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662B1 -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662B1
KR100878662B1 KR1020070022766A KR20070022766A KR100878662B1 KR 100878662 B1 KR100878662 B1 KR 100878662B1 KR 1020070022766 A KR1020070022766 A KR 1020070022766A KR 20070022766 A KR20070022766 A KR 20070022766A KR 100878662 B1 KR100878662 B1 KR 10087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shift
control finger
detent assembl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224A (ko
Inventor
김복상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66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08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the locking mechanism being moved by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조작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는 컨트롤샤프트와; 상기 컨트롤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샤프트와 일체로 움직이는 컨트롤핑거와; 각 변속단에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쉬프트레일과; 상기 컨크롤핑거와 선택적으로 치합되고 상기 쉬프트레일에 결합된 다수 개의 변속러그와; 상기 쉬프트레일에 각각 외삽되어 고정되는 쉬프트포크와; 각 단별 쉬프트포크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는 디텐트어셈블리와; 상기 컨트롤핑거와 상기 디텐트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여 변속감을 향상시켜주는 접시스프링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보스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핑거가 상기 변속러그에 이중으로 치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는 인터록플레이트에 디텐트어셈블리의 삽입홀이 형성된 보스를 일체로 마련하고, 컨트롤핑거에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삽입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조립공정을 축소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핑거와 상기 디텐트어셈블리 사이에 접시스프링을 추가로 구성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TRANSMISSION INCORPORATED INTERLOCK APPARATUS AND DETENT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를 구비한 수동변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핑거와 디텐트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플레이트와 접시스프링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컨트롤샤프트 120 : 컨트롤핑거 130, 131, 132 : 쉬프트레일 130-1, 131-1, 132-1 : 쉬프트레일홈 140, 141, 142 : 변속러그 150, 151, 152 : 쉬프트포크 160 : 인터록플레이트 170 : 디텐트어셈블리 171 : 볼 172 : 스프링 173 : 디텐트프러그
3 : 컨트롤샤프트 5 : 컨트롤핑거 5-1, 5-2, 5-3 : 컨트롤핑거홈 5-4 : 컨트롤핑거홀 7-1, 7-2, 7-3 : 쉬프트레일 9-1, 9-2, 9-3 : 변속러그 11-1, 11-2, 11-3 : 쉬프트포크
13 : 디텐트어셈블리 13-1 : 볼
15 : 접시스프링 17 : 인터록플레이트
17-1 : 인터록플레이트홀 17-2 : 보스
17-3 : 보스홀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록플레이트에 디텐트어셈블리의 삽입홀이 형성된 보스를 일체로 마련하고, 컨트롤핑거에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삽입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조립공정을 축소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핑거와 상기 디텐트어셈블리 사이에 접시스프링을 추가로 구성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른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변속기는 각 속도에 따 라 운전자가 직접 변속레버를 조작하는 수동변속기와 운전속도에 따라 유압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로 대분되는데, 상기 수동변속기는 하나의 단이 변속되었을 때 타단이 같이 변속되지 않도록 해주는 인터록장치와 각 단별 포크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디텐트장치가 구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를 구비한 수동변속기의 구성은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조작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는 컨트롤샤프트(110)와; 상기 컨트롤샤프트(110)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샤프트(110)와 일체로 움직이는 컨트롤핑거(120)와; 각 변속단에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되고, 일단에 다수 개의 홈(130-1, 131-1, 132-1)이 형성된 쉬프트레일(130, 131, 132)과; 상기 컨크롤핑거(120)와 선택적으로 치합되고 상기 쉬프트레일(130, 131, 132)에 결합된 다수 개의 변속러그(140, 141, 142)와; 상기 쉬프트레일(130, 131, 132)에 각각 외삽되어 고정된 쉬프트포크(150, 151, 152)와; 상기 컨트롤핑거(120)가 상기 변속러그(140, 141, 142)에 이중으로 치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플레이트(160)와; 각 단별로 상기 쉬프트레일(130, 131, 132)에 형성된 홈(130-1, 131-1, 132-1)에 삽입되어 상기 쉬프트포크(150, 151, 152)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도록 볼(171)과 스프링(172) 및 디텐트프러그(1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텐트어셈블리(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를 구비한 수동변속기는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60)에 의해 하나의 단만 변속이 되도록 하고, 1,2단 쉬프트 레일(130)에 1,2단 변속러그(140)와 1,2단 쉬프트포크(150)를 일체화 시키고, 상기 1,2단 쉬프트레일(130)의 일단에 홈(130-1)을 형성하여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70)를 상기 쉬프트레일(130)의 홈(130-1)에 