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695B1 -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695B1
KR100815695B1 KR1020060036531A KR20060036531A KR100815695B1 KR 100815695 B1 KR100815695 B1 KR 100815695B1 KR 1020060036531 A KR1020060036531 A KR 1020060036531A KR 20060036531 A KR20060036531 A KR 20060036531A KR 100815695 B1 KR100815695 B1 KR 10081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ug
change
shif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709A (ko
Inventor
김복상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695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4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ix forward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러그와 레일의 수를 줄여서 6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비용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조작을 하기 위한 변속레버와, 상기한 변속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체인지 레버와, 상기한 변속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셀렉트 레버와, 상기한 셀렉트 레버의 후진단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셀렉트 가이드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인지 러그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1-2-5-6단 러그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3-4후진단 러그와, 3-4-후진단 러그를 조정하기 위한 ㄱ자형의 5-6단 카운터 레버와, 상기한 체인지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레일과, 상기한 1-2-5-6단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1-2-5-6단 레일과, 상기한 3-4-후진단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3-4-후진단 레일과,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체인지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포크와,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1-2-5-6단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1-2-5-6단 포크와,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3-4-후진단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3-4-후진단 포크와, 다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프링, 포크, 러그, 레일, 자동변속기, 변속제어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Tansmission controller for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중립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3b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1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3c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2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3d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3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3e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4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3f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5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3g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6단시 평면 구성도이 다.
도 3h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후진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6a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중립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1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c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2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d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3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e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4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f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5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g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6 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h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후진단시 평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1-2-5-6단 포크 52 : 3-4-R단 포크
53 : 체인지 포크 54 : 1-2-5-6단 러그
55 : 3-4-R단 러그 56 : 5-6단 카운터 레버
57 : 체인지 러그 58 : 1-2-5-6단 레일
59 : 3-4-R단 레일 60 : 체인지 레일
61 : 셀렉트 레버 62 : 시프트 레버
63 : 셀렉트 가이드 65 : 변속 레버
이 발명은 수동변속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러그와 레일의 수를 줄여서 6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비용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엔진이 발생시키는 토크(torque)는 회전속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며, 출력은 회전속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자동차가 주행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은 승객과 화물을 실은 상태에 서 도로상황 및 주행속도 등에 의해 크게 변화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엔진과 구동바퀴 사이에서 토크를 변화시키는 장치를 필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장치를 변속기라고 하며, 상기한 변속기는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크게 나뉘어진다.
