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204A -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204A
KR20150124204A KR1020140050758A KR20140050758A KR20150124204A KR 20150124204 A KR20150124204 A KR 20150124204A KR 1020140050758 A KR1020140050758 A KR 1020140050758A KR 20140050758 A KR20140050758 A KR 20140050758A KR 20150124204 A KR20150124204 A KR 20150124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rail
rail
fork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이동건
정종규
윤세봉
김수한
Original Assignee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204A/ko
Publication of KR2015012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시프트 레일로 여러개의 포크를 작동시켜서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단수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속단 조작에 의해 회전 및 직선 이동하는 하나의 시프트 레일(110)과; 상기 시프트 레일(110)상에 구비되면서 변속단을 위한 조작시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시프트 포크(120)와; 상기 시프트 레일(1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되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상기 시프트 레일(110)의 다른쪽 측면에 구비되면서 시프팅 레일(110)의 직선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시프팅 플레이트(140)와; 상기 시프트 레일(110)상에 결합되면서 시프트 레일(110)의 직선 이동시, 시프팅 플레이트(140)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구(15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Single Shift Rail Shift Mechanism of Transmis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시프트 레일로 여러개의 포크를 작동시켜서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단수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예를 들어 상용차량)은 주행 상태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을 직접 변속하는 수동 변속기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 변속레버에 의해 해당 변속단의 시프트 레일이 선택되고, 각 단수별 시프트 레일과 함께 전,후로 동작하면서 시프트 레일에 고정된 시프트 포크가 싱크로나이저 슬리브 홈에 들어가서 슬리브를 동작시키면, 슬리브가 각 기어의 클러치 기어와 싱크로 허브를 연결해서 원하는 변속단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변속기에는 기어가 변속될 때 동시에 2중으로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인터 록 기구(Inter Lock, 이중 치합 방지장치라 함)가 구비되는데, 이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며 예를 들어, 인터 록 플런저(Plunger)방식은 각 시프트 레일에 형성된 홈으로 인터 록 플런저(Plunger)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시프트레일을 움직이면, 인터 록 플런저가 밀려나면서 다른 2개의 축을 고정하여 1개의 기어 외에는 변속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또 한 예로서, 인터 록 플레이트 방식이 있는데, 이것은 컨트롤 핑거가 3개의 시프트 러그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다른 시프트 러그는 인터록 플레이트에 의해 간섭(또는 고정)되고, 이로 인해, 시프트 포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기어가 2중으로 선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 변속기의 경우 컨트롤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변속 단에 따른 해당 변속 단의 시프트레일이 다수로 요구되는데 특히, 이중 치합 방지장치인 인터 록 기구의 작동을 위해서는 통상 2개의 변속단마다 1개의 시프트 레일이 필요 즉, 변속 단의 증가와 함께 시프트 레일도 증가하는 취약 예를 들어, 6단 수동 변속기일 경우에는 후진(R) 변속 단을 포함해 무려 4개의 시프트레일이 필요해 복잡한 구성을 갖는 한계가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시프트 레일을 각각 컨트롤(이는, 설렉팅(Selecting)/시프팅(Shifting)이라 함)하기 위해, 각각 별도의 시프트 레버나 시프트 샤프트 등과 같은 많은 부품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수동 변속기의 복잡한 구조는 물론, 부피의 증가와 더불어 무게의 증가를 초래해 정비성과 비용 절감 및 경량화에도 취약한 한계가 있게 된다.
종래의 변속기구(1)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 1,2 시프트 레일(10)(20)과, 상기 제 1,2시프트 레일(10)(20)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 1,2시프트 포크(30)(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2시프트 포크(30)(40)는 제 1,2시프트 레일(10)(20)에 고정핀(31)(41)을 통해 결합,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변속기구는 후진 및 1단 ~ 3단 변속이 가능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2시프트 레일(10)(20)중 한쪽 제 1시프트 레일(10)은 1단 및 후진용 변속 레일이고, 맞은편 제 2시프트 레일(20)은 2단 및 3단용 변속 레일이다.
또한, 상기 제 1시프트 포크(30)는 1단 및 후진용 포크이고, 제 2시프트 포크(40)는 2단 및 3단용 포크이다.