삽입시켜 상기 1,2단 쉬프트포크(150)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3,4단 쉬프트레일(131)에 3,4단 변속러그(141)와 3,4단 쉬프트포크(151)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3,4단 쉬프트레일(131)의 일단에 홈(131-1)을 형성하여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70)를 상기 쉬프트레일(131)의 홈(131-1)에 삽입시켜 상기 3,4단 쉬프트포크(151)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5,R단 쉬프트레일(132)에 5,R단 변속러그(142)와 5,R단 쉬프트포크(152)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5,R단 쉬프트레일(132)의 일단에 홈(132-1)을 형성하여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70)를 상기 쉬프트레일(132)의 홈(132-1)에 삽입시켜 상기 5,R단 쉬프트포크(152)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를 구비한 수동변속기는 각단의 쉬프트레일(130, 131, 132)의 일단에 홈(130-1, 131-1, 132-1)을 형성해야 하고, 각각의 홈(130-1, 131-1, 132-1)에 별개의 디탠트어셈블리(170)를 사용하므로 부품 수 및 조립공정이 증가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록플레이트에 디텐트어셈블리의 삽입홀이 형성된 보스를 일체로 마련하고, 컨트롤핑거에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삽입홈을 형성 시킴으로써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조립공정을 축소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핑거와 상기 디텐트어셈블리 사이에 접시스프링을 추가로 구성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조작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는 컨트롤샤프트와; 상기 컨트롤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샤프트와 일체로 움직이는 컨트롤핑거와; 각 변속단에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쉬프트레일과; 상기 컨크롤핑거와 선택적으로 치합되고 상기 쉬프트레일에 결합된 다수 개의 변속러그와; 상기 쉬프트레일에 각각 외삽되어 고정되는 쉬프트포크와; 각 단별 쉬프트포크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는 디텐트어셈블리와; 상기 컨트롤핑거와 상기 디텐트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여 변속감을 향상시켜주는 접시스프링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보스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핑거가 상기 변속러그에 이중으로 치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는 각 단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볼과 상기 볼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핑거는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볼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핑거의 홈은 다수 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시스프링의 재질은 탄성재질로 마련되고, 스프링강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시스프링은 5단 및 R단의 변속시에는 상기 접시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컨트롤핑거의 홈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볼 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스프링의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시스프링은 1단 내지 4단의 변속시에는 상기 접시스프링의 압축상태가 복원되어 상기 컨트롤핑거의 홈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볼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스프링의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는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조작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는 컨트롤샤프트(3)와; 상기 컨트롤샤프트(3)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샤프트(3)와 일체로 움직이는 컨트롤핑거(5)와; 각 변속단에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쉬프트레일(7-1, 7-2, 7-3)과; 상기 컨크롤핑거(5)와 선택적으로 치합되고 상기 쉬프트레일(7-1, 7-2, 7-3)에 결합된 다수 개의 변속러그(9-1, 9-2, 9-3)와; 상기 쉬프트레일(7-1, 7-2, 7-3)에 각각 외삽되어 고정되는 쉬프트포크(11-1, 11-2, 11-3)와; 각 단별 쉬프트포크(11-1, 11-2, 11-3)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는 디텐트어셈블리(13)와; 상기 컨트롤핑거(5)와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 사이에 위치하여 변속감을 향상시켜주는 접시스프링(15)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가 삽입될 수 있는 홀(17-3)이 형성된 보스(17-2)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핑거(5)가 상기 변속러그(9-1, 9-2, 9-3)에 이중으로 치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플레이트(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샤프트(3)는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조작에 따라 직선운동(selecting) 및 회전운동(shifting)을 하면서 셀렉팅작업 및 쉬프팅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컨트롤핑거(5)는 상기 컨트롤샤프트(3)가 삽입되는 홀(5-4)을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샤프트(3)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샤프트(3)와 일체로 움직이고,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이 삽입될 수 있는 홈(5-1, 5-2, 5-3)이 다수 개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쉬프트레일(7-1, 7-2, 7-3)은 각 변속단에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변속러그(9-1, 9-2, 9-3)는 상기 컨크롤핑거(5)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상기 쉬프트레일(7-1, 7-2, 7-3)에 결합되도록 다수 개가 마련된다.
