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959B1 -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959B1
KR101656959B1 KR1020140193273A KR20140193273A KR101656959B1 KR 101656959 B1 KR101656959 B1 KR 101656959B1 KR 1020140193273 A KR1020140193273 A KR 1020140193273A KR 20140193273 A KR20140193273 A KR 20140193273A KR 101656959 B1 KR101656959 B1 KR 101656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main rail
axial
finger
manu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450A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19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9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03Band brake actuat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단일의 메인 레일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자유로운 복수의 시프트 포크를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둔 상태로 설치하는 배치 구조의 적용을 통해 컨트롤 기구의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더불어 변속시 시프팅 조작과 셀렉팅 조작에 대한 인터락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일의 메인 레일(10),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설치되는 시프트 핑거(20)와 셀렉트 핑거(30), 및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결합 가능한 요홈부(42)를 갖춘 복수의 시프트 포크(40)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는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한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설치 평면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Shift control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메인 레일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자유로운 적어도 두 개 이상 복수의 시프트 포크를 설치하여 컨트롤 기구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단일의 메인 레일에 대해 복수의 시프트 포크를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둔 상태로 설치하는 새로운 배치 구조의 적용을 통해 변속시 시프팅 조작과 셀렉팅 조작에 대한 인터락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기는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차량의 주행 상태의 변화에 따라 다단의 변속비로 출력하여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수동 변속기는 엔진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다단의 변속단 기어를 매개로 동기 치합되는 출력축, 상기 변속단 기어를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대해 동기시키는 싱크로 기구, 및 운전자에 의한 변속 조작으로부터 상기 싱크로 기구를 작동시켜 주는 변속 조작장치(컨트롤 기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6487호에 개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를 일례로 들 수 있다.
즉, 종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는 운전자에 의해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는 변속레버(12)와, 상기 변속레버(12)의 하단에 형성되는 컨트롤 핑거(14)와, 상기 컨트롤 핑거(14)에 선택적으로 물림되는 복수의 시프트 러그(32,34,36)와, 상기 시프트 러그(32,34,36)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변속레버(12)의 조작에 따라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복수의 시프트 레일(22,24,26)과, 상기 시프트 레일(22,24,26)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시프트 레일(22,24,26)의 직선이동시 슬리브(미도시)에 조작력을 전달하여 동기 작용을 수행하는 복수의 시프트 포크(42,44,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시프트 레일(22,24,26)과 상기 시프트 러그(32,34,36)는 변속단의 수량 대비 절반의 수량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전진 5속 및 후진 1속의 변속기의 경우 상기 시프트 레일(22,24,26)과 상기 시프트 러그(32,34,36)는 1/2단과 3/4단 및 5/후진단의 종류 별로 각각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는 단일의 시프트 레일에 단일의 시프트 포크가 고정 설치되어 변속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각 변속단 별로 각각의 시프트 포크와 시프트 레일의 설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변속 조작기구는 변속기의 변속단이 증가할수록 중량과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인터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해당 부품의 수량 증가와 함께 중량 및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6487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일의 메인 레일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자유로운 복수의 시프트 포크를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둔 상태로 설치하는 배치 구조의 적용을 통해 컨트롤 기구의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더불어 변속시 시프팅 조작과 셀렉팅 조작에 대한 인터락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기의 케이스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일의 메인 레일, 상기 메인 레일에 대해 설치되는 시프트 핑거와 셀렉트 핑거, 및 상기 메인 레일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핑거와 결합 가능한 요홈부를 갖춘 복수의 시프트 포크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포크의 요홈부는 상기 메인 레일에 대한 상기 시프트 핑거의 설치 평면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메인 레일은 상기 시프트 핑거의 설치를 위한 제1조립홈, 시프트 액츄에이터와의 결합을 위한 제2조립홈, 및 상기 셀렉트 핑거의 설치를 위한 제3조립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레일의 자유단부에 다단으로 형성된 그루브와 탄력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펫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시프트 핑거는 상기 제1조립홈과의 결합을 위해 배면으로 돌출된 삽입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시프트 포크는 상기 메인 레일과의 축결합을 위한 보스, 상기 보스로부터 상기 메인 레일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프트 핑거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프트 러그, 및 상기 보스로부터 상기 메인 레일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요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요홈부는 상기 시프트 러그에서 상기 메인 레일을 향한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폭은 상기 시프트 핑거와의 여유 간격을 두는 길이로 설정되며, 상기 요홈부는 상기 시프트 핑거의 자유단부에 대한 축방향 회전궤적과 동일한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레일에 대해 상기 시프트 핑거를 중심으로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프트 핑거의 축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터락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레일과의 축결합을 위한 내경부를 갖추고서 상기 내경부에 상기 시프트 핑거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이루는 절개부를 형성하는 부분 절개형 링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는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축방향 