또한, 상기 제 1,2시프트 레일(10)(20)에는 각각 제 1,2죠(50)(60)가 결합되는데, 제 1죠(50)는 1단 및 후진용 죠이고, 제 2죠(60)는 2단 및 3단용 죠이다.
상기 제 1,2죠(50)(60)에는 각각 고정핀(51)(61)이 결합되어 제 1,2죠(50)(60)를 제 1,2시프트 레일(10)(20)상에 고정시킨다.
또한, 제 1,2시프트 레일(10)(20)간에는 하나의 기어가 물림상태일때에는 다른 기어는 중립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기어의 2중치합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록핀(70)이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변속기구는, 2개의 제 1,2시프트 레일(10)(20)로 각각 제 1,2시프트 포크(30)(40)를 이동시켜서 4개의 단수를 선택적으로 구현한다.
다시 말해서, 변속 레버의 조작으로 제 1시프트 레일(10)은 1단 및 후진 변속을 위해 이동하고, 제 2시프트 레일(20)은 2단 및 3단 변속을 위해 이동한다.
종래의 변속기구는 2중 치합방지를 위한 인터록핀(70)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통상 2개의 변속단마다 1개의 시프트 레일이 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변속단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프트 레일도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6단 변속기구인 경우, 후진 변속단을 포함하여 4개의 시프트 레일을 갖추어야 하므로, 그만큼 변속기구가 복잡한 구성을 가질 수 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품수의 증가에 따라 변속기의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그 만큼 크기가 커질 수 있고, 중량도 많이 나가게 되어 차량의 입장에서는 비효율적인 요소가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794917호(공고일 : 2008.1.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변속기구에 구비되는 인터록핀을 제거하고 하나의 시프트 레일을 통해 변속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을 구현하여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한 변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변속단 조작에 의해 회전 및 직선 이동하는 하나의 시프트 레일과; 상기 시프트 레일상에 구비되면서 변속단을 위한 조작시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시프트 포크와; 상기 시프트 레일의 한쪽 측면에 구비되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시프트 레일의 다른쪽 측면에 구비되면서 시프팅 레일의 직선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시프팅 플레이트와; 상기 시프트 레일상에 결합되면서 시프트 레일의 직선 이동시, 시프팅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프트 포크는, 시프트 레일과 결합되면서 내부면에 제 1,2홈을 가지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으로부터 연장되는 변속포크부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시프트 포크를 이루는 결합편의 내부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와 시프팅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1,2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간격을 두고 제 1,2포크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시프팅 플레이트에는 간격을 두고 제 1,2포크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시프팅 플레이트에는 고정구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시프트 레일의 단부측에는 시프트 레일의 회전을 위한 지지핀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프트 레일을 통해 다단 변속이 가능하고, 기어 변속단 증가시 시프트 레일을 비례하여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변속단 증가에 따른 시프트 포크의 추가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시프팅 플레이트의 포크홈을 추가하여 다단 변속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종래와 달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화된다.
