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634B1 -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634B1
KR101650634B1 KR1020140193272A KR20140193272A KR101650634B1 KR 101650634 B1 KR101650634 B1 KR 101650634B1 KR 1020140193272 A KR1020140193272 A KR 1020140193272A KR 20140193272 A KR20140193272 A KR 20140193272A KR 101650634 B1 KR101650634 B1 KR 10165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
gate selection
shaft member
movable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449A (ko
Inventor
노우람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19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634B1/ko
Priority to CN201511010131.9A priority patent/CN105736686B/zh
Publication of KR2016008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5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flu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6/00Shifting
    • F16H2306/40Shift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셀렉트 조작을 위한 전체 4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컨트롤 기구에서 셀렉트 중립위치로부터 각 변속단별 게이트 선택구간으로의 셀렉트 변위시 동일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는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과,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 이후의 2단계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각각 수축되도록 설치되는 셀렉트 스프링(20), 및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수축되도록 설치되는 디텐트 기구(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Select opera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을 위한 셀렉트 조작시 각 변속단별 게이트 선택 구간에서 동일한 조작감을 구현할 수 있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기는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차량의 주행 상태의 변화에 따라 다단의 변속비로 출력하여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수동 변속기는 엔진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다단의 변속단 기어를 매개로 동기 치합되는 출력축, 상기 변속단 기어를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대해 동기시키는 싱크로 기구, 및 운전자에 의한 변속 조작으로부터 상기 싱크로 기구를 작동시켜 주는 컨트롤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컨트롤 장치는 변속시 운전자에 의한 변속단을 선택하는 셀렉트 조작과 변속단을 결정하는 시프트 조작을 각각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즉 컨트롤 장치는 변속시 운전자에 의한 변속단을 선택하는 셀렉트 조작시 동작하는 셀렉트 기구와, 변속단을 결정하는 시프트 조작시 동작하는 시프트 기구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장치는 셀렉트 조작의 경우 중립의 위치로부터 각 변속단을 향해 컨트롤 샤프트가 축회전할 때 절도감을 제공하는 디텐트 기구를 구비하고, 시프트 조작의 경우 해당 변속단으로 컨트롤 샤프트가 축이동할 때 절도감을 제공하는 포펫 기구를 구비한다.
종래, 셀렉트 조작시 절도감을 제공하는 디텐트 기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22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디텐트 어셈블리(13)는 각 단별 쉬프트포크(11-1, 11-2, 11-3)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각 변속단의 위치를 설정해 주도록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볼(13-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13-1)은 컨트롤 핑거(5)에 형성된 3개의 홈(5-1, 5-2, 5-3)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위치함으로써 셀렉트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디텐트 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 핑거(5)의 상부에 위치한 홈(5-1)과 결합하는 경우 1단, 3단, 5단의 위치를 설정하게 되고, 상기 디텐트 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 핑거(5)의 중간에 위치한 홈(5-2)과 결합하는 경우 중립위치를 설정하게 되며, 상기 디텐트 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 핑거(5)의 하부에 위치한 홈(5-3)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2단, 4단, R단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디텐트 기구는 셀렉트 조작시 디텐트 어셈블리(13)의 볼(13-1)이 컨트롤 핑거(5)에 형성된 3개의 홈(5-1, 5-2, 5-3)에 대해 축선회의 방식으로 동작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도 1에 도시된 전진 5단 이하의 수동 변속기에서와 같이 전체 3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변속 패턴에 적합한 것이다.
