ 높은 온도에서 1,000/sec의 쉬어 레이트로 측정한 용융점도(MV1)와 고온의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의 용융온도(Tm)보다 25℃ 높은 온도에서 1,000/sec의 쉬어 레이트로 측정한 용융점도(MV2)간의 차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고뎃로울러(7)의 회전속도를 1,000∼3,000m/분 으로 조절하고, 제2고뎃로울러(8)의 회전속도를 2,000∼5,000m/분 으로 조절하고, 제1고뎃로울러(7)에 대한 제2고뎃로울러(8)의 속도비를 2.0~4.0배로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고뎃로울러(7)의 온도를 55∼85℃로 조절하고, 제2고뎃로울러의 온도를 110∼160℃로 조절하고, 제1고뎃로울러(7)상에서의 원사 접촉길이(열처리구간)를 1∼8m로 조절한다.
제1고뎃로울러(7)의 회전속도가 1,000m/분 미만인 경우에는 방사드레프트가 너무 낮아 신축성이 저하되며, 3,000m/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연신으로 인해 모우발생등이 심해져 원사의 물성이 저하된다.
제1고뎃로울러(7)의 회전속도가 빨라질수록 방사드레프트가 커지고 원사상에서의 배향결정화도 차이가 커진다. 이는 접합폴리머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원사상에서 조금씩 루프 형성이 시작된다. 이는 향후 공정성에서의 나쁜 방향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루프가 없다는 것은 2종폴리머의 계면에서의 응력과 필라멘트상태에서의 측면 수축력차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고뎃로울러(7)에서의 원사접촉길이 (열처리구간)은 1∼8m가 되도록 한다.
원형의 고뎃로울러에서의 열처리 구간은 고뎃로울러상의 필라멘트 감김수로 결정할 수 있는데 직경 20센티미터의 고뎃로울러에 5회 감을 경우 열처리 구간은 제1고뎃로울러가 2개로 구성된 듀오 로울러인 경우는 3.14미터(고뎃로울러의 직경×π×권회수=20×π×5=3.14m)가 되며 그중 하나가 열이 들어가지 않는 세파레이트 로울러인 경우 실질적인 접촉 면적은 1.67미터(고뎃로울러의 직경×π×권회수 =20×π×5/2=1.67m)가 된다. 상기의 열처리 구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열처리가 불균일해지고, 상기의 열처리 구간보다 긴 경우에는 방사직접연신 공정상의 사도간 부적합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제2고뎃로울러(8)의 속도가 2,000m/분 미만인 경우 충분한 연신결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원단상에 과축소현상이나 낮은 원사 모둘러스로 인해 원단 뜯김, 늘어짐 현상 및 경화 현상이 발생되고, 5,000m/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점도의 폴리머(예 :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충분한 힘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낮은 점도의 폴리머(예 : 폴리에틸렌테프탈레이트)에 응력이 집중되어 과연신되므로 원사 자체가 경화되거나, 원사 측면에 루프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원사간 엉킴 및 해사성 저하로 연결되어 제직 또는 제편상의 마찰에 쉽게 파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제2고뎃로울러(8)의 온도(열처리 온도)는 110∼160℃이다. 110℃ 미만으로 열처리할 경우 2종 폴리머간의 수축율차가 적어져 모두 20%이상으로 많이 축소되므로 원단 과축소로 인한 신축감소 및 원단경화 등 원하는 방향에 상쇄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공정성 측면에서도 높은 점도의 폴리머(예 :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지니는 신축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권사된 지관이 수축된 복합섬유의 장력으로 인해 와인더에 분리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160℃를 초과하는 온도로 열처리하는 경우에도 제1,2고뎃로울러간의 적정 연신장력을 확보하지 못해 엄청난 사란과 함께 절사되어 공정성이 극도로 저하됨은 물론이고 원사 열응력이 극도로 저하되어 원단상에서 충분한 수축율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제1고뎃로울러와 제2고뎃로울러간의 연신비율은 2.0배에서 4.0배 사이가 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방사드레프트가 걸리거나 과연신으로 인한 원사 자체에 루프나 클림프가 형성되어 물성이 나빠짐과 동시에 모우 및 절사가 심해져 공정성이 나빠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시차주사열량계(DSC, First Run)상의 용융온도(Tm)가 서로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이 방사직접연신(Spin-draw) 공정에 의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복합되어 있는 단면을 갖고, 상기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간의 용융점도 차이[△MV : 2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머의 용융온도(Tm)보다 10∼50℃ 높은 온도에서 1,000/sec의 쉬어 레이트(Shear rate)로 측정]가 50∼800포아제(Poise)이고, 클림프회복율이 20∼60%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데니어당 최대 열응력, 용융점도 및 클림프 회복율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다.
·
클림프
회복율
(%)
먼저, 80바퀴가 90m인 데니어 크릴에서 권회수 10회로 하여 타래를 만든다.
이때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2개의 매듭으로 봉인하고, 타래제작시 권취 장력은 원사 표시섬도의 1/10g으로 한다. 즉 100데니어인경우 10g으로 장력설정한다.
이렇게 제작한 실타래는 JIS L 1090의 5.10항의 방법을 참고로 하여 측정하는데, 바로 필라멘트 조건이 아닌 가공사 조건의 초하중(표시섬도의 1/20 단위, g) 과 정하중(표시섬도의 2배 단위, g)을 부여하여 길이 L0를 측정한다.
