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882B1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882B1
KR101647882B1 KR1020140126043A KR20140126043A KR101647882B1 KR 101647882 B1 KR101647882 B1 KR 101647882B1 KR 1020140126043 A KR1020140126043 A KR 1020140126043A KR 20140126043 A KR20140126043 A KR 20140126043A KR 101647882 B1 KR101647882 B1 KR 101647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gion
filler
fram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628A (ko
Inventor
테츠야 나가타
요시노리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5003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Abstract

표시 영역 주위의 액자 영역에 형성된 제1 단차부를 갖는 제1 기판과, 제1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과, 표시 영역 및 액자 영역 일부의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의 사이에 충전되고, 제1 단차부 상에서부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단부까지의 범위에 주변 부분이 위치하는 충전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 이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발광 소자에 의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는, TFT나 OLED 발광 소자 등을 포함하는 기판과, 컬러 필터 등을 포함하는 기판을, 충전재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접합시켜 형성된다.
도 12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기판의 첩합에 있어서는, 한 쪽의 기판 상에 충전재가 밀려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댐재(11)를 액자 영역(102)에 도포하고, 댐재(11)에 의해 둘러싸인 충전재 충전 영역(104)의 내측에 충전재를 적하하고, 감압화에서 다른 쪽 기판과 접합시키는, 일련의 제법이 취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3은 도 12의 C-C'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 기판(120)과 제2 기판(130)의 접합에 의해, 제1 기판(120), 제2 기판(130) 및 댐재(11)로 둘러싸인 공간에 충전재(112)가 충전된다. 즉, 충전재 충전 영역(104)은, 댐재(11)로 둘러싸인 범위로 규정된다.
일반적으로 댐재는, 댐재로 둘러싼 영역 내의 충전재가 댐재를 넘어서 외부로 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수십만 mPa·s 등의 고점도 재질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고점도 재질을 도포하려면 일정 정도의 시간을 요하며, 제조 시간 단축의 관점에서 장해가 된다.
또한, 기판을 접합했을 때에, 댐재로 둘러싸인 내부의 충전재의 퍼짐이 나쁘고, 댐재 근방에 미충전의 영역이 기포(진공 웅덩이)가 되어 남을 수 있다. 도 14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도 12의 좌상 부근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기포 발생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포(14)는 충전재 충전 영역(104)의 내부 댐재(11)의 근처에서 발생하고, 기포(14)가 확대되는 범위는 액자 영역(102) 뿐만아니라 표시 영역(101)까지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포가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까지 오면, 충전재가 충전된 영역과 미충전의 영역이 현저히 시인되고, 표시 품질을 현저히 손상시킨다.
또한, 표시장치의 대화면화 또는 장치의 소형화의 요청이 높아짐에 따라, 액자 영역을 가능한 좁게 하는(협액자화)의 요청도 높아진다. 그런데, 댐재는 액자 영역에 형성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댐재는 충전재가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의 폭이 필요해 진다. 또한, 도 14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재 부근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표시 영역과 액자 영역의 경계로부터, 댐재까지의 거리는, 일정 정도 여유를 가지고 설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댐재의 사용은 협액자화의 장애가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댐재를 이용하지 않고 충전재만으로 기판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된 표시장치도 존재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특허 공개 2008-5994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충전재의 충전 영역을 규정하는 방법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기판을 접합시켰을 때에, 충전재가 밀려 나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 주위의 액자 영역에 형성된 제1 단차부를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액자 영역 일부의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과의 사이에 충전되고, 상기 제1 단차부 상에서부터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단부까지의 범위에 주변 부분이 위치하는 충전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액자 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컬러 필터를 에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판은, 제1 기판의 상기 액자 영역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2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판은 유기층간절연막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이며,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유기층간절연막의 일부를 에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의하면, 제1 단차부는, 평면 또는 곡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차부는, 평면 또는 곡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액자 영역의 외측에 접하는 단자 영역을 더 구비하고, 제1 단차부는, 상기 단자 영역에 가까운 측의 상기 액자 영역과, 단자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의 상기 액자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판의 