즉, 종래 전체 3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변속 패턴은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의 각각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으로의 이동을 통해 R-1단과 2-3단 및 4-5단에 이르는 셀렉트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게이트 선택구간이 3단계 이상의 전진 6속 이상의 수동 변속기에서 종래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면, 변속감의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축선회 방식이 아닌 축이동 방식으로 셀렉트 작동이 이루어지는 전체 4단계의 셀렉트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컨트롤 기구에 적용할 경우에는 특정의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변속감을 동일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없게 되므로 변속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2224호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셀렉트 조작을 위한 전체 4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컨트롤 기구에서 셀렉트 중립위치로부터 각 변속단별 게이트 선택구간으로의 셀렉트 변위시 동일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변속감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셀렉트 중립위치로부터 일측에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과 타측에 2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인 전체 4단계의 셀렉트 게이트 선택 구간에서 변속시 셀렉트 변위를 구현하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로서, 하우징의 내부에서 축방향 이동과 축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축부재,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과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 이후의 2단계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각각 수축되어 변속감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셀렉트 스프링, 및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수축되어 변속감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셀렉트 스프링은 상기 가동 축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셀렉트 조작방향으로 변속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가동 축부재의 외부에 끼워지고,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지지되면서 타단부가 상기 가동 축부재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셀렉트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내주면에 고정되는 스냅링을 설치하고, 상기 셀렉트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동 축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셀렉트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냅링과의 접촉을 위해 설치되는 제1리테이너, 및 타단부에 상기 셀렉트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과의 접촉을 위해 설치되는 제2리테이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가동 축부재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셀렉트 조작방향으로 변속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가동 축부재의 돌기부에 접촉 가능한 플런져, 및 상기 플러그에 대해 상기 플런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는 전진 6단 이상의 변속단으로서 전체 4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변속기의 컨트롤 기구에서 셀렉트 중립위치로부터 각 변속단별 게이트 선택구간으로 셀렉트 변위시 일정한 수준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로 하여금 동일한 수준의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변속감의 품질 향상에 따른 상품성의 증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전진 5단 이하의 수동 변속기에 적용되는 변속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진 6단 이상의 전체 4단계 셀렉트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서 주요 구성부위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셀렉트 중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대한 6-7단 셀렉팅 포지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대한 2-3단 셀렉팅 포지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대한 1-R단 셀렉팅 포지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진 6단 이상의 전체 4단계 셀렉트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가 적용되는 전체 4단계의 셀렉트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패턴은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일측(도면 기준 우측에 해당)에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으로 6-7단 셀렉팅 포지션이 위치하고,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에 4-5단 셀렉팅 포지션이 위치하며,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타측(도면 기준 좌측에 해당)에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으로 2-3단 셀렉팅 포지션이 위치하고,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타측(도면 기준 좌측에 해당)에 2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 즉 2-3단 셀렉팅 포지션으로부터 타측으로 1단계가 더 진행된 게이트 선택구간에 1-R단 셀렉팅 포지션이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변속 패턴은 전진 6단 이상의 수동 변속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체 4단계의 셀렉트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는 셀렉트 레버(1)의 작동에 따라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시프트 레버(3)의 작동에 따라 축회전이 이루어지는 가동 축부재(10), 상기 가동 축부재(10)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서 주요 구성부위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셀렉트 중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는 4-5단 셀렉팅 포지션이 위치하는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일측에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6-7단 셀렉팅 포지션)과, 타측에 2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2-3단 셀렉팅 포지션, 1-R단 셀렉팅 포지션)인 전체 4단계의 셀렉트 게이트 선택 구간 사이에 걸쳐 변속시 셀렉트 변위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가동 축부재(10)와 셀렉트 스프링(20) 및 디텐트 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 축부재(10)는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의 이동과 축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셀렉트 레버(1)에 의한 셀렉트 조작시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3)에 의한 시프트 조작시 축회전하게 된다.