또한,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변속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변속기 중량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공간활용을 확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트 포크와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한 인터록 기능이 가능하여 종래의 같이 별도의 인터록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변속기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속기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구에서 변속 단수별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중립상태, (b)는 1단 변속시, (c)는 2단 변속시, (d)는 3단 변속시, (e)는 후진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각 변속 단수별 시프트 포크와 가이드 플레이트 및 시프팅 플레이트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중립시, (b)는 1단 및 후진시, (c)는 2단 및 3단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속기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속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구(100)는, 후진 및 1단 내지 3단 타입의 변속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구(100)는, 하나의 시프트 레일(110)과, 상기 시프트 레일(110)상에 결합되는 복수의 시프트 포크(120)와, 시프트 레일(11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갖추어지면서 시프트 포크(12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시프팅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시프트 레일(110)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즉, 시프트 레일(110)의 측면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에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관계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시프트 레일(110)의 단부측에는 시프트 레일(110)의 회전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핀(112)이 결합,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핀(112)은 변속기의 셀렉팅 레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서, 셀렉팅 레버의 조작에 따라 시프트 레일(110)이 회전동작(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수행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프트 레일(110)의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시프팅 플레이트(1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5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양쪽 단부 위치에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리테이너링(160)이 결합되어 지지되고, 이 한쌍의 리테이너링(160)의 사이에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위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시프트 포크(120)는 변속단수에 따라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2개의 시프트 포크(120)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1단 및 후진 포크(121)와 2단 및 3단 포크(12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1단 및 후진용 시프트 포크(121)와 2단 및 3단용 시프트 포크(122)는 시프트 레일(110)에 결합되는 결합편(123)(124)과, 상기 결합편(123)(124)의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변속 포크부(125)(12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편(123)(124)의 내부에는 복수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데, 결합편(123)(124)의 내부면에 각각 2개의 제 1,2슬라이딩홈(123a)(123b)(124a)(12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에는 간격을 두고 2개의 제 1,2포크홈(131)(132)이 형성되고, 시프팅 플레이트(140)에는 2개의 제 1,2포크홈(141)(142)와, 고정구(150)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홈(14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구(150)는 대략 반원형을 이루면서 시프트 레일(110)에 체결부재(152)를 통해 결합,고정된다. 상기 체결부재(152)는 예를 들어 리머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50)의 내부 한쪽 즉, 가이드 플레이트(130)쪽에는 슬라이딩 홈(154)이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구(100)에 있어서, 시프트 레일(110)은 1개만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모든 변속 단의 변속 조작이 가능하도록 운전석 부위에 구비된 변속레버에 연결되고, 변속레버의 동작에 따라 시프트 레일(110)이 회전 및 전,후진 동작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는데, 상세한 연결구조는 통상적인 변속기 구조이므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구(100)에 의한 변속동작을 위한 시프트 레일(110)과 시프트 포크(120)의 동작에 대하여 변속단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중립 위치]
중립상태인 경우, 1단 및 후진 포크(121)는 시프트 레일(110)에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제 1포크홈(131) 및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1포크홈(141)에 위치하고, 2단 및 3단 포크(122)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제 2포크홈(132)과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2포크홈(142)에 위치한다.
또한, 고정구(150)의 내측면 한쪽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514)은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홈이 없는 면에 위치하고, 고정구(150)의 반대면은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걸림홈(143)에 끼워져서 위치한다.
[1단 변속 동작]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위치로부터 변속레버에 의한 조작으로 시프트 레일(110)이 우회전하면, 도 6의 (a) 상태에서 (b)의 상태로 변화된다.
즉, 시프트 레일(110)이 우회전하면, 시프트 레일(110)에 결합,고정된 고정구(150) 및 시프트 레일(110)의 양 측면에 결합된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시프팅 플레이트(140)도 동시에 우회전한다.
그러면,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1단 및 후진 포크(121)의 결합편(123) 내부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홈(123a)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2단 및 3단 포크(122)의 결합편(124) 내부에 형성된 제 2슬라이딩홈(124b)에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2포크홈(142)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시프트 레일(110)을 우회전한 상태에서, 도면상 좌측(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구(150) 및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1포크홈(141)에 위치한 1단 및 후진 포크(121)가 도면상 좌측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하는 1단 및 후진포크(121)의 결합편(123) 내부에 형성된 제 1슬라이딩 홈(123a)과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제 1포크홈(131)이 위치하게 되므로, 1단 및 후진 포크(121)가 이동시, 가이드 플레이트(130)와의 간섭없이 그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시프트 레일(110)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고정구(150)의 내부 한쪽면에는 슬라이딩 홈(154)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구(150)의 이동시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시프트 레일(110)상에 구비된 2단 및 3단 포크(122)는,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2포크홈(142)에 2단 및 3단 포크(122)의 결합편(124)내의 제 2슬라이딩홈(124b)이 위치하고 있어, 시프트 레일(110)의 직선 이동시, 동시에 이동하는 시프팅 플레이트(140)는 간섭없이 2단 및 3단 포크(122) 결합편(124)의 제 2홈(1214b)을 지나가고, 이때, 시프트 레일(110)은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여 고정된 상태로 있게된다.