상기한 수동 변속기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1단, 2단, 3단, 4단, 5단, 후진단의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6개단의 변속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6개단의 변속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변속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5-0115688(공개일자: 2005년 12월 8일)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변속제어장치는 1단, 2단, 3단, 4단, 5단, 6단, 후진단의 7개단의 변속을 위한 차량에는 적용할 수가 없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7개단의 변속제어를 위한 변속 제어장치가 별도로 제공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구성은, 운전자가 조작을 하기 위한 변속레버(1)와, 상기한 변속레버(1)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변속레버(1)의 끝단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컨트롤 엔드(2)와, 상기한 컨트롤 엔드(2)와 함께 연동되 어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컨트롤 레버(3)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3)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5단 및 6단 러그(4)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3)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3단 및 4단 러그(5)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4)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1단 및 2단 러그(6)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4)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후진단 러그(7)와, 상기한 5단 및 6단 러그(4)에 연결되어 있는 5단 및 6단 레일(8)과, 상기한 3단 및 4단 러그(5)에 연결되어 있는 3단 및 4단 레일(9)과, 상기한 1단 및 2단 러그(6)에 연결되어 있는 1단 및 2단 레일(10)과, 상기한 후진단 러그(7)에 연결되어 있는 후진단 레일(11)과, 카운터 시프트 레일(12)과,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3단 및 4단 레일(8)에 연결되어 있는 3단 및 4단 포크(13)와,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1단 및 2단 레일(10)에 연결되어 있는 1단 및 2단 포크(14)와,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후진단 레일(11)에 연결되어 있는 후진단 포크(15)와, 상기한 5단 및 6단 레일(8)에 연결되어 있는 카운터 시프트 러그(16)와, 상기한 카운터 시프트 레일(12)에 연결되어 있는 5단 및 6단 포크(17)와, 상기한 카운터 시프트 러그(16)와 5단 및 6단 포크(17)에 연결되어 있는 카운터 시프트 레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운전중 변속을 위해서 변속레버(1)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한 변속레버(1)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 엔드(2)가 움직이게 되고, 이 에따라 컨트롤 레버(3)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변속레버(1)와 컨트롤 레버(3)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중립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3)의 끝단은 3단 및 4단 러그(5)의 홈에 위치하게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1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3)의 끝단이 1단 및 2단 러그(6)의 홈으로 이동한 뒤에 1단 및 2단 러그(6)를 우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1단 및 2단 러그(6)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1단 및 2단 레일(10)상에서 1단 및 2단 포크(14)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1단변속이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2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3)의 끝단이 1단 및 2단 러그(6)의 홈으로 이동한 뒤에 1단 및 2단 러그(6)를 좌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1단 및 2단 러그(6)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1단 및 2단 레일(10)상에서 1단 및 2단 포크(14)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2단변속이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3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3)의 끝단이 3단 및 4단 러그(5)의 홈으로 이동한 뒤에 3단 및 4단 러그(5)를 우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3단 및 4단 러그(5)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3단 및 4단 레일(9)상에서 3단 및 4단 포크(13)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3단변속이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4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3e에 도시되어 있는 바 와 같이, 컨트롤 레버(3)의 끝단이 3단 및 4단 러그(5)의 홈으로 이동한 뒤에 3단 및 4단 러그(5)를 좌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3단 및 4단 러그(5)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3단 및 4단 레일(9)상에서 3단 및 4단 포크(13)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4단변속이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5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3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3)의 끝단이 5단 및 6단 러그(4)의 홈으로 이동한 뒤에 5단 및 6단 러그(4)를 우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5단 및 6단 러그(4)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5단 및 6단 레일(8)상에서 카운터 시프트 러그(16)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카운터 시프트 러그(16)에 의해 카운터 시프트 레버(1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카운터 시프트 레일(12)상에서 5단 및 6단 포크(17)를 좌측으로 밀어줌으로써 5단변속이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6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3g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3)의 끝단이 5단 및 6단 러그(4)의 홈으로 이동한 뒤에 5단 및 6단 러그(4)를 좌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5단 및 6단 러그(4)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5단 및 6단 레일(8)상에서 카운터 시프트 러그(16)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카운터 시프트 러그(16)에 의해 카운터 시프트 레버(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카운터 시프트 레일(12)상에서 5단 및 6단 포크(17)를 우측으로 밀어줌으로써 6단변속이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1)를 후진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3h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3)의 끝단이 후진단 러그(7)의 홈으로 이동한 뒤에 후진단 러그(7)를 좌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후진단 러그(7)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후진단 레일(11)상에서 후진단 포크(15)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후진단 변속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는, 러그와 레일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러그와 레일의 수를 줄여서 6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비용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운전자가 조작을 하기 위한 변속레버와, 상기한 변속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체인지 레버와, 상기한 변속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셀렉트 레버와, 상기한 셀렉트 레버의 후진단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셀렉트 가이드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인지 러그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1-2-5-6단 러그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3-4후진단 러그와, 3-4-후진단 러그를 조정하기 위한 ㄱ자형의 5-6단 카운터 레버와, 상기한 체인 지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레일과, 