표시 영역 주위의 액자 영역에 제1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차부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충전재 충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충전재 충전 영역에 충전재를 적하하고,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차부는, 상기 액자 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컬러 필터를 에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판의,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자 영역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2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판은 유기층간절연막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이며, 상기 유기층간절연막의 일부를 에칭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차부를, 평면 또는 곡면의 조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차부를 평면 또는 곡면의 조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액자 영역의 외측에 접하는 단자 영역을 더 갖고, 단자 영역에 가까운 측의 상기 액자 영역과, 단자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의 액자 영역에 제1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과 기판을 충전재를 충전하여 접합시킬 때에, 기판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충전재의 퍼짐을 규정하고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표시 영역을 전부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있던 댐재에 대하여, 그 전부 또는 일부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댐재의 부재비 분을 저감하고, 댐재를 기판에 도포할 때의 공정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댐재를 전부 또는 일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액자 영역의 협액자화 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면화된 소자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차부, 주변 씰, 충전재 도포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합 공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다면 붙임의 소자배치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며, 기포 발생을 도시하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 변형을 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도면의 촌법 비율은 설명 편의상 실제 비율과는 다르고, 구성의 일부가 도면에서 생략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판 상에 형성되는 이란, 기판에 접촉하여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기판과의 사이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표시장치(1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OLED 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1), 외부 구동 회로와의 접속을 행하는 단자 영역(3), 및 액자 영역(2)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액자 영역(2)이란, 표시 영역(1)에서 표시장치의 외주까지의 사이의 영역을 말한다.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표시 영역(1)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횡 방향으로 달리는 복수의 제어 신호선과, 종 방향으로 달리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선과 전원 공급선, 또한 제어 신호선과 데이터 신호선과의 교차부 부근에 TFT회로 등이 격자 형상으로 복수 배열된다. 그리고, 표시 영역(1) 내부에는 TFT회로에 대응한 화소부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표시 영역(1)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표시장치의 평면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단차부(25)는, 표시 영역(1)을 둘러싸도록 액자 영역(2)에 형성된다. 충전재는, 단차부(25)로 둘러싸인 영역 내 전체에 충전되고, 충전재 충전 영역(4)을 형성한다. 그리고, 충전재 충전 영역(4)은, 적어도 표시 영역(1)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의 A-A'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표시장치는, 제1 기판(20)과 제2 기판(30)과의 사이에, 충전재(12)를 충전하여 접합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도 3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 기판(20)은, 투명한 유리 기판 상에 컬러 필터, 차광막 등이 형성된다. 또한, 광투과성의 막(오버 코트)이 형성되고, 오버 코트가 형성되는 면이 충전재(12)와 접한다. 또한, 제2 기판(30)은, 유리 기판 상에 TFT 회로층, 전극층, OLED발광층, 봉지막 등이 이 순서로 형성된다. 제2 기판(30)의 봉지막이 형성된 면이, 충전재(12)와 접한다.
단차부(25)는, 제1 기판(20) 상의 액자 영역(2)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제1 기판(20)과 제2 기판(30)과의 간격은, 단차부(25)를 경계로, 충전재 충전 영역(4) 측이 좁고, 충전재 충전 영역(4)의 외측의 액자 영역(2) 측이 넓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재(12)는, 제1 기판(20)의 충전재 충전 영역(4)에 적하되고, 제1 기판(20)과 제2 기판(30)이 접합됨으로써 적하된 충전재(12)가 눌려 퍼지고, 충전재 충전 영역(4) 전체에 충전재(12)가 충전된다. 즉, 충전재(12)는 표시 영역(1)을 넘어 액자 영역(2)에 형성된 단차부(25)까지 충전되어, 충전재 충전 영역(4)이 형성된다.
발명자는, 본 건 발명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제1 기판(20) 또는 제2 기판(30)에 적절한 단차를 구비하는 것으로 충전재(12)의 퍼짐에 관한 실험을 행하여, 양 기판의 간격이 좁은 부분은 충전재(12)의 퍼짐이 촉진하고, 역으로 양 기판의 간격이 넓은 부분은 충전재(12)의 퍼짐이 억제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상의 현상에 비추어 보면, 제1 기판(20)에 단차부(2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눌려 퍼지는 충전재(12)의 범위를 규정할 수 있는 이유로는, 양 기판의 간격이 넓어지는 단차부에서는, 충전재의 표면 장력에 의해 충전재의 퍼짐이 억제되는 것 등이 추측된다.