다시 말해서, 1단 변속시에는 시프트 레일(110)의 우회전 및 직선 이동에 따라 1단 및 후진 포크(121)는 시프팅 레일(140)과 함께 이동하고,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2단 및 3단 포크(12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시프트 레일(110)의 양쪽 단부측에 결합되는 리테이너링(160)은 케이스에 고정되어 그 위치의 변화없이 시프트 레일(110)만이 리테이너링(160)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2단 변속 동작]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변속시에는 시프트 레일(110)은 좌회전하고, 도면상 우측으로 직선 이동(도면상 후방 방향)하게 되는데, 시프트 레일(110)이 좌회전한 상태에서, 직선이동시키면, 1단 및 후진 포크(121)는 고정되고, 2단 및 3단 포크(122)가 이동하게 된다.
즉, 시프트 레일(110)이 직선 이동하면, 결합된 고정구(150)와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및 후진 포크(121)의 결합편(123) 내부면 우측에 형성된 제 1슬라이딩홈(123a)에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1홈(141)이 위치하고 있어,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이동할 때 1단 및 후진포크(121)와의 간섭없이 그대로 지나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맞은편에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2단 및 3단 포크(122)는, 시프트 레일(110)의 직선 이동시, 가이드 플레이트(140)에는 2단 및 3단 포크(122)의 결합편(124) 내부에 형성된 제 1슬라이딩홈(124a)이 위치하고 있고, 이동하는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2포크홈(142)에 2단 및 3단 포크(122)의 결합편(124)이 위치하고 있어,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이동시, 2단 및 3단 포크(122)는 함께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2단 및 3단포크(122)의 결합편(124)내부에 형성된 제 1슬라이딩홈(124a)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레일(110)의 이동시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3단 변속 동작]
3단 변속시에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레일(110)은 좌회전하고, 도면상 좌측으로 직선 이동(전방 방향)하게 되는데, 1단 및 후진 포크(121)는 고정된 상태이고, 2단 및 3단 포크(122)는 이동하게 된다.
즉, 시프트 레일(110)이 좌회전하게 되면, 2단 변속시와 마찬가지로, 1단 및 후진 포크(121)의 결합편(123)내에 형성된 제 2슬라이딩홈(123b)에는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1포크홈(141)이 위치하게 되어서 시프트 레일(110)의 직선 이동시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이동할 때 1단 및 후진 포크(121)를 지나가게 되고, 그에 따라 1단 및 후진 포크(121)는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30)쪽에서는 시프트 레일(110)의 이동시, 1단 및 후진포크(121)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고정되어 있고, 시프트 레일(110)이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2단 및 3단 포크(122)는, 시프트 레일(110)의 좌회전에 따라 2단 및 3단 포크(122)의 결합편(124)내의 제 2슬라이딩홈(124b)으로부터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되어서 시프트 레일(110)의 직선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2포크홈(142)에 2단 및 3단 포크(122)의 결합편(124)이 걸려 있어, 2단 및 3단 포크(122)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2단 및 3단 포크(122) 결합편(124)내의 제 1슬라이딩홈(124a)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2단 및 3단 포크(122)의 이동시 가이드 플레이트(130)와는 아무런 간섭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후진 동작]
후진 동작시에는,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레일(110)은 우회전하고, 도면상 우측으로 직선 이동(후방 방향)하게 되는데, 이때 1단 및 후진 포크(121)는 이동하고, 2단 및 3단 포크(12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시프트 레일(110)이 우회전하면, 1단 변속시와 마찬가지로 1단 및 후진 포크(121)의 결합편(123)내의 제 2슬라이딩홈(123b)으로부터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벗어난 위치에 있게되고, 그에 따라 시프트 레일(110)의 이동과 함께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이동하게 되면,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1포크홈(141)에 1단 및 후진 포크(121)의 결합편(123)이 걸려 있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1단 및 후진 포크(121)의 결합편(123)내의 제 1슬라이딩홈(123a)에 위치하고 있어, 1단 및 후진 포크(121)의 이동시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제 1포크홈(131)에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시프팅 플레이트(140)의 제 2포크홈(142)은 2단 및 3단 포크(122)의 결합편(124)내의 제 2슬라이딩홈(124b)에 위치하고 있어, 2단 및 3단 포크(122)는 고정된 상태에서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시프트 레일을 통해 변속이 가능하고, 만일, 기어 변속단을 증가함에 따라 시프트 포크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시프팅 플레이트에 증가하는 시프트 포크마다 하나씩의 포크홈을 추가,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후진 및 1단 ~ 3단 변속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속단수를 더묵 많이 증가(예를 들어 12단, 16단 등)시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구는 수동변속기는 물론, 자동화 수동변속기 등에 적용가능하며, 특히 상용차량, 예를 들어 25톤 덤프트럭에 적용하여 상용화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변속기구