상기한 1-2-5-6단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1-2-5-6단 레일과, 상기한 3-4-후진단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3-4-후진단 레일과,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체인지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포크와,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1-2-5-6단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1-2-5-6단 포크와,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3-4-후진단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3-4-후진단 포크와, 다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구성은, 운전자가 조작을 하기 위한 변속레버(65)와, 상기한 변속레버(65)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체인지 레버(62)와, 상기한 변속레버(65)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셀렉트 레버(61)와, 상기한 셀렉트 레버(61)의 후진단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셀렉트 가이드(63)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62)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인지 러그(57)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62)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1-2-5-6단 러그(54)와, 상기한 컨트롤 레버(62)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3-4후진단 러그(55)와, 3-4-후진단 러그(55)를 조정하기 위한 ㄱ자형의 5-6단 카운터 레버(56)와, 상기한 체인지 러그(57)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레일(60)과, 상기한 1-2-5-6단 러그(55)에 연결되어 있는 1-2-5-6단 레일(58)과, 상기한 3-4-후진단 러그(55)에 연결되어 있는 3-4-후진단 레일(59)과,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체인지 레일(60)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포크(53)와,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1-2-5-6단 레일(58)에 연결되어 있는 1-2-5-6단 포크(51)와,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3-4-후진단 레일(59)에 연결되어 있는 3-4-후진단 포크(52)와, 다수개의 스프링(641~6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운전중 변속을 위해서 변속레버(65)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한 변속레버(65)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레버(62)와 셀렉트 레버(61)가 움직이게 된다. 이 경우에 변속레버(65)의 좌우이동에 대하여 체인지 레버(6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동작하게 되고 변속레버(65)의 상하이동에 대하여 셀렉트 레버(61)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체인지 레버(62)의 동작은 변속레버(65)의 동작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셀렉트 레버(61)의 동작은 변속레버(65)의 수직 동작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동작 절환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중립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62)의 끝단은 체인지 러그(57)의 홈에 위치하고 셀렉트 레버(61)의 끝단은 1-2-5-6단 러그(54)의 홈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1-2-5-6단 러그(54)의 우측 끝단은 5-6단 카운터 레버(56)의 우측 끝단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한다. 1-2-5-6단 러그(54)는 1단과 2단 동력을 전달하는 1-2단기어와 5단과 6단 동력을 전달하는 5-6단기어를 선택하는 역할만 한다. 그리고, 체인지 러그(57)는 상기한 1-2-5-6단 러그(54)에 의해서 선택된 1-2단 기어 또는 5-6단 기어중에서 고단기어 또는 저단기어를 선택하는역할을 한다. 즉, 상기한 1-2-5-6단 러그(54)에 의해서 1-2단 기어가 선택된 경우에 체인지 러그(57)에 의해서 1단 기어 또는 2단 기어가 선택되고, 상기한 1-2-5-6단 러그(54)에 의해서 5-6단 기어가 선택된 경우에는 체인지 러그(57)에 의해서 5단 기어 또는 6단 기어가 선택된다. 상기한 1-2-5-6단 러그(54)와 체인지 러그(57)에 의해서 기어가 선택되는 구조는 본인의 선출원 기술인 특허출원번호 10-2005-0008620호 "자동차용6단수동변속기"를 참조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1-2-5-6단 러그(54)와 체인지 러그(57)의 작동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1단 및 2단의 위치로 내리는 경우에, 셀렉트 레버(61)에 의해 1-2-5-6단 러그(54)와 3-4-후진단 러그(55)가 동시에 레일길이방향의 좌측으로 전진이동하면서 3-4-후진단 레일(59)에 연결된 3-4-후진단 포크(52)에 의해 3-4단 기어가 이탈되고 1-2-5-6단 레일(58)에 연결된 1-2-5-6단 포크(51)에 의해 1-2단 기어가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단을 선택하게 되면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62)가 체인지 러그(57)를 레일길이방향의 좌측으로 전진이동시켜 체인지 레일(60)에 연결된 체인지 포크(53)에 의해 1단 변속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2단을 선택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62)가 체인지 러그(57)를 레일길이방향의 우측으로 후진이동시켜 체인지 레일(60)에 연결된 체인지 포크(53)에 의해 1단 변속이 완료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3단 및 4단의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에, 즉 변속레버(65)를 중립에 위치하는 경우에 셀렉트 레버(61)에 의해 1-2-5-6단 러그(54)와 3-4-후진단 러그(55)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즉, 1-2-5-6단 러그(54)의 우측 끝단은 5-6단 카운터 레버(56)의 우측 끝단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3-4-후진단 레일(59)에 연결된 3-4-후진단 포크(52)에 의해 3-4단 기어가 체결되고 1-2-5-6단 레일(58)에 연결된 1-2-5-6단 포크(51)에 의해 1-2단 기어가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3단을 선택하게 되면 도 6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62)가 체인지 러그(57)를 레일길이방향의 좌측으로 전진이동시켜 체인지 레일(60)에 연결된 체인지 포크(53)에 의해 3단 변속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4단을 선택하게 되면 도 6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62)가 체인지 러그(57)를 레일길이방향의 우측으로 후진이동시켜 체인지 레일(60)에 연결된 체인지 포크(53)에 의해 4단 변속이 완료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5단 및 6단의 위치로 올리는 경우에, 셀렉트 레버(61)에 의해 1-2-5-6단 러그(54)는 레일길이방향의 우측으로 후진이동하게 되면서 즉, 1-2-5-6단 러그(54)의 우측 끝단이 5-6단 카운터 레버(56)의 우측 끝단보다 더 우측으로 후진이동하게 되면서, 셀렉트 레버(61)에 의해 5-6단 ㄱ자형의 카운터 레버(5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3-4-후진단 러그(55)를 레일길이방향의 좌측으로 밀어줌으로써 3-4-후진단 레일(59)에 연결된 3-4-후진단 포크(52)에 의해 3-4단 기어가 이탈되고 1-2-5-6단 레일(58)에 연결된 1-2-5-6단 포크(51)에 의해 1-2단 기어가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5단을 선택하게 되면 도 6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62)가 체인지 러그(57)를 레일길이방향의 좌측으로 전진이동시켜 체인지 레일(60)에 연결된 체인지 포크(53)에 의해 1단 변속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6단을 선택하게 되면 도 6g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62)가 체인지 러그(57)를 레일길이방향의 우측으로 후진이동시켜 체인지 레일(60)에 연결된 체인지 포크(53)에 의해 1단 변속이 완료된다.