상기 쉬프트포크(11-1, 11-2, 11-3)는 상기 쉬프트레일(7-1, 7-2, 7-3)에 각각 외삽되어 고정되고, 상기 쉬프트레일(7-1, 7-2, 7-3)의 이동에 따라 하측의 슬리브(미도시)를 이동시켜 변속조작을 완료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는 각 단별 쉬프트포크(11-1, 11-2, 11-3)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며, 각 단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볼(13-1)과 상기 볼(13-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미도시)는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접시스프링(15)은 탄성재질로 마련되고, 스프링강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5단 및 R단의 변속시에는 상기 접시스프링(15)이 압축되어 상기 컨트롤핑거(5)의 홈(5-1, 5-2, 5-3)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 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스프링(미도시)의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1단 내지 4단의 변속시에는 상기 접시스프링(15)의 압축상태가 복원되어 상기 컨트롤핑거(5)의 홈(5-1, 5-2, 5-3)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스프링(미도시)의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7)는 상기 컨트롤샤프트(3)가 삽입되는 홀(17-1)을 형성하며,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가 삽입될 수 있는 홀(17-3)이 형성된 보스(17-2)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핑거(5)가 상기 변속러그(9-1, 9-2, 9-3)에 이중으로 치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는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7)에 의해 하나의 단만 변속이 되도록 하였으며, 1,2단 쉬프트레일(7-1)에 1,2단 변속러그(9-1)와 1,2단 쉬프트포크(11-1)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를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7)에 일체로 마련된 보스(17-2)에 형성된 홀(17-3)에 압입시키게 되면,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핑거(5)의 홈(5-1, 5-2, 5-3)과 결합하면서 1,2단 쉬프트포크(11-1)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는 3,4단 쉬프트레일(7-2)에 3,4단 변속러그(9-2)와 3,4단 쉬프트포크(11-2)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를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7)에 일체로 마련된 보스(17-2)에 형성된 홀(17-3)에 압입시키게 되면,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핑거(5)의 홈(5-1, 5-2, 5-3)과 결합하면서 3,4단 쉬프트포크(11-2)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는 5,R단 쉬프트레일(7-3)에 5,R단 변속러그(9-3)와 5,R단 쉬프트포크(11-3)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를 상기 인터록플레이트(17)에 일체로 마련된 보스(17-2)에 형성된 홀(17-3)에 압입시키게 되면,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핑거(5)의 홈(5-1, 5-2, 5-3)과 결합하면서 5,R단 쉬프트포크(11-3)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핑거(5)의 홈(5-1, 5-2, 5-3)은 3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핑거(5)의 상부에 위치한 홈(5- 1)과 결합하는 경우 1단, 3단, 5단의 위치를 설정해 주며,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핑거(5)의 중간에 위치한 홈(5-2)과 결합하는 경우 중립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이 상기 컨트롤핑거(5)의 하부에 위치한 홈(5-3)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2단, 4단, R단의 위치를 설정해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는 탄성재질의 접시스프링(15)이 추가로 구성되기 때문에 5단 및 R단의 변속시에는 상기 접시스프링(15)이 압축되어 상기 컨트롤핑거(5)의 홈(5-1, 5-2, 5-3)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 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스프링(미도시)의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키게 되고, 1단 내지 4단의 변속시에는 상기 접시스프링(15)의 압축상태가 복원되어 상기 컨트롤핑거(5)의 홈(5-1, 5-2, 5-3)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볼(13-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13)의 스프링의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는 인터록플레이트에 디텐트어셈블리의 삽입홀이 형성된 보스를 일체로 마련하고, 컨트롤핑거에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삽입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조립공정을 축소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핑거와 상기 디텐트어셈블리 사이에 접시스프링을 추가로 구성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변속레버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조작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는 컨트롤샤프트와;
    상기 컨트롤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샤프트와 일체로 움직이는 컨트롤핑거와;
    각 변속단에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쉬프트레일과;
    상기 컨크롤핑거와 선택적으로 치합되고 상기 쉬프트레일에 결합된 다수 개의 변속러그와;
    상기 쉬프트레일에 각각 외삽되어 고정되는 쉬프트포크와;
    각 단별 쉬프트포크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시키는 디텐트어셈블리와;