단차의 각도는 도의 수평 방향에서 30°에서 90°, 바람직하게는 60°에서 90°로 형성된다. 충전재의 퍼짐 억제의 효과만으로는 90° 이상이어도 좋다. 단 이 경우, 소위 오버 뱅크가 되므로, 제조 공정 내에서 당해 부분의 손상ㆍ박리 등, 다른 결함의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1 실시예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기판(20)은, 주 성분을 투명한 원료 유리로 하는 유리 기판(21)에, 컬러 필터(22) 및 차광막(23)이 형성되고, 또한 컬러 필터(22) 및 차광막(23)을 덮는 오버 코트(24)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컬러 필터(22)는 표시 영역(1)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화소의 소망의 색의 필터가 이용된다. 또한, 액자 영역(2)에는, 제2 기판(30)의 표시 영역 내(1)에 형성된 OLED 광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광막(23)이 형성된다. 도 4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차광막(23)은 표시 영역(1) 내의 각 화소의 경계선 상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컬러 필터(22)와 차광막(23)의 형성 순서에 대해서는, 먼저, 유리 기판(21) 상에 차광막(23)이 형성되고, 그 후에, 컬러 필터(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컬러 필터(22)와 차광막(23)을 형성한 경우, 차광막(23)과 컬러 필터(22)가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기술적인 과제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복하는 부분의 컬러 필터(22)에 유용성을 찾아내는 것은 곤란하므로, 통상은, 그 중복을 억제하는 컬러 필터(22)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컬러 필터(22)는 차광막(23)에 겹치도록 구비된다. 더미 컬러 필터(26)는, 상기와 같이, 차광막(23)에 겹치도록 구비된 컬러 필터 부분을 말한다. 차광막(23)에 인접하는 컬러 필터(22)를 연장하여 형성할 수 도 있고, 차광막(23)에 인접하는 컬러 필터와는 별도의 컬러 필터를 구비할 수 도 있다. 어느 쪽이든, 더미 컬러 필터(26)는, 기존의 제조 공정에서 큰 설계 변경을 동반하지 않고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단차 형성 방법으로는, 컬러 필터 기판에 기둥 형상의 스페이서를 형성할 때, 동시에 단차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기둥 형상 스페이서용 감광 레지스트를 도포 후, 포토리소 공정에 의해 스페이서 형상 및 주변 단차용으로 띠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 때, 띠 형상의 단차 형성부는 하프 노광을 행함으로써 기둥 형상의 스페이서보다 낮은 높이로 할 수 있다.
더미 컬러 필터(26)를 액자 영역(2)에 구비함으로써, 더미 컬러 필터의 측면에서, 단차부(25)가 형성된다. 컬러 필터(22)(더미 컬러 필터(26))의 두께는 1~5㎛이며, 액자 영역(2)의 더미 컬러 필터(26)가 존재하는 부분과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 이 두께만큼 단차가 생긴다. 단, 컬러 필터(22)(더미 컬러 필터(26))의 두께는,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을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표시장치의, 다면화된 제1 기판(200)을 도시한 것이다. OLED 표시장치의 제조는, 생산성을 고려하여, 한 장의 유기 기판 상에, 복수의 표시장치의 패턴을 형성한, 즉, 다면화하여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에서는, 액자 영역(2), 액자 영역(2)으로 둘러싸인 표시 영역(1), 그리고 이 액자 영역(20)의 하측에 인접하는 단자 영역(3)으로, 하나의 제1 기판(20)을 구성한다. 제1 기판(20)이, 종 4매, 횡 3매의 계 12매 면 붙임 되어 있지만, 다면화의 구성은 OLED 표시장치의 크기와 유리 기판의 크기에 의존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면화된 상태로, 차광막(23), 컬러 필터(22), 더미 필터(26) 및 오버 코트(24)를 형성한다.