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후진단의 위치로 내리는 경우에, 변속레버(65)가 5단 및 6단의 위치를 지나게 되면서 위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셀렉트 레버(61)에 의해 1-2-5-6단 러그(54)와 3-4-후진단 러그(55)가 동시에 레일길이방향의 좌측으로 전진이동하면서 3-4-후진단 레일(59)에 연결된 3-4-후진단 포크(52)에 의해 3-4단 기어가 1차적으로 이탈되고, 변속레버(65)가 조금 더 내려와서 5단 및 6단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셀렉트 가이드(63)에 의해 셀렉트 레버(61)가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3-4-후진단 러그(55)를 레일길이방향의 좌측으로 전진이동시킴으로써 3-4-후진단 레일(59)에 연결된 3-4-후진단 포크(52)에 의해 후진단 기어가 체결된다. 이 경우에 셀렉트 가이드(63)에 의해 셀렉트 레버(61)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셀렉트 레버(61)로부터 1-2-5-6단 러그(54)가 벗어나게 됨에 따라 스프링(644)에 의해 1-2-5-6단 레일(58)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1-2-5-6단 러그(54)의 우측 끝단은 5-6단 카운터 레버(56)의 우측 끝단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65)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후진단을 선택하게 되면 도 6h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62)가 체인지 러그(57)를 레일길이방향의 좌측으로 전진이동시켜 체인지 레일(60)에 연결된 체인지 포크(53)에 의해 후진단 변속이 완료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러그와 레일의 수를 줄여서 6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비용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운전자가 조작을 하기 위한 변속레버;
    상기한 변속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체인지 레버;
    상기한 변속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을 하는 셀렉트 레버;
    상기한 셀렉트 레버의 후진단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셀렉트 가이드;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인지 러그;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1-2-5-6단 러그;
    상기한 컨트롤 레버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3-4후진단 러그;
    3-4-후진단 러그를 조정하기 위한 ㄱ자형의 5-6단 카운터 레버;
    상기한 체인지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레일;
    상기한 1-2-5-6단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1-2-5-6단 레일;
    상기한 3-4-후진단 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3-4-후진단 레일;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체인지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지 포크;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1-2-5-6단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1-2-5-6단 포크;
    스프링핀을 이용하여 상기한 3-4-후진단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3-4-후진단 포크; 및
    다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중립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체인지 레버의 끝단은 체인지 러그의 홈에 위치하고 셀렉트 레버의 끝단은 1-2-5-6단 러그의 홈에 위치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중립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체인지 레버의 끝단은 체인지 러그의 홈에 위치하고 셀렉트 레버의 끝단은 1-2-5-6단 러그의 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1-2-5-6단 러그의 우측 끝단은 5-6단 카운터 레버의 우측 끝단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60036531A 2006-04-24 2006-04-24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081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531A KR100815695B1 (ko) 2006-04-24 2006-04-24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531A KR100815695B1 (ko) 2006-04-24 2006-04-24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709A KR20070104709A (ko) 2007-10-29
KR100815695B1 true KR100815695B1 (ko) 2008-03-20

Family

ID=3881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531A KR100815695B1 (ko) 2006-04-24 2006-04-24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6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541A (ja) * 1993-09-22 1995-04-04 Aisin Ee I Kk 手動変速機の操作機構
JPH09177967A (ja) * 1995-12-22 1997-07-11 Aisin Ee I Kk 手動変速機のシフト機構
KR20060058487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541A (ja) * 1993-09-22 1995-04-04 Aisin Ee I Kk 手動変速機の操作機構
JPH09177967A (ja) * 1995-12-22 1997-07-11 Aisin Ee I Kk 手動変速機のシフト機構
KR20060058487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709A (ko) 200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0194B2 (ja) 変速機における切換装置
US8746098B2 (en) Gear shifting actuator and method of shifting gear ratios
KR10163774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US20090320635A1 (en) Transmission
JP2000130573A (ja) 車両用変速機
JP2001525519A (ja) 2×3×2構造の12速型変速機
JP6614460B2 (ja) オーバードライブ変速機の汎用操作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3172418A1 (ja) 車両の変速装置
KR100815695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US7070535B2 (en) Shift mechanism for a manual planetary transmission
JP5891642B2 (ja) 多段変速機の変速機構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KR100660749B1 (ko) 유성기어 방식 수동변속기의 이중 치합 방지장치
KR20080032444A (ko) 6단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커버 어셈블리
US2015015296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eventing unintended gear selection in a compound transmission
JP5016532B2 (ja) トラクタ
KR20090021448A (ko) 더블클러치타입 반자동변속기
KR100633216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200363935Y1 (ko) 4륜구동차량용 부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2611901B1 (ko) 다단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1264006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20230044639A (ko) 자동차용 변속기구
KR100471866B1 (ko) 수동변속기의 후진 절도감 조작수단
JPS59161715A (ja) 車両用多段変速装置
KR20070036367A (ko) 핀 형태의 수동변속기 가이드 구조
KR100580473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