10 : 제 1시프트 레일
20 : 제 2시프트 레일
30 : 제 1시프트 포크
31,41 : 고정핀
40 : 제 2시프트 포크
50 : 제 1죠
51,61 : 고정핀
60 : 제 2죠
70 : 인터록 핀
100 : 변속기구
110 : 시프트 레일
112 : 지지핀
120 : 시프트 포크
121 : 1단 및 후진 포크
122 : 2단 및 3단 포크
123,124 : 결합편
123a,124a : 제 1슬라이딩홈
123b,124b : 제 2슬라이딩홈
125,126 : 변속 포크부
130 : 가이드 플레이트
131 : 제 1포크홈
132 : 제 2포크홈
140 : 시프팅 플레이트
141 : 제 1포크홈
142 : 제 2포크홈
143 : 걸림홈
150 : 고정구
152 : 체결부재
154 : 슬라이딩 홈
160 : 리테이너 링

Claims (7)

  1. 변속단 조작에 의해 회전 및 직선 이동하는 하나의 시프트 레일(110)과;
    상기 시프트 레일(110)상에 구비되면서 변속단을 위한 조작시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시프트 포크(120)와;
    상기 시프트 레일(11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되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상기 시프트 레일(110)의 다른쪽 측면에 구비되면서 시프팅 레일(110)의 직선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시프팅 플레이트(140)와;
    상기 시프트 레일(110)상에 결합되면서 시프트 레일(110)의 직선 이동시, 시프팅 플레이트(140)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구(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120)는,
    시프트 레일(110)과 결합되면서 내부면에 제 1,2홈을 가지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으로부터 연장되는 변속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120)를 이루는 결합편의 내부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시프팅 플레이트(1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1,2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에는 간격을 두고 제 1,2포크홈(131)(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프팅 플레이트(140)에는 간격을 두고 제 1,2포크홈(141)(1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프팅 플레이트(140)에는 고정구(150)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1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일(110)의 단부측에는 시프트 레일(110)의 회전을 위한 지지핀(11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KR1020140050758A 2014-04-28 2014-04-28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KR20150124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58A KR20150124204A (ko) 2014-04-28 2014-04-28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58A KR20150124204A (ko) 2014-04-28 2014-04-28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04A true KR20150124204A (ko) 2015-11-05

Family

ID=5460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758A KR20150124204A (ko) 2014-04-28 2014-04-28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2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039B1 (ko) * 2018-09-21 2020-01-0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변속기 컨트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039B1 (ko) * 2018-09-21 2020-01-0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변속기 컨트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3528B (zh) 变速装置
EP1965103B1 (en) Synchromesh automatic transmission
JP2006506591A (ja) 変速機における切換装置
US9303732B2 (e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US6811010B1 (en) Multiple connection synchronizer
US8205521B2 (en) Dual clutch transmission with a device for preventing double engagement
KR20180068392A (ko) 듀얼클러치 변속기
WO2013172418A1 (ja) 車両の変速装置
KR20150124204A (ko)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EP2430332B1 (en) An interlocking device in a vehicle transmission
US20090293662A1 (en) Transmission
US7070535B2 (en) Shift mechanism for a manual planetary transmission
CN101985980B (zh) 用于双离合器变速装置的换档机构
JP5641143B2 (ja) 車両用手動変速機
JP2014047881A (ja)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EP3249265B1 (en) Shift fork module
JP2005155800A (ja) リバースシフトのギヤ鳴き防止機構
JP2008261360A (ja) 後進段用アイドラギヤの移動防止構造
KR101610010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
KR10141495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815695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1822237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JP2013167339A (ja) 変速機のリバースギヤ鳴り防止機構
JP2013113387A (ja) 手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2009174684A (ja) 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の作動制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