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가동 축부재(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 축부재(10)가 셀렉트 조작방향으로 셀렉트 변위될 때 부재가 가지는 복원력에 의한 조작감을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변속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가동 축부재(10)가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 4-5단 셀렉팅 포지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6-7단 셀렉팅 포지션)과,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 이후의 2단계 게이트 선택구간(1-R단 셀렉팅 포지션)에 한정하여 각각 수축되어 변속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5)에 대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동 축부재(10)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5)은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내주면에 스냅링(40)을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스냅링(40)은 상기 하우징(5)의 내주면에서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축방향 이동과 축방향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5)은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의 타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걸림턱(5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스냅링(40)과 상기 걸림턱(50) 사이의 위치에서 수축되지 않은 상태이고, 셀렉트 조작에 의한 셀렉트 변위시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자유단부만이 그 이동을 제한받아 수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동 축부재(10)는 외주면의 일단부에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의 일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냅링(40)과의 접촉을 위한 제1리테이너(60)를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외주면의 타단부에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의 타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50)과의 접촉을 위한 제2리테이너(62)를 고정적으로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 축부재(10)가 셀렉트 조작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트 변위를 실시할 때,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 4-5단 셀렉팅 포지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6-7단 셀렉팅 포지션)과,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 이후의 2단계 게이트 선택구간(1-R단 셀렉팅 포지션)에 한정하여 각각 수축되어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텐트 기구(30)는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외부에서 셀렉트 조작방향으로 변속감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동 축부재(1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셀렉트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축부재(10)가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2-3단 셀렉팅 포지션)을 지날 때 복원력에 의한 절도감을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변속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디텐트 기구(30)는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2-3단 셀렉팅 포지션)에서 수축되어 변속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텐트 기구(30)는 일단부가 하우징(5)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동 축부재(10)와 탄력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5)에 고정되는 플러그(32), 및 상기 플러그(32)에 대해 리턴 스프링(34)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돌기부(12)에 대해 탄력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져(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32)는 상기 하우징(5)에 나사체결과 같은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플런져(36)는 상기 하우징(5)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12)는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전 둘레에 걸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대한 6-7단 셀렉팅 포지션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대한 2-3단 셀렉팅 포지션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 대한 1-R단 셀렉팅 포지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서 셀렉트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축부재(10)가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 4-5단 셀렉팅 포지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6-7단 셀렉팅 포지션)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트 변위를 실시할 때,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스냅링(40)과 접촉하여 이동이 구속되는 제1리테이너(60)와 상기 가동 축부재(10)와 일체로 이동하는 제2리테이너(62) 사이에서 수축되면서 변속감을 제공하게 된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서 셀렉트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축부재(10)가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 4-5단 셀렉팅 포지션)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2-3단 셀렉팅 포지션)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트 변위를 실시할 때, 상기 디텐트 기구(30)의 플런져(36)는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돌기부(12)와 접촉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리턴 스프링(34)을 수축시키면서 변속감을 제공하게 된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서 셀렉트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축부재(10)가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2-3단 셀렉팅 포지션)으로부터 이후의 2단계 게이트 선택구간(1-R단 셀렉팅 포지션)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트 변위를 실시할 때,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하우징(5)의 걸림턱(50)과 접촉하여 이동이 구속되는 제2리테이너(62)와 상기 가동 축부재(10)와 일체로 이동하는 제1리테이너(60) 사이에서 수축되면서 변속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는 상기 가동 축부재(10)가 셀렉트 조작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트 변위를 실시할 때,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 4-5단 셀렉팅 포지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6-7단 셀렉팅 포지션)과,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 이후의 2단계 게이트 선택구간(1-R단 셀렉팅 포지션)에 한정하여 각각 수축되어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텐트 기구(30)는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 4-5단 셀렉팅 포지션)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2-3단 셀렉팅 포지션)에서 수축되어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진 6단 이상의 변속단으로서 전체 4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을 가지는 변속기의 컨트롤 기구에서 셀렉트 중립위치로부터 각 변속단별 게이트 선택구간으로 셀렉트 변위시 일정한 수준의 동일한 탄성력을 운전자에게 부여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변속 패턴과 달리 변속단이 증가된 다단의 수동 변속기에 적합한 셀렉트 조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에서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이 수축될 때 구현되는 탄성력과, 상기 디텐트 기구(30)의 리턴 스프링(34)이 수축되어 플런져(36)가 상기 돌기부(12)를 타고 넘어갈 때 구현되는 탄성력은 동일한 수준으로 설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셀렉트 레버 3-시프트 레버
5-하우징
10-가동 축부재 12-돌기부
20-셀렉트 스프링 30-디텐트 기구
32-플러그 34-리턴 스프링
36-플런져 40-스냅링
50-걸림턱 60-제1리테이너
62-제2리테이너

Claims (10)