    상기 컨트롤핑거와 상기 디텐트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여 변속감을 향상시켜주는 접시스프링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보스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핑거가 상기 변속러그에 이중으로 치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는 각 단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볼과, 상기 볼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핑거는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볼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핑거에 형성된 홈은 다수 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스프링의 재질은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스프링의 재질은 스프링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스프링은 5단 및 R단의 변속시에는 상기 접시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컨트롤핑거의 홈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볼 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스프링의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스프링은 1단 내지 4단의 변속시에는 상기 접시스프링의 압축상태가 복원되어 상기 컨트롤핑거의 홈과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볼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상기 디텐트어셈블리의 스프링의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KR1020070022766A 2007-03-08 2007-03-08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KR10087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766A KR100878662B1 (ko) 2007-03-08 2007-03-08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766A KR100878662B1 (ko) 2007-03-08 2007-03-08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224A KR20080082224A (ko) 2008-09-11
KR100878662B1 true KR100878662B1 (ko) 2009-01-15

Family

ID=4002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766A KR100878662B1 (ko) 2007-03-08 2007-03-08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634B1 (ko) 2014-12-30 2016-08-23 현대다이모스(주) 수동 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027A (ko) * 1996-07-26 1998-04-30 김영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이중물림 방지기구 일체형 시프트 디텐트장치
KR100345118B1 (ko) 1999-12-28 2002-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JP2004308678A (ja) 2003-04-02 2004-11-04 Aisin Ai Co Ltd 自動変速装置
KR100494783B1 (ko) 2002-10-02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시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027A (ko) * 1996-07-26 1998-04-30 김영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이중물림 방지기구 일체형 시프트 디텐트장치
KR100345118B1 (ko) 1999-12-28 2002-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0494783B1 (ko) 2002-10-02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시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
JP2004308678A (ja) 2003-04-02 2004-11-04 Aisin Ai Co Ltd 自動変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224A (ko)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564B1 (en) Shift switch control device for selection lever units of automatic transmissions
EP2180213B1 (en) Manual transmission
KR20160076681A (ko) 차량의 통합형 전자식 변속레버 어셈블리
CN104565336B (zh) 手动变速器的换挡装置
US8056433B2 (en) Shifting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of a vehicle
KR100878662B1 (ko) 인터록장치와 디텐트장치가 일체화된 수동변속기
CN107620795A (zh) 换挡装置
JP5891642B2 (ja) 多段変速機の変速機構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KR100323416B1 (ko) 수동 변속기의 중립 위치 설정 기구
JP4333272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及びその設計方法
JP2009228745A (ja) 手動変速機
CN1766374B (zh) 全地形车辆的换档装置
KR20100082133A (ko) 다단 변속 구현 타입 시프트 러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KR1013940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4581399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0412900B1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러그 구조
KR100506995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가이드 기구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JP2014047881A (ja)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KR100471866B1 (ko) 수동변속기의 후진 절도감 조작수단
KR100494783B1 (ko) 수동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시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
KR100946505B1 (ko)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앗세이
KR101264006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058770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655413B1 (ko) 직접 조작식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