또한, 제2 기판(30)도 제1 기판(20)과 마찬가지로 다면화 된다. 제1 기판(20)과 제2 기판(30)은 다면화된 상태로 붙여지고, 그 후에 커팅되어 각각의 OLED 표시장치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부(25), 주변 씰(13), 충전재(12)의 도포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단차부(25)로 둘러싸인 충전재 충전 영역(4)(미도시)의 내부에, 디스펜서 등의 액체 정량 토출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재(12)가 점 형태로 적하된다. 충전재(12)를 점 형태로 적하하는 것은, 적하된 충전재(12)는 그 표면 장력에 의해 구 형상의 형태를 취하기 때문이다. 충전재(12)는 격자 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규칙적으로 적하된다.
충전재(12)에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UV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의 투명 수지가 이용된다. 동일한 재료로, UV 지연 경화형의 재료도 이용할 수 있다. 이 타입은, UV광을 조사 후 일정 시간, 예를 들면 10분 경과 후에 경화 반응이 진행되고 점도가 상승하는 타입의 것이다. 이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충전재를 도포한 기판에 UV광을 전면 조사하고, 접합을 행한 후 가열하여 경화를 행한다.
또한, 다면화된 제1 기판(200)의 외연 부근에는, 주변 씰(13)이 도포된다. 주변 씰(13)에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의 에폭시 수지 등, 열경화성을 갖는 수지가 이용된다. 또한, 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제1 기판(20)과 제2 기판(3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재도 적절히 도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합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의 B-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다면화된 제1 기판(200) 상에, 충전재(12) 및 주변 씰(13)이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다. 다면화된 제1 기판(200)에는, 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25)에 의해, 다면화된 제1 기판(200)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두꺼운 부분이 충전재 충전 영역(4)에 상당한다. 다면화된 제1 기판(200)의 양단에는, 주변 씰(13)이 도포된다.
도 7(b)는, 도 7(a)에서 도시되는 다면화된 제1 기판(200)과, 다면화된 제2 기판(300)이 대향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다면화된 제1 기판(200)과 다면화된 제2 기판(300)은, 감압 챔버에 투입되고, 챔버 내를 감압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양 기판에 형성한 얼라인먼트 마크 등을 이용하여 위치 맞춤을 행하면서, 양 기판의 간격을 좁혀 간다.
도 7(c)는 다면화된 제1 기판(200)과 다면화된 제2 기판(300)이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다면화된 제1 기판(200), 이와 대향하는 다면화된 제2 기판(300), 그리고, 사이에 복수의 충전재(12)를 사이에 둔 2점의 주변 씰(13)로, 닫힌 공간이 형성된다.
이 닫힌 공간은 감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챔버 내를 대기압으로 돌림으로써, 다면화된 제1 기판(200)과 다면화된 제2 기판(300)은 대기압으로 눌려 겹쳐진다. 이것을 도 7(d)에 도시한다.
도 7(e)는, 대기압에 의해, 주변 씰(13)과 다면화된 제1 기판(200) 및 다면화된 제2 기판(300)으로 형성된 공간이 눌리고, 충전재(12)가 충전재 충전 영역(4)에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충전재(12)는, 단차부(25)에 의해 형성된, 다면화된 제1 기판과 다면화된 제2 기판(300)과의 간격이 좁은 부분에만 충전되다.
도 7에서 도시한 기판 접합 공정이 이루어진 후에, 경화로에 접합된 기판을 투입하고, 충전재(12)를 열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열경화형의 충전재(1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UV 경화형의 댐재와 조합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접합 후의 자외선 조사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다면화된 제1 기판(200) 및 다면화된 제2 기판(300)을 충전재(12)로 접착한, 접합 기판을 완성한다.