회전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변속기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한 쌍의 원호형 부재로서, 상기 메인 레일과의 축결합을 위한 내경부를 형성하고, 서로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의 축방향 회전시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와 접촉 가능한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단일의 메인 레일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회전과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각각 자유로운 복수의 시프트 포크를 설치하고, 각각의 시프트 포크를 메인 레일에 대한 시프트 핑거의 설치 평면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고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컨트롤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크게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의 중량을 저감하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복수의 시프트 포크에 대한 설치 위치를 메인 레일 상에서 시프트 핑거의 설치 평면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도록 상호 이격된 부위에 설정함으로써 변속시 시프팅 조작과 셀렉팅 조작에 대한 인터락 기능을 함께 단일의 부품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중량을 저감하고 제조 원가를 낮추는 데 기여함과 더불어, 보다 간략화된 이중치합의 방지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서 시프트 핑거와 시프트 포크 사이의 구성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복수의 시프트 포크 중 단일의 시프트 포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으로, 시프트 핑거와 시프트 포크 사이의 구성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서 메인 레일의 셀렉트 조작에 따라 시프트 핑거가 시프트 러그의 요홈부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으로, 시프트 핑거와 시프트 포크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변속기의 케이스(미도시)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자유롭게 설치되는 단일의 메인 레일(10),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시프트 핑거(20), 상기 시프트 핑거(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셀렉트 핑거(30), 및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시프트 포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일의 메인 레일(10)은 변속기의 케이스에 대해 시프트 조작에 의한 축방향 회전과 셀렉트 조작에 의한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단일의 메인 레일(10)은 대략 중앙 부위에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설치를 위한 제1조립홈(11)을 형성하고, 자유단부에 시프트 액츄에이터(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한 제2조립홈(1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단일의 메인 레일(10)은 상기 제2조립홈(12)과 인접한 자유단부에 상기 셀렉트 핑거(30)의 설치를 위한 제3조립홈(13)을 형성하고, 타측 자유단부에 다단의 그루브(14)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다단의 그루브(14)에는 운전자에 의한 시프팅 조작시 상기 메인 레일(10)의 축방향 이동에 대한 절도감의 부여를 위해 포펫기구(15)가 설치되는 데, 상기 포펫기구(15)는 상기 메인 레일(10)의 자유단부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그루브(14)와의 탄력적인 접촉을 통해 상기 메인 레일(10)의 축방향 이동에 대한 절도감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시프트 핑거(20)는 상기 메인 레일(10)의 제1조립홈(11)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셀렉트 조작시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 중 어느 하나와 조작력의 전달을 위한 접촉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시프트 조작시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 중 해당하는 시프트 포크(40)와의 접촉을 통해 축방향 이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프트 핑거(20)는 상기 메인 레일(10)의 제1조립홈(11)과의 결합을 위해 배면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2)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셀렉트 핑거(30)는 상기 메인 레일(10)의 제3조립홈(13)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체결돌기(32)를 갖추고서, 운전자에 의한 셀렉트 조작시 동작하는 셀렉트 액츄에이터(미도시)와 연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는 상기 단일의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축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요홈부(42)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는 상기 단일의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핑거(2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위치를 각각 달리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는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한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설치 평면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고 상호 이격된 위치로 배치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는 상기 단일의 시프트 핑거(20)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고서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는 상기 단일의 메인 레일(10)과의 축결합을 위해 관통구멍(44a)을 형성한 보스(44), 상기 보스(44)로부터 상기 메인 레일(10)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프트 러그(46), 및 상기 보스(44)로부터 상기 메인 레일(10)의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싱크로 기구의 슬리브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요크(4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요홈부(42)는 상기 시프트 러그(46)에서 상기 메인 레일(10)을 향한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42)의 폭은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폭과의 여유 간격을 둘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요홈부(42)는 셀렉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축방향 회전을 고려하여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자유단부에 대한 회전궤적과 동일한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경사면(42a)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축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는 인터락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는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상기 시프트 핑거(20)를 중심으로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축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는 상기 메인 레일(10)과의 축결합을 위한 내경부(52)를 갖춤과 동시에 상기 내경부(52)에 대해 부재를 절개하여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이루는 절개부(54)를 형성하는 구조의 부분 절개형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는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56)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변속기의 케이스에 