이 타래를 100℃의 열수 중에서 15분간 침지 열처리한 후 꺼내 흡습지로 물을 제거한 후 실내에서 12시간 이상 방치한 후 다시 초하중과 정하중을 달고 길이를 측정한다.(L1) 이때 측정한 L1값은 필라멘트의 꼬임과 엉킴에 의한 실질적인 길이보다 더 짧게 나올수 있으므로 측정 중 가볍게 2~3회 신장이완시키면 실질적인 수축길이를 측정하여야 한다. 이것을 다시 상온의 물(20℃ ±3℃) 속에서 2분 방치후 시료의 길이를 측정한다(L2). 다시 정하중을 제거하고 3분간 방치 후 시료의 길이를 측정한다(L3) 이와 같이 측정한 값들을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클림프 수축율을 구한다
L2 - L3
클림프 회복율 = -------------- ×100(%)
L2
·
최대열응력의
95%를 발휘하는 온도구간 및
데니어당
최대열응력
가네보 회사의 열응력 테스트기(Thermal Stress Tester)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길이 10cm의 루프상 시료를 상하단 후크에 걸은 다음 일정장력[해동형 복합섬유의 총섬도(데니어)×2/30g]을 부여한다. 이 상태에서 온도를 일정속도(150℃/분)로 승온한다. 이때 온도변화에 따른 응력변화를 도 2와 같은 차트로 나타낸 다음 상기 각 물성을 구한다.
최대열응력의 95%를 발휘하는 온도 구간은 최대열응력의 95%지점[도 2의 Z(90%)부분]의 평행선과 차트 곡선이 만나는 두지점의 온도로 구한다.
원사 데니어당 최대열응력은 차트상 최대열응력 값(도 2의 Z부분)을 구한 다음, 이를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한다.
· 용융점도
인스트롱(INSTRON)회사의 캐필러리 레오미터(Capillary Rheometer)기기(스펙 : L=25.38mm, D=0.762mm, L/D=33.31mm)를 이용하여 용융점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시차주사열량계(DSC, First Run)상의 용융점도(Tm)가 25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한 성분으로 사용하고, 미건조 펠렛 상태에서 고유점도가 0.91이고 시차주사열량계(DSC, First Run)상의 용융온도(Tm)가 224℃이며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95몰%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다른 한 성분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방사직접연신 방식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복합방사 및 권취하여 60데니어/24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용융점도는 265℃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시에는 526포아제이고, 280℃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시에는 299포아제이다.
한편,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용융점도는 265℃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시에는 1,245포아제이고, 280℃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시에는 543 포아제 이다.
265℃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한 상기 폴리머들 간의 용융점도 차이는 719포아제이고, 285℃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한 상기 폴리머들 간의 용융점도 차이는 244포아제 이다.
이때, 복합섬유 전체 단면적 대비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의 단면적 비율과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단면적 비율을 각각 50%로 하였고, 제1고뎃로울러의 회전선속도는 2,000m/분으로 하고 제2고뎃로울러의 회전선속도는 4,200m/분으로 하여 이들 간의 연신비를 2.1배로 하였고, 제1고뎃로울러의 온도는 65℃로 하였고, 제2고뎃로울러의 온도는 130℃로 하였다. 이때 제1고뎃로울러의 직경은 22cm이고, 타입은 듀오로울러이고, 제1고뎃로울러에 대한 원사의 권회수는 6.5회로 하였고, 지관으로는 두께가 7mm이고, 직경이 11cm이고 길이가 15cm인 것을 사용하였다.
6kg 드럼 600개를 생산하는 동안의 조업성과 제조된 원사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
실시예
4 및
비교실시예
1 ∼
비교실시예
4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각각의 용융점도, 이들간의 용융점도 차이, 제1고뎃로울러의 속도, 제2고뎃로울러의 온도 및 연 신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60데니어/24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6kg 드럼 600개를 생산하는 동안의 조업성과 제조된 원사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제조조건
구 분 |
실시예 |
비교 실시예 |
1 |
2 |
3 |
4 |
1 |
2 |
3 |
4 |
265℃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융점도[A](포아제) |
526 |
526 |
465 |
526 |
526 |
925 |
1,650 |
2,220 |
280℃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융점도[B](포아제) |
299 |
299 |
270 |
323 |
323 |
414 |
1,130 |
1,450 |
265℃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융점도[C](포아제) |
1,245 |
1,245 |
1,080 |
1,080 |
1,245 |
1,245 |
1,520 |
1,080 |
280℃에서 1,000 쉬어 레이트로 측정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융점도[D](포아제) |
543 |
543 |
475 |
475 |
547 |
547 |
611 |
475 |
용융점도차이 |
[A]-[C] |
719 |
719 |
605 |
605 |
719 |
320 |
-130 |
-1,140 |
[B]-[D] |
244 |
244 |
335 |
335 |
396 |
129 |
-519 |
-975 |
연신 조건 |
제1고뎃로울러속도(m/분) |
2,000 |
1,300 |
1,550 |
1,200 |
800 |
1,300 |
2,000 |
1,300 |
제1고뎃로울러 온도(℃) |
130 |
140 |
145 |
125 |
105 |
170 |
130 |
130 |
연신비(배) |
2.1 |
3.0 |
2.4 |
3.4 |
5.0 |
2.2 |
2.1 |
3.0 |
조업성 및 원사 물성 평가 결과
구분 |
클림프 회복율 |
데니어당 최대열응력 |
조업성 |
실시예 1 |
48.8% |
0.23g/d |
98.6% |
실시예 2 |
45.7% |
0.21g/d |
97.6% |
실시예 3 |
39.5% |
0.18g/d |
94.6% |
실시예 4 |
50.6% |
0.27g/d |
92.0% |
비교실시예 1 |
29.5% |
0.17g/d |
45.3% |
비교실시예 2 |
15.3% |
0.12g/d |
15.3% |
비교실시예 3 |
23.5% |
0.07g/d |
97.3% |
비교실시예 4 |
19.6% |
0.09g/d |
7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