접합 기판은, 스크라이브E브레이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OLED 표시장치마다 절단 분리된다. 또한, 제1 기판(20)의, 제2 기판(30)의 단자 영역(3)과 대향하는 부분은 절단 제거되므로, OLED 표시장치의 단자 영역(3)은 제2 기판으로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차의 생성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더미 컬러 필터(26)는 형성하지 않고, 액자 영역(2)의 오버 코트(23)를 포토리소그라피 등으로 삭제함으로써, 단차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과 기판을 충전재를 충전하여 접합시킬 때에, 기판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충전재의 퍼짐을 규정하고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표시 영역을 전부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있던 댐재에 대하여, 그 전부 또는 일부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댐재의 부재비 분을 저감하고, 댐재를 기판에 도포할 때의 공정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댐재를 전부 또는 일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액자 영역의 협액자화 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의 A-A'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기판(30)에 단차부(3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차부(35)는 예를 들어 제2 기판(30)의 유기층간 절연막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제1 기판(20)의 단차부(25)와, 제2 기판(30)의 단차부(35)는, 표시장치의 정면, 즉 도 2에서 도시된 방향에서 봤을 때,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되지만, 제2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단, 제1 기판(20)의 단차부(25)와, 제2 기판(30)의 단차부(35)를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봤을 때의 위치는, 가능한 일치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장치의 단차부는, 제1 기판의 단차부(25)는 형성하지 않고, 제2 기판(30)의 단차부(35)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2의 우상 부근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단차부(25)의 평면상의 형상은, 사각의 요철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차부(25)의 평면상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톱 형상, 원호 형상 등, 직선 이상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25)는, 도 9에서는, 모두 사각의 요철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부분적으로 직선 이외의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복수 형상의 선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차부(25)의 평면상의 형상을 직선 이외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직선 형상의 경우와 비교하여, 충전재 충전 영역(4)을 둘러싸는 단차부(25)의 주변 길이가 길어 진다. 이것은, 기판의 접합에 의해 눌려 퍼지는 충전재(12)에 대하여, 제1 기판(20)과 제2 기판(30)의 간격이 넓은 부분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 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충전재의 퍼짐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30)의 단차부(35)의 평면상의 형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의 요철 형상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단차부(25)가 표시 영역(1)의 상측의 액자 영역(2)과, 표시 영역(1)의 하측의 액자 영역(2)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표시 영역(1)의 상하 단차부(25)와, 표시 영역의 외연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충전재 충전 영역(4)이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면화된 제1 기판(200)을 도시한 것이다. 단차부(25)는, 다면화된 제1 기판(200) 상의, 각 표시 영역(1)의 상측과 하측의 액자 영역(2)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기판(20)의 단자 영역(3)에 해당하는 부분은, 접합 후에, 절단 제거되므로, 단자 영역(3)에 충전재(12)가 침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제4 실시예에서는, 표시 영역(1)의 하측에 형성한 단차부(25)가 충전재(12)의 단자 영역(3)으로의 침입을 방지하고, 표시 영역(1)의 상측에 형성한 단차부(25)가 상측에 인접하는 제1 기판(20)의 단자 영역(3)에 충전재(12)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1을 보면, 단차부(25)는, 액자 영역(2) 뿐만 아니라, 좌단 및 우단에 배치된 제1 기판(20)의 액자 영역(2)의 외측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면화된 제1 기판(200)의 외연 부근까지 연장하여 단차부(25)를 형성함으로써, 기판의 접합에 의해 눌려 퍼진 충전재(12)가, 단차부(25)를 돌아 들어가 접속부(3)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기판 접합 공정에 있어서, 감압 챔버 내에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면시키고, 그 후에 챔버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돌리고, 대기압에 의해 접합을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5 실시예에서는, 대기압에 상당하는 압력으로 기판의 접합을 행할 수 있는 제조 장치를 이용한다. 이 경우에는, 충전재는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갭 형성이 완료하므로, 도 6에서 도시한 주변 씰(13)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 공정을 거침으로써, 주변 씰(13)에 관한 비용, 제조 공정 등이 삭감하고, 나아가, 표시장치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면 붙임 장수를 늘릴 수 있게 되어, 비용 저감의 효과가 생긴다.