  1.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일측에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과 타측에 2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인 전체 4단계의 셀렉트 게이트 선택 구간에서 변속시 셀렉트 변위를 구현하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로서,
    하우징(5);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서 축방향 이동과 축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축부재(10);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과,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 이후의 2단계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각각 수축되도록 설치되는 셀렉트 스프링(20); 및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수축되도록 설치되는 디텐트 기구(30)를 포함하고,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과,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 이후의 2단계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각각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의 수축을 위해 상기 가동 축부재(10)는 일단부에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의 일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5)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스냅링(40)과 접촉되는 제1리테이너(60), 및 타단부에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의 타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5)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걸림턱(50)과 접촉되는 제2리테이너(62)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셀렉트 중립위치(N)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최초 1단계의 게이트 선택구간에서 상기 디텐트 기구(30)와의 접촉을 위해 상기 가동 축부재(10)는 상기 디텐트 기구(30)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12)를 구비하며,
    상기 디텐트 기구(30)는 상기 하우징(5)에 고정되는 플러그(32), 상기 플러그(3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돌기부(12)에 접촉 가능한 플런져(36), 및 상기 플러그(32)에 대해 상기 플런져(3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34)을 구비하고,
    상기 셀렉트 스프링(20)과 상기 리턴 스프링(34)은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프링(20)은 상기 가동 축부재(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기구(30)는 상기 가동 축부재(1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는 상기 가동 축부재(10)의 전 둘레에 걸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10. 삭제
KR1020140193272A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KR10165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72A KR101650634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CN201511010131.9A CN105736686B (zh) 2014-12-30 2015-12-29 手动变速器的选择操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72A KR101650634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49A KR20160082449A (ko) 2016-07-08
KR101650634B1 true KR101650634B1 (ko) 2016-08-23

Family

ID=5629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272A KR101650634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0634B1 (ko)
CN (1) CN1057366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300B1 (ko) 2016-12-06 2018-04-09 현대다이모스(주)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방향 유격 보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6257A (ja) * 1981-12-17 1983-06-24 Isuzu Motors Ltd 歯車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KR100494783B1 (ko) * 2002-10-02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시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
DE102006058914A1 (de) * 2006-12-13 2008-06-19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Schaltgetriebe eines Fahrzeuges
KR100878662B1 (ko) 2007-03-08 2009-01-15 위아 주식회사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KR20100007298U (ko) * 2009-01-08 2010-07-16 다이모스(주) 수동변속기의 셀렉팅 조작감 개선 장치
CN202834027U (zh) * 2012-09-27 2013-03-27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变速器操纵机构
KR20140103563A (ko) * 2013-02-18 2014-08-27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CN203560416U (zh) * 2013-11-05 2014-04-23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变速箱操纵机构
CN203836181U (zh) * 2014-05-08 2014-09-17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变速器双h操纵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300B1 (ko) 2016-12-06 2018-04-09 현대다이모스(주)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방향 유격 보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49A (ko) 2016-07-08
CN105736686A (zh) 2016-07-06
CN105736686B (zh)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627B2 (en) Shifting apparatus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CN110848378A (zh) 一种用于车辆的拨盘换档杆装置
EP2966320A1 (en) Multi-speed transmission for vehicle
US20150240942A1 (en) Actuating device and transmission
US8056433B2 (en) Shifting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of a vehicle
CN102652236A (zh) 单轨换挡装置
KR101650634B1 (ko)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US6729200B2 (en) Selector device for a change-speed gearbox
JP2010286118A (ja) シフト装置
KR10165695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1601376B1 (ko) 차량용 변속장치
RU2676193C2 (ru) Устройство торможения и внутреннего привода задней передачи для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US8627735B2 (en) Transmission shift device
KR20110011246A (ko) 더블클러치변속기용 변속 메커니즘
KR100891514B1 (ko) 수동변속기의 쉬프트장치
EP3249265B1 (en) Shift fork module
GB2073832A (en) Safety Device for a Manually- operated Change-speed Gearbox
JP2009121656A (ja) 複数のインナーレバーを有する変速機のインターロック構造
KR102389133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20140103563A (ko)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KR101592818B1 (ko) 차량용 변속장치
RU2401959C2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ключения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KR20150124204A (ko)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KR20180067114A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535007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감 향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