대해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대신 축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는 변속기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한 쌍의 원호형 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메인 레일(10)과의 축결합을 위한 내경부(6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는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를 내부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부재는 상호 적정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결합부(6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는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의 축방향 회전시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한 쌍의 원호형 부재 사이에 걸쳐 체결되어 상기 돌기부(56)와 접촉 가능한 고정핀(6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고정핀(66)은 셀렉트 조작에 따른 상기 메인 레일(10)의 축방향 회전시 상기 시프트 핑거(20)가 복수의 시프트 포크(40) 중 해당하는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 내에 위치하게 하는 회전 제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는 상기 고정핀(66)의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66a)을 함께 형성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서 시프트 핑거와 시프트 포크 사이의 구성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복수의 시프트 포크 중 단일의 시프트 포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으로, 시프트 핑거와 시프트 포크 사이의 구성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서 메인 레일의 셀렉트 조작에 따라 시프트 핑거가 시프트 러그의 요홈부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으로, 시프트 핑거와 시프트 포크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경우, 도 8은 도 7에서 생략한 시프트 포크와 시프트 핑거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단면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함께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시프트 핑거(20)는 변속단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에 각각 형성된 요홈부(42)로부터 벗어난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시프트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 레일(1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상기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 사이의 결합은 해제상태이므로 상기 시프트 포크(40)의 축방향 이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시프트 핑거(20)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트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 레일(10)이 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해당하는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 내부의 결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로 위치를 전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프트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인 레일(10)의 축방향 이동이 수반되므로 상기 시프트 핑거(20)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시프트 포크(40)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싱크로 기구의 슬리브를 작동시키게 되어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 중, 상기 메인 레일(10)의 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시프트 핑거(20)가 해당하는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 내에 삽입되는 셀렉트 작동시,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는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시프트 포크(40) 중에서 선택되지 못한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는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에 의해 축방향 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이른 바 인터락 기능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터락 기능은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가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60) 내부 공간에서 축방향 이동을 구속받은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60)는 변속기의 케이스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셀렉트 작동이 이루어질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66)은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의 돌기부(56)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되므로, 상기 시프트 핑거(20)는 복수의 시프트 포크(40) 중 선택된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 내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정확한 셀렉트 작동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는 셀렉트 조작시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축방향 회전 궤적과 동일한 형태의 만곡진 경사면(42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상기 복수의의 시프트 포크(40) 중에서 선택된 시프트 포크(40) 사이의 결합상태는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프트 조작에 따른 상기 메인 레일(10)의 축방향 이동이 수반될 경우 정확한 변속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단일의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회전과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각각 자유로운 복수의 시프트 포크(40)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시프트 포크(40)를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한 시프트 핑거(20)의 설치 평면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고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컨트롤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크게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의 중량을 저감하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시프트 포크(40)에 대한 설치 위치를 상기 메인 레일(10) 상에서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설치 평면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도록 상호 이격된 부위에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연동하는 인터락 플레이트(50)를 변속기의 케이스에 대해 고정되는 가이드 플레이트(60)에 의해 축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구속할 수 있으므로, 변속시 시프팅 조작과 셀렉팅 조작에 대한 인터락 기능을 함께 단일의 부품으로서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변속기의 전체 중량을 저감하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메인 레일 20-시프트 핑거
30-셀렉트 핑거 40-시프트 포크
42-요홈부 44-보스
46-시프트 러그 48-요크
50-인터락 플레이트 60-가이드 플레이트

Claims (14)