[그 밖의 변형예]
도 3 및 도 8에서는, 단차부(25) 및 단차부(35)의 단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우, 단차부(25) 및 단차부(35)는,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차부(25) 및 단차부(35)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8에서는, 충전재(12)가 단차부(25) 또는 단차부(35)까지 정확하게 충전되어, 수직의 단면을 형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재(12)는 단차부(25) 또는 단차부(35)를 넘어 충전될 수도 있고, 역으로 충전재(12)는 단차부(25) 또는 단차부(35)까지 충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충전재(12)의 단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댐재가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댐재를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1: 표시 영역 2: 액자 영역
3: 단자 영역 10: 표시장치
11: 댐재 12: 충전재
13 : 주변 씰 20: 제1 기판
22: 컬러 필터 23: 차광막
24: 오버 코트 25: 단차부
26 : 더미 컬러 필터
30: 제2 기판

Claims (16)

  1. 표시 영역 주위의 액자 영역에 형성된 제1 단차부를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액자 영역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과의 사이에 충전된 충전재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재는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액자 영역에 도달하는 주변부분까지 상기 충전재 내부에 경계면을 갖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충전재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제1 단차부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단부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단부 측에서 본 경우,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전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액자 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컬러 필터를 에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자 영역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2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유기층간절연막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이며,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유기층간절연막의 일부를 에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는, 평면 또는 곡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부는, 평면 또는 곡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영역의 외측에 접하는 단자 영역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단자 영역에 가까운 측의 상기 액자 영역과, 상기 단자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의 상기 액자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1 기판의 표시 영역의 주위의 액자 영역에 제1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차부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충전재 충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충전재 충전 영역에 충전재를 적하하고,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을 접합하고, 상기 충전재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액자 영역에 도달하는 주변부분까지 상기 충전재 내부에 경계면을 갖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상기 충전재를 늘리고,
    상기 충전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제1 단차 부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단부 사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단부 측에서 본 경우, 외기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를 상기 표시 영역의 전역에 배치되도록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액자 영역의 일부에 형성된 컬러 필터를 에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자 영역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2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유기층간절연막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이며,
    상기 유기층간절연막의 일부를 에칭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를, 평면 또는 곡면의 조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부를, 평면 또는 곡면의 조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영역의 외측에 접하는 단자 영역을 더 갖고,
    상기 단자 영역에 가까운 측의 상기 액자 영역과, 상기 단자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의 상기 액자 영역에 상기 제1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40126043A 2013-09-26 2014-09-22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647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99616A JP6425877B2 (ja) 2013-09-26 2013-09-26 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3-199616 2013-09-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76A Division KR101738820B1 (ko) 2013-09-26 2016-08-05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628A KR20150034628A (ko) 2015-04-03
KR101647882B1 true KR101647882B1 (ko) 2016-08-23

Family

ID=526901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043A KR101647882B1 (ko) 2013-09-26 2014-09-22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60100076A KR101738820B1 (ko) 2013-09-26 2016-08-05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76A KR101738820B1 (ko) 2013-09-26 2016-08-05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50084055A1 (ko)
JP (1) JP6425877B2 (ko)
KR (2) KR101647882B1 (ko)
CN (1) CN104517993B (ko)
TW (1) TWI5732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5400A1 (en) * 2011-05-23 2014-02-27 Haworth, Inc. Digital workspace ergonomics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EP2715490B1 (en) 2011-05-23 2018-07-11 Haworth, Inc. Digital whiteboard collab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9465434B2 (en) 2011-05-23 2016-10-11 Haworth, Inc. Toolbar dynamics for digital whiteboard
US9471192B2 (en) 2011-05-23 2016-10-18 Haworth, Inc. Region dynamics for digital whiteboard
US9479548B2 (en) 2012-05-23 2016-10-25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with whiteboard access to global collaboration data
US9479549B2 (en) 2012-05-23 2016-10-25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with whiteboard with federated display
US10304037B2 (en) 2013-02-04 2019-05-28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a spatial event map
US11861561B2 (en) 2013-02-04 2024-01-02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a spatial event map
JP2016031927A (ja) * 2014-07-25 2016-03-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積層構造物、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積層構造物の作製方法
KR102303244B1 (ko) 2015-04-15 2021-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292524B1 (en) 2015-05-06 2020-07-08 Haworth, Inc. Virtual workspace viewport follow mode in collaboration systems
KR102491874B1 (ko) 2015-11-26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2466959B1 (ko) 2015-12-31 2022-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932168B (zh) 2016-06-03 2019-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制造oled面板的方法
KR102610832B1 (ko) 2016-08-03 202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 광학 소자 및 이의 설계방법
CN107884971A (zh) * 2017-09-16 2018-04-06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制程干燥剂涂布机
US11934637B2 (en) 2017-10-23 2024-03-19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markers identifying multiple canvases in multiple shared virtual workspaces
US11126325B2 (en) 2017-10-23 2021-09-21 Haworth, Inc. Virtual workspace including shared viewport markers in a collaboration system
WO2020176517A1 (en) 2019-02-25 2020-09-03 Haworth, Inc. Gesture based workflows in a collaboration system
US11212127B2 (en) 2020-05-07 2021-12-28 Haworth, Inc. Digital workspace sharing over one or more display clients and authorization protocols for collaboration systems
US11750672B2 (en) 2020-05-07 2023-09-05 Haworth, Inc. Digital workspace sharing over one or more display clients in proximity of a main cli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9215A (ja) 2011-03-30 2012-10-25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576A (ja) * 2001-04-27 2002-11-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101032337B1 (ko) * 2002-12-13 2011-05-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013293A1 (en) * 2005-07-12 2007-01-18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spacers
JP2007127739A (ja) * 2005-11-02 2007-05-24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8015371A (ja) * 2006-07-07 2008-01-2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8152214A (ja) * 2006-12-20 2008-07-03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
JP5007598B2 (ja) * 2007-04-12 2012-08-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47879A (ja) * 2007-08-20 2009-03-05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5228513B2 (ja) * 2008-02-08 2013-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
JP4670875B2 (ja) * 2008-02-13 2011-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
TWI391733B (zh) * 2008-07-01 2013-04-0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面板及其陣列基板
CN101971701A (zh) * 2008-07-10 2011-02-09 富士电机控股株式会社 有机el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2010102010A (ja) * 2008-10-22 2010-05-06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パネル
KR101267534B1 (ko) * 2009-10-30 2013-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2012078692A (ja) * 2010-10-05 2012-04-19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2012099313A (ja) * 2010-11-01 2012-05-24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JP5468039B2 (ja) * 2011-04-11 2014-04-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2255840A (ja) * 2011-06-07 2012-12-27 Japan Display West Co Lt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29722A (ja) * 2011-07-29 2013-02-07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880114B1 (ko) * 2012-02-08 2018-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93060B1 (ko) * 2012-07-20 2020-03-2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478766B2 (en) * 2012-08-29 2016-10-25 Sharp Kabushiki Kaisha Manufacturing method for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such method
JP6095301B2 (ja) * 2012-09-03 2017-03-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9215A (ja) 2011-03-30 2012-10-25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64534A (ja) 2015-04-09
CN104517993B (zh) 2018-05-25
KR20160099069A (ko) 2016-08-19
KR101738820B1 (ko) 2017-05-22
US20150084055A1 (en) 2015-03-26
JP6425877B2 (ja) 2018-11-21
KR20150034628A (ko) 2015-04-03
TW201523870A (zh) 2015-06-16
US20170222181A1 (en) 2017-08-03
TWI573261B (zh) 2017-03-01
CN104517993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820B1 (ko) 표시장치
JP6220592B2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095301B2 (ja) 表示装置
KR2013002116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2008309863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パネル
JP6266974B2 (ja)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8072464A1 (ja) 液晶表示素子
JP2009133930A (ja) 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2016012174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1300907A (zh) 液晶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US1003137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5060623A (ja) 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表示素子
JP2015011763A (ja) Oled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4601A (ja) 表示装置
JP2009294602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0085646A (ja) 液晶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9093066A (ja) 液晶表示装置
JP2017009770A (ja) 液晶表示装置
JP2015114480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5025959A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96574A (ja) 液晶表示素子
JP201112818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25637A (ja) 液晶表示装置
JP2007206235A (ja) 基板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