  1. 변속기의 케이스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일의 메인 레일(10);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설치되는 시프트 핑거(20)와 셀렉트 핑거(30);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축방향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결합 가능한 요홈부(42)를 갖춘 복수의 시프트 포크(40);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해 상기 시프트 핑거(20)를 중심으로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축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터락 플레이트(50); 및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축방향 회전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60)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포크(40)의 요홈부(42)는 상기 메인 레일(10)에 대한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설치 평면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각을 두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는 상기 메인 레일(10)과의 축결합을 위한 내경부(52)를 갖추고서 상기 내경부(52)에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이루는 절개부(54)를 형성하는 부분 절개형 링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56)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는 변속기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한 쌍의 원호형 부재로서, 상기 메인 레일(10)과의 축결합을 위한 내경부(62)와, 상기 내경부(62)로부터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결합부(64)를 형성하고,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50)의 축방향 회전시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56)와 접촉 가능한 고정핀(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일(10)은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설치를 위한 제1조립홈(11), 시프트 액츄에이터와의 결합을 위한 제2조립홈(12), 및 상기 셀렉트 핑거(30)의 설치를 위한 제3조립홈(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일(10)의 자유단부에 다단으로 형성된 그루브(14)와 탄력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펫기구(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핑거(20)는 상기 제1조립홈(11)과의 결합을 위해 배면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40)는 상기 메인 레일(10)과의 축결합을 위한 보스(44);
    상기 보스(44)로부터 상기 메인 레일(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프트 핑거(20)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프트 러그(46); 및
    상기 보스(44)로부터 상기 메인 레일(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요크(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42)는 상기 시프트 러그(46)에서 상기 메인 레일(10)을 향한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42)의 폭은 상기 시프트 핑거(20)와의 여유 간격을 두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42)는 상기 시프트 핑거(20)의 자유단부에 대한 축방향 회전궤적과 동일한 형태의 경사면(42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193273A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1656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73A KR101656959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73A KR101656959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50A KR20160082450A (ko) 2016-07-08
KR101656959B1 true KR101656959B1 (ko) 2016-09-12

Family

ID=5650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273A KR101656959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660B1 (ko) * 2019-10-31 2020-12-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967A (zh) * 2018-06-15 2018-12-14 山东理工大学 汽车变速器换挡轴三角形滑槽优化设计方法
DE102018216742A1 (de) * 2018-09-28 2020-04-0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bindung zwischen einem Schaltelement und einer Gassenwahlstan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710A (ja) 2003-09-19 2005-04-07 Honda Motor Co Ltd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操作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3156A (en) * 1979-01-30 1980-08-07 Nissan Motor Co Ltd Shift interlocking mechanism for transmission gear
JPS57199027A (en) * 1981-06-01 1982-12-06 Nissan Motor Co Ltd Variable speed operation device for speed change gear
KR100476260B1 (ko) 2002-11-27 2005-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528039B1 (ko) * 2003-12-08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용 콘트롤 기구의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710A (ja) 2003-09-19 2005-04-07 Honda Motor Co Ltd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操作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660B1 (ko) * 2019-10-31 2020-12-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50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95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5443766B2 (ja) 自動車のギア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同期係合用デバイス
KR20190056124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601376B1 (ko) 차량용 변속장치
JP2011256962A (ja) 変速機
JP6376103B2 (ja) 手動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KR101090984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작동기
KR101519229B1 (ko) 수동변속기 오조작 방지 장치
US9534684B2 (en) Shift device having rotational free travel for the shift shaft, and motor vehicle transmission having such shift device
KR20120062329A (ko) 차량용 변속조작기구
JP2008232262A (ja)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KR20170003174A (ko) 기어 변속장치
JP4587066B2 (ja) 変速機
KR101637513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구동장치
EP3249265B1 (en) Shift fork module
KR101592643B1 (ko) 기어 시프트 유닛
KR20140103563A (ko)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KR20110121275A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액츄에이터
KR1006425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20180067114A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1592818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0412384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JP6399016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70071695A (ko) 차량용 기어 변속기구
JP6372482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